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760A -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760A
KR19990013760A KR1019980027823A KR19980027823A KR19990013760A KR 19990013760 A KR19990013760 A KR 19990013760A KR 1019980027823 A KR1019980027823 A KR 1019980027823A KR 19980027823 A KR19980027823 A KR 19980027823A KR 19990013760 A KR19990013760 A KR 19990013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achine
swing
machine
turning
swi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나기쿠니카주
요시나다히로시
오카무라켄지
오오쯔카사나리토시
칸다토시마사
Original Assignee
안자키사토루
카부시키가이샤고마쓰세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사토루, 카부시키가이샤고마쓰세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사토루
Publication of KR19990013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76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E02F3/964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of several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Abstract

상부 작업기와 하부 작업기와의 간섭이 없는 작업기 자세를 취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간섭을 염두에 두지 않고 하부 작업기의 선회 및 회동동작을 실시하도록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제1작업기(20)를 지지하는 하부선회체(3)를 주행대차(走行臺車)(1)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2작업기(30)를 지지하는 상부선회체(8)를 상기한 하부선회체(3)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하게 배치하여 설치하도록 한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한 제2작업기(30)의 전체를, 상기한 상부선회체(8)의 위면과 그 상부선회체를 위쪽방향으로 평행투영함으로서 얻어지는 평면으로 끼워진 3차원 공간 내로 대부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
본 발명은 주행체 위에 하부선회체를 설치하고 이 하부선회체 위에 상부선회체를 설치하고, 하부선회체 및 상부선회체에 각각 별도의 작업기를 설치하고 이들 2개의 작업기를 사용하여 토목 건설 작업을 실행하는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인 2중 선회식의 2개 작업기를 보유하는 토목 건설 기계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도6에 표시하는 특허 제133159호 공보가 있다.
이 도6에 표시하는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주행대차(100)에 하부선회체(101)를 선회가 자유자재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고, 이 하부선회체(101) 위에 상부선회체(102)를 선회가 자유자재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고 있다. 하부선회체(101)에는 가간(架刊)(103)을 개재하여 로우프 등에 의하여 굴삭기(104)를 장착하고, 상부선회체(102)에는 가간(105), 로우프 등을 개재하여 파쇄기(106)를 장착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도7에 표시하는 실개소 59-58599호 공보가 있다.
이 도7에 표시하는 종래기술은 자동차 해체기에 관한 것이고, 주행체(110) 위에 선회체(111)를 선회가 자유자재하도록 설치하여 위치시키고, 선회체(111)에 프레임(112)을 개재하여 프레스아암(113)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자유자재하도록 설치하고, 또한 프레임(112) 위에 선회바퀴(114)를 개재하여 별도의 프레임(115)을 설치하며, 이 프레임(115)에 붐(116), 아암(117), 파쇄기(118)로 이루어진 작업기를 장착하고 있다. 또, 선회체(111)에 운전실(119)을 장착하고 있다.
전자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가간(105) 및 파쇄기(106)로 이루어진 상부 작업기에 최대 기복(起伏)자세를 취하게 한 경우에 있어서도, 가간(103) 및 굴삭기(104)로 이루어진 하부 작업기의 선회 및 상하회동 운동에 의한 동작범위가 겹치는 경우가 있고, 이 때문에 이 종래기술에서는 예컨대 하부 작업기만에 의하여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상부선회체(102)를 선회시켜 상부 작업기를 하부 작업기의 작업동작범위 밖으로 내보내는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있어서 조작이 번잡하게 된다. 즉, 이 종래기술에서는 상부 작업기와 하부 작업기의 선회각도가 동일한 영역에서는 상부선회체와 하부선회체의 간섭이 발생하며,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operator)는 항상 간섭을 염두에 두고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 이 전자의 종래기술에 있어서 운전실에 관한 기재는 없지만, 운전실이 상부선회체(102)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하면, 상기한 간섭을 고려하여 상부선회체(102)를 선회시켜 상부 작업기를 하부 작업기로부터 퇴피시킬려고 한 경우, 운전실은 상부선회체(102)와 아울러 선회되므로 운전실의 운전석은 하부 작업기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향해 버려서 작업조작을 하기 어렵게 된다. 이것을 고려하여, 운전석 자체를 운전실에 대하여 선회를 자유자재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종래기술도 있다.
