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812A - 차아염소산염 표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아염소산염 표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812A
KR19990014812A KR1019970708156A KR19970708156A KR19990014812A KR 19990014812 A KR19990014812 A KR 19990014812A KR 1019970708156 A KR1019970708156 A KR 1019970708156A KR 19970708156 A KR19970708156 A KR 19970708156A KR 19990014812 A KR19990014812 A KR 19990014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odium
weight
heavy metal
hypochlo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5394B1 (ko
Inventor
트리기안테귀세페
Original Assignee
더프록터앤드갬블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프록터앤드갬블캄파니 filed Critical 더프록터앤드갬블캄파니
Publication of KR19990014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4Hypochlorous acid
    • C01B11/06Hypochlorites
    • C01B11/062Hypochlorites of alkali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4Hypochlorous acid
    • C01B11/06Hypochlor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4Hypochlorous acid
    • C01B11/06Hypochlorites
    • C01B11/068Stabilisation by additives other than oxides, hydroxides, carbonates of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Coating of particles; Shaping; Gran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5Bleaching agents
    • C11D3/3956Liquid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차아염소산염,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 침전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형성된 침전물을 조성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아염소산염,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 및 물을 포함하는 액체 수성 표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중금속 이온이 없으므로 개선된 백색도 및/또는 패브릭 안전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아염소산염 표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액체 표백용 조성물은 당분야에 공지되어있다. 사용가능한 상이한 표백용 조성물중에서, 차아염소산에 의한 표백에 의존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그러나, 염소계 조성물의 이용에 관련된 단점은 조성물이 패브릭을 손상시키고 황변시킬수 있다는 것이다.
액체 수성 차아염소산염-함유 조성물의 백색도 및/또는 패브릭 안전성이 주로 2가지 요인, 즉, 표백 환경의 pH 및 표백 환경중의 중금속 이온의 존재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표백 환경의 pH가 높을수록 차아염소산과 염산사이의 화학적 평형을 황변 및 패브릭 손상의 주 원인으로 발견된 염산을 감소시키는 쪽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백색도 및 패브릭 안전성에 유리하다.
Ni, Co, Cu, Mn, Cr 및 Fe와 같은 중금속 이온의 존재는 차아염소산염 표백 성능에 역효과를 미친다. 세탁 환경에서 상기 중금속 이온은 패브릭상의 염산의 공격을 촉진시켜 황색 산화종을 발생시킨다. 이런 중금속 이온은 또한 패브릭의 인장 강도를 감소시켜 패브릭 내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런 중금속 이온은 본질적으로 착색 종으로써 산화된 패브릭에 흡착하여 패브릭상에 흡착된 광택제의 분해를 촉진시켜 패브릭상에 매우 착색된 종을 생성시킨다. 또한, 이런 중금속 이온은 혈액 또는 풀과 같은 효소적 얼룩의 착색 안료를 안정화시킨다. 또한, 이런 중금속 이온은 조성물중에 존재하는 차아염소산염과 반응하여 차아염소산염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차아염소산염 조성물의 성능에 치명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의 산업적 제조 방법에서, 차아염소산염, 및 수산화 나트륨과 같은 알칼리도 공급원을 포함하는 액체 수성 조성물은 가장 저렴하고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료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런 시판되는 원료 물질은 일반적으로 중금속 이온과 같은 불순물로 오염되어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시판되는 차아염소산염은 탄산 나트륨 및/또는 가성 소다 및/또는 중금속 이온과 같은 다른 비율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가성 소다는 통상적으로 철과 같은 중금속 이온으로 오염되어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의 산업적 제조 방법에서, 차아염소산염을 포함하는 이런 액체 수성 조성물은 농축된 차아염소산염 용액을 알칼리도 공급원의 존재하에서 수도물(즉 탈미네랄수가 아님)로 희석시키는 단계; 금속 수산화물 및 금속 탄산염과 같은 불용성 염이 침전되게하는 단계; 및 최종적으로 불용성 염을 조성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조성물을 경사 분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것과 같은 종래의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보류/제거되지않는 일정한 양의 중금속 이온을 조성물이 함유하기 때문에 수득된 조성물은 여전히 순도면에서 만족스럽지않다. 최종 조성물중의 중금속 이온의 양은 13 이상과 같은 높은 pH값에서 차아염소산염을 포함하는 액체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더욱 높다. 실제로, 우수한 백색도 및/또는 패브릭 안전성을 보증하기위해 제거되어야만 하는 대부분의 중금속 이온의 용해도는 조성물의 pH에 따라 증가한다. 여과 단계와 같은 분리 단계는 또한 상당히 긴 조작이며, 즉, 차아염소산염-함유 조성물의 총 제조 공정에서 가장 시간을 소비하는 단계이다.
