KR0166282B1 -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282B1
KR0166282B1 KR1019950049882A KR19950049882A KR0166282B1 KR 0166282 B1 KR0166282 B1 KR 0166282B1 KR 1019950049882 A KR1019950049882 A KR 1019950049882A KR 19950049882 A KR19950049882 A KR 19950049882A KR 0166282 B1 KR0166282 B1 KR 016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ox
cup
mounting groov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7071A (ko
Inventor
전민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4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282B1/ko
Publication of KR97003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7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좌석근처에 소정형상의 박스(10)측면에 각각 형성된 장착홈(11)에 홀더(20)가 스프링(30)을 매개로하여 힌지결합되어 있되, 상기 홀더(20)는 상기 장착홈(11)하단에 결합되는 지지부(21)와 상단에 홀더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선단부가 상기 장착홈(11)상단에 형성된 슬릿(12)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홀더부(2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장착홈(11)상단에 록킹노브(40)가 설치되어 홀더(20)를 록킹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박스(10)측면에 설치된 홀더(20)를 인출하여 여러 개의 컵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박스 11 : 장착홈
12 : 슬릿 13 : 박스리드
14 : 홀더홈 20 : 홀더
21 : 지지부 22 : 홀더공
23 : 홀더부 24 : 걸림턱
30 : 스프링 40 : 록킹노브
a : 컵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음료수등이 담긴 컵을 지지하기 위한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박스에 여러 개의 홀더가 설치되어 여러 개의 컵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편의성 또는 거주성이 양호해야 운전 및 탑승에 불편함이 없기 때문에 차내에 여러 가지 편의시설이 구비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한 편의 시설중에 특히 장거리 운행을 할 때에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내에서 먹게되는 음식 및 음료수를 담은 용기를 놓을 수 있는 시설이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음료수는 병이나 캔 및 컵을 사용하여 섭취하게 되는 바, 특히 이동중인 자동차 내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병, 캔, 컵 등을 놓아둘 수 있는 보조 설비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탑승자의 좌석 근처에 컵 홀더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하여 차량의 주행중에 엎어질 수 있는 컵을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운전자의 주의가 분산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종래의 컵 홀더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평한 지지판(101)에 컵(a) 외관 모양의 홀더 공(102)을 형성하여 컵(a)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컵 홀더는 장소적 제약이나 지지방법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상기 지지판(101)에 홀더 공(102)을 1~2개 정도 형성하여 컵(a)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바, 차량에 여러 명이 탑승하여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에는 컵(a)을 지지할 수 있는 홀더공(102)의 수가 적어 음료수가 든 컵(a)을 계속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박스에 여러 개의 홀더가 설치되어 여러 개의 컵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형상의 박스(10)측면에 각각 형성된 장착홈(11)에 홀더(20)가 스프링(30)을 매개로하여 힌지 결합되어 있되, 상기 홀더(20)는 상기 장착홈(11)하단에 결합되는 지지부(21)와 상단에 홀더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선단부가 상기 장착홈(11)상단에 형성된 슬릿(12)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홀더부(2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장착홈(11)상단에 록킹노브(40)가 설치되어 홀더(20)를 록킹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박스에 다수 개의 홀더가 설치되어 있으므로써, 여러 개의 컵을 일정한 곳에 집중하여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차량의 좌석근처에 설치되는 소정형상의 박스(10)측면에 각각 형성된 장착홈(11)에 홀더(20)가 스프링(30)을 매개로하여 힌지결합되어 있되, 상기 홀더(20)는 상기 장착홈(11)하단에 결합되는 지지부(21)와 상단에 홀더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선단부가 상기 장착홈(11)상단에 형성된 슬릿(12)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홀더부(2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장착홈(11)상단에 록킹노브(40)가 설치되어 홀더(20)를 록킹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20)에는 상기 지지부(21)쪽으로 걸림턱(24)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20)를 록킹노브(40)에 록킹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10)내부에는 홀더홈(14)이 형성된 박스리드(box lid, 13)가 긴밀하게 삽입지지되어, 컵(a)을 지지하거나 동전 기타 조그마한 물건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과 