또, 전자의 종래기술에 있어서 운전실이 하부선회체(101)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하면, 상부선회체(102)를 선회하여 상부 작업기에 의해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운전석이 향하고 있는 방향에 대하여 상부 작업기가 다른 방향으로 향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후자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고, 붐(116), 아암(117), 파쇄기(118)로 이루어진 상부 작업기에 최대 기복자세를 취하게 했을 때, 프레스아암(113)으로 이루어진 하부 작업기의 선회 및 상하회동운동에 의한 동작범위가 겹치지 않도록 한 것에 관한 기재는 없다.
이 후자는 종래기술에서는 운전실(119)은 하부선회체(11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선회바퀴(114)를 선회하여 상부 작업기를 선회시킨 경우 운전석이 향하고 있는 방향에 대하여 상부 작업기가 다른 방향으로 향해 버린다는 문제도 있다. 이 때문에 이 종래기술에서는 운전석 자체를 선회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2중 선회형 상부 및 하부 작업기를 지닌 건설기계에 있어서, 하부 작업기에 로더계 작업기를 설치하고 상부 작업기에 셔블계 작업기를 설치한 것이 있다.
로더계 작업기는 보통 리프트 아암 및 버킷의 2개의 링크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셔블계 작업기는 붐, 아암, 버킷의 적어도 3개의 링크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셔블계 작업기에 있어서는 2개의 붐을 구비한 것도 있고, 또 아암 및 버킷이 좌우방향으로 오프셋할 수 있도록 아암 측의 제2붐이 차체 측의 제1붐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종류의 2중 선회형 건설기계에 있어서는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는 작업기가 많이 있고, 이것에 주행체의 주행조작과 상부선회체 및 하부선회체의 선회조작이 더해지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2중 선회형 건설기계로 각종의 복합조작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운전석 캐빈 내의 조작레버 및 조작페달에 대한 조작대상의 할당이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상부 작업기에 하부 작업기와의 간섭이 없는 작업기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하여 간섭을 염두에 두지 않으면서 하부 작업기의 선회 및 회동동작을 실시하도록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킨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운전석을 선회하는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상부 작업기 및 하부 작업기중 어느 것을 선회시켜도 항상 작업기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운전석의 방향이 일치하도록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킨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2중 선회식 2종류의 작업기를 보유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각종의 복합조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부 작업기가 격납퇴피자세를 취한 상태를 표시하는 외관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건설기계의 외관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상부 작업기가 격납자세를 취했을 때의 하부 작업기의 동작범위와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4는 선회기구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5는 운전석 캐빈 내의 조작레버, 조작페달의 배치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종래기술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종래기술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행대차(走行臺車) 2, 7 … 선회축(旋回軸)
3 … 하부선회체(下部旋回體) 4 … 프레임(frame)
5 … 리프트아암(lift arm) 6, 11 … 버킷(bucket)
8 … 상부선회체(上部旋回體) 9 … 붐(boom)
10 … 아암(arm) 12 … 운전석
13 … 운전석캐빈(cabin) 20 … 로더계 작업기(하부 작업기)
30 … 셔블계 작업기(상부 작업기) 40… 트랙(track)프레임
41 … 고설(古設) 플레이트(plate) 42 … 링(ring)프레임부
43, 44 … 지승(支承)프레임부 45 … 하단선회 서어클(circle)
46 … 하단선회큰톱니 47 … 로울러(loller)(혹은 굴대)
48 … 하단지지링 49 … 기저 플레이트
50 … 상단선회 서어클(circle) 51 … 상단선회큰톱니
52 … 로울러(혹은 굴대) 53 … 상단 지지링
55 … 하단선회유압모우터 56 … 상단선회유압모우터
57 … 최종출력축 58 … 하단선회 피니언(pinion)
59 … 최종출력축 60 … 상단선회 피니언(pinion)
70 … 아암/상부선회레버 71 … 주행레버
73 … 붐/버킷레버 74 … 로더작업기레버
75 … 하부선회페달 76 … 오프셋페달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한다. 또한 도1은 상부 작업기에 최대 기복자세를 취하게 한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들의 도1 및 도2에 있어서, 주행대차(1)의 상부에는 선회축(2)을 중심으로 수평방향 360°로 회동이 자유자재하게 된 하부선회체(3)가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하부선회체(3)에 프레임(4)이 고설(古設)되어 있다. 프레임(4)에는 리프트아암(5)이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되어 있고, 리프트 아암(5)의 선단에 버킷(6)이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리프트아암(5) 및 버킷(6)에 의하여 로더계 작업기(20)를 구성한다.
