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072A -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072A
KR19990014072A KR1019980029481A KR19980029481A KR19990014072A KR 19990014072 A KR19990014072 A KR 19990014072A KR 1019980029481 A KR1019980029481 A KR 1019980029481A KR 19980029481 A KR19980029481 A KR 19980029481A KR 19990014072 A KR19990014072 A KR 19990014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tation
mobile
signal
mobil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이치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사와무라 시코우
오끼뎅끼 고요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와무라 시코우, 오끼뎅끼 고요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와무라 시코우
Publication of KR19990014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07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8Automatic changing of the traffic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6)은 회선 감시부(8)와, 회선 전환부(9)와, 신호 반환부(10)를 구비한다. 기지국(6)과 제어국(21) 사이의 회선이 단선된 후에, 이동국(2)으로부터 이동국(3)에 대한 발호 요구신호가 발생한 경우, 회선 감시부(8)가 회선 전환신호를 회선 전환부(9)에 통보한다. 이 회선 전환신호에 응답하여, 회선 전환부(9)는 신호 반환부(10)를 가동시킨다. 그 후에, 신호 반환부(10)는 기지국(6)의 기지국 존으로 발호 요구신호를 반환한다. 이것에 의해, 기지국(6)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이동국들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본 발명은 공공업무 디지탈 이동통신 등에 이용되는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유선통신분야에서의 광통신기술뿐만 아니라, 무선통신분야에서의 이동통신기술은 매우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주로, 이동통신은 전기통신사업용과, 자영통신용으로 분류된다. 전자의 전기통신사업용 중에는, 전형적으로 무선전화, 휴대전화 등이 있다. 후자의 자영통신용 중에는 전형적으로 택시무선통신, MCA(Multi-Channel Access)육상 이동무선통신 시스템, 공공업무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등이 있다.
특히, 재해시에, 다른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고장인 것과 대조를 이루어, 공공업무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은 재해시 정보전송 등에 큰 역활을 하고 있다. 따라서, 기지국과 이동국에 의해 주로 수행되는 재해시의 통신은 필수적인 것이다.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공공업무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국들 사이의 통신이 기지국을 필요로 한다. 특히, 이동국은 항상 기지국을 통해서 서로 통신한다. 복수의 기지국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기지국은 기지국 존을 가지고 통신을 제어한다. 이들 기지국은 제어국에 의해 제어된다.
이동국과 다른 이동국 사이의 통신은 2개의 기지국과 1개의 제어국을 경유하는 경로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전자의 이동국-제 1 기지국-제어국-제 2 기지국-후자의 이동국과 같은 경로를 필요로 하고 있다. 전자의 이동국과 후자의 이동국이 동시에 제 1 기지국 존 내에 존재하더라도, 이들 사이의 통신은 전자의 이동국-제 1 기지국-제어국-제 2 기지국-후자의 이동국과 같은 경로를 필요로 한다. 즉, 제어국은 어떤 기지국들 사이의 통신에도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보다 넓은 기지국 존을 주기 위해서, 기지국을 산의 상등에 설치하여, 무인국 구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기지국은 고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간단한 구성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재해시에, 기지국과 제어국 사이의 회선이 단선되면, 가령 기지국이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더라도, 그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부에 있는 이동국들은 서로 통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기지국이,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이동국과 무선통신을 하고, 그 이동국과, 상위층의 제어국을 통해 동일한 기지국의 기지국 존 또는 다른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다른 이동국과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시스템은
