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906A - 밸브가이드구조 - Google Patents

밸브가이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906A
KR19990013906A KR1019980028743A KR19980028743A KR19990013906A KR 19990013906 A KR19990013906 A KR 19990013906A KR 1019980028743 A KR1019980028743 A KR 1019980028743A KR 19980028743 A KR19980028743 A KR 19980028743A KR 19990013906 A KR19990013906 A KR 19990013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guide
valve
cover member
protrusions
gui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4405B1 (ko
Inventor
타쿠 토미타
미쯔토시 아라키
나오유키 야수다
Original Assignee
타카다 요시유키
에스엠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3206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1390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타카다 요시유키, 에스엠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타카다 요시유키
Publication of KR1999001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8Guiding yokes for spindles; Means for closing housings; Dust caps, e.g. for tyre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G05D16/064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 G05D16/06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a spring-loaded membrane with a spring-loaded slideable obtu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612Tapping a pipe, keg, or apertured tank under pressure
    • Y10T137/613With valved closure or bung
    • Y10T137/6133Combined rotary and longitudinal movement of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809Reactor surface separated by apertured partition
    • Y10T137/782Reactor surface is diaphragm
    • Y10T137/7821With valve closing bi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 Safety Valve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부(116)과 그 요부(116)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요부(118)들을 주몸체(106)에 형성하고, 요부(116)에 밸브가이드몸체(124)를 삽입하여서 된 밸브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밸브가이드몸체(124)의 돌출부(132a - 132d)들을 요부(116)를 형성하는 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120a - 120d)에 결합시키고, 덮개부재(134)의 제 2 돌출부(136a - 136d)들을 요부(118)을 형성하는 벽에 형성한 제 1 돌출부(122a - 122d)에 각기 결합시킴에 따라, 덮개부재(13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밸브가이드몸체(124)에 가해지는 압력유체의 압력은 덮개부재(134)에 의해 지탱되며, 이에 따라 밸브가이드몸체(124)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없으며, 또한 밸브가이드몸체(124)가 우연히 이탈하는 문제점도 없다.

Description

밸브가이드구조
본 발명은 감압밸브 등등의 압력유체제어장치에 사용하는 밸브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지로 제작된 밸브가이드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감압밸브와 같은 압력유체제어장치에는 밸브가이드구조가 사용되어 왔는데, 도 13에는 이러한 밸브가이드구조에 사용하는 감압밸브(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감압밸브(10)는 제 1 측개구(12)와 제 2 측개구(14)가 형성된 주몸체(18)와, 그 주몸체(18)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22)와, 그 덮개(22)의 상부에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핸들(24)을 포함하고 있다.
주몸체(18)의 하부에는 요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26)를 형성하는 벽상에는 원주홈(27)이 형성되어 있다. 감압밸브(10)는 또한 밸브가이드몸체(30)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밸브가이드몸체(30)는 그의 공동(32)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는 밸브몸체(34)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게 그리고 밸브몸체(34)의 고착현상, 즉 스티킹(sticking)현상을 방지하도록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가이드몸체(30)에는 다수의 슬릿(35)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다수의 후크(hook)(38)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후크(38)들이 홈(27)을 형성하고 있는 벽에 결합됨에 따라 밸브가이드몸체(30)가 요부(26)로 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어 있다. 밸브몸체(34)는 코일스프링(36)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밸브몸체(34)의 상측 중앙부에는 봉형상의 밸브대(40)가 고착되어 있다. 밸브대(40)의 일단은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직경이 감소하게 되는 테이퍼형상을 가지고 있다.
밸브대(40)는 주몸체(18)에 형성된 밸브실(42)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데, 이 밸브실(42)은 제 2 측개구(14)와 연통하고 있다. 밸브실(42)은 대체로 원통형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벽의 하부에는 밸브몸체(34)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는 안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몸체(18)와 덮개(22)사이에는 다이아프램(46)이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46)과 밸브몸체(18)내의 요부에 의해 다이아프램실(48)이 형성되게 된다. 다이아프램(46)의 중앙에는 다이아프램가압부재(52)가 위치하고 있고, 이 다이아프램가압부재(52)의 중앙에는 통공(56)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56)의 벽은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테이퍼(58)를 형성하고 있고, 이 테이퍼(58)의 내면에 밸브대(40)의 단부가 접촉하여 통공(56)을 폐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이아프램가압부재(52)상에 위치한 다이아프램(46)의 상면상에는 안착부재(5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안착부재(54)상에는 압력조정스프링(60)의 일단이 안착되어 있다. 상기 압력조정스프링(60)의 타단은 압력조정너트(6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압력조정너트(62)는 핸들(24)에 고착되어 있는 압력조정스크류(64)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핸들(24)을 회전시키면 압력조정너트(62)가 화살표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변위하게 된다.