하부선회체(3)의 상부에는 선회축(7)을 중심으로 수평방향 360°로 회동이 자유자재한 상부선회체(8)가 배설되어 있고, 이 상부선회체(8)에 붐(9)이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붐(9)의 선단에는 아암(1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되며, 더욱 아암(10)의 선단에는 버킷(11)이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붐(9), 아암(10) 및 버킷(11)에 의하여 셔블계 작업기(30)를 구성한다.
상부선회체(8)에는 운전석(12), 각종 조작레버, 조작페달이 배치되어 설치된 운전석 캐빈(13)이 고설되어 있다. 운전석(12)의 방향과 셔블계 작업기(30)의 방향은 일치한다. 이 경우 하부선회체(3)의 선회축(2)과 상부선회체(8)의 선회축(7)은 같은 축상에 있다.
이 때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표시하듯이 상부 작업기인 셔블계 작업기(30)에 격납퇴피자세(붐(9)을 대략 최대 기복하며, 아암(10) 및 버킷(11)를 수용하는 자세)를 취하게 한 경우 상부선회체(8)의 위쪽면의 위쪽방향공간(도1에 있어서 파선 A, A'로 포위된 공간)으로, 셔블계 작업기(30)의 붐(9), 아암(10) 및 버킷(11)를 완전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 의하면 도3(a)에 그 상면도를 표시하듯이 하부 작업기인 로더계 작업기(20)의 동작영역(B)이, 셔블계 작업기(30)의 격납퇴피영역(C)으로부터 완전히 이간(離間)하도록 되고, 오퍼레이터는 상부 작업기(셔블계 작업기(30))와의 간섭을 염두에 두지 않고 하부 작업기(로더계 작업기(20))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로더계 작업기(20)에 의한 굴삭작업과 하부선회체(3)의 선회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나, 도1에 표시된 것과 같이 셔블계 작업기(30)과 로더계 작업기(20)의 선회각도위치가 동일한 것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오퍼레이터는 상부 작업기와의 간섭을 염두에 둘 필요가 없다.
또, 이 경우에 운전석 캐빈(13)은 상부선회체(8)에 고정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상부선회체(8)를 선회시켜서 상부 작업기(30)를 하부 작업기(20)의 동작범위로부터 퇴피하는 것이 필요한 종래기술에서는, 운전석(12)은 상부선회체(20)의 선회에 따라서 상부 작업기(30)의 퇴피된 방향을 향하게 되므로 작업대상인 하부 작업기(20)와는 별도의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점, 도1의 구성에서는 상부 작업기(30)는 하부 작업기(20)와는 간섭하지 않는 상부선회체(8)의 위쪽방향영역으로 격납되게 되므로, 하부선회체(3)를 선회시켜 하부 작업기(20)를 선회하여도 운전석(12)의 방향과 하부 작업기(20)의 방향이 달라지는 일은 없다.