기지국과 제어국 사이의 회선을 감시하여, 회선의 단선을 검출했을 때 회선을 전환하기 위한 회선 전환신호를 준비하는 회선감시부와,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반환하여 기지국의 기지국 존에 그 신호를 방출하는 신호 반환회로와, 그 회선 전환신호에 응답하여 신호 반환회로를 가동시키는 회선 전환회로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된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시스템은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방출하여 기지국의 기지국 존 상의 모든 이동국에 정보를 일제히 알리는 방송기능을 수행하는 통신회로를 더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은 기지국이,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이동국과 무선통신을 하고, 그 이동국과, 상위층의 제어국을 통해 동일한 기지국의 기지국 존 또는 다른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다른 이동국과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시스템은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반환하여 기지국의 기지국 존에 그 신호를 방출하는 신호 반환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제 1 이동국과 제 2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기지국과, 그 통신을 관리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지국과 그 신호를 교환하는 제어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은
제 1 이동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그 신호를 제어국으로 송신하는 송신회로와, 제 2 이동국쪽으로 그 신호를 방출하는 방출회로와,
송신회로가 제어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고, 방출회로가 요구에 따라서, 제 2 이동국쪽으로 신호를 방출하는 것을 허가하는 허가/금지회로를 구비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공공업무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동일한 기지국에서의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서로 다른 기지국들 사이의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서로 다른 제어국들 사이의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이동국 6,7 : 기지국
8 : 회선 감시부 9 : 회선 전환부
10 : 신호 반환부 12 : 교환기
13 : 위치등록정보 21 : 제어국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공공업무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
도 3에서, 제어국 시스템은 주로 복수의 기지국 시스템(200)을 구비하고, 또 각 기지국(200)은 주로 복수의 기지국 시스템(100)을 구비한다.
기본시스템(100)은 기지국(20)과, 이 기지국(20)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복수의 이동국을 구비한다. 기지국(20)은 복수의 이동국(1)을 제어하여 그들의 통신을 허용한다. 이동하거나 정지할 때, 이동국(1)은 그들의 통신을 수행한다. 전형적인 이동국(1)은 휴대전화 및 PHS 전화이다.
기지국 시스템(200)은 제어국(21)과 복수의 기지국(100)을 구비한다. 제어국(21)은 각 기지국(20)을 제어하여 그것이 기지국 존 내에 있는 이동국(1)을 관리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한 구성은 공공업무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국 시스템(300)은 제어센터(22)와 복수의 기지국(200)을 구비한다. 제어센터(22)는 각 제어국(21)을 제어하여 그것이 제어국 존 내에 있는 기지국(20)을 관리하도록 허용한다.
다음에, 공공업무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신호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국(3)의 ID(Identificaticn Data)을 포함하는 데이터 D1이 이동국(1)으로부터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데이터 D1은 기지국(20)을 통해서 제어국(21)으로 전송된다. 제어국(21)은 이 데이터 D1에 부착한 ID에 따라서, 위치등록정보(13)를 참조하여, 이동국(3)이 현재 소속하고 있는 기지국 존을 검지한다. 착신처 이동국(3)과 발신처 이동국(1)은 동일 기지국 존에 있기 때문에, 제어국(21)은 데이터 D1을 기지국(20)으로 반환하고, 데이터 D1은 착신처 이동국(3)에 착신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국(4)의 ID를 부착한 데이터 D2가 이동국(2)으로부터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데이터 D2에 부착한 ID는 기지국20을 통해서 제어국(21)으로 전송된다. 제어국(21)은 이 데이터 D2에 부착한 ID에 따라서, 위치등록정보(13)를 참조하여 이동국(4)이 현재 소속하고 있는 기지국 존을 검지한다. 그 결과, 제어국(21)은 데이터 D2를 기지국(23)에 전송함으로써, 이동국(4)에 착신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 X의 ID를 갖는 데이터 D3은 이동국(5)으로부터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이동국 X와 이동국(5)은 각 제어국 Z와 제어국(21)에 의해 제어된다. 데이터 D3은 기지국(23)을 통해서 제어국(21)에 전송된다. 제어국(21)은 기지국 Y를 갖는 제어국 Z를 검지하고, 그것에 의해 이동국 X가 데이터 D3에 부착된 ID에 근거하여 위치등록정보(13)를 참조하면서 현재 제어되고 있다. 제어국(21)은 데이터 D3을 이동국 X에 전송한다.