도14에는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가이드구조(8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밸브몸체(18)에 형성된 요부(26)의 하부와 연통하는 대경구멍, 즉 요부(8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82)의 벽을 따라서는 다수의 돌출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밸브가이드몸체(86)의 외주면상에는 상기 돌출부(84)와 결합가능한 다수의 돌출부(88)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밸브가이드몸체(86)를 그의 돌출부(88)가 요부(82)의 돌출부(84)들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요부(26)내로 삽입한 후, 밸브가이드몸체(86)를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밸브가이드몸체(86)의 돌출부(88)와 요부(82)의 돌출부(84)들이 서로 결합되어, 밸브가이드몸체(86)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15에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가이드구조(9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주몸체(18)의 요부(26)를 형성하는 벽에 환형홈(9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92)에는 C형 정지링(94)이 결합되어 밸브가이드몸체(96)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이에 불구하고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가이드구조(28),(80),(90)들의 경우에는 밸브가이드몸체(30),(86),(96)들이 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유체의 압력을 받게 될 때 이에 상응하는 힘이 밸브가이드몸체(30),(86),(96)들에 집중되게 되고, 그 결과 밸브가이드몸체(30),(86),(96)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밸브가이드몸체(30),(86),(96)가 장기간 사용될 때 쉽게 손상될 수 있다는 결점과 함께 밸브가이드몸체(30),(86),(96)에 발생하는 여러 변화에 의해 경련열화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밸브가이드구조(28),(80),(90)들은 비록 부착이 용이하기는 하나 그의 밸브가이드몸체(30),(86),(96)가 헐거워지거나 그와 유사한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예기치 않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밸브가이드몸체에 가해지는 압력유체의 압력을 덮개부재를 통해 지지함으로써 밸브가이드몸체가 유압장치로 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킨 밸브가이드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밸브가이드몸체의 삽입구를 형성하는 벽을 따라 제 1 결합돌출부들을 형성하고, 덮개부재에 제 2 결합돌출부들을 형성하여 그 제 1 및 제 2 결합돌출부들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덮개부재의 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게 한 밸브가이드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가이드몸체의 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덮개부재에 요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기 요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덮개부재의 회전을 방지시키고, 유압장치로 부터 덮개부재의 예상치 않은 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게 한 밸브가이드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덮개부재에 형성된 만곡부재들을 제 1 결합돌출부들의 인접 제 1 결합돌출부들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각기 삽입하는 것에 의해 덮개부재의 회전을 방지시키고, 유압장치로 부터 덮개부재의 예상치 않은 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게 한 밸브가이드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예를 들어 예시하고 있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있는 하기의 설명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밸브가이드구조를 사용하는 감압밸브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
도2는 도1의 밸브가이드구조의 개략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감압밸브에 사용되는 주몸체의 저면도;
도4는 도1의 감압밸브에 사용되는 밸브가이드몸체의 저면도;
도5는 도1의 감압밸브에 사용되는 덮개부재의 저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밸브가이드구조를 사용하는 감압밸브를 도시하는 부분확대 수직단면도;
도7은 도6의 밸브가이드구조의 개략분해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밸브가이드구조를 사용하는 전자기밸브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
도9는 도8의 밸브가이드구조의 개략분해사시도;
도10은 도8의 전자기밸브에 사용되는 주몸체의 저면도;
도11은 도8의 전자기밸브에 사용되는 밸브주몸체의 저면도;
도12는 도8의 전자기밸브에 사용되는 덮개부재의 저면도;
도13은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가이드를 사용하는 감압밸브의 수직단면도;
도14는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가이드를 사용하는 감압밸브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
도15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가이드를 사용하는 감압밸브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유압장치
116, 118, 312, 360: 요부
122a - 122d, 202a - 202d, 314a - 314d: 제 1 결합돌출부
123, 204, 316: 밸브가이드구조
124, 206, 318: 밸브가이드몸체
133a, 133b, 328a - 328d: 돌출부
134, 208, 330: 덮개부재
136a - 136d, 210a - 210d, 332a - 332d: 제 2 결합돌출부
137a - 137d, 336a - 336d: 공동
138, 356: 밸브몸체
214a - 214d: 만곡부
이하, 특정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가이드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서 부호10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밸브가이드구조를 사용하는 감압밸브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감압밸브(100)는 제 1 측개구(102)와 제 2 측개구(104)가 형성된 주밸브몸체(106)와, 그 주밸브몸체(106)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108)와, 그 덮개(108)의 상부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핸들(110)을 포함하고 있다.
주밸브몸체(106)의 내부에는 제 2 측개구(104)와 연통하는 밸브실(1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밸브실(112)의 대체로 원통형 벽의 하부에는 안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부(114)의 아래에서 주밸브몸체(106)의 하부에는 밸브실(112)과 연통하는 요부(11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요부(116)의 하부는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경의 요부(118)와 연통하고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요부(116)를 형성하고 있는 벽에는 축방향으로 다수의 홈(120a - 120d)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120a - 120d)의 하단은 상기 요부(118)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요부(118)를 형성하는 벽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돌출부(122a - 122d)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 1 돌출부(122a - 122d)들은 서로 90°씩 간격을 두고 있다.