그런데, 하부 작업기(20)와 상부 작업기(30)의 간섭을 생각하는 경우, 하부선회체(3)의 선회축과 상부선회체(8)의 선회축은 같은축으로 되어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3(b)에 표시하듯이 이들 양 선회축이 오프셋 되어 있던 경우 로더계 작업기(20)의 동작영역(B)이 셔블계 작업기(30)의 격납퇴피영역(C)에 간섭하는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다음에 도4를 사용하여 하부선회체(3) 및 상부선회체(8)의 선회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행대차(1)의 트랙 프레임(40)은 그 중앙부 위쪽면을 평탄하게 구성하며, 또한 그 위쪽영역에 평판형상인 고설 플레이트(41)를 수평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하부선회체(3)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링프레임부(42)와, 이 링프레임부(42)의 상하 양단면에 장착된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는 한쌍의 지승프레임부(43, 44)를 구비하며, 아래쪽방향의 지승프레임부(44)와 트랙프레임(40)의 고설 플레이트(41)와의 사이에 하단선회서어클(45)을 개재시킨 상태로 트랙프레임(40)의 상부에 배치시켜 설치되어 있다.
하단선회서어클(45)은 고리형상을 이루고, 내주면(內周面)의 전체 둘레에 톱니를 보유한 하단선회큰톱니(46)와 다수의 로울러(47)(혹은 굴대)를 개재하여 하단선회큰톱니(46)의 외주부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춰진 고리형상인 하단지지링(48)을 구비한 것이고, 그 하단지지링(48)을 고설 플레이트(41)의 윗면에 고설하는 한편, 하단선회큰톱니(46)를 아래쪽방향 지승프레임부(44)의 아래쪽면에 고설함으로서 연직방향에 따른 선회축중심(α)을 중심으로 하고, 이들 하부선회체(3) 및 주행대차(1)를 상대적으로 360°선회가능하게 하는 상태에서, 그 하부선회체(3)를 주행대차(1)에 지지시키는 작용을 이룬다.
상부선회체(8)는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는 기저 플레이트(49)를 구비하며, 이 기저 플레이트(49)와 하부선회체(3)의 위쪽방향 지승프레임부(43)와의 사이로 상단선회서어클(50)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그 하부선회체(3)의 상부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단선회서어클(50)은 상술한 하단선회서어클(45)의 하단선회큰톱니(46), 다수의 로울러(47) 및 하단지지링(48)과 동일구성된 상단선회큰톱니(51), 다수의 로울러(52) 및 상단지지링(53)을 구비한 것이고, 그 축중심을 하단선회서어클(45)의 선회축중심(α)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단지지링(53)을 기저 플레이트(49)의 아래쪽면에 고설하는 한편, 상단선회큰톱니(51)를 위쪽방향 지승프레임부(43)의 위쪽면에 고설함으로서, 하단선회서어클(45)과 동일한 선회축중심(α)을 중심으로 하고, 이들 상부선회체(8) 및 하부선회체(3)를 상대적으로 360°선회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그 상부선회체(8)를 하부선회체(3)에 지지시키는 작용을 이룬다.
또, 주행대차(1)에는 하단선회유압모우터(55)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또 상부선회체(8)에는 상단선회유압모우터(56)가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하단선회유압모우터(55)는 그 최종출력축(57)에 하단선회피니언(58)을 고착하고, 그 최종출력축(57)의 선단을 연직상방으로 향하게 함과 아울러, 하단선회피니언(58)을 하단선회서어클(45)의 하단선회큰톱니(46)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고설 플레이트(41)의 아래쪽면에 유지시키며, 구동된 경우에 상술된 선회축중심(α)을 중심으로 하여 주행대차(1)와 하부선회체(3)를 상대적으로 360°선회시키는 작용을 이룬다.
상단선회유압모우터(56)는 그 최종출력축(59)에 상단선회피니언(60)을 고착하고, 그 최종출력축(59)의 선단을 연직아래쪽방향으로 향하게 함과 아울러, 상단선회피니언(60)을 상단선회서어클(50)의 상단선회큰톱니(51)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기저 플레이트(49)의 위쪽면에 유지시키며, 구동된 경우에 상술한 선회축중심(α)을 중심으로 해서 하부선회체(3)와 상부선회체(8)를 상대적으로 360°선회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4에 표시하게 되는 선회기구에 의해서, 하부선회체(3)를 주행대차(1)에 대하여 선회시키는 선회조작을 실시한 경우는 상부선회체(8)가 하부선회체(3)와 함께 선회함과 아울러, 상부선회체(8)를 하부선회체(3)에 대하여 선회시키는 선회조작을 실시한 경우는 상부선회체(8)가 하부선회체(3)에 대하여 선회하는 선회동작을 실현하고 있다.
