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584A -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584A
KR19990013584A KR1019980026801A KR19980026801A KR19990013584A KR 19990013584 A KR19990013584 A KR 19990013584A KR 1019980026801 A KR1019980026801 A KR 1019980026801A KR 19980026801 A KR19980026801 A KR 19980026801A KR 19990013584 A KR19990013584 A KR 19990013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address
decoding
speech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9267B1 (ko
Inventor
이노우에다께오
Original Assignee
다까노야스아끼
상요덴기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야스아끼, 상요덴기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1999001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링 메모리(2)의 최종 어드레스로부터 제1 어드레스로 복귀해서 부호 Ln을 계속해서 기록한 후에 일시 중단(퍼즈)해서 이 링 메모리(2)의 임의의 어드레스 이후의 어드레스에 기록한 부호 Ln'를 판독하여 재생 출력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부호를 판독하여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에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임의의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부호를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경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는 제1 스텝 및 상기 제2 스텝에서의 비교 처리의 결과, 상기 출력 파라메터의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한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조정하는 제2 스텝을 행한다.

Description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본 발명은 무종단 기억 수단 예를 들면 링 메모리에 순차 기록된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혹은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으로 이루어진 음성 데이타를 재생 출력하는 경우에, 그 링 메모리의 임의의 어드레스 또는 음성 데이타의 링 메모리로의 기록을 중단했을 때의 어드레스 등으로부터 소리의 끊어짐없이 그 음성 데이타를 판독하여 재생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음성 정보의 대역 압축 방법 중 하나로서 ADPCM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음성의 인접 표본 간 예를 들면, 시간 tn과 tn+1의 음성 데이타에서 시간 tn에 산출한 예측치와 시간 tn+1에서의 음성 데이타와의 차분을 취해서 이 차분을 부호화하여 ADPCM 부호로 함으로써 음성 데이타를 압축하고 한편 재생 출력하는 경우에는 그 부호를 복호함으로써 차분 신호의 역양자화값을 얻어 그 값을 차례 차례 가산함으로서 통상의 PCM 부호 형식의 음성을 재생하는 방법이다.
또한, ADPCM 방법은 차분 신호의 역양자화 값을 얻을 때에 필요해지는 양자화폭을 ADPCM 부호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화시켜 갈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도 18은 ADPCM의 음성 데이타를 부호화해서 일단 링 메모리에 부호를 축적한 후, 그 부호를 복호화해서 재생 출력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8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타는 순차 ADPCM 부호화 수단(1)으로 부호화된 후, 부호 Ln으로서 링 메모리(2)에 기록된다. 한편, 재생 출력하는 경우에는 그 링 메모리(2)로부터 부호 Ln'를 판독해서 ADPCM 복호화 수단(3)으로 순차 복호화된 후 재생 출력된다.
다음에 도 19는 ADPCM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서 보이드의 동그라미는 현실의 음성 데이타를 또한 흑색 동그라미는 ADPCM 부호화 수단으로 부호 Ln을 역양자화해서 구한 음성 데이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보이드의 사각은 직전의 샘플링 시에서 ADPCM 부호화 수단으로 복호화한 흑색 동그라미와 동일한 값을 갖는 예측치이다.
또한, 도 20은 ADPCM 부호화 수단(1)의 구체적 구성도 또한 도 21은 ADPCM 복호화 수단(2)의 구체적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의 ADPCM 부호화 수단(1)에 신호 xn이 입력되면 ADPCM 부호화 수단(1)은 그 신호 xn과 예측 신호 yn과의 차분 dn을 구하고 ADPCM 부호화 수단(1) 내의 적응 양자화기는 이 차분 dn을 양자화폭 Δn에 기초해서 부호화(양자화)를 행하고 Ln을 구한다. 이 후, ADPCM 부호화 수단(1)은 그 부호 Ln을 복호화(역양자화) 하여 역양자화치 qn'를 구함과 동시에 부호 Ln을 링 메모리(2)에 기록한다(이것을 일반적으로 「ADPCM 부호화」라고 한다. ).
한편, 재생 출력하는 경우에는 도 21의 ADPCM 복호화 수단(3)은 링 메모리(2)에 기록된 부호 Ln'를 판독한 후, ADPCM 부호화 수단(1)으로 행해진 부호화와 역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복호화하여 복호화 신호 wn'(=wn)를 구한다(이것을 일반적으로 「ADPCM 복호화」 라고 한다. ).
일반적으로 링 메모리(2)에 부호 Ln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어드레스 0000H(16 진수로 표현)로부터 부호 Ln을 기록하거나 또한 판독하기 시작하고, 어드레스 FFFFH(16진수에서 표현)에 도달하면 어드레스 0000H로 되돌아가 다시 부호 Ln을 덧씌우거나 또한 부호 Ln'를 판독하거나 한다.
여기서, 도 22는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2a에서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과 같이 링 메모리(2)의 최종 어드레스 FFFFH로부터 최초의 어드레스 0000H로 복귀해서 부호 Ln을 계속해서 기록한 후에 일시 중단(퍼즈)하여 이 링 메모리(2)에 기록된 부호 Ln'를 판독하여 재생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종래에서는 재생 출력하려고 해도 링 메모리(2)의 최초 어드레스 혹은 일시 중단(퍼즈)했을 때의 링 메모리(2)의 중단 어드레스에 각각 기억된 부호 Ln에 관한 ADPCM 복호화 시에서의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기억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ADPCM 복호화 처리를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링 메모리(2)에 부호 Ln을 어드레스 0000H로부터 어드레스 FFFFH까지 기록한 후, 또한 어드레스 0000H로 복귀해서 부호 Ln을 계속해서 기록한 후에 예를 들면 일시 중단(퍼즈)한 경우, 링 메모리(2)에서의 어드레스 0000H의 부호 Ln에 관한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기억 유지해 두므로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 0000H(선두 어드레스) 이후에 기록된 부호 Ln을 재생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과 같이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 FFFFH로부터 어드레스 0000H로 복귀하여 부호 Ln을 계속해서 기록한 후에 링 메모리(2)의 임의의 어드레스로부터 재생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때, 음성 부호화 복호화 장치에 설치된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여 재생 음성을 출력해서 그 재생 음성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 등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링 메모리(2)의 임의의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의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각각 yn=0, Δn=1로 정식 설정한다.