요부(116)의 내부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가이드구조(123)가 구성되어 있다. 즉, 밸브가이드구조(123)의 밸브가이드몸체(124)가 요부(116)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밸브가이드몸체(124)는 수지물질로 형성되며, 요부(125)가 형성되어 있다(도1 참조). 밸브가이드몸체(124)의 외주상에는 O-링이 설치되어, 압력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도2 및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가이드몸체(124)의 외주상에는 그의 축방향으로 따라 다수의 돌출부(132a - 132d)들이 90°씩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132a - 132d)들은 홈(120a - 120d)에 결합되게 되어 있다. 또한 밸브가이드몸체(124)의 하단에도 돌출부(133a, 133b)들이 형성되어 있다(도4 참조).
밸브가이드구조는 또한 덮개부재(134)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덮개부재(134)는 금속물질로 형성되며 요부(118)내에 결합된다. 덮개부재(134)의 외주면상에는 다수의 제 2 돌출부(136a - 136d)들이 서로 90°씩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 2 돌출부(136a - 136d)들은 요부(118)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돌출부(122a - 122d)들과 각기 결합되고, 이에 따라 덮개부재(13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덮개부재(134)에는 또한 돌출부(133a, 133b)들과 결합가능한 다수의 구멍(137a - 137d)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멍(137a - 137d)대신에 돌출부(133a, 133b)들과 결합가능한 요부(즉, 한쪽이 막힌 구멍)(137a - 137d)들을 덮개부재(134)에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가이드몸체(124)의 요부(126)에는 밸브몸체(138)가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이 밸브몸체(138)는 상부에 밸브주몸체(1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관형 실린더(140)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주몸체(142)의 저면상에는 코일스프링(144)의 일단이 안착되고, 그 코일스프링(144)의 타단은 요부(126)의 바닥부상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밸브몸체(138)는 평상시 코일스프링(144)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가압되게 된다. 밸브주몸체(142)의 상부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중합물질로 형성되는 링형의 시일부재(148)가 안착부(114)와 접촉가능하게 위치되어 있다. 밸브주몸체(142)의 중앙에는 봉형의 밸브대(150)의 일단이 고착되어 있고, 그 밸브대(150)의 타단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직경이 감소하게 되어 있는 테이퍼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주밸브몸체(106)와 덮개(108)사이에는 다이아프램(154)이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154)과 주밸브몸체(106)내의 요부에 의해 다이아프램실(156)이 형성되게 된다. 다이아프램실(156)은 통로(158)를 통해 제 2 측개구(104)와 연통하고 있다. 다이아프램(154)의 상면 및 저면 중앙에는 다이아프램(154)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다이아프램가압부재(160)와 제 2 다이아프램가압부재(162)가 위치하고 있다. 다이아프램(154)의 중앙구멍에는 원통형부재(164)가 결합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의 상부로 부터 돌출되어 있고, 원통형부재(164)의 하단으로 부터는 직경확대 플랜지(166)가 연장되어 다이아프램(154)의 저면과 결합되어 있는데, 이 원통형부재(164)와 플랜지(166)들은 다이아프램(154)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기 제 1 다이아프램가압부재(16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부재(164)의 구멍(168)을 형성하는 벽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면서 점차로 직경이 증가하는 테이퍼부(17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테이퍼부(170)에는 밸브대(150)의 테이퍼부(152)가 안착되어, 구멍(168)을 폐쇄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구멍(168)을 형성하는 벽의 상부에는 직경확대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부재(164)가 결합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또 다른 원통형부재(172)와, 그 원통형부재(172)의 하부로 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74)가 제 2 다이아프램가압부재(16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플랜지(174)는 상기 제 1 다이아프램가압부재(160)의 플랜지(166)와 함께 사이에 다이아프램(154)을 협지하게 되어 있다.
플랜지(174)의 상면상에는 압력조정스프링(176)의 일단이 안착되어 있고, 이 압력조정스프링(176)의 타단은 압력조정너트(178)상에 안착되어 있다. 상기 압력조정너트(178)는 핸들(110)의 중앙부에 고착되어 있는 압력조정스크류(180)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핸들(110)과 압력조정스크류(180)를 함께 회전시키면 압력조정너트(178)가 화살표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변위하게 된다.
또한, 압력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릴리프개구(182)가 덮개부재(108)의 상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밸브가이드구조를 사용하는 감압밸브는 이상과 같은 기본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그러면 이하 그의 동작에 관해 설명하겠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압력공기공급원을 제 1 측개구(102)에 연결시키고, 요구되는 유압장치(일례로, 실린더)를 제 2 측개구(104)에 연결시킨다. 또한, 핸들(110)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유압장치에 공급되는 압력공기의 압력을 설정한다. 특히,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110)과 압력조정스크류(180)를 일체로 회전시켜 압력조정너트(178)를 화살표 A방향으로 변위시키면, 압력조정스프링(176)은 압축되고, 그 결과 다이아프램(154)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밸브대(150)가 밸브몸체(138)와 함께 일체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밸브부재(148)를 안착부(114)로 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게 되고, 그 결과 제 1 측개구(102)와 제 2 측개구(104)가 서로 연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준비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압력공기공급원(도시 안됨)이 동작하게 되면 압력공기가 제 1 측개구(102)를 통해 유입되어 제 2 측개구(104)쪽으로 흐르게 되면서 밸브실(11)을 통과하고, 상기 제 2 측개구(104)를 통해 유압장치로 공급되게 된다. 이 경우, 제 2 측개구(104)에 공급되는 압력공기의 일부는 통로(158)를 통해 다이아프램실(156)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화살표 B방향의 압력이 다이아프램(154)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다이아프램(154)과 밸브대(150)는 상기 압력과 압력조정스프링(176)의 탄력이 서로 평형을 이루게 되는 위치까지 일체로 이동하고, 밸브몸체(138)는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 2 측개구(104)에서의 압력이 소정 값보다 큰 경우에는 밸브몸체(138)가 화살표 B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어 시일부재(148)가 안착부(114)에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시일동작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 1 측개구(102)와 제 2 측개구(104)간의 연통이 차단되게 된다. 이 때, 제 1 측개구(102)에 공급되는 압력공기의 압력은 밸브몸체(138)를 통해 밸브가이드몸체(124)에 가해지지만 밸브가이드몸체(124)가 금속성의 덮개부재(134)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밸브가이드몸체(124) 및/또는 덮개부재(134)가 손상될 문제는 없다.