이제 중금속 이온의 수준이 액체 수성 차아염소산염-함유 조성물에서 본질적으로 제어되어야만 패브릭을 이런 조성물로 처리할 때 개선된 백색도 및/또는 패브릭 안전성을 제공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아염소산염 및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을 함유하는 액체 수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런 조성물은 특히 낮은 중금속 이온 함량을 가지며, 따라서, 우수한 백색도 및/또는 패브릭 안전성을 나타낸다.
또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합리적인 가격으로 액체 수성 차아염소산염-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사용되는 원료 물질이 가장 저렴하고 가장 통상적으로 시판되는 것인 방법에 의해 개선된 백색도 및/또는 패브릭 안전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침전제를 수도물의 존재하에서 차아염소산염 및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에 첨가하여 이후에 조성물로부터 분리/제거되는 침전물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중금속 이온을 특히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실제로 이런 침전제는 분리 단계 이전에 조성물중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을 침전시킨다. 침전제는 중금속 이온에 결합함으로써 불용성 종, 즉 침전물을 형성하고, 이 침전물을 분리 단계 동안의 여과와 같은 임의의 일반적인 종래 수단에 의해 조성물로부터 분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리 단계 이전에 이런 침전제를 차아염소산염-함유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은 분리 단계이전에 침전제를 첨가하지않는 동일한 방법과 비교해 볼 때 보다 효율적으로 조성물에서 중금속을 제거시킨다. 달리 말하자면, 분리 단계이전에 침전제를 첨가시키면 더높은 pH에서조차도 분리 단계의 효율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조성물은 개선된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조성물의 또다른 이점은 이들의 뛰어난 백색도에 추가하여 우수한 얼룩 제거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알칼리 금속 차아염소산염,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 및 물을 포함하는 pH 10 내지 14의 수성 액체 표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이런 방법은 알칼리 금속 차아염소산염,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 및 물을 혼합시키는 단계; 침전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형성된 침전제를 조성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추가로 중금속 이온에 결합할 수 있는 킬레이트제를 분리 단계 이후에 조성물에 첨가한다.
본 발명은 손세탁 및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을 포함하는 세탁 용도에 적합한 액체 표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 수성 표백용 조성물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이후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알칼리 금속 차아염소산염,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 및 물을 포함하는 pH 10 내지 14의 수성 액체 표백용 조성물을 제조하기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액체 수성 표백용 조성물은 알칼리 금속 차아염소산염,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 및 물을 혼합시켜 제조된다.
제 2 단계에서는, 침전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첨가시킨다.
상이한 성분을 첨가시키는 순서는 이후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침전제 또는 이의 혼합물이 분리 단계 이전에 첨가되는 한 결정적이지않다.
제 3 단계에서, 형성된 침전제를 조성물로부터 분리시킨다.
형성된 침전제는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임의의 고형상을 의미하며, 즉 침전제와 중금속 이온과 같은 금속이온의 수산화물 및/또는 칼슘/마그네슘의 반응의 결과로서의 형성된 임의의 종류의 불용성 종을 의미한다.