또한, 위치등록정보(13)는 각 이동국의 위치를 표시한다. 보다 명확히, 위치등록정보(13)는 이동국이 소속하고 있는 기지국 존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내고, 이동국이 소속하고 있는 제어국의 어느 것인가를 나타낸다. 이동국의 위치 등록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위치등록은 이동국이 전원을 넣은 때와,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의 이동국의 이동시에, 이동국이 발신하는 위치등록신호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 위치등록신호는 다른 어떤 센터도 존재하지 않는 위치관리센터(30)(도 3을 참조) 내에 집중된다. 위치관리센터(30)는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위치등록신호에 따라서, 각 이동국의 현재 위치를 검지한다.
재해시에 기지국과 제어국 사이의 회선이 단선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한 경우에, 기지국에서 발신된 위치등록신호는 위치관리센터(30)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국의 위치를 등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기지국의 기지국 존에 속하는 각 이동국은 전부 교신불능이 된다.
제 1 실시예
이상, 공공업무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요에 관해서 간략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도 1에서, 제 1 실시예의 공공업무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용 기지국(6)은 회선 감시부(8)와, 회선 전환부(9)와, 신호 반환부(10)를 구비한다. 회선 감시부(8)는 기지국(6)과 제어국(21) 사이의 회선을 규칙적으로 감시하고, 회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예를 들면 회선이 단선되고 잡음이 증가한 경우에, 회선전환신호 S1을 회선 전환부(9)로 전송한다. 회선 전환부(9)는 회선 감시부(8)로부터 회선전환신호 S1을 수신한 경우에, 신호 반환부(10)를 가동시킨다. 신호 반환부(10)는 발호 요구신호가 그 내부에 있는 이동국에 의해 발생될 때 기지국(6)의 기지국 존에 발호 요구신호를 반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이동국(6)에 의해 발생된 이동국(3)에 대한 발호 요구신호는 기지국(6)을 통해서 제어국을 찾아야 한다. 그것에 의해, 제어국(21)은 이동국(2)의 위치를 확인하여 발호 요구신호를 기지국(6)을 통해서 이동국(3)으로 전송함으로써, 이동국(6)과 이동국(3) 사이에 회선을 확립한다.
기지국(6)과 제어국(21)의 사이의 회선이 단선된 후에, 이동국(2)으로부터 이동국(3)으로 발호 요구신호가 발생되었다고 가정하면 그 설명은 다음에 한다. 이 경우에, 회선 감시부(8)는 이미 단선을 검출하여, 회선 전환신호 S1을 회선 전환부(9)로 전달하고, 회선 전환부(9)는 신호 반환부(10)를 가동한다. 가동시, 신호 반환부(10)는 기지국(6)의 기지국 존쪽으로 발호 요구신호를 방출한다. 따라서, 이동국(2)과 이동국(3) 사이에 회선이 확립될 수 있다.
다음에, 기지국(6)과 제어국(21) 사이의 회선이 단선된 후에, 이동국(2)으로부터 이동국(4)으로 발호 요구신호가 발생했다고 가정하면, 이동국(2)과 이동국(4)은 각 기지국(6, 7)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6은 발호 요구신호를 수신하여, 제어국(21)으로 전송함으로써, 발호 요구신호는 제어국(21)으로부터 기지국(7)을 경유하여 이동국(4)으로 송신되어야 한다.
기지국(6)과 제어국(21) 사이의 회선의 단선으로 인해 이동국(2)과 이동국(4) 사이에 회선이 확립될 수 없다. 이 때, 회선 감시부(8)는 단선을 검출하여 회선 전환신호 S1을 회선 전환부(9)로 전송한다. 회선 전환신호 S1을 수신할 때, 회선 전환부(9)는 신호 반환부(10)를 가동한다. 신호 반환부(10)가 가동하면, 발호 요구신호는 기지국 존으로 방출된다. 그러나, 방출된 발호 요구신호에 포함된 ID는 다른 기지국의 기지국 존에 있는 이동국(4)을 특정하기 때문에, 기지국(6)과 제어국(21) 사이의 회선이 단선된 채로 있는 동안, 이동국(2)과 이동국(4)의 사이에 회선이 확립될 수 없다.
