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486U -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486U
KR19990016486U KR2019970029910U KR19970029910U KR19990016486U KR 19990016486 U KR19990016486 U KR 19990016486U KR 2019970029910 U KR2019970029910 U KR 2019970029910U KR 19970029910 U KR19970029910 U KR 19970029910U KR 19990016486 U KR19990016486 U KR 199900164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irror
hinge shaft
mirror assembl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열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9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486U/ko
Publication of KR199900164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486U/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자동차(10)의 아웃터 패널(10a)상에 복수의 고정 스크류(s)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대략 수직으로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간부(30a)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미러(40)가 위치된 하우징(30)과; 하우징(30)의 공간부(30a)내로 연장 형성되는 힌지축(21)과; 하우징(30)의 내측면에 복수의 스크류(s)를 통해 고정 설치되며, 일측단부가 힌지축(21)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프레임(50)과; 아웃터 패널(10a)의 내측으로부터 하우징(30)의 공간부(30a)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관통구멍(60a)이 형성되고, 내측 양단부에는 복수의 걸림턱(61,62)이 연장 형성된 조절레버(60)와; 힌지축(21)에 힌지 결합된 프레임(50)의 일측 외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조절 레버(60)의 걸림턱(61,62)과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프레임(50)을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걸림 리브(51);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써, 차량의 내부에서 기계식 조절레버를 통해 미러가 수납된 하우징을 용이하게 접철 시킬 수 있게되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한 이점이 있으며, 특히 하우징을 접철 시키기 위한 모터 및 다수의 기어가 불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단가절감을 도모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
본 고안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행과정에서 후방을 주시하도록 한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outside mirror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밀폐된 공간 내부에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운행하기 때문에 안전한 주행을 위하여 운전자의 시계(視界) 확보가 매우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이와같은 운전자의 시계 확보를 위해서 통상적으로 자동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0) 전면에 윈드 쉴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11)를 최대한 크게 제작함과 아울러 룸 미러(room mirror;미도시),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outside mirror assembly;2) 등을 자동차 실내, 외에 부착하여 운전자가 자동차의 전후,좌우면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악천후 예를들어 비나 눈 등을 고려하여 전면 유리상에는 윈도우 와이퍼를 마련하고, 후방 주시 미러상에는 열선(熱線;H)을 내장함으로써 이를 통해 미러를 가열하여 결상에 의한 습기를 제거하여 시계를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윈도우 와이퍼(미도시)를 통해 전면 유리(10)상의 악천후에 의한 비 또는 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시계확보를 행할 수 있고, 또한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2)의 커버(2a)와 미러(2b) 사이에 내장된 열선(H)을 통해 미러(2b)의 표면에 결상되는 습기를 제거하여 이를 통해서도 시계확보를 도모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2)는 근래에 들어와서 주,정차 및 주행시 외부 충격에 의해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2)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바, 통상적으로는 사용자가 직접 접철 시키는 것이며, 고급차종에는 전동식 즉, 모터와 복수의 기어를 통해 접철 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2)를 사용자가 직접 접철 시킴에 있어서는, 차 밖에서만 접철 시킬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으며, 전동식으로 접철 시킬 경우에는 모터와 복수의 기어 등을 구비하여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가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내부에서 기계식 조절레버를 통해 미러가 내장된 하우징을 용이하게 접철 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는, 자동차의 외측 사이드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후방을 주시하도록 된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에 있어서, 자동차의 아웃터 패널상에 복수의 고정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대략 수직으로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미러가 위치된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내로 연장 형성되는 힌지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복수의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되며, 일측단부가 상기 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프레임과; 상기 아웃터 패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내측 양단부에는 복수의 걸림턱이 연장 형성된 조절레버와; 상기 힌지축에 힌지 결합된 프레임의 일측 외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조절 레버의 걸림턱과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프레임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걸림 리브;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미러는 액츄에이터를 통해 상기 프레임상에 가변될 수 있도록 지지되며, 상기 조절레버의 외측으로 부터는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액튜에이터를 작동하기 위한 미러 조절레버 및 와이어가 안내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아웃터 패널의 내측에 위치된 조절레버의 단부와 아웃터 패널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조절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환형의 고무 커버를 개재한 것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가 채용된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평단면도 및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자동차 10a : 아웃터 패널
11 : 윈드 쉴드 글래스 20 : 베이스 플레이트
21 : 힌지축 30 : 하우징
30a : (하우징의)공간부 40 : 미러
50 : 프레임 51 : 걸림 리브
60 : 조절 레버 60a : (조절레버의)관통구멍
61,62 : 걸림턱 70 : 액츄에이터
80 : 미러 조절레버 90 : 고무 커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평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는, 자동차(10)의 윈드 쉴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11)와 인접된 아웃터 패널(10a)상에는 복수의 고정 스크류(s)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20)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이 베이스 플레이트(20)에는 내면에 공간부(30a)가 형성된 하우징(housing;30)이 대략 수직으로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며, 특히 이 하우징(30)의 전면 외곽부에는 후방을 주시(注視)할 수 있도록 미러(mirror;40)가 위치된다.
또한 하우징(30)의 공간부(30a)로는 전술한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일측으로부터 힌지축(pivot shaft;21)이 연장 형성된다.