형성된 침전물의 분리는 본원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액상으로부터 고형상을 제거하기위한 임의의 공지된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형성된 침전물은 침강 및/또는 여과 및/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여과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필터는 시판되는 임의의 필터이고, 카트리지 필터, 메쉬 필터, 필터-압분체 등을 포함하는 경사 분리 필터로 공지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전제는 중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불용성 염, 즉 25℃의 온도에서 물에 대해 10-4이하, 바람직하게는 10-6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0이하의 용해도 곱을 갖는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시약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성 차아염소산염-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분리 단계이전에 이런 침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조성물중의 중금속 이온의 함량을 매우 감소시킨다는 것을 이제 발견하였다. 실제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중금속 이온이 없는 조성물을 함유한 액체 수성 차아염소산염-함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중금속 이온이 없는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중의 상이한 중금속 이온의 농도가 매우 낮은, 예를 들면 Fe의 농도는 1ppm 이하이고, Ni의 농도는 20ppb이하, Cu의 농도는 20ppb이하, Mn의 농도는 10ppb 이하이고/이거나, Co의 농도는 10ppb이하임을 의미한다.
실제로, 차아염소산염-함유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조성물이 분리 단계로 들어가기전에 이런 침전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상이한 성분의 차아염소산염-함유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은 차아염소산염-함유 조성물이 개선된 백색도 및/또는 패브릭 안전성을 갖도록한다.
실제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이런 침전제는 과량으로 첨가되어 모든 중금속 이온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존재하는 칼슘/마그네슘과 같은 다른 금속 이온과 같은 다른 종을 침전시키고, 세탁/표백 용액중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 및 예를 들면 칼슘/마그네슘을 더욱 침전시킬 수 있어서 패브릭의 처리에 이용될 때 이런 조성물의 백색도 및/또는 패브릭 안전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 및 칼슘/마그네슘과 같은 다른 금속 이온은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원료 물질 및 수도물에서 유래한다.
본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침전제의 예는 옥살레이트, 포스포네이트, 보레이트, 세스퀴카보네이트, 셀레누레, 바나데이트, 텔루루레, 티오카보네이트, 폴로누레의 알칼리 금속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침전제의 바람직한 금속 염은 옥살산 나트륨, 포스폰산 나트륨, 붕산 나트륨, 세스퀴탄산 나트륨, 나트륨 셀레누레, 바나듐산 나트륨, 나트륨 텔루루레, 티오탄산 나트륨, 나트륨 폴로누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특히 유용한 침전제는 규산염 또는 탄산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한 규산 및 탄산의 알칼리 금속 염은 규산 나트륨 및 탄산 나트륨(둘 모두 시판된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바람직한 조성물은 탄산 나트륨, 규산 나트륨 및 옥살산 나트륨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규산염 또는 탄산 염은 사용되는 내내 본 발명의 조성물의 pH를 완충시키고, 즉,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희석된 조성물의 pH는 희석이 완료된 순간부터 차아염소산 표백용 조성물이 이들이 접촉된 패브릭으로부터 세정되기 시작한 시점까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염 조성물의 완충 효과는 손이 거칠어지는 것을 감소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7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침전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화학적으로 안정한은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염 표백용 조성물이 50 ± 0.5℃에서 10일동안 저장한 후에 사용가능한 염소가 25% 이상 손실되지않아야함을 의미한다. 사용가능한 염소의 손실율%은 예를 들면 문헌[Anaylses des Eaux et Extraits de Javel, La Chambre syndicale nationale de L'eau de Javel et des produits connexes, p9-10(1984)]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신선한, 즉 제조된 직후의 조성물 및 50℃에서 10일간 저장한 후의 동일한 조성물의 사용가능한 염소를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물리적으로 안정한은 본원에서는 50℃에서 10일과 같은 오랜 저장 기간후에 상 변화가 없음을 의미한다. 