한편, 재생 음성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보다 작은 경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양자화폭 Δn의 초기치를 증가(수정)시킴으로써 ADPCM 복호화 처리해서 재생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은 입력 신호 xn과 상기 입력 신호의 예측치 yn과의 차분을 양자화폭 Δn을 이용하여 음성 부호화 처리함으로써 부호를 구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호를 판독하여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음성 복호화 수단과 상기 음성 복호화 수단에서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한 양자화폭의 값을 조정하는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임의의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부호를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경우,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는 제1 스텝 및 상기 제1 스텝에서의 비교 처리의 결과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한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조정하는 제2 스텝을 행하고 상기 음성 복호화 수단은 상기 제2 스텝에서 조정된 양자화폭의 초기치에 기초해서 순차 재생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 파라메터란 상기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 파워 및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 및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 중 어느 하나의 파라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임의의 어드레스로부터 부호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지는 재생 출력 신호에 뮤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성 복호화 부호화 방법은 입력 신호 xn과 상기 입력 신호의 예측치 yn과의 차분을 양자화폭 Δn을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 처리함으로써 부호를 구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호를 판독하여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음성 복호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음성 부호화 수단에서 구해진 부호를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1 어드레스에 기록하는 경우, 상기 부호를 구할 때에 이용한 제1 내부 파라메터 값을 제1 내부 상태 제어 수단에 의해서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한편 상기 부호를 음성 복호화 처리할 때에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 내부 파라메터 값을 제1 내부 상태 판독 수단에 의해서 판독하여 음성 부호화 복호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내부 파라메터 값이란 상기 음성 부호화 처리 시에 이용하는 예측치 yn을 구하기 위한 파라메터, 상기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억 수단은 링 메모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1 어드레스로부터 부호를 판독해서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에 뮤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1 어드레스 이전의 소정 어드레스로부터 판독한 부호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에 대해 1로부터 0으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어드레스 이후의 소정 어드레스까지 판독한 부호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에 대해 0으로부터 1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은 입력 신호 xn과 상기 입력 신호의 예측치 yn과의 차분을 양자화폭 Δn을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 처리함으로써 부호를 구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호를 판독해서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음성 복호화 수단과 상기 음성 복호화 수단에서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한 양자화폭의 값을 제어하는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로부터 부호를 판독하면서 음성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하는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임계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하는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은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하는 예측치 yn을 구하기 위한 파라메터, 상기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억 수단은 링 메모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 파라메터란, 상기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 파워 및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 및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 중 어느 하나의 파라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으로 이용하는 임계치를 설정하는 임계치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어드레스가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대한 부호의 기록을 중단했을 때의 어드레스이며 이 제2 어드레스를 중단 어드레스로서 기억하는 중단 어드레스 기억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로부터 부호를 판독해서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에 뮤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 이전의 소정 어드레스로부터 판독한 부호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에 대해 1로부터 0으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어드레스 이후의 소정 어드레스까지 판독한 부호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에 대해 0으로부터 1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을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을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해서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재생 출력 신호의 파워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을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파워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의 파워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해서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양자화폭의 최대치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여,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하여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상기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서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최후의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소정 샘플수분에 대해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해서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의 파워로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하여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소정 샘플수분에 대해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최후의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의 파워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클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의 파워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 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해서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 음성 복호화 할 때의 양자화폭의 최대치로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소정 샘플수분에 대해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 이용된 양자화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해서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양자화폭의 합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소정 샘플수분에 대해서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계치 설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 이전에 기억된 부호에 기초해서 재생된 출력 신호의 진폭 또는 파워에 기초해서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계치 설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 이전에 기억된 부호에 기초해서 재생된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 이하 또는 파워의 값 이하의 값에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계치 설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 이전에 기억된 부호에 기초해서 재생된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 또는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에 기초해서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계치 설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 이전에 기억된 부호에 기초해서 재생된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의 최대치 이하 또는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의 값 이하의 값에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은 입력 신호 xn과 상기 입력 신호의 예측치 yn과의 차분을 양자화폭 Δn을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 처리함으로써 부호를 구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에 따라서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음성 복호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부호를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경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는 제1 스텝 및 상기 제1 스텝에서의 비교 처리의 결과,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한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조정하는 제2 스텝을 행하고 상기 음성 복호화 수단은 상기 제2 스텝에서 조정된 양자화폭의 초기치에 기초해서 순차 재생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은 입력 신호 xn과 상기 입력 신호의 예측치 yn과의 차분을 양자화폭 Δn을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 처리함으로써 부호를 구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호를 판독해서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음성 복호화 수단과 제3 내부 파라메터 값을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게하는 제2 내부 상태 조정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호를 판독할 때의 판독 어드레스를 제어하는 어드레스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억 수단은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에 상기 부호를 기억하는 경우 제2 내부 상태 제어 수단에 의해서 상기 부호를 구할 때에 이용한 제3 내부 파라메터 값을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한편, 상기 부호를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경우, 상기 어드레스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재생 개시 어드레스로 해서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재생 개시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부호를 구할 때에 이용한 제3 내부 파라메터 값을 제2 내부 상태 판독 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제3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내부 파라메터 값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에 기억된 상기 부호를 구할 때에 이용된 예측치 yn을 구하기 위한 파라메터, 상기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드레스 제어 수단에 의해서 결정된 재생 개시 어드레스는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의 상기 부호의 기록을 중단한 어드레스가 속하는 블럭 직후의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억 수단은 링 메모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은 과거의 음성 부호화 처리에서 구해진 제4 내부 파라메터 값에 따라서 현시점에서의 음성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호를 판독하여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음성 복호화 수단과 상기 음성 복호화 수단에서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한 상기 제4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임의의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부호를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경우,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는 제1 스텝 및 상기 제1 스텝에서의 비교 처리의 결과,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할 때에 이용한 상기 제4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제2 스텝을 행하고 상기 음성 복호화 수단은 상기 제2 스텝에서 제어된 제4 내부 파라메터 값에 기초해서 순차 재생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 내부 파라메터 값이란, 상기 음성 부호화 처리할 때에 구해진 부호, 현시점에서의 음성 부호화 처리에 이용하는 음성 신호의 예측치, 상기 예측치를 구하기 위한 파라메터, 과거의 음성 부호화 처리에서 구해진 전력 또는 상기 전력을 구하기 위한 파라메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ADPCM에 의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부호화·복호화의 동작 설명에 이용하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ADPCM에 의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동작 설명에 이용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ADPCM에 의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동작 설명에 이용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ADPCM에 의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동작 설명에 이용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제1 기억 수단(링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ADPCM에 의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낸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11은 제5 실시 형태에서 링 메모리(2)에 부호 Ln을 기억한 후 링 메모리(2)의 임의 어드레스를 판독 개시점으로 해서 그 부호 Ln'를 판독할 때의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2는 링 메모리(2)의 임의의 어드레스로부터 부호 Ln'를 판독해서 재생 출력하는 경우의 동작 설명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3는 제1 기억 수단(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
도 14는 본 발명의 ADPCM에 의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낸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동작 설명에 이용하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도 14에 도시한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동작 설명에 이용하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18은 종래의 ADPCM의 음성 데이타를 부호화한 후, 복호화하여 재생 출력하기 위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19는 ADPCM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ADPCM 부호화 수단(1)의 구체적 구성도.
도 21은 ADPCM 복호화 수단(2)의 구체적 구성도를 나타낸 것.
도 22는 제1 기억 수단(링 메모리)의 어드레스와 기억 영역(구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DPCM 부호화 수단
2 : 제1 기억 수단(링 메모리)
3 : ADPCM 복호화 수단
4a : 제1 내부 상태 제어 수단
4b : 제2 내부 상태 제어 수단
5 : 제2 기억 수단(버퍼)
6a : 제1 내부 상태 판독 수단
6b : 제2 내부 상태 판독 수단
7 : 임계치 설정 수단
8 : 내부 상태 조정 수단
9 : 뮤트 처리 수단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 ∼ 도 13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ADPCM에 의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서 1은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ADPCM에 의한 부호화를 행하는 ADPCM 부호화 수단이며 이 ADPCM 부호화 수단(1)에 의한 부호화 처리는 종래의 부호화 처리와 동일하다. 2는 ADPCM 부호화 수단(1)에 의해서 부호화된 부호 Ln을 기억하는 무종단으로 이루어진 제1 기억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링 메모리가 해당된다.
