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866U -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 - Google Patents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866U
KR19990017866U KR2019970031000U KR19970031000U KR19990017866U KR 19990017866 U KR19990017866 U KR 19990017866U KR 2019970031000 U KR2019970031000 U KR 2019970031000U KR 19970031000 U KR19970031000 U KR 19970031000U KR 19990017866 U KR19990017866 U KR 199900178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door
opening
door trim
ou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인종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31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866U/ko
Publication of KR199900178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866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패널(10) 및 도어트림(30)을 결합시켜 도어를 형성한 자동차에 있어서, 물품을 수납하는 포켓(40)이 상기 도어트림(30) 상에 그 상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외부패널(10)은 포켓(40)의 폐쇄시 그 전체를 수용하도록 함몰부(11)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내부에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성을 유지하고 자동차 실내 공간을 확대시켜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
본 고안은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성을 유지하고 자동차 실내 공간을 확대시켜 편의성을 향상하는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외부패널(10), 스크린(20), 도어트림(30)이 적층되도록 조립되고 글라스(12)가 장착되는 구조를 지닌다. 도어트림(30)은 사출물로서 도어를 개폐하는 손잡이, 글라스(12)를 작동하는 스위치, 간이 재떨이 등 다양한 보조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대부분의 자동차에서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는 간단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포켓을 지니고 있어 글로브 박스와 함께 자동차 실내의 수납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도어의 포켓은 상시 개방형이기 때문에 글로브 박스와는 달리 내부가 더러워지기 쉬워 소지품을 보관하기 곤란할 뿐아니라 실내의 청결성을 해치는 오염원의 하나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내부에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성을 유지하고 자동차 실내 공간을 확대시켜 편의성을 향상하는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켓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도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켓의 작동 전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부패널 11: 함몰부
12: 글라스 20: 스크린
30: 도어트림 31: 요홈
40: 포켓 41: 돌출턱
42: 힌지 43: 손잡이
44: 걸림턱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외부패널(10) 및 도어트림(30)을 결합시켜 도어를 형성한 자동차에 있어서, 물품을 수납하는 포켓(40)이 상기 도어트림(30) 상에 그 상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외부패널(10)은 포켓(40)의 폐쇄시 그 전체를 수용하도록 함몰부(11)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켓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도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패널(10) 및 도어트림(30)을 결합시켜 도어를 형성한 자동차에서 물품을 수납하는 포켓(40)을 상기 도어트림(30) 상에 그 상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한다. 도어트림(30)은 포켓(40)을 장착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고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한 포켓(40)을 그 개구에 삽입한다. 스크린(20)은 글라스(12)의 작동기구와 도어트림(30) 상의 각종 장치간에 간섭을 차단하는 수단으로서 포켓(40)과 간섭되지 않는 구조를 지니도록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외부패널(10)은 포켓(40)의 폐쇄시 그 전체를 수용하도록 함몰부(11)를 지닌다. 외부패널(10)은 프레스 가공한 철판 소재를 소정의 폭을 유지하도록 접합시킨 구조로서 함몰부(11)는 글라스(12) 작동기구 등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가능한 최대한의 깊이로 형성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켓의 작동 전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켓(40)은 하부의 힌지(42)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어트림(30)의 요홈(31)에 맞물리는 돌출턱(41)을 지닌다. 포켓(40)은 상부가 개방되는 바구니 형태이고 외측의 상부에는 손잡이(43)가 형성된다. 힌지(42)는 포켓(40) 상에서 적어도 2개소의 지점에 형성하나 포켓(40)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돌출턱(41)은 포켓(40)의 상단면에서 중앙 지점에 적절한 높이로 돌출되는 반구 형태로 한다. 돌출턱(41)과 요홈(31)은 자동차 주행에 따른 진동으로 포켓(40)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포켓(40)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것은 포켓(40)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포켓(40)의 폐쇄시 전면이 도어트림(30)의 면과 일치되므로 포켓(40)의 개방 작동이 원활하기 위해서는 포켓(40)의 상면을 도시처럼 곡선화한다. 포켓(40)의 하부에서 힌지(42)가 연결되는 도어트림(30) 부분도 포켓(40)의 개방시 간섭되지 않도록 곡선화한다.
한편 포켓(40)의 상부에서 양측 후방으로는 걸림턱(44)을 형성하여 포켓(40)이 어느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손잡이(43)를 당기면 걸림턱(44)의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포켓(40)이 개방되는데 걸림턱(44)이 도어트림(30)의 후면에서 포켓(40)의 이탈을 막아 준다. 이러한 걸림턱(44)은 탄성부재를 개재시키는 등 다양한 대안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의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은 내부에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성을 유지하고 자동차 실내 공간을 확대시켜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부패널 및 도어트림을 결합시켜 도어를 형성한 자동차에 있어서,
    물품을 수납하는 포켓이 상기 도어트림 상에 그 상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외부패널은 포켓의 폐쇄시 그 전체를 수용하도록 함몰부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하부의 힌지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어트림의 요홈에 맞물리는 돌출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
KR2019970031000U 1997-11-04 1997-11-04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 KR199900178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000U KR19990017866U (ko) 1997-11-04 1997-11-04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000U KR19990017866U (ko) 1997-11-04 1997-11-04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866U true KR19990017866U (ko) 1999-06-05

Family

ID=6969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000U KR19990017866U (ko) 1997-11-04 1997-11-04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86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09443A (en) Luggage compartment construction
KR19990017866U (ko) 개폐 가능한 도어용 포켓
KR100568744B1 (ko) 콘솔 리드의 스토퍼 구조
KR100277174B1 (ko) 자동차 트렁크리드의 소음방지구조
KR200143695Y1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KR10038044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200351369Y1 (ko) 차량 트렁크 수납장치
KR19980041615U (ko) 자동차 트렁크룸의 수납함
KR19980045211U (ko) 자동차의 도어포켓
KR100435891B1 (ko) 차량 트렁크 내부의 소물함 커버후크구조
JPH017649Y2 (ko)
KR200149550Y1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수납통
KR200147493Y1 (ko) 슬라이딩 콘솔박스 덮개
KR100401659B1 (ko) 자동차의 도어포켓
KR19980043088U (ko) 자동차의 도어포켓
JPS6010225Y2 (ja) 自動車の小物入
JPS5923642Y2 (ja) グラブボツクス
KR200156640Y1 (ko) 전방패널로부터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의 글러버박스의 설치구조
JP3843670B2 (ja) キャブオーバー型トラックのハイルーフ車のヘッダートレイ縁端末処理こう造
KR200177927Y1 (ko) 자동차의트렁크비치용공구박스
KR0111955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덮개 고정장치
JP2001080425A (ja) 物品収納装置
KR19980013610U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KR19980041757U (ko) 도어트림용 포켓구조
KR19980031426A (ko) 물품보관함이 장착된 차량의 플로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