이 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1 및 도2에 표시하듯이, 운전석 캐빈(3)은 종래기술과 같이 하부선회체(3)에 대해서는 아니고, 상부선회체(8)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 작업기(30) 및 하부 작업기(20) 중 어느 것을 선회시켜도 항상 작업기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운전석(12)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되고, 이것에 의하여 운전석(12) 자체를 선회시키는 선회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장치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치비용을 낮출 수 있다.
다음에 도5에 운전석 캐빈(13)의 내부구성을 표시한다.
도5에 있어서, 12는 운전석, 70은 아암/상부선회레버, 71은 주행레버, 73은 붐/버킷레버, 74는 로더작업기레버, 75는 하부선회페달, 76은 셔블계 작업기의 아암을 좌우방향으로 오프셋하기 위한 오프셋 페달이다. 또한 도1 및 도2에 있어서는 상기한 오프셋 기구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이 경우, 아암/상부선회레버(70)는 그 레버를 전후방향으로 변위시키면 아암(10)이 회동되며, 그 레버를 좌우방향으로 변위시키면 상부선회체(8)가 선회되도록 되어 있다. 붐/버킷레버(73)는 그 레버를 전후방향으로 변위시키면 붐(9)이 회동되고, 그 레버를 좌우방향으로 변위시키면 버킷(11)이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로더작업기레버(74)는 그 레버를 전후방향으로 변위시키면 리프트 아암(5)가 회동되고, 그 레버를 좌우방향으로 변위시키면 버킷(6)이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하부선회페달(75)은 그 페달의 전방측을 밟으면 하부선회체(3)가 오른쪽으로 선회되고, 그 페달의 후방측을 밟으면 하부선회체(3)가 왼쪽으로 선회되는 시이소오 타입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5에 있어서는 하부선회체(3)를 조작페달(75)에 의하여 선회조작하고 상부선회체(8)를 수동레버(70)에 의하여 선회조작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여러 가지의 복합조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된다.
예컨대, 로더계 작업기(20)의 좌측으로의 사이드 덤프조작을 실시하는 경우는 주행대차(1)에 대하여 좌측방향으로 하부선회체(3)를 선회조작시키고, 또한 하부선회체(3)에 대하여 상부선회체(8)를 상기한 것과 동일속도로 역방향으로 선회조작함으로서 주행대차(1)에 대하여 상부선회체(8)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하부선회체(3) 만을 왼쪽으로 선회시키고, 또한 이것에 로더계 작업기(20)의 리프트아암의 상하조작과 버킷의 덤프틸트(dump tilt)조작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지만, 도5에 있어서는 왼손으로 아암/상부선회레버(70)를 오른쪽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오른손으로 로더작업기레버(74)를 조작하고, 왼발로 하부선회페달(75)의 후방측을 밟으므로서 이것을 쉽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좌우의 손으로 아암/상부선회레버(70) 및 붐/버킷레버(73)를 조작하여 왼발로 하부선회페달(75)을 밟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서 셔블계 작업기(30)를 조작하면서 로더계 작업기(20)를 선회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주행레버(71), 로더작업기레버(74) 및 하부선회페달(75)을 동시에 조작하면, 주행대차(1)의 주행조작, 로더계 작업기(20)의 상하회동조작, 로더계 작업기(20)의 선회조작을 동시에 실시하는 복합조작도 가능하다.