상 변화는 본원에서는 상 분리와 같은 액상의 물리적 성질이 변화되지않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잔류 중금속 이온을 더욱 제거하기위해 추가로 중금속 이온에 결합할 수 있는 킬레이트제가 본 발명의 방법의 분리 단계 이후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런 킬레이트제는 식 K = (MLn)/(M)(L)n(이때, n은 중금속 이온당 킬레이트제 분자의 수이고, (MLn)은 중금속 이온/킬레이트제 착체의 농도이고, (M)은 유리 중금속 이온의 농도이고, (L)은 유리 킬레이트제의 농도이다)으로 정의된 중금속 이온에 대한 결합 상수 K(n이 1이면, K는 105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5·105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6보다 크고, n이 2이면, K는 106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5·106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7보다 크고, n이 3이면, K는 107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5·107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보다 크다)를 갖는 임의의 킬레이트제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분리 단계 이후에 킬레이트제를 첨가하면 동일한 순도의 최종 조성물을 수득하기위해 분리 단계 이전에 첨가하는 경우에 필요한 것보다 적은 양의 킬레이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실제로, 분리 단계이전에 첨가되는 경우, 킬레이트제는 조성물에 존재하는 마그네슘 및/또는 칼슘과 반응하여,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을 킬레이팅하는데 사용되는 킬레이트제가 더 적어진다. 또한, 분리 단계 이전에 첨가되는 경우, 킬레이트제는 또한 침전제와 상호반응하여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을 킬레이트하는데 사용되는 킬레이트제가 더 적어지고, 또한 염으로서의 중금속 이온을 침전시킬 수 있는 침전제가 더 적어진다.
분리 단계 전에 첨가되는 침전제, 또는 이의 혼합물, 및 본 발명의 방법의 분리 단계 후에 첨가되는 킬레이트제 또는 이의 혼합물은 함께 실질적으로 중금속 이온이 없는 차아염소산염-함유 조성물을 제공하도록 작용한다. 실제로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의 분리 단계이후에 킬레이트제를 첨가하면 침전제에 의해 침전되어 분리 단계동안 조성물로부터 제거되지 않은 잔류 중금속 이온이 킬레이팅, 즉 불활성화된다.
이런 킬레이트제의 예는 하기 화학식중 하나를 갖는 피리딘의 폴리카복실산 또는 이의 염이다: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실 기, 아미노 기, 카복실 기 또는 단쇄 알킬 기(C1-C4)이고,
n은 1 또는 2이다.
본원에서는 디피콜린산 (2,6-피리덴디카복실산)의 기로부터 선택된 피리딘의 폴리카복실산 유도체 및 파라 위치의 수소를 할로겐, 카복실산 또는 단쇄 알킬 기(C1-C4)로 치환함으로써 수득된 이의 유도체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이런 킬레이트제는 차아염소산염 및 높은 알칼리도에 안정하다. 차아염소산염 및 높은 알칼리도에 안정한은 본원에서는 이런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실온에서 2달 경과한 후에 변화하지않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0.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의 킬레이트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본질적인 특징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알칼리 금속 차아염소산염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양한 형태의 알칼리 금속 차아염소산염은 시판되며, 비록 본 발명에 결정적이지는 않지만,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이용하는 것이 본원에서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활성 염소를 기준으로 총 조성물의 0.1 내지 10중량%의 알칼리 금속 차아염소산염인 알칼리 금속 차아염소산염의 표백량을 포함한다. 본원의 바람직한 조성물은 3 내지 6중량%의 알칼리 금속 차아염소산염을 포함한다.
다른 본질적인 특징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0.04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9중량%의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의 예는 수산화 칼륨 및/또는 수산화 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산화 나트륨 및/또는 산화 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10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의 pH를 갖는다. 이 알칼리 범위에서 차아염소산염의 최적의 안정성 및 성능이 수득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완성하기위해 필요량의 물을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이용되는 물은 수도물, 즉 탈미네랄화시키지 않은 물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또한 표백-안정 계면활성제, 유기 또는 무기 알칼리, 향료, 표백-안정 향료 안정화제, 염료, 광학 광택제, 용매 등을 포함하는 선택적인 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이런 선택적 성분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임의의 단계, 즉 분리 단계 전 또는 후에 첨가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세탁 용도에서 희석된 형태로 사용된다. 희석된 형태로 사용은 본원에서는 예를 들면 손세탁 용도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에 의한 희석 및 세탁기와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한 희석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희석 수준은 손세탁 용도의 경우 0.5 내지 20%이고 세탁기의 경우 0.1 내지 10%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더욱 예시될 것이다.
