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008U -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008U
KR19990013008U KR2019970026202U KR19970026202U KR19990013008U KR 19990013008 U KR19990013008 U KR 19990013008U KR 2019970026202 U KR2019970026202 U KR 2019970026202U KR 19970026202 U KR19970026202 U KR 19970026202U KR 19990013008 U KR19990013008 U KR 199900130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otating body
front panel
lens
ca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17552Y1 (ko
Inventor
유영호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2019970026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55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3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0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5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연결 설치되어 이 렌즈 경통 어셈블리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되면서 렌즈를 보호토록 하는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로서, 프런트 패널에 피봇 설치된 한쌍의 베리어는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회전체에 의해 회전되면서 프런트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시킨다. 이 때, 베리어와 회전체에 연결 설치된 제1 탄성부재는 베리어에 닫힘용 탄성력을 부여하고, 회전체와 프런트 패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리어 베이스에 연결 설치된 제2 탄성부재는 베리어에 열림용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렌즈 경통 어셈블리는 그 구조가 간단하므로 낮은 단가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아울러, 카메라의 컴팩트화에 이점을 주게 된다.

Description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
본 고안은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초점식인 카메라에 있어 렌즈 경통 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라 개폐되면서 렌즈를 보호하는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에 있어 렌즈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받아 필름면에 상이 맺히도록 하는 부품으로서, 이는 주로 광학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렌즈가 실질적으로 카메라에 적용될 때에는 그 재질 특성에 따라 표면에 손상을 입을 수 있게 되므로, 대개의 카메라에 있어서는 렌즈 캡으로서 상기 렌즈를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렌즈 캡은, 상기 렌즈가 다중으로 구비될 때에, 렌즈가 장착되는 경통의 앞부분에 결합되는 뚜껑으로서, 상기 렌즈는 이러한 렌즈 캡에 의해 그 전면을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렌즈 보호를 자동 초점식 카메라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카메라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렌즈 경통 어셈블리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개폐되는 렌즈 캡 어셈블리가 담당하게 된다.
상기한 렌즈 캡 어셈블리는, 렌즈 경통 어셈블리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카메라 몸체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구성물로서, 이는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프레임에 피봇(pivot) 결합된 복수의 베리어 플레이트(barrier plate)를 렌즈 경통 어셈블리의 움직임에 연동하는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를 구동시켜 이 베리어 플레이트가 열리거나 또는 닫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렌즈 캡 어셈블리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미국 특허 4,989,027를 비롯한 동 특허 5,214,462/ 5,264,885/ 5,276475 및 5,434,714 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렌즈 캡 어셈블리의 구성을 이루는 부품(컨넥팅 핀, 플랜지 등)수가 많아 그 구조가 복잡하여 카메라 제조시, 생산 단가를 높히게 될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인해 동작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특허에서 4,989,027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도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프레임(50)의 일측면으로 피봇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베리어 플레이트(52,54)를 경통(56)의 외주에 설치된 닫힘 레버(58)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개폐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52,54)의 구동수단 즉, 상기 닫힘 레버(58)가 상기 경통(56)의 외주로 연결 설치됨에 따라 카메라를 제작할 때, 상기 닫힘 레버(58)가 위치하는 공간을 카메라 몸체에 별도로 마련해야 하므로 카메라 설계에 제약에 뒤따라 컴팩트(compact)화된 카메라 제작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안고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의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제작상의 이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한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카메라의 온/오프 동작에 따른 렌즈 경통 어셈블리의 줌잉 상태에 연동되어 개폐되면서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설치된 렌즈를 보호토록 하는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개구부를 보유하여 상기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런트 패널과; 이 프런트 패널의 일면에 대향 배치됨은 물론, 피봇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한쌍의 베리어와; 상기 프런트 패널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 및 상기 한쌍의 베리어에 연결 설치되어 이 베리어들이 상기 개구부를 닫도록 하는 힘을 부여하는 각각의 제1 탄성부재와; 상기 회전체의 일측면 측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프런트 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프런트 패널 및 베리어, 회전체가 한 몸을 이루도록 하는 베리어 베이스와; 이 베리어 베이스와 상기 회전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베리어들이 상기 개구부를 열도록 