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877A -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877A
KR19990011877A KR1019970035131A KR19970035131A KR19990011877A KR 19990011877 A KR19990011877 A KR 19990011877A KR 1019970035131 A KR1019970035131 A KR 1019970035131A KR 19970035131 A KR19970035131 A KR 19970035131A KR 19990011877 A KR19990011877 A KR 19990011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obstacle
relay
sensor
rearview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3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877A/ko
Publication of KR19990011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877A/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백 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의 유무에 따라 백 미러의 접힘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한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백 미러쪽으로 가까이 접근해 오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백 미러가 접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장애물이 없을 경우에는 펴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운행 도중 부딪힘이나 긁힘에 의해 백 미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 미러쪽으로 가까이 접근해 오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 자차와 상대 장애물과의 거리 변화 또는 장애물의 자차에 대한 상대 속도로 백 미러의 접힘 속도를 제어하면서, 이어 장애물이 지나칠 경우에는 자동으로 펴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해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에 따라 백 미러의 접힘 상태 및 속도 조절이 자동으로 가능하게 됨으로써 자차 또는 상대 차량의 속도가 아무리 빨라도 좁은 골목길이나 좁은 차선에서조차 백 미러의 손상을 걱정하지 않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에게 신뢰성 및 편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차량 백 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의 유무에 따라 백 미러의 접힘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한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 미러는 차량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해 차량 좌우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백 미러에 의한 후방 시야 각도의 조절은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동식은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백 미러를 원하는 각도 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고, 수동식은 운전자가 직접 백 미러의 좌우측을 누르거나 또는 차실내에 장착된 백 미러 각도 조절 레버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백 미러의 장착 상태는 차체의 좌우측으로 튀어 나온 형상으로 장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좁은 골목길을 운행하거나 좁은 차선을 운행할 경우 마주 오는 상대 차량이 있게 되면 운전자는 눈짐작으로 차가 지나갈 정도의 공간을 가늠하게 된다.
이에 백 미러가 부딪힐 것 같으면 윈도우를 열고 백 미러를 접어 부딪히는 그 순간을 모면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마주 오는 상대 차량의 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운전자가 미처 백 미러를 접을 사이도 없이 백 미러는 상대 차량에 부딪혀 손상을 입게 될 것이다.
또한, 백 미러를 접지 않은 상태로 좁은 골목길에서 무리하게 운행을 하다가 백 미러가 벽에 긁히게 되어 손상을 입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백 미러쪽으로 가까이 접근해 오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백 미러가 접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장애물이 없을 경우에는 펴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운행 도중 부딪힘이나 긁힘에 의해 백 미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 미러쪽으로 가까이 접근해 오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 자차와 상대 장애물과의 거리 변화 또는 장애물의 자차에 대한 상대 속도로 백 미러의 접힘 속도를 제어하면서, 이어 장애물이 지나칠 경우에는 자동으로 펴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는, 차량 좌우측에 장착되어 후방 시야를 확보해 주는 백 미러에 있어서, 점화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되면 온상태가 되는 장애물 감지 센서와;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의 오프상태에서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으로 온되어 스위칭 동작을 하면서 장애물 감지 센서가 온상태일 시에는 오프상태가 되도록 베이스단에 저항을 연결한 트랜지스터와;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의 온상태와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을 통한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으로 동작하는 각각의 솔레노이드와, 상기 각각의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해 전원 공급단과 접지단으로 각각 스위칭 접점되는 두 개의 릴레이 스위치로 이루어져 백 미러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접점에 따른 상기 전원 공급단과 접지단과의 