하기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조성물 1 2 3 4
차아염소산 나트륨 5.0 5.0 5.0 5.0
수산화 나트륨 1.0 1.0 1.0 1.0
탄산 나트륨 1.3 1.3 1.3 1.3
규산 나트륨 / / 1.0 /
옥살산 나트륨 1.0 / 1.0 1.0
디피콜린산 나트륨 / / / 1.0
물 및 나머지 100%
pH 13 13 13 13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한 단계에서, 차아염소산 나트륨, 수산화 나트륨, 탄산 나트륨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옥살산 나트륨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규산 나트륨 및 수도물을 혼합한다.
다음 단계에서, 형성된 침전물을 경사 분리 필터를 이용하여 조성물을 여과시킴으로써 조성물로부터 제거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킬레이트제가 첨가되는 경우(조성물 4), 킬레이트제(디피콜린산)를 여과 단계 후에 첨가한다.
상기 언급된 방법은 실온, 즉 약 25℃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 조성물이 패브릭을 표백하기위해 사용된 경우, 개선된 백색도 및/또는 개선된 패브릭 안전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을 나타낸다.

Claims (11)

  1. 알칼리 금속 차아염소산염,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 및 물을 혼합시키는 단계;
    침전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형성된 침전물을 조성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차아염소산염,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 및 물을 포함하는 pH 10 내지 14의 수성 액체 표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침전제가 중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25℃의 온도에서 물에 대해 10-4이하, 바람직하게는 10-6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0이하의 용해도 곱을 갖는 염을 형성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침전제가 옥살레이트, 포스포네이트, 보레이트, 세스퀴카보네이트, 실리케이트, 카보네이트, 셀레누레, 바나데이트, 텔루루레, 티오카보네이트, 폴로누레의 알칼리 금속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옥살산 나트륨, 포스폰산 나트륨, 붕산 나트륨, 세스퀴탄산 나트륨, 나트륨 셀레누레, 바나듐산 나트륨, 나트륨 텔루루레, 티오탄산 나트륨, 나트륨 폴로누레, 탄산 나트륨 또는 규산 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산 나트륨, 규산 나트륨 및 옥살산 나트륨의 혼합물인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침전제를 총 조성물의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7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중금속 이온에 결합할 수 있는 킬레이트제를 분리 단계후에 조성물에 첨가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 또는 이의 혼합물이 식 K = (MLn)/(M)(L)n(이때, n은 중금속 이온당 킬레이트제 분자의 수이고, (MLn)은 중금속 이온/킬레이트제 착체의 농도이고, (M)은 유리 중금속 이온의 농도이고, (L)은 유리 킬레이트제의 농도이다)으로 정의되는 중금속 이온에 대한 결합 상수 K(n이 1이면, K는 105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5·105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6보다 크고, n이 2이면, K는 106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5·106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7보다 크고, n이 3이면, K는 107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5·107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보다 크다)를 갖는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를 디피콜린산, 이의 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하는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총 조성물의 0.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활성 염소를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중량%의 차아염소산염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력한 알칼리도 공급원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바람직하게는 수산화 나트륨이고, pH가 11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인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성된 침전제를 경사 분리 필터에 이용하여 조성물을 여과함으로써 조성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
KR1019970708156A 1995-05-16 1996-04-19 차아염소산염 표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265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870056A EP0743280A1 (en) 1995-05-16 1995-05-16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hypochlorite bleaching compositions
EP95870056.9 1995-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812A true KR19990014812A (ko) 1999-02-25