한편, 실질적으로 하우징(30)을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frame;50)이 복수의 스크류(s)를 통해 하우징(30)의 공간부(30a)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특히 이 프레임(50)의 일단은 힌지축(2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삽입된다.
이때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프레임(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아웃터 패널(10a)의 내측으로 부터는 조절레버(lever;60)가 연장 형성되는 바, 이 조절레버(60)의 일측단에는 즉, 하우징(30)의 공간부(30a)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21)에 끼워 삽입된 프레임(50)과 인접된 부위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턱(61)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조절레버(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내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판(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힌지축(2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삽입된 프레임(50)의 일측면에는 조절레버(60)의 걸림턱(61,62)과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대략 수직상으로 위치 변경되는 걸림 리브(rib;51)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접철 뿐만 아니라 미러(40)도 후방을 안정되게 주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적절하게 위치 변경될 필요가 야기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50)상에 액츄에이터(70) 및 미러(4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키고, 액츄에이터(70)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아웃터 패널(10a)의 외측에는 미러 조절레버(80) 및 액츄에이터(70)와 연결되는 와이어(W)를 위치시켜 조절 레버(60)의 관통구멍(60a)을 따라 안내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조절레버(60)를 통해 하우징(30)을 접철 시키는 과정에서 초기 위치로의 복귀가 용이하고, 조작감이 부드럽도록 조절 레버(60)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환형의 고무 커버(90)를 조절 레버(60)의 외측단과 아웃터 패널(10a)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차 및 정차를 위하여 하우징(30)을 베이스 플레이트(20)를 중심으로 접철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아웃터 패널(10a)의 외측으로 돌출된 조절 레버(60)를 도 3에 화살표A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푸쉬한다.
이에의해 조절레버(6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지지판(2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그 내측단부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걸림턱(61)이 힌지축(21)에 축 지지된 프레임(50)에 형성된 리브(51)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50)이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하우징(30)이 함께 회전되어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직으로 접척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초기 상태를 복귀시킴에 있어서는, 조절레버(50)를 화살표 B방향으로 푸쉬하는 것에 의해 타측 걸림턱(62)과 프레임(50) 리브(51)간의 연동관계에 의해 초기 상태를 원활하게 복귀된다.
한편, 하우징(30)에 위치된 미러(40)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서는 조절레버(50)의 내측에 위치된 미러 조절레버(80)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와이어(W)와 연결된 액튜에이터(70)가 동작되고, 이에의해 미러(40)가 연동됨으로써 그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어셈블리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에서 기계식 조절레버를 통해 미러가 수납된 하우징을 용이하게 접철 시킬 수 있게되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한 이점이 있으며, 특히 하우징을 접철 시키기 위한 모터 및 다수의 기어가 불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단가절감을 도모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의 외측 사이드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후방을 주시하도록 된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에 있어서,
    자동차의 아웃터 패널상에 복수의 고정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대략 수직으로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미러가 위치된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내로 연장 형성되는 힌지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복수의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되며, 일측단부가 상기 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프레임과;
    상기 아웃터 패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내측 양단부에는 복수의 걸림턱이 연장 형성된 조절레버와;
    상기 힌지축에 힌지 결합된 프레임의 일측 외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조절 레버의 걸림턱과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프레임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걸림 리브;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액츄에이터를 통해 상기 프레임상에 가변될 수 있도록 지지되며, 상기 조절레버의 외측으로 부터는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액튜에이터를 작동하기 위한 미러 조절레버 및 와이어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패널의 내측에 위치된 조절레버의 단부와 아웃터 패널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조절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환형의 고무 커버를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
KR2019970029910U 1997-10-28 1997-10-28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조립체 KR199900164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910U KR19990016486U (ko) 1997-10-28 1997-10-28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910U KR19990016486U (ko) 1997-10-28 1997-10-28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86U true KR19990016486U (ko) 1999-05-25

Family

ID=6968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910U KR19990016486U (ko) 1997-10-28 1997-10-28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48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2078B2 (ja) オープンカー用の折り畳みルーフ
US7513565B2 (en) Power dual action rocker board
KR20010001742U (ko) 차량용 햇빛가리개의 배니티미러구조
KR19990016486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조립체
KR100450010B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JPH0348048B2 (ko)
KR950002751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자동개폐장치
KR200256007Y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0138872Y1 (ko) 차량용 선 바이저
KR200147486Y1 (ko) 절첩식 햇빛차단장치
KR0165099B1 (ko) 대형차량용 아웃사이드미러
KR0124458Y1 (ko) 자동차의 조향핸들
KR910007143Y1 (ko) 차량용 차광판
KR200173418Y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
JP4186700B2 (ja) サイドドアウインド用サンシェード装置
KR200200844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자동 제어장치
KR950002752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자동개폐장치
KR0129127Y1 (ko) 사이드 미러 서리제거장치
KR960004748Y1 (ko) 자동차용 전동 후사경의 구조
KR920002999Y1 (ko) 절첩이 가능한 차양판
KR20000009904U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빗물 가리개
KR200144386Y1 (ko)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
KR200248474Y1 (ko) 자동차전방측방향관측용보조미러구동장치
KR0136255Y1 (ko) 자동차의 보조 사이드미러
KR19980029227U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