3은 링 메모리(2)에 기억된 부호 Ln'를 판독하여 ADPCM 복호화하는 ADPCM 복호화 수단, 4a는 부호 Ln을 링 메모리(2)의 제1 어드레스(예를 들면, 16진수로 표현한 「어드레스 0000H」로 하고 이하 「제1 어드레스」라고 한다. )에 기록할 때의 ADPCM 부호화 수단(1)의 제1 내부 파라메터 값의 일종인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후술하는 버퍼(5a)에 기록하기 위한 제1 내부 상태 제어 수단이다.
5a는 ADPCM 부호화 수단(1)에 의해서 부호화된 부호 Ln을 링 메모리(2)의 제1 어드레스에 기록할 때의 ADPCM 부호화 수단(1)의 제1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기억하는 제2 기억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버퍼가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링 메모리(2)와 버퍼(5a)를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동일 구성으로 해서 되는 것은 물론이다.
6a는 ADPCM 복호화 수단(3)이 부호 Ln'를 링 메모리(2)의 제1 어드레스로부터 판독할 때에 ADPCM 부호화 수단(1)의 제1 내부 파라메터 값의 일종인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버퍼(5a)로부터 판독하기 위한 제1 내부 상태 판독 수단이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한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동작 설명을 한다
우선, 도 2a를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의 동작 설명을 한다.
도 2a에서 스텝 S0에서는 ADPCM 부호화 수단(1)에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샘플링 처리된 음성 신호가 순차 입력된다. 스텝 S1에서는 ADPCM 부호화 수단(1)으로 순차 ADPCM 부호화 처리가 되어서 부호 Ln을 구한다. 스텝 S2에서는 부호 Ln을 링 메모리(2)에 기억한다. 스텝 S3에서는 링 메모리(2)에 부호 Ln을 기억할 때의 어드레스가 제1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제1 어드레스이면 후술하는 스텝 S4로 진행하고 한편 제1 어드레스가 아니면 후술하는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링 메모리(2)의 제1 어드레스에 기록할 때의 ADPCM 부호화 수단(1)의 제1 내부 파라메터 값의 일종인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버퍼(5a)에 기억한다. 이 처리에 의해서 ADPCM 음성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 링 메모리(2)의 제1 어드레스로부터 음성 복호화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5에서는 계속해서 음성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 Ln을 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계속하여 부호 Ln을 기억하는 것이면 스텝 S2로 복귀하고 한편 부호 Ln을 기억하지 않은 것이면 종료한다.
우선, 도 2b를 이용해서 음성 복호화의 동작 설명을 한다.
도 2b에서 스텝 S6에서는 링 메모리(2)로부터 부호 Ln'를 판독해서 ADPCM 복호화 수단(3)에 보낸다. 이 때, 일반적으로는 링 메모리(2)로의 기록 및 판독이 정상적으로 행해지며 또한 부호 오류가 없는 경우는 부호 Ln과 부호 Ln'는 동일 값이며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도 동일하다.
스텝 S7에서는 링 메모리(2)로부터 부호 Ln'를 판독했을 때의 어드레스가 제1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제1 어드레스이면 후술하는 스텝 S8로 진행하고 한편 제1 어드레스가 아니면 후술하는 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 S8에서는 버퍼(5a)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어드레스에서의 제1 내부 파라메터 값의 일종인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판독한다.
스텝 S9에서는 ADPCM 복호화 수단(3)으로 순차 부호 Ln'를 ADPCM 복호화 처리한다.
스텝 S10에서는 계속해서 음성 복호화를 행하여 부호 Ln'의 복호화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계속해서 부호 Ln'를 판독하는 것이면 스텝 S6으로 복귀하고 한편 부호 Ln'를 판독하지 않은 것이면 종료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ADPCM에 의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음성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 형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 7은 후술하는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에서 이용한 ADPCM 복호화 수단(3)으로부터 출력된 「재생 음성의 진폭(의 최대치)」에 관한 임계치를 설정하는 임계치 설정 수단, 8은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이며 이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은 ADPCM 복호화 수단(3)으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음성의 진폭의 최대치와 임계치 설정 수단(7)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의 대소 관계를 비교해서 그 임계치를 넘는지의 여부의 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혹시 재생 음성의 진폭의 최대치가 임계치를 넘지 않은 경우는 양자화폭 Δn의 값이 커지도록 수정하고 한쪽 재생 음성의 진폭의 최대치가 임계치를 넘는 경우는 양자화폭 Δn의 값을 변경하지 않도록 조정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에서의 판정 파라메터의 종류로서 「재생 음성의 진폭의 최대치」에 주목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판정 파라메터로서,
(1) 재생 음성 진폭의 변동폭
(2) 재생 음성의 파워,
(3)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양자화폭의 최대치,
(4)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
(5) 소정 샘플수분을 음성 복호화하고 그 중에 마지막으로부터 소망 샘플수(1 ∼ 100이 바람직하다.) 분의 재생 음성 진폭의 최대치,
(6) 소정 샘플수분을 음성 부호화하고 그 중에 마지막으로부터 소망 샘플수(1 ∼ 100이 바람직하다. ) 분의 재생 음성의 진폭의 변동폭
(7) 소정 샘플수분을 음성 복호화하고 그 중에 마지막으로부터 소망 샘플수의 재생 음성의 파워,
(8) 소정 샘플수분을 음성 복호화하고 그 중에 마지막으로부터 소망 샘플수의 양자화폭의 최대치 혹은,
(9) 소정 샘플수분을 음성 복호화하고 그 중에 마지막으로부터 소망 샘플수의 양자화폭의 합,
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소정 샘플수 소망 샘플수).
그런데, 임계치 설정 수단(7)은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으로 사용하는 「판정 파라메터」와 동일한 판정 파라메터를 이용하는 것을 요한다.
임계치 설정 수단(7)에 의해서 설정되는 임계치의 구체적인 설정은 그 임계치 설정 수단(7)이 판정 파라메터로서 예를 들면, 「진폭의 최대치」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임계치 설정 수단(7)에 의해서 설정되는 임계치는 이전에 재생 출력한 음성의 「진폭의 최대치」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가령 임계치를 「진폭의 최대치」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면 재생 출력되는 음성의 진폭이 매우 커지는 결과, 귀에 거슬리는 음성이 되기 때문에 임계치를 「진폭의 최대치」 이하로 함으로써 그 귀에 거슬림을 해소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자에 의해서 실험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임계치 설정 수단(7)은 음성 부호화 수단(1)으로 구해진 예측치 yn의 파워에서 임계치를 구할 수 있으며 더욱 원하는 샘플수를 M으로 하면 그 임계치는 재생 신호의 파워 {(yn)2+ (yn+1)2+ (yn+2)2+ … + (yn+M ̄1)2} 혹은그 값을 소망의 샘플수 M에서 뺀 평균 파워에 의해서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임계치 설정 수단(7)은 음성 부호화 수단(1)에서 이용한 양자화폭 Δn값 혹은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 Δn의 합에 의해 임계치를 구할 수 있으며 그 때의 임계치는 양자화폭 Δn의 최대치 이하 혹은 양자화폭 Δn의 합 이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4를 이용해서 도 3의 ADPCM 부호화 복호화 수단에서 링 메모리(2)에 부호 Ln을 순차 기억한 후에 일차 중단(퍼즈)의 지시가 나오며 그 링 메모리(2)에 기억된 부호 Ln을 재생 출력하는 동작 설명을 한다.