KR100265394B1 KR100265394B1 (ko) 2000-09-15

Family

ID=822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156A KR100265394B1 (ko) 1995-05-16 1996-04-19 차아염소산염 표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EP (1) EP0743280A1 (ko)
JP (1) JPH11505284A (ko)
KR (1) KR100265394B1 (ko)
CN (1) CN1190380A (ko)
AR (1) AR001949A1 (ko)
AU (1) AU714232B2 (ko)
BR (1) BR9608523A (ko)
CA (1) CA2221109A1 (ko)
CO (1) CO4700548A1 (ko)
CZ (1) CZ361997A3 (ko)
EG (1) EG20697A (ko)
HU (1) HUP9801939A3 (ko)
MA (1) MA23872A1 (ko)
NZ (1) NZ305802A (ko)
PL (1) PL323345A1 (ko)
SK (1) SK154597A3 (ko)
TR (1) TR199701376T1 (ko)
WO (1) WO1996036559A1 (ko)
ZA (1) ZA9632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7209B1 (en) 1996-05-10 2001-10-02 The Clorox Company Sequesterants as hypochlorite bleach enhancers
DE19730648A1 (de) * 1997-07-17 1999-01-21 Henkel Kgaa Verwendung von Elektrolytgemischen als Sequestriermittel
EP0905226A1 (en) * 1997-09-19 1999-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e use of phosphonate compounds in hypochlorite bleaching compositions for treating textiles, for fabric whiteness and safety
US20110166370A1 (en) 2010-01-12 2011-07-07 Charles Winston Saunders Scattered Branched-Chain Fatty Acids And Biological Production Thereof
CN102234597B (zh) * 2010-04-26 2015-05-27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清洗组合物
EP2678410B1 (en) 2011-02-17 2017-09-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mposiitons comprising mixtures of c10-c13 alkylphenyl sulfonates
RU2013136501A (ru) 2011-02-17 2015-03-27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Линейные алкилфенилсульфонаты на основе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сырья
EP2620211A3 (en) 2012-01-24 2015-08-19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New microcapsules
BR112015021683A2 (pt) 2013-03-05 2017-07-18 Procter & Gamble composições de açúcar misturadas
MX2016001390A (es) 2013-07-29 2016-05-05 Takasago Perfumery Co Ltd Microcapsulas.
ES2784612T3 (es) 2013-07-29 2020-09-29 Takasago Perfumery Co Ltd Microcápsulas
MX2016001388A (es) 2013-07-29 2016-05-05 Takasago Perfumery Co Ltd Microcapsulas.
JP7274423B2 (ja) * 2017-01-13 2023-05-16 ファーモコン エルエルシー 活性塩素溶液を緩衝するための材料及び方法
EP3774646A1 (en) * 2018-03-29 2021-02-17 Olin Corporation Process to produce a highly concentrated bleach slurry
EP3871766A1 (en) 2020-02-26 2021-09-01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Aqueous dispersion of microcapsules, and uses thereof
EP3871764A1 (en) 2020-02-26 2021-09-01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Aqueous dispersion of microcapsules, and uses thereof
EP3871765A1 (en) 2020-02-26 2021-09-01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Aqueous dispersion of microcapsules, and uses thereof
ES2946614T3 (es) 2020-04-21 2023-07-21 Takasago Perfumery Co Ltd Composición de fragancia
WO2022249052A1 (en) 2021-05-27 2022-12-01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Aqueous dispersion of microcapsule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7010A (en) * 1967-08-16 1971-01-19 Allied Chem Removal of iron from hypochlorite solutions
US3998751A (en) * 1974-10-21 1976-12-21 William Bruce Murray Solid oxidizing compositions
JPS52796A (en) * 1975-06-24 1977-01-06 Tsurumi Soda Kk Purification process of solution of sodium hypochlorite
JPS5854634B2 (ja) * 1976-06-14 1983-12-0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重金属含有廃水の処理方法
DE2849225A1 (de) * 1977-11-18 1979-05-23 Unilever Nv Giessfaehige, fluessige bleichmittel
