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517B1 -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517B1
KR101509517B1 KR20080003858A KR20080003858A KR101509517B1 KR 101509517 B1 KR101509517 B1 KR 101509517B1 KR 20080003858 A KR20080003858 A KR 20080003858A KR 20080003858 A KR20080003858 A KR 20080003858A KR 101509517 B1 KR101509517 B1 KR 101509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cover
op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8073A (ko
Inventor
안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0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5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는 디지털기기에 설치된 카메라의 사용유무에 따라 커버의 연통공을 개폐하여 카메라의 렌즈를 개폐한다. 그러므로, 카메라의 렌즈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므로 이물질에 의하여 카메라의 렌즈가 손상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CAMERA LE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프레임과 커버 및 스토퍼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재와 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프레임과 회전부재와 지지판과 개폐부재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동작을 보인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를 모터를 이용하는 개폐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프레임 120 : 커버
130 : 회전부재 140 : 지지판
150 : 개폐부재 160 : 스토퍼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기기의 다기능화 추세에 따라 카메라 및 MP3 플레이어 등이 내장된 디지털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디지털기기에 설치된 카메라의 렌즈는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기기에 설치된 카메라의 렌즈가 이물질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는, 내부에 카메라가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덮는 형태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와 대향하는 연통공이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부측에는 상기 연통공과 대향되게 투명창이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커버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중앙부측에는 상기 연통공과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개 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는 상대적으로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호 결합된 링형상의 프레임(110) 및 원통형의 커버(120)를 가진다.
이하,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프레임(110)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 커버(120)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이라 한다.
커버(120)의 내부에는 중앙부측에 투명창(132)이 형성된 회전부재(130)가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커버(120)와 회전부재(130) 사이에는 중앙부측에 관통공(141)이 형성된 지지판(140) 위치되어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투명창(132)은 프레임(110)에 결합된 카메라(200)의 렌즈(210)와 대향하고, 투명창(132)과 관통공(141)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120)에는 관통공(141)과 대향되게 연통공(121a)이 형성된다. 카메라(200)의 렌즈(210)는 투명창(132)과 관통공(141)과 연통공(121a)을 통하여 외부의 사물을 촬영한다.
지지판(140)에는 제 1 및 제 2 개폐판(151,155)을 가지는 개폐부재(150)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개폐판(151,155)은 회전부재(130)가 정역회전함에 연통공(121a)을 개폐한다.
프레임(110)과 커버(120)는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토퍼(160)에 의 하여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프레임(110)과 커버(120)의 결합 구조를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프레임과 커버 및 스토퍼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링형상으로 형성된 받침판(111)을 가진다. 받침판(111)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는 링형상의 외측벽(112) 및 내측벽(113)이 커버(120)측인 상측으로 각각 벤딩 형성된다. 외측벽(112)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커버(120)의 측판(125)의 내주면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벽(113)의 내주면에는 카메라(200)가 결합된다.
커버(120)는 중앙부측에 연통공(121a)이 형성된 원형의 덮개판(121)과 덮개판(121)의 외주면에서 프레임(110)측인 하측으로 벤딩 형성되며 외측벽(112)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형상의 측판(125)을 가진다.
프레임(110)의 외측벽(112)과 내측벽(113) 사이의 받침판(111) 부위에는 중간벽(114)이 형성되고, 외측벽(112)과 중간벽(114) 사이에는 외측벽(112)과 중간벽(114) 사이의 공간을 원주방향으로 구획하는 제 1 외측구획편(115)과 제 2 외측구획편(116)이 형성된다.
제 1 외측구획편(115)과 제 2 외측구획편(116) 사이의 중간벽(114)의 외주면에는 중간구획편(117)이 형성된다. 중간구획편(117)은 제 1 외측구획편(115)과의 사이에는 제 1 구획공간(118a)을 형성하고 제 2 외측구획편(116)과의 사이에는 제 2 구획공간(118b)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 1 구획공간(118a)과 제 2 구획공간(118b) 을 원주방향으로 연통시킨다. 중간구획편(117)은 외측벽(112)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구획공간(118a,118b)에는 코일스프링 등과 같은 제 1 및 제 2 탄성부재(171a,171b)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제 1 탄성부재(171a)의 일측은 제 1 외측구획편(115)과 접촉하고 타측은 중간구획편(117)의 일측과 접촉하며, 제 2 탄성부재(171b)의 일측은 제 2 외측구획편(116)과 접촉하고 타측은 중간구획편(117)의 타측과 접촉한다.
