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805U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805U
KR19990017805U KR2019970030922U KR19970030922U KR19990017805U KR 19990017805 U KR19990017805 U KR 19990017805U KR 2019970030922 U KR2019970030922 U KR 2019970030922U KR 19970030922 U KR19970030922 U KR 19970030922U KR 19990017805 U KR19990017805 U KR 199900178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roller
developing
toner
rotating shaft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준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0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805U/ko
Publication of KR199900178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805U/ko

Links

Landscapes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롤러와 감광드럼간의 접촉면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의 목적은 현상롤러와 감광드럼간의 접촉면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토너적재부의 후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하고 단부에는 내측에 곡면을 형성한 개구부를 구비한 회전축 결합부와, 상기 회전축 결합부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본체의 양측면에 지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현상롤러 구동기어와 현상롤러 기어간의 접점에서의 압력각만큼 기울어진 구동력 벡터 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에 이용된다.

Description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본 고안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롤러와 감광드럼간의 접촉면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나타낸 구성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는, 토너(80)를 적재하는 토너적재부(95)와, 상기 토너적재부 내부에 장착되어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기(90)와, 상기 토너적재부 하측에 설치되어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로 이송시키는 공급롤러(50)와, 상기 공급롤러에서 이송된 토너를 감광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시키는 현상롤러(40)와, 상기 현상롤러의 상단부에는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규제하는 블레이드(70)와, 상기 현상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1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현상롤러(40)의 일측에는 현상롤러 기어(4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현상롤러 기어는 현상롤러 구동기어(44)와 맞물려 있다. 즉, 상기 현상롤러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현상롤러 기어가 회전하고, 이로 인해 현상롤러가 회전한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10)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대전된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60)가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의 타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감광드럼의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20)와, 상기 감광드럼의 하단부에는 감광드럼 표면의 토너화상을 용지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토너적재부(95)에 적재된 토너(80)가 교반기(90)에 의해 교반되어져 공급롤러(50) 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토너는 공급롤러의 회전에 의해 다시 현상롤러(40)로 공급되어 진다. 이때, 상기 현상롤러 표면에 형성된 토너는 블레이드(70)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규제되어 진다.
이어, 상기 대전롤러(30)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10)의 표면이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되고,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이 노광부(60)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감광드럼(10) 표면을 노광시킨다.
이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감광드럼의 빛을 받은 부분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감광드럼의 정전잠상이 회전되는 현상롤러(40)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이어, 급지카셋트에 장착된 용지(1)가 급지롤러에 의해 급지되고, 이어 전사롤러(30)의 고압작용이 상기 감광드럼 표면의 토너화상을 용지로 전사되게 한다.
한편, 상기 현상장치의 외부 양측면에는 측면 블록(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 블록을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본체 내부에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현상장치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현상장치의 현상롤러(40)와 감광드럼(10)간의 접촉면이 형성된다. 상기 현상롤러와 감광드럼간의 접촉면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만 용지에 형성되는 화상이 일정하게 양질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측면 블록만을 이용하여 고정한 현상장치는, 상기 현상롤러의 외경 공차 및 측면 블록의 성형 공차로 인하여 현상롤러(40)와 감광드럼(10)간의 접촉면을 일정하게 유지시키지 못하고, 이는 화상품질의 저하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현상롤러와 감광드럼간의 접촉면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토너를 적재하는 토너적재부와, 상기 토너적재부 내부에 장착되어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기와, 상기 토너적재부 하측에 설치되어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로 이송시키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의 일측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일측에 설치된 현상롤러 기어와, 상기 현상롤러 기어와 맞물린 현상롤러 구동기어와, 상기 현상롤러의 일측에 현상롤러와 접하도록 설치된 감광드럼을 구비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적재부의 후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하고 단부에는 내측에 곡면을 형성한 개구부를 구비한 회전축 결합부와, 상기 회전축 결합부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본체의 양측면에 지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현상롤러 구동기어와 현상롤러 기어간의 접점에서의 압력각만큼 기울어진 구동력 벡터 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나타낸 구성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나타낸 구성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광드럼 40 : 현상롤러
42 : 현상롤러 기어 44 : 현상롤러 구동기어
101 : 회전축 결합부 102 : 회전축
103 : 현상기 스프링 200 : 기어 접선
300 : 구동 벡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롤러와 감광드럼간의 접촉면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나타낸 구성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100)는, 토너(50)를 적재하는 토너적재부(80)와, 상기 토너적재부 내부에 장착되어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기(90)와, 상기 토너적재부 하측에 설치되어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로 이송시키는 공급롤러(50)와, 상기 공급롤러에서 이송된 토너를 감광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시키는 현상롤러(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현상롤러(40)의 일측에는 현상롤러 기어(42)가 설치되고, 상기 현상롤러 기어는 현상롤러 구동기어(44)와 맞물려 있다. 즉, 상기 현상롤러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현상롤러 기어가 회전하고 이로 인해 현상롤러가 회전한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40)의 상단부에는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규제하는 블레이드(70)와, 상기 현상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10)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토너적재부(95)의 후면에는, 후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하고 단부에는 내측에 곡면을 형성한 개구부를 구비한 회전축 결합부(101)와, 상기 회전축 결합부에 삽입되는 회전축(102)이 본체(400)의 양측면에 지지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02)은 상기 현상롤러 구동기어(44)에서의 힘의 방향, 즉 상기 현상롤러 구동기어와 현상롤러 기어간의 접선(200)에서 압력각 α만큼 기울어진 구동력 벡터(300) 위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토너적재부(95)의 후면에는, 후면 하단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본체(400)에 지지되도록 현상기 스프링(103)이 설치된다. 즉, 상기 현상장치는 회전축(10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현상장치(100) 후면의 현상기 스프링(103)이 현상장치를 전방으로 밀어주어 현상롤러(40)가 감광드럼(10)과 밀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현상장치(100)는 현상롤러 구동기어(44)가 회전하고 그에 맞물린 현상롤러 기어(42)의 회전으로 현상롤러(40)가 회전할 때, 상기 회전축(102)이 현상롤러 구동기어와 현상롤러 기어간의 접선(200)에서 압력각 α만큼 기울어진 구동력 벡터(300)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현상롤러(40)와 감광드럼(10)간의 접촉면은 현상롤러 기어와 현상롤러 구동기어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는 현상롤러와 감광드럼간에 일정한 접촉면을 유지하여 화상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토너를 적재하는 토너적재부와, 상기 토너적재부 내부에 장착되어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기와, 상기 토너적재부 하측에 설치되어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로 이송시키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의 일측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일측에 설치된 현상롤러 기어와, 상기 현상롤러 기어와 맞물린 현상롤러 구동기어와, 상기 현상롤러의 일측에 현상롤러와 접하도록 설치된 감광드럼을 구비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적재부의 후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하고 단부에는 내측에 곡면을 형성한 개구부를 구비한 회전축 결합부와, 상기 회전축 결합부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본체의 양측면에 지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현상롤러 구동기어와 현상롤러 기어간의 접선에서 압력각만큼 기울어진 구동력 벡터 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적재부의 후면 하단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본체에 지지되도록 현상기 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2019970030922U 1997-11-03 1997-11-03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900178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922U KR19990017805U (ko) 1997-11-03 1997-11-03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922U KR19990017805U (ko) 1997-11-03 1997-11-03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805U true KR19990017805U (ko) 1999-06-05