더불어 박스(10)상단부를 개폐하여 박스(10)내부로 먼지 기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박스(10) 내부의 정비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홀더(20)는 지지부(21)의 높이정도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21)가 회동될 때 슬릿(12)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상기 홀더(20)를 박스(10)안으로 집어 넣거나 박스(10)밖으로 꺼낼때 홀더(20)상호간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21)의 길이에 차등을 두어 설치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홀더공(22)가장자리 주변에는 컵(a)을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에 컵(a)을 지지하는 방법은, 우선 상기 박스(10)에 록킹되어 있는 홀더(20)를 록킹노브(40)를 눌러 록킹상태를 해제하면 비틀림응력을 받고 있던 상기 스프링(30)이 복원되면서, 이 스프링(30)에 결합되어 있는 홀더(20)가 회동돌기(24)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홀더부(23)가 슬릿(12)로부터 빠져 나와 홀더부(23)선단에 돌출형성된 돌출부(23a)가 슬릿(12)상부에 걸리면서 컵(a)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홀더공(22)에 컵(a)을 놓으면 간단하게 컵(a)을 꽂을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하고자 하는 컵(a)의 수만큼 홀더(20)를 박스(10)로부터 인출하여 여러 개의 컵(a)을 지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컵(a)을 지지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한 홀더(20)의 지지부(21)에 박스(10)측면쪽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걸림턱(24)이 박스(10)측면에 설치된 록킹노브(40)에 원터치로 록킹되어 장착홈(11)에 긴밀하게 삽입되므로써, 박스(10)의 측면과 평평하게 되어 미관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박스(10)안에 차례로 적층되어 차실내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에 의하면, 하나의 박스에 다수 개 홀더가 설치되어 여러 개의 컵을 동시에 지지할 수가 있으므로써, 여러 명이 차실내에서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에도 음료수가 담긴 컵을 계속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소정형상의 박스(10)내부 상단에는 홀더홈(14)이 형성된 박스 리드(13)가 긴밀하게 삽입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박스(10) 측면에 각각 형성된 장착홈(11)에 홀더(20)가 스프링(30)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있되, 상기 홀더(20)는 상기 장착홈(11)하단에 결합되는 지지부(21)와 상단에 홀더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선단부가 상기 장착홈(11)상단에 형성된 슬릿(12)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홀더부(2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장착홈(11)상단에 록킹노브(40)가 설치되어 상기 홀더(20)의 지지부(21)쪽으로 형성된 걸림턱(24)에 걸려짐으로써 홀더(20)를 록킹노브(40)가 록킹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
KR1019950049882A 1995-12-14 1995-12-14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 KR0166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882A KR0166282B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882A KR0166282B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071A KR970037071A (ko) 1997-07-22
KR0166282B1 true KR0166282B1 (ko) 1999-06-01

Family

ID=1944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882A KR0166282B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2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071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963B2 (en) Automobile caddy
US4738423A (en) Generic beverage container holder
US5490653A (en) Cup holder accessory
GB2310791A (en) Holder for drinks containers etc
US6439525B1 (en) Removable container holding assembly
US5642843A (en) Pull out and rotatable cup and can holder
KR0166282B1 (ko)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
US6123307A (en) Vehicle cupholder for mugs and the like
KR0138004Y1 (ko) 자동차용 다중 컵홀더
JP2505368Y2 (ja) 車両用コンソ―ルボックス
KR200145183Y1 (ko) 차량용 음료수 용기 홀더
KR0136709Y1 (ko) 자동차용 음료수 용기 홀더
KR100427767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0124362Y1 (ko) 자동차용 음료수 용기 홀더
KR200170654Y1 (ko) 자동차컵홀더
KR0153197B1 (ko) 자동차용 음료수 홀더 어셈블리
KR200145029Y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950006471Y1 (ko) 자동차용 음료용기 홀더
KR0112759Y1 (ko) 자동차용 음료수 용기 홀더
KR0129058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200142863Y1 (ko) 자동차용 장착식 드링크 홀더
KR100293546B1 (ko) 컵홀더
KR0123283Y1 (ko) 자동차용 음료수 홀더 어셈블리
KR19980052242U (ko) 자동차용 용기홀더구조
KR0121957Y1 (ko) 자동차 내에 설치되는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