도 4에서 스텝 S11에서는 링 메모리(2)로부터 부호 Ln'를 판독하여 ADPCM 복호화 수단(3)으로 보낸다.
스텝 S12에서는 링 메모리(2)로부터 판독된 부호 Ln'를 순차 ADPCM 복호화 처리해서 재생 출력 신호로 변환한다.
스텝 S13에서는 링 메모리(2)로의 부호 Ln의 기록을 일차 중단(퍼즈)했을 때의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그 이후의 복수의 어드레스에 기록된 부호 Ln'를 재생하는 경우, 이들의 복수개의 부호 Ln'를 ADPCM 복호화 처리하고 이들의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가 임계치 설정 수단(7)으로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지의 여부를 비교해서 혹시 큰 것이면 후술하는 스텝 S15로 진행하고 한편 크지 않으면 후술하는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가 임계치 설정 수단(7)으로 설정된 임계치보다 커지도록 ADPCM 복호화 처리할 때의 양자화폭 Δn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정을 한다. 이 처리를 행하는 이유는 진폭이 작은 재생 출력 신호를 외부에 출력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스텝 S14의 처리를 종료하면 스텝 S12로 일단 복귀하여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이 임계치보다 커질 때까지 이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15에서는 ADPCM 복호화 처리한 후, 실제로 재생 출력 신호로서 출력한다.
스텝 S16에서는 계속해서 부호 Ln'를 링 메모리(2)로부터 판독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계속해서 부호 Ln'를 판독하는 것이면 스텝 S11로 복귀하고 한편 부호 Ln'를 판독하지 않은 것이면 종료한다.
여기서, 전술에서는 「재생 음성 진폭의 최대치」에 주목하여 설명했지만, 전술한 (1)로부터 (7)에 예를 들은 것과 같은 「판정 파라메터」에 따라서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은 ADPCM 복호화 수단(3)으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음성의 「판정 파라메터」의 값과 임계치 설정 수단(7)으로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의 대소 관계를 비교해서 그 밖의 파라메터 값이 그 임계치를 넘었는지의 여부의 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양자화폭 Δn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정을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도 4에서의 스텝 S13의 「재생 음성 진폭의 최대치」 대신에 전술한 「판정 파라메터」의 값에 재판독함으로써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처리가 가능해진다.
제3 실시 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ADPCM에 의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 형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는 9는 링 메모리(2)의 소정 어드레스의 전후의 소정폭, 예를 들면 128 샘플(후술하는 도 6에서는 「소정 샘플수분」이라고 한다. )의 어드레스에 기억된 부호 Ln'를 재생 출력하는 경우에 뮤트 처리를 실시하는 뮤트 처리 수단이고 여기서 이용한 「소정 어드레스」와는 「어드레스 0000H」, 「어드레스 FFFFH」 및 「일차 중단(퍼즈)했을 때의 어드레스」를 말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한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에서 링 메모리(2)로의 부호 Ln의 기록을 중단하고 링 메모리(2)에 현재 기억되어 있는 부호 Ln'를 반복 재생함과 동시에 뮤트 처리를 실시할 때의 동작 설명을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주로 ADPCM 부호화 수단에서의 처리 및 ADPCM 복호화 수단에서의 처리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스텝 S21에서는 도 2에 도시한 ADPCM 부호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2에서는 ADPCM 부호화 처리에 의해서 구해진 부호 Ln을 링 메모리(2)에 순차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부호 Ln의 링 메모리(2)로의 기록 중단의 지시가 나오며 링 메모리(2)로의 부호 Ln의 기록을 중단한다. 스텝 S23에서는 도 4에 도시한 ADPCM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재생하는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가 링 메모리(2)의 제1 어드레스(어드레스 0000H)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내의 어드레스인 경우, 후술하는 스텝 S26으로 진행하고 한편 제1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후의 어드레스에 기록된 부호 Ln'를 재생 출력하는 경우 스텝 S25로 진행한다.
스텝 S25에서 재생하는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가 최종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전의 어드레스인 경우, 후술하는 스텝 S26으로 진행하고 한편 최종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전의 어드레스에 해당하지 않은 어드레스에 기록된 부호 Ln'를 재생 출력하는 경우, 스텝 S27로 진행한다.
스텝 S26에서는 어드레스 0000H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내의 어드레스 및 어드레스 FFFFH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전의 어드레스에 기록된 부호 Ln'를 재생 출력하는 경우 뮤트 처리를 실시한다. 어드레스 0000H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내의 어드레스 및 어드레스 FFFFH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전의 어드레스에 대해 뮤트 처리를 실시하는 이유는 이들의 어드레스에 기록된 부호 Ln'를 재생 출력하는 경우에는 청각적으로 불연속이 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스텝 S27에서는 어드레스 0000H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내의 어드레스 및 어드레스 FFFFH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전의 어드레스에 기록된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 처리 후, 뮤트 처리를 실시해서 재생 출력함과 동시에 해당하는 어드레스 이외의 어드레스에 기록된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 처리한 후 뮤트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재생 출력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뮤트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면 예를 들면 뮤트 처리폭을 128 샘플로 하면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 FF7F로부터 어드레스 FFFFH까지 기억되어 있는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하여 재생 출력하는 경우 1로부터 0으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걸어 또한 어드레스 0000H로부터 어드레스(80)까지 기억되어 있는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해서 재생 출력하는 경우, 0으로부터 1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거는 것으로서 행해진다.
스텝 S28에서는 링 메모리(2)에 기록된 부호 Ln'를 반복 재생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반복하여 재생 출력하는 경우는 스텝 S24로 복귀하고 한편 반복하여 재생 출력하지 않은 경우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ADPCM에 의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 음성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 형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10은 입력 음성 신호 중의 음성의 음성 구간, 무음 구간을 검출함으로써 무음 구간을 삭제함과 동시에 음성을 시간축 압축·신장해서 음성의 재생 출력 속도를 적절하게 변환하는 화속 변환 수단(11)은 ADPCM 부호화 수단(1)으로 처리된 부호 Ln의 링 메모리(2)로의 기록을 중단할 때에 신호를 입력하는 중단 지시 버튼, 12는 중단 지시 버튼(11)이 눌러졌을 때의 링 메모리(2)로의 부호 Ln의 기록 어드레스를 기억해 두는 중단 어드레스 기억 수단이다.
또한, 주로 ADPCM 부호화 수단에서의 처리 및 ADPCM 복호화 수단에서의 처리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7에 도시하는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에서 중단 지시 버튼(11)이 눌러지며 그 후 이미 링 메모리(2)에 기억되어 있는 부호 Ln을 반복 재생할 때의 동작 설명을 도 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8에서 스텝 S31에서는 도 2에 도시한 ADPCM 부호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32에서 ADPCM 부호화 처리에 의해서 구해진 부호 Ln을 링 메모리(2)에 순차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중단 지시 버튼(11)이 눌러지면 링 메모리(2)로의 부호 Ln의 기록을 중단하고 중단 지시 버튼(11)이 눌러졌을 때에 부호 Ln이 기록된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를 중단 어드레스로 해서 중단 어드레스 기억 수단(12)에 기억한다. 스텝 S33에서는 도 2 및 도 4의 ADPCM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34에서는 재생하는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가 링 메모리(2)의 제1 어드레스(어드레스 0000H)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내의 어드레스인 경우, 후술하는 스텝 S37로 진행하고 한편 제1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후의 어드레스에 기록된 부호 Ln'를 재생 출력하는 경우 스텝 S35로 진행한다.