그러면, 밸브가이드구조(123)를 구성하는 밸브가이드몸체(124)와 덮개부재(134)들을 밸브주몸체(106)의 요부(116),(118)에 결합시키는 조립과정을 설명하겠다.
먼저, 코일스프링(144)과 밸브몸체(138)를 밸브가이드몸체(124)의 공동(126)내에 삽입하는데, 이 때 밸브대(150)는 밸브몸체(128)에 고착되게 한다.
이상과 같은 준비과정 후 밸브가이드몸체(124)를 요부(116)내에 결합시킨다(도2 참조). 이 때, 밸브가이드몸체(124)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한 돌출부(132a - 132d)들은 홈(120a - 120d)에 미끄러지면서 결합되고, 이에 따라 밸브가이드몸체(124)는 주몸체(106)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밸브몸체(138)의 시일부재(148)는 밸브주몸체(106)의 안착부(114)에 접촉하고, 이 때 코일스프링(144)이 내측으로 압축되면서 밸브가이드몸체(124)에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게 된다(도1 참조).
다음에, 덮개부재(134)를 요부(118)내에 삽입한다. 이 때, 덮개부재(134)는 밸드가이드몸체(124)를 코일스프링(144)의 탄력에 대항하여 가압하면서 그러나 제 2 결합돌출부(136a - 136d)들이 제 1 결합돌출부(122a - 122d)와 접촉하지 않게 하는 상태로 요부(118)내에 삽입된다.
그 뒤에, 덮개부재(134)를 밸브주몸체(106)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제 1 결합돌출부(122a - 122d)들과 제 2 결합돌출부(136a - 136d)들을 서로 결합시킨다. 또한, 밸브가이드몸체(124)의 돌출부(133a, 133b)들을 덮개부재(134)의 요부(137a - 137d)들의 해당 쌍의 내측에 각기 결합시킨다(도4 및 도5 참조). 밸브가이드몸체(124)의 돌출부(132a - 132d)들이 홈(120a - 120d)에 결합됨에 따라, 밸브가이드몸체(124)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이와 유사하게 덮개부재(134)도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그 결과, 덮개부재(134)의 예상치 않은 이탈의 문제점은 없다.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밸브가이드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 및 이점을 제공한다.
즉, 유압장치인 감압밸브내에 위치하는 밸브가이드몸체(124)에 가해지는 압력을 금속성의 덮개부재(134)가 지탱하고 있기 때문에, 밸브가이드몸체(124)를 수지성 물질로 형성하더라도 또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밸브가이드몸체(124)에 열화가 발생하더라도 밸브가이드몸체(124)가 손상되는 문제점은 없다. 따라서, 이러한 밸브가이드구조(123)을 사용하는 감압밸브(100)의 내구성이 개선되게 된다.
또한, 밸브가이드몸체(124)가 삽입되는 요부(118)를 형성하는 벽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결합돌출부(122a - 122d)들과 덮개부재(134)에 형성된 제 2 결합돌출부(136a - 136d)들이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덮개부재의 이탈이 방지되고, 단순한 구조에 의해 밸브가이드몸체(12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밸브가이드구조(123)를 사용하는 감압밸브(100)의 비용증가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밸브가이드몸체(124)의 단부상에 형성된 돌출부(133a, 133b)들이 덮개부재(134)에 형성된 요부(137a - 137d)에 결합됨에 따라 덮개부재(134)의 회전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덮개부재(134)가 감압밸브(100)로 부터 우연히 이탈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밸브가이드몸체(124)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32a - 132d)들이 요부(116)를 형성하는 벽에 형성된 홈(120a - 120d)에 결합됨에 따라 밸브가이드몸체(124)는 회전할 수 없고, 덮개부재(134)가 밸브가이드몸체(124)와 일체로 회전하지 않음에 따라 덮개부재(134)의 우연한 이탈에 관련된 문제는 더 이상 없게 된다.