연결로 전원을 공급받고, 이에 백 미러의 축을 회전시켜 접힘 상태를 조절하는 모터와; 상기 릴레이의 두 릴레이 스위치와 모터 사이의 두 연결 라인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모터에 의한 백 미러의 접힘 또는 펴짐이 완료됨에 따라 두 연결 라인 중 현재 전원 공급 라인이 오프되도록 동작하는 제1및2회전 완료 감지 센서와; 상기 제1 또는 2회전 완료 감지 센서의 오프 상태에서 백 미러를 펴거나 접고자 할 경우 상기 릴레이를 통한 모터의 접지측을 오프 상태의 회전 완료 감지 센서가 온 상태가 될 때까지 다른 접지단으로 유도하여 모터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1및2접지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점화 스위치의 온상태에서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와; 상기 거리 센서에서 감지된 거리값을 시간에 대해 미분하여 장애물의 순간 상대 속도를 구하면서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가 온이 되는 거리에서부터 순간 상대 속도에 비례한 크기의 전류를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과 함께 상기 릴레이의 전원 공급단으로 공급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시켜 장애물 접근 거리 변화에 따라 백 미러의 접힘 속도가 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상기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점화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 오는 장애물의 자차에 대한 상대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를 포함시키고, 상기 제어부를 상기 거리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와 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상대 속도로서 장애물과 자차의 근접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가 온이 되는 거리에서부터 근접 상태에 따라 설정된 전류를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과 함께 상기 릴레이의 전원 공급단으로 공급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하여 장애물의 접근 거리 및 속도에 따라 백 미러의 접힘 속도가 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상기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점화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의 자차에 대한 상대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를 포함시키고, 상기 제어부를 상기 거리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와 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상대 속도로서 장애물과 자차의 근접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가 온이 되는 거리에서부터 근접 상태에 따라 설정된 전류를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과 함께 상기 릴레이의 전원 공급단으로 공급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하여 장애물의 접근 거리 및 속도에 따라 백 미러의 접힘 속도가 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2a는 백 미러의 회전축 정면도,
도 2b는 백 미러의 고정축 평면도,
도 2c는 백 미러의 회전축과 고정축의 결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에 의한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에 의한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도,
도 6은 도 1과 도 3 ,도 4 및 도5에서 각 센서의 장착 위치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2 : 점화 스위치
3 : 백 미러 4 : 미러 베이스
5 : 바디 6 : 전면 유리
10 : 장애물 감지 센서 20 : 트랜지스터
30,150 : 릴레이 40,160 : 모터
50 :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 51,61 : 제1철심
52,62 : 제2철심 60 :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
70 : 제1접지 회로 80 : 제2접지 회로
90,170 : 거리 센서 100,120,200 : 제어부
110,190 : 속도 센서 130 : 제1타이머
140 : 제2타이머 S1 : 제1솔레노이드
S2 : 제2솔레노이드 SW1 : 제1릴레이 스위치
SW2 : 제2릴레이 스위치 R1∼R9 : 저항
D1∼D6 : 다이오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2a는 백 미러의 회전축 저면도, 도 2b는 백 미러의 고정축 평면도, 도 2c는 백 미러의 회전축과 고정축의 결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도, 도 6a 및 도 6b는 도 1과 도 3, 도 4 및 도 5에서 각 센서의 장착 위치도이다.
우선,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장애물 감지 센서(10)와, 트랜지스터(20)와, 릴레이(30)와, 모터(40)와, 제1및2회전 완료 감지 센서(50,60), 제1및2접지 회로(70,80)를 포함한다.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는 점화 스위치(2)의 온상태에서 백 미러(3)로 근접해 오는 장애물의 유무를 확인하여 감지되면 온상태가 되어 백 미러(3)가 접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생하여 돌아오는 신호가 약 50㎝ 거리 내에서 부딪혀 돌아오는 것으로 감지되면 온상태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50㎝외에도 여러 가지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20)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의 오프상태에서 온되고, 온상태에서 오프되는 것으로, 이의 온상태에서 백 미러(3)가 펴지게 된다. 즉, 장애물 감지 센서(10)의 오프상태에 따라 장애물 감지 센서(10)로 인가되던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전원으로 온되어 스위칭 동작을 하면서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온상태일 시에는 오프상태가 되도록 베이스단에 저항(R4)을 연결한다.