하는 힘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회전체 및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베리어들이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회전수단이 포함된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상기에서 제 1 탄성부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베리어의 일면에 고정 설치된 보스에 일측을 끼움 결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회전체의 일측 둘레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움 결합하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리어에 닫힘용 탄성력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한 제 2 탄성부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체의 일측 둘레면 상에 형성된 제1 끼움 돌기에 일측을 결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베리어 베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 끼움 돌기에 결합하는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리어에 열림용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베리어 베이스는, 본 고안에 따라 그 개구부에 주위를 따라 관통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 및 상기 프런트 패널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멍부에 대응하는 각각의 보스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프런트 패널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본 고안에 의해 일측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의 원주상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경통 어셈블리가 보유하는 리어 홀더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삽입 결합되어 카메라의 온/오프 신호에 따른 렌즈 경통 어셈블리의 상태에 따라 상기 홈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하는 돌출단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 2는 프런트 패널에 베리어 베이스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도 3은 프런트 패널에 배리어 베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의 작용 설명을 위해 렌즈 캡 어셈블리가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 일례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명확히 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이의 렌즈 캡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 주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상기 렌즈 캡 어셈블리는, 자동 초점식과 같은 카메라에 있어 카메라 몸체에 설치된 렌즈 경통 어셈블리가 카메라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되면, 이 렌즈 경통 어셈블리의 움직임에 의해 연동되어 개폐되면서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설치된 렌즈를 보호하도록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렌즈 캡 어셈블리의 구성에는 먼저, 상기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그 일측면을 카메라의 외측으로 배치하게 되는 프런트 패널(1)에 포함된다.
이 프런트 패널(1)의 내부에는 소정의 크기를 이루는 개구부(1a)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개구부(1a)는 상기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렌즈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프런트 패널(1)의 일측면 다시 말해, 카메라의 내측을 향하는 안쪽면에는 상기 개구부(1a)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한쌍의 베리어(3,5)가 피봇 설치된다.
즉, 상기 양 베리어(3,5)는 상기 개구부(1a)를 기준으로 대향 배치되면서 그 일측부에 관통 형성된 보스(3a,5a)를 상기 프런트 패널(1)의 안쪽면에 고정 설치된 보스(1b)에 삽입시켜 상기 프런트 패널(1)에 결합된다.
이에 상기 양 베리어(3,5)는 상기한 결합 상태에 따라 상기 보스(1b)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 패널(1)의 안쪽면으로는 상기 양 베리어(3,5) 이외도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체(7)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회전체(7)는 도 2를 통해 더욱 알 수 있듯이 상기 양 베리어(3,5)가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프런트 패널(1)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양 베리어(3,5)와 회전체(7)는 제1 탄성부재(9)로서 상호 연결되어지는 바, 이 제1 탄성부재(9)는 상기 양 베리어(3,5)가 도 2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개구부(1a)를 가리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탄성부재(9)를 본 실시예에서는 비트림 스프링으로 구비하여 이를 상기 보스(3a,5a)에 삽입한 상태에서 그 양단을 각기 상기 양 베리어(3,5)에 고정 설치된 보스(3b,5b) 및 상기 회전체(7)의 원주상에 형성된 결합홈(7a)에 끼움 결합시켜 상기 양 베리어(3,5) 및 회전체(7)에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양 베리어(3,5) 및 상기 회전체(7)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되는 베리어 베이스(11)에 의해 상기 프런트 패널(1)과 한 몸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베리어 베이스(11)는, 상기 양 베리어(3,5)와 회전체(7)를 덮어씌우면서 상기 프런트 패널(1)과 결합되는데, 이 때 상기 베리어 베이스(11)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11a)로는 상기 프런트 패널(1)의 안쪽면에 형성된 보스(1c)가 각기 삽입되고, 이들 보스(1c)에는 볼트(13)가 각기 체결된다.(도 3 참조)
다시 말해 상기 베리어 베이스(11)는, 상기 프런트 패널(1)에 볼트(13)를 이용한 나사 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구성들이 한 몸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상기 양 베리어(3,5)는 상기 제1 탄성부재(9)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구부(1a)를 닫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반면, 상기 회전체(7)와 베리어 베이스(11)에 연결 장착되는 제2 탄성부재(14)에 의해 상기 개구부(1a)를 여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2 탄성부재(14)를 인장 스프링으로 구비하여 그 양단을 도 3을 통해 더욱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7)의 원주상에 돌기져 형성된 제1 끼움 돌기(7b)와 상기 베리어 베이스(11)의 일측면에 돌기져 형성된 제2 끼움 돌기(11b)에 각기 걸어 장착하게 된다.