그리고, 중간구획편(117)과 외측벽(112) 사이에는 커버(120)의 측판(125) 내주면에 형성된 접촉돌기(127)가 위치된다. 그리하여, 프레임(110)의 외측벽(112)의 외주면을 따라 커버(120)가 정역회전하면, 접촉돌기(127)에 의하여 제 1 탄성부재(171a) 또는 제 2 탄성부재(171b)가 압축되고, 제 1 탄성부재(171a) 또는 제 2 탄성부재(171b)의 팽창력에 의하여 커버(120)가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다.
커버(12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이유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를 제품에 설치한 상태에서, 커버(120)를 회전시켜 상기 제품의 필요한 부위를 온/오프시키는 등의 스위치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커버(120) 및 상기 제품에 마그네트나 홀센서 등을 적절하게 설치하면 된다.
커버(120)의 측판(125)의 하단면(下端面)에는 복수의 제 1 결합돌기(125a)가 형성되고, 프레임(110)의 외측벽(112)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홈(11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토퍼(160)는 소정 폭을 가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걸 림홈(112a)에 삽입되어 걸린다. 이때, 스토퍼(160)에는 제 1 결합돌기(125a)가 삽입 결합되는 제 1 결합공(16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프레임(110)과 커버(120)는 스토퍼(160)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회전부재(130)와 프레임(120)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재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30)는 중앙부에 투명창(132)이 형성된 원판형의 몸체(131), 몸체(131)의 외주면에서 프레임(110)측인 하측으로 벤딩 형성된 결합테(135), 결합테(135)의 외주면에서 연장 형성된 레버(137)를 가진다.
결합테(135)의 내주면은 프레임(110)의 내측벽(113)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레버(137)는 프레임(110)의 외측벽 및 커버(120)의 측판(125)의 외측에 위치된다. 회전부재(130)가 회전할 수 있기 위해서는, 프레임(110) 및 커버(120)의 외측에 위치된 레버(137)가 프레임(110) 및 커버(120)의 간섭을 받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10)의 외측벽(112) 및 커버(120)의 측판(125)에는 레버(137)가 관통하는 관통홈(112b,125b)이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다.
내측벽(113)에는 일측이 외측벽(112)으로 돌출된 판스프링(175)이 설치되고, 결합테(135)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135a)가 형성된다. 걸림돌기(135a)는 판스프링(175)의 돌출부에 걸려서 투명창(132)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130)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지지판(140)과 개폐부재(150)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프레임과 회전부재와 지지판과 개폐부재의 사 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40)은 중앙부에 관통공(141)이 형성된 링형상으로 마련된다. 프레임(110)의 외측벽(112)의 상단면(上端面) 및 지지판(140)의 테두리부측에는 상호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제 2 결합돌기(110a) 및 제 2 결합공(143)이 각각 형성된다. 제 2 결합돌기(110a)와 제 2 결합공(143)에 의하여 지지판(140)이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회전부재(130)의 몸체(131)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의 제 1 및 제 2 장공(131a,131b)이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지지판(140)에는 호형상의 제 3 및 제 4 장공(145a,145b)이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 1 장공(131a)과 제 3 장공(145a)은 일측이 연통되고, 제 2 장공(131b)과 제 4 장공(145b)은 일측이 연통된다. 이때, 제 1 장공(131a)과 제 3 장공(145a)의 연통 부위와 제 2 장공(131b)과 제 4 장공(145b)의 연통 부위는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또한, 제 1 장공(131a)과 제 3 장공(145a)의 연통 부위 및 제 2 장공(131b)과 제 4 장공(145b)의 연통 부위는 회전부재(130)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제 3 장공(145a) 및 제 4 장공(145b)을 따라 변한다.
개폐부재(150)는 대략 반원판으로 형성되어 외면의 평면 부위가 상호 대향하도록 지지판(14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제 1 및 제 2 개폐판(151,155)을 가진다. 제 1 개폐판(151)과 제 2 개폐판(155)은 외면의 평면 부위가 상호 평행을 이루면서 가까와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하면서 커버(120)의 연통공(121a)을 개폐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3 및 제 4 장공(145a,145b)과 인접하는 지지판(140)의 부위에는 제 1 및 제 2 지지돌기(147a,147b)가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개폐판(151,155)의 일측에는 제 1 및 제 2 지지돌기(147a,147b)가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지지공(152,156)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하여, 제 1 및 제 2 개폐판(151,155)은 제 1 및 제 2 지지공(152,156)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한다.