상기 릴레이(30)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의 온상태와 트랜지스터(20)의 스위칭 동작을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전원으로 백 미러(3)의 접힘과 펴짐에 따른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와 트랜지스터(20)의 전원 공급에 의해 동작하는 각각의 솔레노이드(S1,S2)와, 상기 각각의 솔레노이드(S1,S2)의 동작에 의해 전원 공급단과 접지단으로 각각 스위칭 접점되는 두 개의 릴레이 스위치(SW1,SW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장애물을 감지하여 온상태가 되면 제2솔레노이드(S2)가 동작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제1릴레이 스위치(SW1)에 의해 c-b접점이 연결되고, 제2릴레이 스위치(SW2)에 의해 e-d접점이 연결된다. 여기서, 각 릴레이 스위치(SW1,SW2)의 접점 a와 e는 접지단이고, c는 전원 공급 입력단이며, b와 d는 출력단이다. 이에 장애물이 근접해 오는 상태에서는 제1릴레이 스위치(SW1)의 b접점을 통해 점화 스위치(2)를 통한 배터리(1) 전원이 공급되고, 제2릴레이 스위치(SW2)의 d접점을 통해 접지단이 연결된다.
상기 모터(40)는 상기 릴레이(30)의 스위칭 접점에 따른 상기 전원 공급단과 접지단과의 연결로 전원을 공급받고, 이에 백 미러(3)의 축을 회전시켜 접힘 상태를 조절한다.
상기 제1및2회전 완료 감지 센서(50,60)는 상기 릴레이(30)의 두 릴레이 스위치(SW1,SW2)와 모터(40) 사이의 두 연결 라인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모터(40)에 의한 백 미러(3)의 접힘 또는 펴짐이 완료됨에 따라 두 연결 라인 중 현재 전원 공급 라인이 오프되도록 동작한다. 즉, 장애물 근접에 의한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의 온상태에 따른 상기 릴레이(30)의 제2솔레노이드(S2)의 동작으로 b접점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모터(40)가 회전을 하여 백 미러(3)가 완전히 접히게 되면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50)가 오프되고, 반대로 제1솔레노이드(S1)의 동작으로 모터(40)가 회전을 하여 백 미러(3)가 완전히 펴지게 되면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가 오프된다. 이는 백 미러(3)의 회전이 완료되었음에도 계속 공급되는 전원으로 인해 모터(40)에 부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및2접지 회로(70,80)는 상기 제1 또는 2회전 완료 감지 센서(50)(60)의 오프 상태에서 백 미러(3)를 펴거나 접고자 할 경우 상기 릴레이(30)를 통한 모터(40)의 접지측을 오프 상태의 회전 완료 감지 센서가 온 상태가 될 때까지 다른 접지단으로 유도하여 모터(40)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백 미러(3)의 회전 완료 상태에서 상기 회전 완료 감지 센서에 의해 오프된 전원 공급 라인이 다음 동작에서는 접지 라인으로 변환됨에 따라 이 접지 라인을 다른 접지 라인으로 유도하여 모터(40)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모터(40)가 어느 정도 회전을 하게 되면 오프되어 있던 회전 완료 감지 센서는 회전 완료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다시 온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제1및2접지 회로(70,80)에 구성된 저항(R5)(R6)에 의해 모터(40)로 공급되는 전원은 다시 온 상태가 된 회전 완료 감지 센서를 통한 접지측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및2접지 회로(70,80)는 상기 저항(R5)(R6)에 직렬 연결된 접지방향으로의 다이오드(D3)(D4)를 포함한다.