이에, 상기 양 베리어(3,5)는 상기와 같은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2 탄성부재(14)가 발휘하는 탄성력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체(7)가 상기 제2 탄성부재(14)가 발휘하는 탄성력을 받으면서 일방향(도면 기준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체(7)에 회전에 따라 양 베리어(3,5)는 상기 제1 탄성부재(9)의 탄성력을 이기고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1a)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회전체(7)는 항시 상기 제2 탄성부재(14)의 탄성력을 받게 되므로, 상기 베리어(3,5)가 상기 개구부(1a)를 열도록 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상기 회전체(7)의 회전 운동은,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되는 회전수단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 회전 수단은 상기 회전체(7) 및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상기 회전체(7)의 원주상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단(15)으로 이루게 된다.
이 돌출단(15)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일측단은 소정의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형성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렌즈 경통 어셈블리가 보유하는 리어 홀더(17)의 가이드 플레이트(17a) 부위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에서 리어 홀더(17)는 주지된 바와 같이 렌즈 경통 어셈블리의 줌링(19)에 삽입되는 부품으로서, 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a)의 선단에는 경사면(17b)을 갖는 홈(17c)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단(15)은 이 홈(17c)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돌출단(15)의 직선진 일측단은 상기 경사면(17b)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렌즈 캡 어셈블리는, 상기 프런트 패널(1)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 결합부(1c)를 상기 줌링(19) 내부로 삽입시켜 상기 결합부(1c)에 형성된 구멍부(1d)로 상기 줌링(19)에 형성된 결합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렌즈 경통 어셈블리와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설명에서 도 2는 상기 프런트 패널(1)에 상기 베리어 베이스(11)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이 베리어 베이스(11)가 상기 프렌트 패널(1)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있어 상기한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통상과 같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렌즈 캡 어셈블리의 작용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의 오프 상태 다시 말해, 카메라의 비사용 상태에서 상기 렌즈 캡 어셈블리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이하, 편의상 닫힘 상태라 칭한다)를 유지하여 상기 양 베리어(3,5)가 상기 개구부(1a)를 가리게 함으로써, 상기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설치된 렌즈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양 베리어(3,5)가 상기 제1 탄성부재(9)에 의한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기 개구부(1a)를 닫게 되는 작용은 전술한 구성 설명에서와 같다.
이러한 상태에서 카메라의 온 신호에 따라 상기 렌즈 경통 어셈블리가 회전함과 동시에 전진하게 되면, 상기 렌즈 캡 어셈블리는 이에 연동되면서 전진하여 상기 닫힘 상태에 비해 상기 리어 홀더(17)와의 사이 간격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 때, 상기 돌출단(15)은 상기 홈(17c)의 경사면(17b)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돌출단(15)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회전체(7)는 상기 제2 탄성부재(14)의 힘을 받으면서 일방향(도면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체(7)의 회전에 따라 상기 양 베리어(3,5)는 상기 제1 탄성부재(9)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회전되어 상기 개구부(1a)를 개방시키게 된다.(도 5 참조)
물론, 카메라가 다시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경통 어셈블리가 최초 상태로 원위치될 때, 상기 돌출단(15)이 상기 경사면(17b)의 안내를 받아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이에 상기 회전체(7)도 상기와 반대 방향(도면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양 베리어(3,5)가 상기 개구부(1a)를 닫을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렌즈 캡 어셈블리는, 카메라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렌즈 경통 어셈블리의 움직임에 연동되면서 상기 개구부(1a)를 개폐시켜 렌즈를 보호하는 렌즈 캡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렌즈 캡 어셈블리에서 상기 베리어 베이스(11)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알아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렌즈 캡 어셈블리는, 부품수를 최소화면서도 그 작용을 원할히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에 따라 상기 렌즈 캡 어셈블리는, 적은 비용으로도 그 생산이 가능하므로 카메라 제작상에 이점을 갖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렌즈 캡 어셈블리는 그 자체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여기에 렌즈 경통 어셈블리의 내부를 통해 구동하는 리어 홀더와 연결되어 작동하는 구조를 취하므로, 카메라의 몸체 내부에서 작은 부피를 차지하게 되는 다시 말해, 카메라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데 효과를 주게 된다.