스텝 S35에서는 재생하는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가 링 메모리(2)의 중단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전후로 해당하는 어드레스인 경우, 후술하는 스텝 S37로 진행하고 한편 중단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에 상기하지 않은 어드레스에 기록된 부호 Ln'를 재생 출력하는 경우, 스텝 S3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6에서 재생하는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가 링 메모리(2)의 최종 어드레스 FFFFH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전의 어드레스인 경우, 후술하는 스텝 S37로 진행하고 한편 최종 어드레스 FFFFH로부터 소정 샘플수분 이전의 어드레스에 해당 하지 않은 어드레스에 기록된 부호 Ln'를 재출력하는 경우 스텝 S38로 진행한다.
스텝 S37에서는 어드레스 0000H, 중단 어드레스 및 어드레스 FFFFH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어드레스에 기록된 부호 Ln'를 재생 출력하는 경우, 뮤트 처리를 실시한다. 스텝 S38에서는 어드레스 0000H, 중단 어드레스 및 어드레스 FFFFH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어드레스에 기록된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 처리한 후, 뮤트 처리를 실시해서 재생 출력함과 동시에 이들 소정 샘플수분 이외의 어드레스에 기록된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 처리 후, 뮤트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재생 출력한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스텝 S37에서의 뮤트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면, 예를 들면 뮤트 처리폭을 128 샘플로 하고 또한 중단 어드레스(퍼즈)를 8888H로 하면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 FF7FH로부터 어드레스 FFFFH까지 기억되어 있는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하여 재생 출력하는 경우 1로부터 0으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걸고 또한 어드레스 0000H로부터 어드레스 80H까지 기억되어 있는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해서 재생 출력하는 경우, 0으로부터 1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걸고, 더욱 어드레스 8809H로부터 어드레스 8888H까지 기억되어 있는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해서 재생 출력하는 경우, 1로부터 0으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걸어 어드레스 8889H로부터 어드레스 8908H까지 기억되어 있는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하여 재생 출력하는 경우, 0으로부터 1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거는 것으로서 행해진다.
마지막으로, 스텝 S39에서는 링 메모리(2)에 기록된 부호 Ln'를 반복하여 재생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반복하여 재생 출력하는 경우는 스텝 S33으로 복귀하고 한편 반복하여 재생 출력하지 않은 경우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0은 본 발명의 ADPCM에 의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낸 음성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도 11은 링 메모리(2)에 부호 Ln을 기억한 후 중단 어드레스를 판독 개시점으로 해서 그 부호 Ln'를 판독할 때의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에 도시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장치를 이용하여 도 11의 플로우차트의 동작 설명을 한다.
또한, 도 10에서 다른 실시 형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서 스텝 S41에서는 ADPCM 부호화 수단(1)에 의해서 도 2의 ADPCM 부호화 처리에 의해서 구해진 부호 Ln을 순차 링 메모리(2)에 기록하고 이 때, 도 10의 중단 지시 버튼(11)이 눌러지면 링 메모리(2)로의 부호 Ln의 기록을 중단한다. 그리고, 중단 지시 버튼(11)이 눌러졌을 때에 부호 Ln이 기록된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를 중단 어드레스로 해서 중단 어드레스 기억 수단(12)에 기억한다.
스텝 S42에서는 링 메모리(2)로부터 부호 Ln'를 판독한다.
스텝 S43에서는 재생 출력하는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가 링 메모리(2)로의 부호 Ln의 기록을 중단했을 때의 중단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중단 어드레스이면 스텝 S44로 진행하고 한편 중단 어드레스가 아니면 스텝 S49로 진행해서 ADPCM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스텝 S44에서는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은 예측치 yn=0 및 양자화폭 Δn=1로 가설정한다.
스텝 S45에서는 스텝 S42에서 판독한 부호 Ln'를 ADPCM 복호화 수단(3)으로 처리하고 그 재생 음성의 진폭의 최대치가 임계치 설정 수단(7)으로 미리 설정한 임계치와 비교하고 재생 음성의 진폭의 최대치가 임계치보다도 큰 것이면 후술하는 스텝 S48로 진행하고 한편 작은 것이면 스텝 S47로 진행한다. 또한, 이 때 재생 출력 신호로서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외부에는 음성으로서 출력하지 않는다.
스텝 S47에서는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은 양자화폭 Δn의 값을 증가시키도록 조정한 후, 스텝 S45로 복귀한다. 스텝 S45에서는 조정 후의 양자화폭 Δn에 따라서 부호 Ln'를 재차 음성 복호화 처리해서 재생 신호를 출력하고 그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와 임계치를 비교한다.
스텝 S48에서는 링 메모리(2)로부터 판독된 부호 Ln'를 ADPCM 복호화 수단(3)으로 음성 복호화해서 실제로 음성으로서 ADPCM 복호화 수단(3)의 외부에 출력한다. 스텝 S49에서는 스텝 S42에서 판독한 부호 Ln'를 ADPCM 복호화 처리한다.
스텝 S50에서 계속해서 재생 출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계속 출력하지 않은 것이면 종료하여 한편 계속 출력하는 것이면 스텝 S42로 복귀한다.
그런데, 전술의 제5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의 플로우차트에서는 중단 어드레스를 판독 개시점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제5 실시 형태를 적용함으로써 링 메모리(2)의 「임의의 어드레스」로부터 부호 Ln'를 판독하여 재생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 설명을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동작을 실현하는 장치는 도 10의 장치에 재생 출력하는 링 메모리(2)의 어드레스를 지정 입력하는 수단을 부가한 것이다.
도 12에서 스텝 S61에서는 ADPCM 부호화 수단(1)에 의해서 ADPCM 부호화 처리된 부호 Ln을 링 메모리(2)에 기록한다. 이 때, 도 10 중의 중단 지시 버튼(11)이 눌러지면 링 메모리(2)로의 부호 Ln의 기록을 중단한다.
스텝 S62에서는 재생 출력하는 링 메모리(2)의 임의 어드레스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된 것이면 스텝 S63으로 진행하고 한편 입력되지 않았으면 종료한다.
다음에 스텝 S63에서는 링 메모리(2)의 임의 어드레스로부터 순차 부호 Ln'를 판독하고 더욱 스텝 S64에서는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은 예측치 yn=0 및 양자화폭 Δn=1로 가설정한다. 스텝 S65에서는 ADPCM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66에서는 재생 음성의 진폭의 최대치가, 임계치 설정 수단(7)으로 미리 설정한 임계치와 비교해서 재생 음성의 진폭의 최대치가 임계치보다 큰 것이면 후술하는 스텝 S68로 진행하고 한편 작은 것이면 스텝 S67로 진행한다. 이 때, 재생 출력 신호로서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외부에는 음성으로서 출력하지 않는다.