이하,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밸브가이드구조를 사용하는 감압밸브(200)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면은 물론이고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감압밸브(200)의 요부(118)를 형성하는 벽에는 다수의 제 1 결합돌출부(202a - 202d)들이 벽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그리고 90°씩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밸브가이드몸체(206)의 하부에는 금속성 물질로 형성된 덮개부재(208)가 고착되어 감압밸브(200)의 밸브가이드구조(204)를 구성하고 있다. 덮개부재(208)에는 다수의 제 2 결합돌출부(210a - 210d)들이 덮개부재(208)의 원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그리고 90°씩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결합돌출부(210a - 210d)들은 제 1 결합돌출부(202a - 202d)들과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부(118)의 하측 개구에는 외측덮개부재(212)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 외측덮개부재(21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수직으로 만곡부(214a - 214d)들이 형성되어 요부(218)를 형성하는 벽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외측덮개부재(212)는 요부(118)를 폐쇄시키고 있다.
이하, 밸브가이드구조(204)를 구성하는 밸브가이드몸체(206), 덮개부재(208), 그리고 외측덮개부재(212)들을 밸브주몸체(106)에 결합시키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겠다.
먼저, 코일스프링(114)과 밸브몸체(138)들을 밸브가이드몸체(206)의 공동(126)내에 삽입하는데, 이 때 밸브대(150)는 밸브몸체(138)에 고착되게 한다.
이상과 같은 준비과정 후 밸브가이드몸체(204)를 요부(116)내에 결합시킨다. 이 때, 덮개부재(208)의 제 2 결합돌출부(210a - 210d)들은 제 1 결합돌출부(202a - 202d)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일례로, 제 2 결합돌출부(210a)는 덮개부재(208)가 요부(118)내에 삽입될 때 제 1 결합돌출부(202a, 202b)사이의 틈새를 통과하게 된다. 다른 제 1 결합돌출부(202b - 202d)들도 이와 동일한 상태로 되게 된다.
그 뒤에 덮개부재(208)을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제 1 결합돌출부(202a - 202d)들과 제 2 결합돌출부(210a - 210d)들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덮개부재(208)가 요부(118)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그 뒤에 외측덮개부재(212)를 요부(118)내에 결합시킨다. 이 때, 만곡부(214a - 214d)들은 각기 인접하는 제 1 결합돌출부(202a - 202d)들사이에 삽입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부재(208)를 회전시키면 제 2 결합돌출부(210a - 210d)들이 만곡부(214a - 214d)와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덮개부재(208)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밸브가이드구조(204)의 우연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감압밸브(200)에 압력유체가 유입되면 그 압력유체의 압력이 밸브가이드몸체(206)에 가해지는데, 이와 같이 밸브가이드몸체(206)에 가해지는 압력을 금속성의 덮개부재(208)가 지탱하고 있기 때문에, 압력유체로 인해 밸브가이드몸체(206)가 손상되는 문제점은 없다.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 2 실시예의 밸브가이드구조에 따르면 밸브가이드몸체(206)에 가해지는 압력을 금속성의 덮개부재(208)가 지탱하고 있기 때문에 수지성 물질로 형성되는 밸브가이드몸체(206)가 손상되는 문제점은 없다. 따라서, 이러한 밸브가이드구조(204)를 사용하는 감압밸브(200)의 내구성이 개선되게 된다.
또한, 제 1 결합돌출부(202a - 202d)들과 제 2 결합돌출부(210a - 210d)들이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덮개부재(208)가 요부(11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한 구조에 의해 밸브가이드몸체(20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감압밸브(200)의 비용증가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돌출부(202a - 202d)들과 제 2 결합돌출부(210a - 210d)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덮개부재(212)의 만곡부(214a - 214d)들이 인접하는 제 1 결합돌출부(202a - 202d)들사이에 각기 삽입되고, 이에 따라 덮개부재(208)의 회전이 방지되고, 그 결과 덮개부재(208)의 우연한 이동을 방지할수 있으며, 감압밸브(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8에서, 부호30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밸브가이드구조(316)를 사용하는 전자기밸브를 나타낸다. 이 전자기밸브(300)는 제 1 개구(302), 제 2 개구(304), 그리고 제 3 개구(306)가 형성되어 있는 주몸체(308)를 포함하는데, 그 주몸체(308)의 중앙에는 상기 제 1 개구(302), 제 2 개구(304), 그리고 제 3 개구(306)와 연통하는 요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부(310)는 대경의 요부(312)와 연통하고 있다. 도9 및 도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요부(310)에는 축방향으로 다수의 홈(309a - 309d)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309a - 309d)의 하단은 상기 요부(312)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요부(312)를 형성하는 벽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결합돌출부(314a - 314d)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 1 돌출부(314a - 314d)들은 서로 90°씩 간격을 두고 있다.