Claims (5)

  1. 카메라의 온/오프 동작에 따른 렌즈 경통 어셈블리의 줌밍 상태에 연동되어 개폐되면서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설치된 렌즈를 보호토록 하는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개구부를 보유하여 상기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런트 패널과; 이 프런트 패널의 일면에 대향 배치됨은 물론, 피봇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한쌍의 베리어와; 상기 프런트 패널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 및 상기 한쌍의 베리어에 연결 설치되어 이 베리어들이 상기 개구부를 닫도록 하는 힘을 부여하는 각각의 제1 탄성부재와; 상기 회전체의 일측면 측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프런트 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프런트 패널 및 베리어, 회전체가 한몸을 이루도록 하는 베리어 베이스와; 이 베리어 베이스와 상기 회전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베리어들이 상기 개구부를 열도록 하는 힘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회전체 및 렌즈 경통 어셈블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베리어들이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회전수단이 포함된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부재는, 상기 베리어의 일면에 고정 설치된 보스에 일측을 끼움 결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회전체의 일측 둘레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움 결합하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체의 일측 둘레면 상에 형성된 제1 끼움 돌기에 일측을 결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베리어 베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 끼움 돌기에 결합하는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베이스는, 그 개구부에 주위를 따라 관통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 및 상기 프런트 패널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멍부에 대응하는 각각의 보스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프런트 패널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측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의 원주상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경통 어셈블리가 보유하는 리어 홀더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삽입 결합되어 카메라의 온/오프 신호에 따른 렌즈 경통 어셈블리의 상태에 따라 상기 홈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하는 돌출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
KR2019970026202U 1997-09-19 1997-09-19 카메라의렌즈캡어셈블리 KR200317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202U KR200317552Y1 (ko) 1997-09-19 1997-09-19 카메라의렌즈캡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202U KR200317552Y1 (ko) 1997-09-19 1997-09-19 카메라의렌즈캡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008U true KR19990013008U (ko) 1999-04-15
KR200317552Y1 KR200317552Y1 (ko) 2003-09-17

Family

ID=4933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202U KR200317552Y1 (ko) 1997-09-19 1997-09-19 카메라의렌즈캡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5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186B1 (ko) * 2002-01-15 2008-12-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컴팩트 줌 카메라의 렌즈 캡
KR101456485B1 (ko) * 2007-12-13 2014-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517B1 (ko) * 2008-01-14 2015-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186B1 (ko) * 2002-01-15 2008-12-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컴팩트 줌 카메라의 렌즈 캡
KR101456485B1 (ko) * 2007-12-13 2014-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552Y1 (ko) 200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9910B1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photographic opening in a lens cover
JP3276171B2 (ja) ズームレンズ鏡筒
US5294954A (en) Rotatably controllable lens hood and cover unit
US5486889A (en) Lens barrier mechanism for use in a camera
US5159372A (en) Lens barrier
US5913089A (en) Camera
US5614973A (en) Lens barrier mechanism
EP0788020B1 (en) Protection cover device and protection-cover-equipped apparatus
KR200317552Y1 (ko) 카메라의렌즈캡어셈블리
US20040042784A1 (en) Lens cap assembly for camera
JP4614195B2 (ja) カメラのレンズバリア装置
JP2593878Y2 (ja) カメラのバリア装置
JP2005215080A (ja) レンズ駆動装置
US5797047A (en) Camera with hinged mounted lens barrier movable with movement of the lens
JP2003084333A (ja) カメラ
JPS63194213A (ja) ズ−ムレンズ鏡胴
JP3303502B2 (ja) バリアー機構
JPH0634865A (ja) レンズ鏡筒
KR100509371B1 (ko) 카메라의 렌즈 캡 어셈블리
JP3251383B2 (ja) レンズバリア機構およびカメラ
JP2000231139A (ja) バリア開閉機構
JPH087364B2 (ja) バリヤ開閉装置
JP2000231140A (ja) バリア開閉機構
US6217237B1 (en) Spool case unit for camera and camera including such spool case unit
JP3288761B2 (ja) レンズ鏡筒の定位置回動環とその支持筒の結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