스텝 S67에서는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은 양자화폭 Δn의 값을 증가시키도록 조정한 후, 스텝 S65로 복귀하고 조정 후의 양자화폭 Δn에 따라서 부호 Ln'를 재차 음성 복호화 처리해서 재생 신호를 구하고 그 재생 음성 진폭의 최대치와 임계치를 비교한다.
스텝 S68에서 링 메모리(2)로부터 판독된 부호 Ln'를 ADPCM 복호화 수단(3)으로 음성 복호화해서 실제로 음성으로서 ADPCM 복호화 수단(3)의 외부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이 예측치 yn=0 및 양자화폭 Δn=1로 가설정하고 시행적으로 ADPCM 복호화 수단(3)으로 처리한 재생 음성 진폭의 최대치가 임계치보다 큰 것이면 그 예측치 yn=0 및 양자화폭 Δn=1을 정식 결정하여 그 후의 재생 음성을 출력하고 한편 재생 음성의 진폭의 최대치가 임계치보다 작은 것이면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은 양자화폭 Δn의 값을 조정해서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이 최적이 되도록 재설정함으로써 링 메모리(2)의 「임의의 어드레스」로부터 재생 출력이 가능해진다.
또, 도 12에서의 스텝 S66의 「재생 음성의 진폭(의 최대치)」 대신에 전술한 (1) ∼ (7)의 「판정 파라메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임계치 설정 수단(7)은 임계치를 1종류로 한해서 설정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링 메모리(2)의 임의의 어드레스 또는 제2 어드레스(중단 어드레스)로부터 부호 Ln'를 판독하여 재생 출력하는 경우, 임의의 어드레스 또는 제2 어드레스(중단 어드레스)의 각각에 다른 값의 임계치를 설정해도 좋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도 13 ∼ 도 16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3은 제1 기억 수단(링 메모리 ; 2)의 어드레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메모리(2)는 예를 들면 A 블럭으로부터 D 블럭 4구간에 블럭 분할되어 있다. 이 링 메모리(2)에 부호 Ln을 기록하는 경우, ADPCM 부호화 수단(1)에서 부호화된 부호 Ln은 A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 0000H로부터 B 블럭, C 블럭, D 블럭으로 순차 기록되며 A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 0000H로 복귀해서 더욱 A블럭, B 블럭 … 으로 연속하여 기록된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블럭 … D 블럭으로 순차 기록되며 B 블럭 도중까지 기록된 후 부호 Ln의 링 메모리(2)로의 기록을 일시 중단(퍼즈)해서 이 링 메모리(2)에 기록된 부호 Ln을 판독하여 재생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링 메모리(2)로의 부호 Ln의 기록을 중단한 후, 그 중단 어드레스가 속한 블럭의 직후의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ADPCM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ADPCM 부호화 복호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에서의 어드레스 제어 수단(13)은 링 메모리(2)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 예를 들면 A 블럭이면 0000H, B 블럭이면 1000H, C 블럭이면 2000H, 또한 D 블럭이면 3000H를 각각 기억함과 동시에, 링 메모리(2)로의 부호 Ln의 기록을 중단한 후, 재생하는 경우에 이들 블럭의 선두 개시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의 선두 개시 어드레스를 재생 개시 어드레스로 해서 결정(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어드레스 제어 수단(13)에 의해서 링 메모리(2)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의 정보는 제2 내부 상태 제어 수단(4b)에 보내진다.
다음에, 제2 내부 상태 제어 수단(4b)은 링 메모리(2)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 0000H, 1000H, 2000H 및 3000H에 기록된 부호 Ln을 구할 때에 이용된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제3 내부 파라메터 값)을 버퍼(5b)에 기록한다.
5b는 ADPCM 부호화 수단(1)에 의해서 부호화된 부호 Ln을 링 메모리(2)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에 기록할 때의 ADPCM 부호화 수단(1)의 제3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기억하는 제3 기억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버퍼가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링 메모리(2)와 버퍼(5b)를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동일 구성으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2 내부 상태 판독 수단(6b)은 링 메모리(2)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 0000H, 1000H, 2000H 및 3000H 중 재생 개시 어드레스(후술한다.)에 대응하여 버퍼(5b)에 기억된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그 버퍼(5b)로부터 판독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 14에서 다른 실시 형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제6 실시 형태의 ADPCM 부호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에서 스텝 S71에서는 ADPCM 부호화 수단(1)에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샘플링 처리된 음성 신호가 순차 입력된다. 스텝 S72에서는 ADPCM 부호화 수단(1)으로 순차 ADPCM 부호화 처리가 되어 부호 Ln을 구한다. 스텝 S73에서는 부호 Ln을 링 메모리(2)에 기억한다. 스텝 S74에서는 링 메모리(2)에 부호 Ln을 기억하는 어드레스가 링 메모리(2)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선두 어드레스이면 후술하는 스텝 S75로 진행하고 한편 선두 어드레스가 아니면 후술하는 스텝 S76으로 진행한다.
스텝 S75에서는 링 메모리(2)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에 부호 Ln을 기록할 때에, 그 부호 Ln을 구할 때에 이용된 ADPCM 부호화 수단(1)의 제3 내부 파라메터 값의 일종인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제2 내부 상태 제어 수단(4b)은 버퍼(5b)에 기억시킨다. 링 메모리(2)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에 기억하는 부호 Ln을 구할 때에 이용된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버퍼(5b)에 기억시킴으로써 ADPCM 음성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 링 메모리(2)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복호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76에서는 계속해서 음성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 Ln을 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계속해서 부호 Ln을 기억하는 것이면 스텝 S72로 복귀하고 한편 부호 Ln을 기억하지 않은 것이면 종료한다.
다음에, 도 16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해서 도 14의 ADPCM 부호화 복호화 수단에서 링 메모리(2)에 부호 Ln을 순차 기록한 후에, 일차 중단(퍼즈)의 지시가 출력되며 그 링 메모리(2)가 중단된 어드레스가 속하는 블럭 직후의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순차 부호 Ln을 재생하는 경우의 동작 설명을 한다.
도 16에서 스텝 S81에서는 중단 지시 버튼(11)이 눌러질 때의 링 메모리(2)의 중단 어드레스가 중단 어드레스 보존 수단(12)에 보존된다. 재생 시에 그 중단 어드레스는 어드레스 제어 수단(13)으로 보내지며 그 어드레스 제어 수단(13)은 그 중단 어드레스가 속하는 블럭 직후의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를 재생 개시 어드레스로서 선정(결정)한다.
스텝 S82에서는 제2 내부 상태 판독 수단(6b)은 스텝 S81에서 구한 재생 개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버퍼(5b)로부터 판독한다.
스텝 S83에서는 링 메모리(2)의 재생 개시 어드레스로부터 부호 Ln'를 순차 판독해서 ADPCM 복호화 수단(3)으로 보낸다. 이 때, 일반적으로는 링 메모리(2)로의 기록 및 판독이 정상적으로 행해지며 또한 부호 오류가 없는 경우는 부호 Ln과 부호 Ln'는 동일 값이다.
스텝 S84에서는 재생 개시 어드레스의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경우에는 그 부호 Ln' 및 스텝 S82에서 구한 재생 개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에 따라서 음성 복호화 처리하고 재생 개시 어드레스 이외의 어드레스에 기억된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경우에는 그 부호 Ln'에 따라서 음성 복호화 처리한다.