도면상, 미설명된 부호인 (R1∼R3)은 각 회로의 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저항이고, (D1,D2)는 상기 릴레이(30)의 각 솔레노이드(S1,S2)를 통한 전류가 접지단과 연결되도록 전류 흐름을 정해주는 다이오드이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제1및2회전 완료 감지 센서(50,6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및2회전 완료 감지 센서(50,60)의 각각의 일측은 도 2(a)에서와 같이 백 미러(3)의 회전축의 밑면에서 서로 대응되게 장착된 제1철심(51,61)으로 구성되고, 다른 일측은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축의 윗면에서 서로 대응되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철심(51,61)의 위치와 맞물리도록 고정축의 원주를 따라 길게 형성된 제2철심(52,62)으로 구성된다. 단, 이때의 원주 길이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작점과 완료점에서의 상기 제1철심(51,61)의 각각의 위치와 제2철심(52,62)의 맞물림 상태로 상기 모터(40)로의 전원 공급 라인의 온/오프가 결정되도록 형성된다.
즉, 장애물 근접에 의해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온되어 백 미러(3)가 완전히 접히게 되면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50)는 오프 상태가 되고,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는 온 상태가 되는데, 이는 접힘 회전이 완료되면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50)의 제1철심(51)이 제2철심(52)에 대해 벗어난 상태가 되고,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의 제1철심(61)이 제2철심(62)과 맞물려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이에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5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각각의 제1철심(51,61)은 도 2(c)에서와 같이 L에서 R로 이동을 하게 되고,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각각의 제1철심(51,61)은 R에서 L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은 시동이 걸려 점화 스위치(2)의 온상태에서 운행중이다.
이때, 백 미러(3) 바로 앞쪽으로 상대 차량의 백 미러(3)가 근접해 오고 있을 경우, 이 차량이 장애물 감지 센서(10)의 동작 범위 내에 들어오게 되면 장애물 감지 센서(10)는 온상태가 된다.
이에 장애물 감지 센서(10)를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이 제3저항(R3)을 통해 릴레이(30)의 제2솔레노이드(S2)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제2솔레노이드(S2)가 동작하게 되면 제1릴레이 스위치(SW1)가 c-b접점으로 스위칭되고, 제2릴레이 스위치(SW2)가 e-d접점으로 스위칭된다.
이러한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1릴레이 스위치(SW1)를 통해서는 제2저항(R2)을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이 공급되고, 제2릴레이 스위치(SW2)를 통해서는 접지단이 연결된다.
그런데, 이때 바로 전에 백 미러(3)를 펴는 과정에서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가 오프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1릴레이 스위치(SW1)의 b접점 출력단을 통한 전원은 온 상태에 있는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50)를 통해 모터(40)와 연결된 제2접지 회로(80)로 흐르게 된다.
이에 모터(40)는 도 2(c)에서와 같이 L에서 R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백 미러(3)를 접게 된다.
이때, 모터(40)가 어느 정도 회전을 하게 되면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의 제1철심(61)은 제2철심(62)과 맞물리게 되어 온 상태가 된다.
이에 제2접지 회로(80)로 흐르던 전원이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를 통한 접지단으로 흐르게 된다. 이는 제2접지 회로(80)의 높은 저항(R6) 때문에 아무 저항이 없는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로의 전원 흐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백 미러(3)가 완전히 접히게 되면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50)의 제1철심(51)이 제2철심(52)을 벗어나게 되므로 오프 상태가 된다.
이에 모터(40)의 회전은 멈추게 되고, 이어 백 미러(3)의 동작이 정지되면 백 미러(3)의 접힘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장애물 근접 상황에서 장애물이 지나치게 되면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오프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트랜지스터(20)의 동작으로 다음과 같은 백 미러(3)의 펴짐 동작이 수행된다.
즉, 장애물이 자차 옆을 지나치게 됨에 따라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오프되면, 이에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단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트랜지스터(20)가 온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20)를 통해 제1저항(R1)을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이 릴레이(30)의 제1솔레노이드(S1)로 입력된다.
이에 제1솔레노이드(S1)가 동작하게 되면 제1릴레이 스위치(SW1)가 a-b접점으로 스위칭되고, 제2릴레이 스위치(SW2)가 c-d접점으로 스위칭된다.