또한, 기지국(6)과 제어국(21) 사이의 회선이 단선된 후에, 기지국(6)의 기지국 존에 속하는 이동국(2)에 의해 기지국 Y에 소속하는 이동국 X에 대한 발호 요구신호가 발생했다고 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6)이 원래 이동국(2)으로부터 제어국(21)으로 발호 요구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회선 발호 요구신호는 제어국 Z와 기지국 Y를 경유하여 이동국 X로 전송된다.
그러나, 기지국(6)과 제어국(21) 사이의 회선이 단선됨으로써 발호 요구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이 때, 회선 감시부(8)는 이미 단선을 검출하여, 회선 전환신호 S1을 회선 전환부9로 전송하고, 회선 전환부(9)는 신호 반환부(10)를 가동한다. 신호 반환부(10)는 기지국(6)의 기지국 존에 발호 요구신호를 방출한다. 방출된 발호 요구신호에 포함된 ID는 기지국 Y의 기지국 존에 속하는 이동국 X를 특정함으로써, 기지국(6)과 제어국(21) 사이의 회선이 단선된 채로 있는 동안에, 이동국(2)과 이동국 X 사이에서는 통화가 실현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하의 효과를 제공한다. 제어국과 기지국 사이의 회선이 단선된 상태라도, 이 시스템에 의해 동일한 기지국 존 내에 소속하는 이동국과 다른 이동국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시스템에 의해 동일 기지국 존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동일 기지국 존으로 새롭게 가동하기 시작한 이동국과 다른 이동국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공공업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재해 구조 활동에 이바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공공업무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공업무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용 기지국(25)은 통신부(26)를 구비하는데, 그 이외의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차이점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통신부(26)는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이동국과 통신한다. 재해시에, 이 기능에 의해 기지국(25)의 기지국 존에 소속하는 이동국에 재해구조 활동을 지시하고, 전 이동국에 재해정보를 일제히 알리는 방송기능을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기지국(25)과 제어국(21) 사이의 회선이 단선되지 않으면, 기지국(25)은 이동국(2)에 의해 발생된 이동국(3)에 대한 발호 요구신호를 제어신호(21)에 전송한다. 발호 요구신호는 제어국(21)으로부터 기지국(25)의 기지국 존으로 되돌아가 기지국 존에 방출된다. 방출된 발호 요구신호 내에 있는 ID는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이동국(3)을 특정하여, 통화를 실현한다.
그러나, 기지국(25)과 제어국(21) 사이의 회선이 단선된 후에는 기지국(25)으로부터 이동국(3)으로 발호 요구신호가 발생했다고 가정한다. 이 단선에 의해 통화가 실현되지 않는다. 그러나, 회선 감시부(8)는 이미 단선을 검출하여, 회선전환 신호 S1을 회선 전환부(9)로 전송한다. 회선 전환부(9)는 신호 반환부(10)를 가동한다. 신호 반환부(10)가 가동한 후에, 발호 요구신호에 포함된 ID는 기지국의 기지국 존에 방출된다. 이 ID는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속하는 이동국(3)을 특정하기 때문에, 기지국(25)과 제어국(21)의 사이에서 통화가 실현된다.