Family

ID=6969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922U KR19990017805U (ko) 1997-11-03 1997-11-03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80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268A (ko) 2015-01-29 2016-08-08 송병은 소형 무동력 버섯 재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268A (ko) 2015-01-29 2016-08-08 송병은 소형 무동력 버섯 재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385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US75741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carrier from adhering to photo receptor
KR013573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90017805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00191213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00285742B1 (ko) 현상기의토너역반송롤러
JPS58179879A (ja) 記録装置
US11079713B1 (en) Cartridge having rotatable coupler
KR200158207Y1 (ko) 현상기의 토너 보급 규제장치
JP314058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200158206Y1 (ko) 독터 블레이드 요동장치
KR0174606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롤러 장치
JPH02116872A (ja) 現像装置
KR100228805B1 (ko) 현상롤러의 제조방법
KR100454925B1 (ko) 현상기의 토너 교반장치
KR200172307Y1 (ko) 현상기의토너공급장치
JP2662528B2 (ja) 現像装置
KR20000004289U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량 조절 장치
KR19980012902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KR0174684B1 (ko) 현상롤러의 토너층 두께 규제 장치
KR20000019423A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토너 교반장치
JP2006113086A (ja) 現像器
KR19990020320A (ko) 전자사진 프로세스의 대전장치
KR19980054780U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의 토너공급 조절장치
KR19990000831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롤러 클리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