스텝 S85에서는 계속해서 재생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계속 출력하지 않은 것이면 종료하고 한편 계속 출력하는 것이면 스텝 S86으로 진행한다.
스텝 S86에서는 링 메모리(2)의 부호 Ln'를 판독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1개 인크리멘트한다.
스텝 S87에서는 스텝 S86에서 구한 어드레스가 링 메모리(2)로의 기록을 중단한 중단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중단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 S83으로 복귀하고 한편 중단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스텝 S81로 복귀한다.
도 16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음성 복호화 처리를 행하면 도 13a와같이 부호 Ln을 기록한 경우, 그 복호화에 있어서는 중단 어드레스가 예를 들면, 1500H라고 하면 중단 어드레스 보존 수단(12)에는 어드레스 1500H가 기억되며 재생 개시 어드레스로서 다음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 즉 2000H가 구해진다. 그리고, 제2 내부 상태 판독 수단(6b)은 재생 개시 어드레스 2000H에 대응하는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버퍼(5b)로부터 판독함으로써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C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 2000H로부터 중단 어드레스 1500H까지 순차 음성 복호화 처리가 행해지며 음성이 재생 출력된다.
이 때, 재생 출력할 때 뮤트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제3 실시 형태에 기재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수법을 이용함으로써 재생 개시 어드레스 2000H로부터 128샘플분의 어드레스에 기억된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해서 재생 출력하는 경우, 0으로부터 1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걸고 또한 중단 어드레스 1500H로부터 128샘플분 전의 어드레스에 기억된 부호 Ln'를 음성 복호화해서 재생 출력하는 경우 1로부터 0으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거는 것으로서 뮤트 처리를 실시한다.
그런데, 전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전제로 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기억 수단(링 메모리 ; 2)을 갖지 않는 「휴대 전화 등의 통신 장치」에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 중 수신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ADPCM 복호화 수단(3), 임계치 설정 수단(7) 및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을 구비하고 있으면, 송신된 전파가 빌딩 등의 영향으로 수신 내용의 일부가 누락했다고 해도 수신 장치측의 ADPCM 복호화 수단(3)이 전술한 임계치 설정 수단(7) 및 내부 상태 조정 수단(8)을 이용함으로써 즉 ADPCM 복호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전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ADPCM 부호화 복호화 처리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ADPCM 부호화 복호화 방법에 한정되는 일 없이 과거의 음성 부호화 처리에서 구해진 음성 파라메터를 이용해서 현시점에서의 음성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부호화 복호화 방법(예를 들면, DPCM 부호화 복호화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기억 수단으로의 음성 부호화 처리해서 구해진 부호의 기록 중에 상기 부호의 기록을 중단한 경우라도 제1 기억 수단(링 메모리)의 제1 어드레스에 기록한 부호에 따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을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므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한 부호를 음성 복호화하여 재생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억 수단의 제1 어드레스, 제2 어드레스(중단 어드레스) 전후의 소정 샘플수분의 어드레스, 최종 어드레스 부근의 부호의 음성 부호화 시에 뮤트 처리를 실시하므로 음성의 불연속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부호화 복호화 장치에 설치된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최초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각각 yn=0, Δn=1로 초기치로서 가설정하고 재생 출력 신호의 소정 파라메터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그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을 정식 설정하고 한편 재생 출력 신호의 소정 파라메터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 Δn의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ADPCM 복호화 처리하여 재생 출력할 수 있다.

Claims (44)

  1. 입력 신호 xn과 상기 입력 신호의 예측치 yn과의 차분을 양자화폭 Δn을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 처리함으로써 부호를 구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호를 판독하여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음성 복호화 수단과, 상기 음성 복호화 수단에서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한 양자화폭의 값을 조정하는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임의의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부호를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경우,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는 제1 스텝 및 상기 제1 스텝에서의 비교 처리의 결과,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한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조정하는 제2 스텝을 행하고,
    상기 음성 복호화 수단은 상기 제2 스텝에서 조정된 양자화폭의 초기치에 기초해서 순차 재생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은 링 메모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파라메터란, 상기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 파워 및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 및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 중 어느 하나의 파라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임의의 어드레스로부터 부호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지는 재생 출력 신호에 뮤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5. 입력 신호 Xn과 상기 입력 신호의 예측치 yn과의 차분을 양자화폭 Δn을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 처리함으로써 부호를 구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호를 판독하여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음성 복호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음성 부호화 수단에서 구해진 부호를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1 어드레스에 기록하는 경우, 상기 부호를 구할 때에 이용한 제1 내부 파라메터 값을 제1 내부 상태 제어 수단에 의해서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한편 상기 부호를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 내부 파라메터 값을 제1 내부 상태 판독 수단에 의해서 판독하여 음성 부호화 복호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파라메터 값이란, 상기 음성 부호화 처리 시에 이용하는 예측치 yn을 구하기 위한 파라메터, 상기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은 링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1 어드레스로부터 부호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지는 재생 출력 신호에 뮤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1 어드레스 이전의 소정 어드레스로부터 판독한 부호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지는 재생 출력 신호에 대해 1로부터 0으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어드레스 이후의 소정 어드레스까지 판독한 부호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지는 재생 출력 신호에 대해 0으로부터 1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10. 입력 신호 xn과 상기 입력 신호의 예측치 yn과의 차분을 양자화폭 Δn을 이용하여 음성 부호화 처리함으로써 부호를 구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호를 판독하여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음성 복호화 수단과 상기 음성 복호화 수단에서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한 양자화폭의 값을 제어하는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로부터 부호를 판독하면서 음성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해서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임계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하는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은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하는 예측치 yn을 구하기 위한 파라메터, 상기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은 링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파라메터란, 상기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 파워 및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 이용된 양자화폭 및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 중 어느 하나의 파라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으로 이용하는 임계치를 설정하는 임계치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드레스가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대한 부호의 기록을 중단했을 때의 어드레스이며 이 제2 어드레스를 중단 어드레스로 해서 기억하는 중단 어드레스 기억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로부터 부호를 판독해서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에 뮤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 이전의 소정 어드레스로부터 판독한 부호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에 대해 1로부터 0으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어드레스 이후의 소정 어드레스까지 판독한 부호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서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에 대해 0으로부터 1로의 직선적인 무게 계수를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재생 출력 신호 진폭의 최대치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을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을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20.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해서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재생 출력 신호의 파워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21. 제10항 내지 제17항 또는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을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파워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의 파워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22.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해서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양자화폭의 최대치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23. 제10항 내지 제17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24. 제10항 내지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하여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상기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25. 제10항 내지 제17항 또는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26.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해서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27. 제10항 내지 제17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소정 샘플수분에 대해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 진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2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해서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의 파워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29. 