제 1 실시예의 효과에 덧붙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를 구비한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제어국과 기지국 사이의 회선이 단선되더라도, 이 시스템에 의해 기지국은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재해시에, 이동국에 재해구조 활동을 지시하고, 전 이동국에 재해정보를 일제히 알리는 방송기능을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 시스템은 언제라도 이동국 사이의 직접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직접 통신은 제어국의 제어없이 기지국의 중개를 통해서 서로 통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목적을 위해, 기지국은 1개의 이동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또 다른 이동국쪽으로 신호를 방출하는 방출회로와, 기지국과 제어국 사이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기지국은 허가/금지회로도 구비한다. 언제든지, 직접 통신에 대한 요구를 이용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이러한 요구를 발생한다. 이 요구에 따라, 송신회로는 제어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고, 방출회로가 또 다른 이동국쪽으로 직접 신호를 방출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어국과 기지국 사이의 회선이 단선되더라도, 이 시스템에 의해 기지국은 언제든지 기지국 존 내에 있는 이동국들 간의 직접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발호 요구신호가 되돌아가는 것은 기지국과 제어국 사이의 회선의 상태에 의존한다. 또한, 발호 요구신호가 되돌아하는 경우, 그것이 실행가능한지에 관계없이 공공업무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다 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원리로부터 벗어나는 일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가능한 모든 실시예 및 변형을 포함해야 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한 대로 본 발명의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제어국과 기지국 사이의 회선이 단선된 상태라도, 이 시스템에 의해 동일한 기지국 존 내에 소속하는 이동국과 다른 이동국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시스템에 의해 동일 기지국 존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동일 기지국 존으로 새롭게 가동하기 시작한 이동국과 다른 이동국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공공업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재해 구조 활동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효과에 덧붙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를 구비한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제어국과 기지국 사이의 회선이 단선되더라도, 이 시스템에 의해 기지국은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재해시에, 이동국에 재해구조 활동을 지시하고, 전 이동국에 재해정보를 일제히 알리는 방송기능을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기지국이,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이동국과 무선통신을 하고, 그 이동국과, 상위층의 제어국을 통해 동일한 기지국의 기지국 존과 다른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다른 이동국과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과 제어국 사이의 회선을 감시하여, 회선의 단선을 검출했을 때 그 회선을 전환하기 위한 회선 전화신호를 준비하는 회선 감시회로와,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반환하여,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그 신호를 방출하는 신호 반환회로와,
    회선 전환신호에 응답하여 신호 반환회로를 가동시키는 신호 전환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방출하여, 기지국의 기지국 존의 모든 이동국에 정보를 알리는 방송기능을 수행하는 통신회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3. 기지국이,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이동국과 무선통신을 하고, 그 이동국과, 상위층의 제어국을 통해 동일한 기지국의 기지국 존과 다른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다른 이동국과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반환하여, 기지국의 기지국 존에 그 신호를 방출하는 신호 반환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4. 기지국의 기지국 존 내에 있는 제 1 이동국과 제 2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기지국과, 그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지국과 신호를 교환하는 제어국을 포함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이동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제어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회로와,
    제 1 이동국쪽으로 신호를 방출하는 방출회로와,
    송신회로가 신호를 제어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금지하고, 방출회로가 요구에 따라, 제 2 이동국쪽으로 신호를 방출하는 것을 허가하는 허가/금지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KR1019980029481A 1997-07-23 1998-07-22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KR199900140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2601 1997-07-23
JP21260197A JP3359261B2 (ja) 1997-07-23 1997-07-23 公共業務ディジタル移動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072A true KR19990014072A (ko) 1999-02-25

Family

ID=1662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481A KR19990014072A (ko) 1997-07-23 1998-07-22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95549B1 (ko)
EP (1) EP0893929A3 (ko)
JP (1) JP3359261B2 (ko)
KR (1) KR19990014072A (ko)
SG (1) SG746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17072A1 (en) * 2000-01-17 2001-07-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ext improvement
AU2001260885A1 (en) * 2000-05-30 2001-1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erations and maintenance of radio base station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FR2812981B1 (fr) * 2000-08-10 2002-10-18 Alstom Protection pour reseau electrique ayant une liaison de transmission de donnees infrarouge utilisant le protocole wap