또한, 도5에서는 하부선회체(3)를 페달에 의하여 조작하며 상부선회체(8)를 레버에 의하여 조작하도록 하였지만 이들을 역으로 하여도 좋다. 또, 하부선회페달(75)은 왼발로 밟는 위치로 배치하여 설치했지만 오른발로 밟는 위치로 배치하여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선회체에 로더계 작업기를 설치하고 상부선회체에 셔블계 작업기를 설치하도록 하였지만, 이들 하부선회체 및 상부선회체에 설치하는 작업기의 종류는 임의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작업기를 지지하는 하부선회체를 주행대차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2작업기를 지지하는 상부선회체를 상기한 하부선회체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로 되게 배치하여 설치하도록 한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한 제2작업기 전체를, 상기한 상부선회체의 위면과 그 상부선회체를 위쪽방향으로 평행투영함으로서 얻어지는 평면으로 끼워진 3차원 공간내로 대부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제2작업기(상부 작업기)의 전체를 상부선회체의 위면과 그 상부선회체를 위쪽방향으로 평행하게 투영함으로서 얻어지는 평면으로 끼워진 3차원 공간 내로 수용할 수 있는 퇴피격납자세를 제2작업기에 취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부 작업기를 선회조작하지 않고 제1작업기(하부 작업기)의 동작범위 밖으로 상부 작업기를 퇴피할 수 있게 되고, 이것에 의하여 오퍼레이터는 상부 작업기와의 간섭을 염두에 두지 않고 하부 작업기를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작업기의 선회동작과 상하회동동작 등을 동시에 실시하는 복합조작을 실시하는 경우 혹은 상부 작업기와 하부 작업기의 선회각도위치가 동일한 경우에 있어서도, 오퍼레이터는 상부 작업기와의 간섭을 염두에 둘 필요가 없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제1작업기를 지지하는 하부선회체를 주행대차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2작업기를 지지하는 상부선회체를 상기한 하부선회체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함과 아울러, 하부선회체의 주행대차에 대한 선회조작을 실시했을 때 상부선회체가 하부선회체와 아울러 선회되고, 또한 상부선회체의 하부선회체에 대한 선회조작을 실시했을 때 상부선회체가 하부선회체에 대하여 선회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운전석 캐빈을 상기한 상부선회체에 고정설치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하부선회체의 주행대차에 대한 선회조작을 실시한 경우는 상부선회체가 하부선회체와 아울러 선회되고, 또한 상부선회체의 하부선회체에 대한 선회조작을 실시한 경우는 상부선회체가 하부선회체에 대하여 선회하는 선회구성에 있어서, 운전석 캐빈을 상기한 상부선회체에 고정설치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부 작업기 및 하부 작업기 중 어느 것을 선회시켜도 항상 작업기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운전석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되고, 이것에 의하여 운전석의 선회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며 장치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치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제1작업기를 지지하는 하부선회체를 주행대차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2작업기를 지지하는 상부선회체를 상기한 하부선회체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한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선회체 및 상기한 상부선회체 중에서 한쪽을 수동레버에 의하여 선회조작함과 아울러 다른쪽을 조작페달에 의하여 선회조작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에서는 하부선회체 및 상기한 상부선회체 중에서 한쪽을 수동레버에 의하여 선회조작함과 아울러, 다른쪽을 조작페달에 의하여 선회조작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각종의 복합조작이 쉽게 할 수 있도록 된다.
예컨대, 제1작업기를 리프트 아암 및 버킷를 보유하는 로더계 작업기로 한 경우 주행대차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쪽으로 하부선회체를 선회조작시키고, 또한 하부선회체에 대하여 상부선회체를 상기한 것과 동일 속도에서 역방향으로 선회조작함으로서 상부선회체를 주행대차에 대하여 정지시키고, 하부선회체만을 주행대차에 대하여 선회시키게 되지만, 또한 이것에 로더계 작업기의 리프트 상하조작과 버킷의 덤프틸트조작을 가하면 로더 셔블의 사이드 덤프(side dump)의 이상적인 조작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또, 하부선회체의 선회조작을 조작페달에 의하여 실시하도록 하면 셔블계 작업기를 수동조작하고 있는 때 하부 작업기의 선회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 하부선회체의 선회조작을 조작페달에 의하여 실시하도록 하면 주행대차의 주행조작, 로더계 작업기의 상하회동조작, 로더계 작업기의 선회조작을 동시에 실시할 수도 있다.