요부(116)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가이드구조(316)를 구성하는 밸브가이드몸체(318)가 결합되어 있다. 밸브가이드몸체(318)의 외주상에는 O-링(320)이 설치되어, 압력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밸브가이드몸체(318)의 외주상에는 그의 축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출부(321a - 321d)들이 90°씩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321a - 321d)들은 홈(309a - 309d)에 결합되게 되어 있다.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가이드몸체(318)에는 공동(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공동(322)의 바닥부에도 계단부(324)에 의해 공동(3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가이드몸체(318)의 하부에도 돌출부(3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326)상에는 도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돌출부(328a - 328d)들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가이드몸체(318)의 하부에는 덮개부재(330)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 덮개부재(330)의 외주상에는 상기 제 1 결합돌출부(314a - 314d)들과 결합가능한 다수의 제 2 결합돌출부(332a - 332d)들이 90°씩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재(330)의 하부에는 밸브가이드몸체(318)의 돌출부(326)와 결합되는 공동(33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동(334)의 바닥부에는 도9 및 도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328a - 328d)와 결합가능한 다수의 구멍(336a - 336d)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멍(336a - 336d)대신에 돌출부(328a - 328d)들과 결합가능한 요부(즉, 한쪽이 막힌 구멍)(336a - 336d)들을 덮개부재(330)에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요부(310)를 형성하는 벽에는 제 2 개구(304)와 연통하는 홈(33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338)의 아래에는 요부(310)를 형성하는 벽을 따라 안착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홈(338)의 위에서 요부(310)를 형성하는 벽에는 링부재(342)가 고착되어 있고, 이 링부재(342)의 외주상에는 O-링(33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링부재(342)의 하부는 시이트(346)를 형성하고 있다.
요부(310)의 상측 개구 부근에서 그 요부(310)의 벽에는 또 다른 링부재(348)가 고착되어 있고, 이 링부재(348)의 외주상에는 O-링(350)이 설치되어 있다. 링부재(342, 348)사이에는 제 3 개구(306)와 연통하는 홈(352)이 형성되어 있다.
요부(310)의 내부에는 대략 원통형 막대 형상의 밸브몸체(356)가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밸브몸체(356)의 하단에는 공동(358)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동(358)의 상단에는 코일스프링(354)의 일단이 안착되고, 그 코일스프링(354)의 타단은 밸브가이드몸체(318)의 공동(325)의 바닥부상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밸브몸체(356)는 평상시 코일스프링(354)에 의해 화살표 D방향으로 가압되게 된다. 밸브몸체(356)에는 직경이 점차로 감소하는 테이퍼(360a, 360b)에 의해 소경부(365)가 밸브몸체(356)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경부(356)의 중간부분에는 대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경부상에는 고무질의 탄성중합물질로 형성되는 시일(364)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시일(364)은 밸브몸체(356)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와 결합되어,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시일(364)에는 안착부(340, 346)와 접촉하는 시일면(368a, 368b)들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몸체(356)의 상부에는 로드(370)가 고착되어 있는데, 이 로드(370)는 링부재(348)의 상부에 고착된 대략 원통형의 가이드부재(372)의 내부로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다. 로드(370)의 상부는 변위부재(374)내에 형성된 요부(376)에 삽입되는데, 이 로드(270)의 상부에는 플랜지(378)가 형성되어 있어 이 플랜지(378)가 요부(376)를 형성하는 벽에 의해 형성되는 계단부(380)와 결합되고, 이에 따라 로드가 요부(376)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플랜지(378)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382)의 일단이 안착되어 있으며, 이 코일스프링(382)의 타단은 요부(376)를 형성하는 벽의 상부에 고착되는 안착부재(384)상에 안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로드(370)는 평상시 화살표 C방향으로 가압되게 된다.
상기 변위부재(374)는 전자기코일(386)을 구성하는 보빈(bobbin)(388)의 내부에 미끄럼가능하게 위치되며, 보빈(388)상에는 전선을 권취시켜 구성되는 권선(3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기코일(386)은 케이싱(392)으로 보호되어 있다. 이 케이싱(392)의 상부에는 원통형부재(394)가 고착되어 있으며, 그 원통형부재(394)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재(396)가 고착되어 있다. 가이드부재(396)의 내부에는 계단부(398)를 가지고 있는 요부(40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요부(400)에는 안착부재(384)의 상부에 고착되는 핀(402)이 삽입되어 있다. 이 핀(402)에는 계단부(404)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부재의 계단부(398)와 결합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밸브시일구조를 사용하는 전자기밸브(300)는 이상과 같은 기본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하, 이 전자기밸브(300)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먼저, 압력공기공급원과 같은 유압장치(도시 안됨), 실린더, 그리고 배출관을 제 1 내지 제 3 개구(302, 304, 306)에 각기 연결하고, 전자기코일(386)의 권선(390)에 전원을 접속한다.
전원이 아직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밸브몸체(356)는 코일스프링(354)의 탄력에 의해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시일부재(364)의 일단에 형성된 시일면(368b)은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링부재(342)의 안착부(346)에 접촉하게 되어, 시일동작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개구(302, 304)들은 홈(338)을 통해 서로 연통하고, 반면에 제 2 및 제 3 개구(304, 306)간의 연통은 차단된다. 또한, 제 1 개구(302)에 연결된 도시하지 않은 압력공기공급원으로 부터의 압력공기가 제 2 개구(304)에 연결된 실린더(도시 안됨)에 공급되게 된다.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 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변위부재(374)는 전자기코일(386)의 동작에 따라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밸브몸체(356)가 가이드부재(372)의 안내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로드(370)에 의해 코일스프링(354)의 탄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타측의 시일(368a)이 안착부(340)와 접촉하여 시일동작을 행하게 된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개구(302, 304)간의 연통이 차단되며, 반면에 제 2 및 제 3 개구(304, 306)들은 서로 연통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압력공기가 실린더(도시 안됨)로 부터 배출도관(도시 안됨)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그러면 밸브가이드구조(316)을 구성하는 밸브가이드몸체(318)와 덮개부재(330)들을 주몸체(308)의 요부(310, 312)내에 각기 결합시키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겠다.