제 1 및 제 2 개폐판(151,155)의 일단부에는 제 1 및 제 2 삽입돌기(153,157)가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삽입돌기(153,157)는 제 3 장공(145a)과 제 1 장공(131a)의 연통 부위 및 제 4 장공(145b)과 제 2 장공(131b)의 연통 부위에 각각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장공(131a)과 제 3 장공(145a)의 연통 부위 및 제 2 장공(131b)과 제 4 장공(145b)의 연통 부위는 회전부재(130)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제 3 장공(145a) 및 제 4 장공(145b)을 따라 변하므로, 제 3 장공(145a)과 제 1 장공(131a)의 연통 부위 및 제 4 장공(145b)과 제 2 장공(131b)의 연통 부위에 각각 삽입된 제 1 및 제 2 삽입돌기(153,157)도 제 3 및 제 4 장공(145a,145b)을 따라 각각 변한다. 그런데, 제 1 및 제 2 개폐판(151,155)의 제 1 및 제 2 지지공(152,156)은 제 1 및 제 2 지지돌기(147a,147b)에 각각 삽입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개폐판(151,155)은 제 1 및 제 2 삽입돌기(153,157)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지지공(152,15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로인해, 제 1 개폐판(151)과 제 2 개폐판(151,155)이 상호 가까와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하면서 커 버(120)의 연통공(121a)을 개폐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동작을 보인 도 5의 평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개폐판(151)과 제 2 개폐판(155)의 외면의 평면 부위가 상호 접촉되어 지지판(140)의 관통공(141)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제 1 개폐판(151)과 제 2 개폐판(155)에 의하여 지지판(140)의 관통공(141)이 폐쇄된 상태는 커버(120)의 연통공(121a)(도 1참조)이 폐쇄된 상태이다. 그리고, 최초의 상태에서는 회전부재(130)의 제 1 및 제 2 장공(131a,131b)의 외측 단부측과 지지판(140)의 제 3 및 제 4 장공(145a,145b)의 외측 단부측이 각각 연통된다.
최초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30)의 레버(137)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30)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장공(131a,131b)의 중앙부측과 제 3 및 제 4 장공(145a,145b)의 중앙부측이 각각 연통된다. 그러면, 제 1 장공(131a)과 제 3 장공(145a)의 연통 부위 및 제 2 장공(131b)과 제 4 장공(145b)의 연통 부위에 각각 삽입된 제 1 개폐판(151)의 제 1 삽입돌기(153) 및 제 2 개폐판(155)의 제 2 삽입돌기(157)도 제 3 및 제 4 장공(145a,145b)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그런데, 제 1 개폐판(151)의 제 1 지지공(152) 및 제 2 개폐판(155)의 제 2 지지공(156)이 지지판(140)의 제 1 및 제 2 지지돌기(147a,147b)에 각각 삽입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개폐 판(151,155)은 제 1 및 제 2 지지돌기(147a,147b)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면서, 외면의 평면 부위가 평행을 유지하면서 상호 멀어진다.
그후, 회전부재(130)의 레버(137)를,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30)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장공(131a,131b)의 내측 단부측과 제 3 및 제 4 장공(145a,145b)의 내측 단부측이 각각 연통되고, 이에 따라 제 1 삽입돌기(153) 및 제 2 삽입돌기(157)도 제 3 및 제 4 장공(145a,145b)의 내측 단부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제 1 및 제 2 개폐판(151,155)은 외면의 평면 부위가 평행을 유지하면서 상호 더 멀어진다. 이로인해, 지지판(140)의 관통공(141)의 개방된다. 제 1 개폐판(151)과 제 2 개폐판(155)에 의하여 지지판(140)의 관통공(141)이 개방된 상태는 커버(120)의 연통공(121a)(도 1참조)이 개방된 상태이다.