Claims (7)

  1. 제1작업기를 지지하는 하부선회체를 주행대차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2작업기를 지지하는 상부선회체를 상기한 하부선회체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하게 배치하여 설치하도록 한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한 제2작업기 전체를, 상기한 상부선회체의 위면과 그 상부선회체를 위쪽방향으로 평행투영함으로서 얻어지는 평면으로 끼워진 3차원 공간내로 대부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선회체의 선회축과 상기한 상부선회체의 선회 축을 수평평면내의 거의 동일 위치로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선회체 위에 운전석 캐빈을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4. 제1작업기를 지지하는 하부선회체를 주행대차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2작업기를 지지하는 상부선회체를 상기한 하부선회체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함과 아울러, 하부선회체의 주행대차에 대한 선회조작을 실시했을 때 상부선회체가 하부선회체와 함께 선회되고, 또한 상부선회체의 하부선회체에 대한 선회조작을 실시했을 때 상부선회체가 하부선회체에 대하여 선회하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운전석 캐빈을 상기한 상부선회체에 고정설치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선회체의 선회축과 상기한 상부선회체의 선회 축을 수평평면내의 거의 동일 위치로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6. 제1작업기를 지지하는 하부선회체를 주행대차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2작업기를 지지하는 상부선회체를 상기한 하부선회체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자재하게 배치하여 설치하도록 한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선회체 및 상기한 상부선회체 중에서 한쪽을 수동레버에 의하여 선회조작함과 아울러, 다른쪽을 조작페달에 의하여 선회조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작업기는 복수의 작업기가 연결된 로더계 작업기이고, 상기한 제2작업기는 복수의 작업기가 연결된 셔블계 작업기이며, 상기한 로더계 작업기 및 셔블계 작업기의 각 작업기는 수동레버에 의하여 조작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KR1019980027823A 1997-07-11 1998-07-10 건설기계 KR199900137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86532A JPH1129958A (ja) 1997-07-11 1997-07-11 建設機械
JP97-186532 1997-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760A true KR19990013760A (ko) 1999-02-25

Family

ID=1619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823A KR19990013760A (ko) 1997-07-11 1998-07-10 건설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129958A (ko)
KR (1) KR19990013760A (ko)
WO (1) WO1999002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1003B1 (en) 1999-10-25 2002-05-21 Antares Pharma, Inc. Locking mechanism for a jet injector
WO2023171059A1 (ja) * 2022-03-08 2023-09-14 日本国土開発株式会社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882Y1 (ko) * 1972-10-03 1975-04-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9958A (ja) 1999-02-02
WO1999002790A1 (fr) 199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2763B2 (ja) 建機車輌
EP3396073B1 (en) Device for operating construction machine
JP4509796B2 (ja) 掘削・積載機械
US3612310A (en) Dredging loader
JP3655429B2 (ja)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EP0791693B1 (en) Working vehicle
JPH0474491B2 (ko)
KR19990013760A (ko) 건설기계
JP4108913B2 (ja) 土工機械用運転室
JP3558561B2 (ja) トラクタ
JP4256219B2 (ja) 建設機械
JPH09189047A (ja) 建設機械
JP7008526B2 (ja) 作業車両
JP4699583B2 (ja) ホイールクレーン
EP0670391B1 (en) A compact multi-use mobile work tool
JPH1136368A (ja)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JP4234815B2 (ja) 旋回作業機
JPH0721642Y2 (ja) 建設機械の旋回装置
JP2017144865A (ja) 作業車両
JP2612806B2 (ja) 走行型重量物ハンドリング装置
JPH0523641Y2 (ko)
JP3784519B2 (ja) 超小旋回作業機
JP2024052003A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JP4671826B2 (ja) バックホー
JPH0752198Y2 (ja) 動力作業機における操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