먼저, 코일스프링(354)을 밸브가이드몸체(318)의 공동(322)내에 삽입하고, 상기 밸브가이드몸체(318)을 요부(310)내에 결합시킨다. 이 때, 밸브가이드몸체(318)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한 돌출부(321a - 321d)들은 홈(309a - 309d)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밸브가이드몸체(318)는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코일스프링(354)은 밸브가이드몸체(318)를 화살표 C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다음에, 덮개부재(330)를 요부(312)내에 삽입한다. 이 때, 덮개부재(330)는 밸드가이드몸체(318)를 코일스프링(354)의 탄력에 대항하여 가압하면서 그러나 제 2 결합돌출부(332a - 332d)들이 제 1 결합돌출부(314a - 314d)와 접촉하지 않게 하는 상태로 요부(312)내에 삽입된다.
그 뒤에, 덮개부재(330)를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제 1 결합돌출부(314a - 314d)들과 제 2 결합돌출부(332a - 332d)들을 서로 결합시킨다. 또한, 밸브가이드몸체(318)의 돌출부(332a - 332d)들을 덮개부재(330)의 요부(336a - 336d)들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덮개부재(33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주몸체(308)로 부터 덮개부재(330)가 우연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의 밸브가이드구조(316)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의 밸브가이드구조(12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밸브가이드몸체(318)에 가해지는 압력을 금속성의 덮개부재(330)가 지탱하고 있기 때문에, 수지성 물질로 형성되는 밸브가이드몸체(318)가 손상되는 문제점은 없다. 따라서, 이러한 밸브가이드구조(316)를 사용하는 전자기밸브(300)의 내구성이 개선되게 된다.
또한, 제 1 결합돌출부(314a - 314d)들과 제 2 결합돌출부(332a - 332d)들이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요부(312)로 부터의 덮개부재(330)의 이탈이 방지되고, 단순한 구조에 의해 밸브가이드몸체(318)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밸브(300)의 비용증가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28a - 328d)가 요부(336a - 336d)에 결합됨에 따라 덮개부재(330)의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돌출부(321a - 321d)들이 홈(309a - 309d)에 결합됨에 따라 밸브가이드몸체(318)는 회전할 수 없고, 덮개부재(330)가 밸브가이드몸체(318)와 일체로 회전하지 않음에 따라 덮개부재(330)의 우연한 이탈에 관련된 문제는 더 이상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가이드몸체에 가해지는 압력유체의 압력을 덮개부재를 통해 지지함으로써 밸브가이드몸체가 유압장치로 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유압장치내에 형성되어 있는 요부내에 결합되는 밸브가이드몸체와,
    상기 요부내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가이드몸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덮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가이드몸체에 가해지는 압력유체의 압력을 상기 덮개부재가 지탱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의 벽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게 형성된 다수의 제 1 결합돌출부들과,
    상기 덮개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돌출부들과 결합가능한 다수의 제 2 결합돌출부들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돌출부들과 상기 제 2 결합돌출부들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덮개부재의 이탈이 방지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내에 결합되는 외측 덮개부재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외측 덮개부재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결합돌출부들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들에 각기 삽입되는 만곡부들을 가지고 있어, 그 만곡부들이 상기 제 2 결합돌출부들과 접촉함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이드몸체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들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돌출부들과 결합가능한 구멍 또는 공동을 가지고 있어 그 돌출부와 구멍들간의 결합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의 외주상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들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유압장치의 요부를 형성하는 벽에 형성된 홈들과 상기 요부의 축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밸브가이드몸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이드몸체에는 밸브몸체가 위치되어, 그 밸브몸체를 통해 상기 밸브가이드몸체에 가해지는 압력유체의 압력을 상기 덮개부재가 지탱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구조.