GB2375460B (en) * 2001-05-09 2004-09-29 Motorola Inc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and equipment for use therein
US20020193105A1 (en) * 2001-06-13 2002-12-19 Olsson John Gunnar Dynamic Handling of orphan cells
JP3923853B2 (ja) * 2002-05-31 2007-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基地局及び中継方法
JP2005134316A (ja) * 2003-10-31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災害予測システム
CN100366118C (zh) * 2004-11-17 2008-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维护链路检测与恢复方法
JP4788430B2 (ja) * 2006-03-24 2011-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2156722A (ja) * 2011-01-25 2012-08-16 Kyocera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端末、及び移動通信方法
JP6202597B2 (ja) * 2013-04-26 2017-09-2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5866A (en) 1987-06-03 1992-12-29 Ericc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Fail-soft architecture for public trunking system
US4926421A (en) * 1987-10-23 1990-05-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JP2726315B2 (ja) * 1989-09-20 1998-03-11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の回線異常検出方法
JPH04274627A (ja) * 1991-03-01 1992-09-30 Toshiba Corp 移動局装置
FI88991C (fi) * 1991-10-03 1993-07-26 Nokia Telecommunications Oy Allokeringsfoerfarande foer radiokanaler
JP2953898B2 (ja) * 1993-02-17 1999-09-27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構内用無線内線着信方式
FI98974C (fi) * 1993-09-24 1997-09-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sektoroidun tukiaseman toiminnan varmistamiseksi sekä tukiasema
JP3239286B2 (ja) * 1994-03-01 2001-12-17 富士通株式会社 チャネル切替制御方式
DE69534333T2 (de) 1994-11-22 2006-05-24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Steuerkanal-Suchverfahren in einer mobilen Station
JP2626597B2 (ja) * 1994-12-14 1997-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型移動無線通信方式における無線基地局の選択方法
US5911115A (en) 1995-03-31 1999-06-08 Intel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over amps networks
JP3415978B2 (ja) * 1995-11-24 2003-06-09 富士通株式会社 キャリア切替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41668A (ja) 1999-02-12
JP3359261B2 (ja) 2002-12-24
SG74619A1 (en) 2000-08-22
EP0893929A3 (en) 2000-02-02
EP0893929A2 (en) 1999-01-27
US6195549B1 (en) 200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24702C (en) Telephone system
US20040063451A1 (en) Relaying information within an ad-hoc cellular network
US6058311A (en) Identification of mobile station
US6907237B1 (en) Communication system that provides backup communication services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ES2307611T3 (es) Metodo para posibilitar la recepcion de una pagina de conmutacion de paquetes por una estacion movil.
US2006018347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apparatus
CN100438410C (zh) 用于在数字无线电网络系统内发送信息的系统
US54756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mitting radio unit roaming between trunked RF transmission sites over a wide area that encompasses plural multisite networks
CA2113281C (en) A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improper registrations
KR19990014072A (ko)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EP1416754A1 (en) MOBILE TERMINAL, CONTROL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PROGRAM, AND CONTROL PROGRAM
CN102165804A (zh) 促进防止共享载波资源的基站之间的干扰的方法和装置
KR100304939B1 (ko) 이동 단말기에서 개인 채널을 이용한 그룹 메시지 전송 방법
US7010297B2 (en) Mobile managemen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s, and switch and home location register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107431659B (zh) 连接管理实体、通信系统以及处理连接请求的方法
WO1992008300A1 (en) Private calling in a multi mode communication system
JP2002521986A (ja) 公共のセルラーモービル無線ネットワーク内のモービル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端末装置の作動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H0758689A (ja) 無線電話装置
KR20020027553A (ko) 방송 어드레스 지정 통보 메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구역을 식별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1055343B1 (en) A method and equipment for carrying out special functions in a cellular radio system
JP2004007103A (ja) 基地局及び中継方法
US6445687B1 (en) Group communication system
JP290242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FI105066B (fi) Johdottoman tilaajaliittymän muodostava radiojärjestelmä
ES2257822T3 (es) Aparato terminal de comunicaciones para la comunicacion sin hilos con estaciones de base emisoras/receptoras de distintos sistemas de comunicac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