제10항 내지 제17항 또는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소정 샘플수분에 대해서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의 파워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의 파워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30.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해서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양자화폭의 최대치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31. 제10항 내지 제17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소정 샘플수분에 대해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 이용된 양자화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의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32.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로부터 소정 샘플수분의 부호를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해서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 음성 복호화했을 때의 양자화폭의 합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해서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33. 제10항 내지 제17항 또는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제2 어드레스의 부호를 음성 복호화할 때,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가설정하고 그 값을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으로 해서 소정 샘플수분에 대해 음성 복호화하고 상기 소정 샘플수분 중 마지막 소망 샘플수의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는 상기 제2 내부 파라메터 값인 예측치 및 양자화폭의 초기치로 해서 각각 yn=0, Δn=1로 하고 한편 상기 재생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3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 설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 이전에 기억된 부호에 기초해서 재생된 출력 신호의 진폭 또는 파워에 기초해서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 설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 이전에 기억된 부호에 기초해서 재생된 출력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 이하 또는 파워의 값 이하의 값에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3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 설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 이전에 기억된 부호에 기초해서 재생된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 또는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에 기초해서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 설정 수단은 상기 제2 어드레스 이전에 기억된 부호에 기초해서 재생된 출력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이용된 양자화폭의 최대치 이하 또는 소정 샘플수분의 양자화폭의 합의 값 이하의 값에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38. 입력 신호 xn과 상기 입력 신호의 예측치 yn과의 차분을 양자화폭 Δn을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 처리함으로써 부호를 구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에 따라서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음성 복호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부호를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경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는 제1 스텝 및 상기 제1 스텝에서의 비교 처리의 결과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한 양자화폭의 초기치를 조정하는 제2 스텝을 행하고,
    상기 음성 복호화 수단은 상기 제2 스텝에서 조정된 양자화폭의 초기치에 기초해서 순차 재생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에서의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39. 입력 신호 xn과 상기 입력 신호의 예측치 yn과의 차분을 양자화폭 Δn을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 처리함으로써 부호를 구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호를 판독해서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음성 복호화 수단과 제3 내부 파라메터 값을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게 하는 제2 내부 상태 조정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호를 판독할 때의 판독 어드레스를 제어하는 어드레스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억 수단은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에 상기 부호를 기억하는 경우, 제2 내부 상태 제어 수단에 의해서 상기 부호를 구할 때에 이용한 제3 내부 파라메터 값을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한편, 상기 부호를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경우, 상기 어드레스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인지를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재생 개시 어드레스로서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재생 개시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부호를 구할 때에 이용한 제3 내부 파라메터 값을 제2 내부 상태 판독 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제3 내부 파라메터 값을 이용하여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내부 파라메터 값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각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에 기억된 상기 부호를 구할 때에 이용된 예측치 yn을 구하기 위한 파라메터, 상기 예측치 yn및 양자화폭 Δn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제어 수단에 의해서 결정된 재생 개시 어드레스는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의 상기 부호의 기록을 중단한 어드레스가 속하는 블럭 직후의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42.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은 링 메모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43. 과거의 음성 부호화 처리에서 구해진 제4 내부 파라메터 값에 따라서 현시점에서의 음성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호를 판독하여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음성 복호화 수단과, 상기 음성 복호화 수단에서의 음성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한 상기 제4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임의의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부호를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하는 경우 상기 내부 상태 조정 수단은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재생 출력 신호의 출력 파라메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는 제1 스텝 및 상기 제1 스텝에서의 비교 처리의 결과, 상기 음성 복호화 처리 시에 이용한 상기 제4 내부 파라메터 값을 조정하는 제2 스텝을 행하고,
    상기 음성 복호화 수단은 상기 제2 스텝에서 제어된 제4 내부 파라메터 값에 기초해서 순차 재생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내부 파라메터 값이란 상기 음성 부호화 처리 시에 구해진 부호, 현시점에서의 음성 부호화 처리에 이용하는 음성 신호의 예측치, 상기 예측치를 구하기 위한 파라메터, 과거의 음성 부호화 처리에서 구해진 전력 또는 상기 전력을 구하기 위한 파라메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복호화 방법.
KR1019980026801A 1997-07-04 1998-07-03 음성부호화복호화방법 KR100529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79835 1997-07-04
JP17983597 1997-07-04
JP97-357475 1997-12-25
JP35747597 1997-12-25
JP10143035A JP2995037B2 (ja) 1997-07-04 1998-05-25 音声符号化復号化装置
JP98-143035 1998-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584A true KR19990013584A (ko) 1999-02-25
KR100529267B1 KR100529267B1 (ko) 2006-01-27

Family

ID=2731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801A KR100529267B1 (ko) 1997-07-04 1998-07-03 음성부호화복호화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38090A (ko)
JP (1) JP2995037B2 (ko)
KR (1) KR100529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2066B2 (ja) * 1998-01-29 2003-11-05 株式会社東芝 Adpcm圧縮装置、adpcm伸長装置及びadpcm圧縮伸長装置
WO2002091363A1 (en) * 2001-05-08 2002-11-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dio coding
US6999921B2 (en) * 2001-12-13 2006-02-14 Motorola, Inc. Audio overhang reduction by silent frame deletion in wireless calls
US7668715B1 (en) * 2004-11-30 2010-02-23 Cirrus Logic, Inc. Methods for selecting an initial quantization step size in audio encoders and systems using the same
CN103329556A (zh) * 2011-01-07 2013-09-25 雅马哈株式会社 信息提供系统、便携终端装置、服务器以及程序
JP7108784B2 (ja) 2018-08-21 2022-07-28 華為技術有限公司 データ記憶方法、データ取得方法、及び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2066A (en) * 1977-12-27 1979-02-27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Suppression of idle channel noise in delta modulation systems
JPS58197918A (ja) * 1982-05-14 1983-11-17 Nec Corp 適応差分復号器
US4521907A (en) * 1982-05-25 1985-06-04 American Microsystems, Incorporated Multiplier/adder circuit
US4813014A (en) * 1986-04-14 1989-03-14 Phi Technologies, Inc. Digital audio memory system
US4989246A (en) * 1989-03-22 1991-01-2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R.O.C.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sound generator
EP0590966B1 (en) * 1992-09-30 2000-04-19 Hudson Soft Co., Ltd. Sound data processing
US5644568A (en) * 1995-03-15 1997-07-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and recovering information communicate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H08328599A (ja) * 1995-06-01 1996-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Mpegオーディオ復号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9267B1 (ko) 2006-01-27
JPH11243341A (ja) 1999-09-07
US6138090A (en) 2000-10-24
JP2995037B2 (ja)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86894A1 (en) Trick play for mp3
KR100529267B1 (ko) 음성부호화복호화방법
KR100434221B1 (ko)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JPH08202397A (ja) 音声復号化装置
US6373421B2 (en) Voic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by using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method
JP3227929B2 (ja) 音声符号化装置およびその符号化信号の復号化装置
JP2905215B2 (ja) 録音再生装置
JPH09138698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3189587B2 (ja) 音声時間軸変換装置
JPS6122370B2 (ko)
JP2947685B2 (ja) 音声コーデック装置
JPH11283332A (ja) 圧縮データ記憶装置
JPH1079671A (ja) 圧縮データ記憶装置
JP3035948B2 (ja) 音声データ再生方法
JPH0816200A (ja) 音声記録装置
JPH04186300A (ja) 音声録音再生装置
KR960033094A (ko) 영상정보의 가변비트레이트 코딩 방법 및 장치
JP2000049614A (ja) 再生装置
JPH0669998A (ja) 音声信号の再生方法
JPH03173263A (ja) 録音編集合成装置
JPH033199A (ja) 半導体メモリ録音装置
JPS61177695A (ja) 音声メモリ装置
JPH07101360B2 (ja) 音声録音再生装置
JPH08137492A (ja) 音声時間軸変換装置
JPH06350457A (ja) データ信号の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