KR1019980028743A 1997-07-18 1998-07-15 밸브가이드구조 KR100304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419997A JP3845179B2 (ja) 1997-07-18 1997-07-18 バルブガイド構造
JP9-194199 1997-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906A true KR19990013906A (ko) 1999-02-25
KR100304405B1 KR100304405B1 (ko) 2001-11-30

Family

ID=1632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743A KR100304405B1 (ko) 1997-07-18 1998-07-15 밸브가이드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24117A (ko)
JP (1) JP3845179B2 (ko)
KR (1) KR100304405B1 (ko)
CN (1) CN1092309C (ko)
DE (1) DE19831164B4 (ko)
GB (1) GB2327485B (ko)
TW (1) TW39281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2150A1 (en) * 2005-03-14 2006-09-14 National-Oilwell, L.P. Valve assembly with angled valve guide
JP4616059B2 (ja) * 2005-04-15 2011-01-19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流体制御弁
US8740179B2 (en) 2007-04-18 2014-06-03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Two-piece trim for use with fluid regulators
US8840349B2 (en) * 2007-04-20 2014-09-23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Multi-tool adjusting screw
JP5475716B2 (ja) 2011-04-27 2014-04-16 株式会社コガネイ 内部パイロット式減圧弁
CN103430118B (zh) * 2011-05-17 2016-01-13 株式会社小金井 先导式减压阀
CN102563154B (zh) * 2011-12-27 2016-04-20 上海空间推进研究所 一种大流量压力加载式减压阀
JP6086591B2 (ja) * 2013-03-29 2017-03-01 三和テッキ株式会社 付勢力可変弁装置
JP6202530B2 (ja) * 2014-03-12 2017-09-27 株式会社ケーヒン エンジンの吸気量制御装置
JP2019204186A (ja) * 2018-05-22 2019-11-28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減圧弁
CN116538330B (zh) * 2023-07-07 2023-10-27 江苏深蓝航天有限公司 一种多敏感活塞的减压阀
CN116557601B (zh) * 2023-07-11 2023-10-27 江苏深蓝航天有限公司 一种多敏感活塞多复位装置的减压阀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924A (en) * 1906-04-06 1907-01-22 Abraham B Levy Valve.
US1576686A (en) * 1922-04-03 1926-03-16 A W Cash Co Valve
US1758909A (en) * 1927-04-01 1930-05-13 Standard Oil Dev Co Tube closure or header
US2044276A (en) * 1934-08-01 1936-06-16 Roman B Bukolt Container closure
US2211068A (en) * 1937-12-24 1940-08-13 Albert E Vandercock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solids
US2707966A (en) * 1950-05-25 1955-05-10 John F Taplin Pressure regulator valve
US3001668A (en) * 1958-07-28 1961-09-26 Wacline Inc Electric meter case
US3823729A (en) * 1973-05-07 1974-07-16 Ltv Aerospace Corp Differential pressure monitoring valve
DE3026250C2 (de) * 1980-07-11 1984-05-30 Wabco Westinghouse Fahrzeugbremsen GmbH, 3000 Hannover Gehäuseeinsatz mit Entlüftungsöffnung für Ventilgehäuse von druckluftbetätigten Ventilen
CN87203331U (zh) * 1987-06-01 1988-03-02 苏恩远 截止-减压组合阀
CS268990B1 (en) * 1987-12-27 1990-04-11 Dalibor Blazek Device for valve control especially for heating bodies
DE3912779C2 (de) * 1989-04-19 1997-09-11 Linde Ag Druckbegrenzungsventil
CN2076631U (zh) * 1990-11-14 1991-05-08 宁波埃美柯金属制品有限公司 减压阀
US5107887A (en) * 1990-12-03 1992-04-28 The Aro Corporation High pressure fluid regulator
CN1091414A (zh) * 1993-02-24 1994-08-31 顾正桂 乙醇浓缩和回收的萃取精馏工艺
TW298281U (en) * 1993-10-01 1997-02-11 Smc Kk Reducing valve
CN2177853Y (zh) * 1993-11-17 1994-09-21 苏州市腾龙压缩机配件厂 压力调节阀
DE4425705C2 (de) * 1994-07-01 2002-08-01 Storz Karl Gmbh & Co Kg Endoskopisches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6083A (zh) 1999-01-27
JPH1137324A (ja) 1999-02-12
JP3845179B2 (ja) 2006-11-15
KR100304405B1 (ko) 2001-11-30
GB2327485A (en) 1999-01-27
US6024117A (en) 2000-02-15
DE19831164B4 (de) 2010-01-07
TW392811U (ko) 2000-06-01
GB2327485B (en) 2000-07-26
GB9815074D0 (en) 1998-09-09
CN1092309C (zh) 2002-10-09
DE19831164A1 (de) 199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405B1 (ko) 밸브가이드구조
JP3703971B2 (ja) 洩れ検出付きダイアフラムバルブ
EP0480899B2 (en) Live load packing system
KR101359348B1 (ko) 다이어프램 밸브 및 다이프램 밸브의 구성 방법
US5230498A (en) Live load packing system
US6068014A (en) Pressure-reducing valve
RU2461756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мембранный клапан с препятствующим повороту колпачком
JPH0364748B2 (ko)
CA2102583A1 (en) Diaphragm for pressure regulators and method of making
KR20210134723A (ko) 다이어프램 및 다이어프램 밸브
JPH10332041A (ja) 弁シール機構
JPH1182227A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
EP0676548B1 (en) Valve cartridge
US5087081A (en) Water supply hose connect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KR20110027040A (ko) 솔레노이드 밸브
US6662823B2 (en) Auto flow regulator
JP7458019B2 (ja) 開閉弁装置
FI84650B (fi) Engreppsblandventil med ett hydrauliskt verkande organ, som pressar patronen.
GB2350879A (en) Valve guide structure
KR102357776B1 (ko) 밸브
JPH0522082B2 (ko)
KR101798556B1 (ko) 건축물의 슬리브 고정장치
KR102341814B1 (ko) 감압밸브
KR19990071779A (ko) 물꼭지카트리지용앵커유지팩킹을가진플러그
CN215891310U (zh) 一种用于分水器或暖气阀上的自动阀芯改进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