JPS58137497A (ja) * 1982-02-08 1983-08-15 Ebara Infilco Co Ltd 重金属含有廃棄物の処理方法
FR2532291A1 (fr) * 1982-08-24 1984-03-02 Ugine Kuhlmann Obtention d'une solution d'hypochlorite de sodium a haute concentration par un procede continu
US4445935A (en) * 1982-12-13 1984-05-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Method for the recovery of silver from waste photographic fixer solutions
DE3308850C2 (de) * 1983-03-12 1985-03-07 B. Braun Melsungen Ag, 3508 Melsungen Bleich-, Reinigungs- und Desinfektionsmittel auf Hypohalitbasis mit verbesserter Lagerstabilität
WO1984003692A1 (en) * 1983-03-21 1984-09-27 Union Oil Co Method for removing heavy metals from aqueous solutions by coprecipitation
FR2608145B1 (fr) * 1986-12-15 1989-03-03 Solvay Procede de fabrication d'hypochlorite de calcium et produit obtenu par ce procede
SU1675200A1 (ru) * 1989-06-30 1991-09-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2287 Способ стабилизации растворов гипохлоритов щелочных и щелочноземельных металлов
US5380458A (en) * 1992-10-02 1995-01-10 Colgate-Palmolive Co. Stabilized hypohalite compositions
IN176964B (ko) * 1992-11-27 1996-10-12 Lever Hindustan Ltd
JP2910493B2 (ja) * 1993-04-05 1999-06-23 ダイソー株式会社 次亜塩素酸ナトリウム溶液の安定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9801939A2 (hu) 1998-12-28
MA23872A1 (fr) 1996-12-31
WO1996036559A1 (en) 1996-11-21
KR100265394B1 (ko) 2000-09-15
CN1190380A (zh) 1998-08-12
MX9708907A (es) 1998-03-31
SK154597A3 (en) 1998-07-08
CZ361997A3 (cs) 1998-05-13
AU5392096A (en) 1996-11-29
EG20697A (en) 1999-11-30
TR199701376T1 (xx) 1998-03-21
ZA963280B (en) 1996-10-25
AU714232B2 (en) 1999-12-23
PL323345A1 (en) 1998-03-30
BR9608523A (pt) 1999-06-08
CO4700548A1 (es) 1998-12-29
JPH11505284A (ja) 1999-05-18
CA2221109A1 (en) 1996-11-21
HUP9801939A3 (en) 1999-03-01
AR001949A1 (es) 1997-12-10
EP0743280A1 (en) 1996-11-20
NZ305802A (en) 200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5394B1 (ko) 차아염소산염 표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JPS608040B2 (ja) 色,柄物の変,褪色を起さない漂白剤組成物
US5961879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hypochlorite bleaching compositions
US4549979A (en) Detergent composition with siliconate-silicate copolymer
CA2220973A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hypochlorite bleaching compositions
US5928559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hypochlorite bleaching compositions
US6120555A (en) Hypochlorite bleaching compositions
US3872219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of chlorinated lime solution
MXPA97008870A (en) Procedure for the manufacture of hipoclor whitening compositions
EP0653482B1 (en) Hypochlorite bleaching compositions
MXPA97008907A (en) Procedure for the manufacture of blanked hypoclorite compositions
US4486339A (en) Sequestering agent
JP2001517261A (ja) 漂白組成物
US5914069A (en) Hypochlorite bleaching compositions
JPH04362011A (ja) 非晶質アルミノ珪酸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19562B2 (ja) 繊維精練剤
JP3219561B2 (ja) 漂白性向上剤
CA1172827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calcium hypochlorite
RU97120973A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ипохлоритных отбеливающих составов
RU97120694A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ипохлоритных отбеливающих составов
SU33139A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гипохлорита кальци
EP0781840A1 (en) Hypochlorite bleaching compositions
JPH0249356B2 (ko)
JPH06171924A (ja) ケイ酸アルカリ水溶液の製造方法
JPH04983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