커버(120)의 연통공(121a)을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c의 상태에서, 레버(13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를 모터를 이용하는 개폐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30)의 레버(137)에는 모터(300)가 연결된다. 이때, 모터(300)는 스테핑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리드스크류(310)에 설치되어 직선왕복운동하는 연결부재(320)에 레버(137)가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는 디지털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의 사용유무에 따라 커버의 연통공을 개폐하여 카메라의 렌즈를 개폐한다. 그러므로, 카메라의 렌즈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므로 이물질에 의하여 카메라의 렌즈가 손상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15)

  1. 내부에 카메라가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덮는 형태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와 대향하는 연통공이 형 성된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부측에는 상기 연통공과 대향되게 투명창이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커버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중앙부측에는 상기 연통공과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지지판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 및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연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외주면에서 벤딩 형성되어 링형상을 이루며 내주면에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이 결합되는 측판을 가지고,
    상기 측판의 단면(端面)과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와 상기 프레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결합된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단면 및 상기 스토퍼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는 제 1 결합돌기 및 제 1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내주면이 삽입 걸리는 걸림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커버는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링형상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외주면에서 상기 커버의 덮개판측으로 벤딩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측판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외측벽, 상기 받침판의 내주면에서 상기 덮개판측으로 벤딩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카메라가 결합되는 내측벽,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구획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상호 연통된 제 1 및 제 2 구획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구획공간에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 1 구획공간과 상기 제 2 구획공간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와 접촉하여 회전된 상기 커버를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접촉돌기가 형성된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사이의 상기 받침판 부위에는 중간벽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과 상기 중간벽 사이에는 상호 간격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외측구획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외측구획편과 상기 제 2 외측구획편 사이에는 상기 제 1 외측구획돌기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구획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외측구획편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구획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구획공간과 상기 제 2 구획공간을 원주방향으로 연통시키는 중간구획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 1 외측구획편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중간구획편의 일측에 접촉하며,
    상기 제 2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 2 외측구획편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중간구획편의 타측에 접촉하는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구획편은 상기 외측벽의 내주면과 상기 중간벽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중간구획편과 대향되게 위치된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내측벽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벽에는 일측이 상기 외측벽측으로 돌출된 판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돌출부에 걸려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중앙부에 상기 투명창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프레임 측으로 벤딩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테, 상기 결합테의 외주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측벽의 외측에 위치되는 레버를 가지는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의 제 1 및 제 2 장공이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장공과 각각 연통되는 부위가 변하는 호형상의 제 3 및 제 4 장공이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반원판으로 형성되어 외면의 평면 부위가 상호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개폐판을 가지고,
    상기 제 1 개폐판과 상기 제 2 개폐판은 상기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어 외면의 평면 부위가 상호 평행을 이루면서 가까와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하면서 상기 연통공을 개폐하는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장공과 인접하는 상기 지지판의 부위 및 상기 제 1 개폐판의 일측에는 상호 힌지 결합되는 제 1 지지돌기 및 제 1 지지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4 장공과 인접하는 상기 지지판의 부위 및 상기 제 2 개폐판의 일측에는 상호 힌지 결합되는 제 2 지지돌기 및 제 2 지지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개폐판의 일단부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변하는 상기 제 3 장공과 상기 제 1 장공의 연통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개폐판을 상기 제 1 지지공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 1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폐판의 일단부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변하는 상기 제 4 장공과 상기 제 2 장공의 연통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개폐판을 상기 제 2 지지공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 2 삽입돌기가 형성된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커버에는 상기 레버가 관통하는 관통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연결된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15. 삭제
KR20080003858A 2008-01-14 2008-01-14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KR101509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3858A KR101509517B1 (ko) 2008-01-14 2008-01-14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3858A KR101509517B1 (ko) 2008-01-14 2008-01-14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073A KR20090078073A (ko) 2009-07-17
KR101509517B1 true KR101509517B1 (ko) 2015-04-08

Family

ID=4133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3858A KR101509517B1 (ko) 2008-01-14 2008-01-14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5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552Y1 (ko) * 1997-09-19 2003-09-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의렌즈캡어셈블리
JP2004163830A (ja) * 2002-11-15 2004-06-10 Sharp Corp カメラの焦点切換構造
KR100681835B1 (ko) 1999-10-14 2007-02-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카메라의 배리어 개폐 장치
KR20070069429A (ko) * 2005-12-28 2007-07-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의 렌즈캡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552Y1 (ko) * 1997-09-19 2003-09-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의렌즈캡어셈블리
KR100681835B1 (ko) 1999-10-14 2007-02-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카메라의 배리어 개폐 장치
JP2004163830A (ja) * 2002-11-15 2004-06-10 Sharp Corp カメラの焦点切換構造
KR20070069429A (ko) * 2005-12-28 2007-07-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의 렌즈캡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073A (ko) 200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1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7554802B2 (en) Dustproof member for memory card slot
JPH0879346A (ja) 携帯用電話機のヒンジ機構
JPH03171313A (ja) 小型電子機器
JP2003239942A (ja) ヒンジ構造及びモバイル情報端末機器
KR101509517B1 (ko)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KR100418050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JP2017031595A (ja) 回転把手
US5315336A (en) Battery housing structure
US5296663A (en) Electric switch
JP4391306B2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JP2004362979A (ja) スイッチ装置
KR100801622B1 (ko)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
JP2016121755A (ja) 重トルク型回転式電子部品
KR100692419B1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및 회전기능을 구비하는슬라이드 개폐형 휴대전화기
KR100612822B1 (ko) 휴대 전화기의 카메라용 힌지장치
JP6978054B2 (ja) 鍵スイッチ装置
JP6499023B2 (ja) コネクタ
JP2001354280A (ja) 板材収納枠
KR100935398B1 (ko) 메모리카드 삽입구용 개폐장치
KR1006403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36079B1 (ko) 휴대단말기의 이중 힌지구조
KR200404171Y1 (ko) 힌지장치
KR20050031563A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JP2024041099A (ja) 羽根開閉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