이러한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2릴레이 스위치(SW2)를 통해서는 제2저항(R2)을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이 공급되고, 제1릴레이 스위치(SW1)를 통해서는 접지단이 연결된다.
그런데, 이때 바로 전에 백 미러(3)를 접는 과정에서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50)가 오프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릴레이 스위치(SW2)의 d접점 출력단을 통한 전원은 온 상태에 있는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를 통해 모터(40)와 연결된 제1접지 회로(70)로 흐르게 된다.
이에 모터(40)는 도 2(c)에서와 같이 R에서 L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백 미러(3)를 펴게 된다.
이때, 모터(40)가 어느 정도 회전을 하게 되면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50)의 제1철심(51)은 제2철심(52)과 맞물리게 되어 온 상태가 된다.
이에 제1접지 회로(70)로 흐르던 전원이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50)를 통한 접지단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백 미러(3)가 완전히 펴지게 되면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의 제1철심(61)이 제2철심(62)을 벗어나게 되므로 오프 상태가 된다.
이에 모터(40)의 회전은 멈추게 되고, 이어 백 미러(3)의 펴짐 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이에 따른 구성은 도 1에서 거리 센서(90)와 제어부(100)가 더 포함된 것으로,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거리 센서(90)는 점화 스위치(2)의 온상태에서 백 미러(3)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생하여 부딪혀 돌아오는 신호의 파장과 원래 신호의 파장 차이로 거리를 구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거리 센서(90)에서 감지된 거리값을 시간에 대해 미분하여 장애물의 순간 상대 속도를 구하면서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온이 되는 거리에서부터 순간 상대 속도에 비례한 크기의 전류를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전원과 함께 상기 릴레이(30)의 전원 공급단으로 공급하여 모터(4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미분 시간은 해당 거리값에 대해 상기 거리 센서(90)에서 신호를 발생하여 돌아오는데 걸린 시간이다. 이때의 순간 상대 속도는 크면 클수록 상대 장애물과 자차의 거리 차이가 빠르게 가까워지고 있는 것으로, 자차의 속도가 일정할 경우에는 상대 장애물의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상, 미설명된 부호인 (D5∼D6)는 릴레이(30)의 전원 공급단으로 입력되는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전원과 제어부(100)로부터의 전원 흐름을 결정해주는 다이오드이며, (R7∼R8)은 거리 센서(90)와 제어부(100)의 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저항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 3에 따른 백 미러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차량은 시동이 걸려 점화 스위치(2)의 온상태에서 운행중이다.
이와 같이, 차량에 시동이 걸리게 되면 거리 센서(90)는 제7저항(R7)을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전원으로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즉, 백 미러(3) 앞쪽으로 장애물이 있을 경우 그와의 거리를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제어부(100)로 인가하게 된다.
이에 제어부(100)에서는 상기 거리 센서(90)로부터의 거리값을 받아들여 입력되는 거리값을 걸린 시간에 따라 미분하여 상대 장애물의 순간 상대 속도를 구한다.
이때, 백 미러(3) 바로 앞쪽으로 상대 차량의 백 미러(3)가 근접해 오고 있을 경우, 이 차량이 장애물 감지 센서(10)의 동작 범위 내에 들어오게 되면 장애물 감지 센서(10)는 온상태가 된다.
이에 장애물 감지 센서(10)를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이 제3저항(R3)을 통해 릴레이(30)의 제2솔레노이드(S2)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제2솔레노이드(S2)가 동작하게 되면 제1릴레이 스위치(SW1)가 c-b접점으로 스위칭되고, 제2릴레이 스위치(SW2)가 e-d접점으로 스위칭된다.
이러한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1릴레이 스위치(SW1)를 통해서는 제2저항(R2)을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이 제1다이오드(D1)를 거쳐 공급되고, 제2릴레이 스위치(SW2)를 통해서는 접지단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제1릴레이 스위치(SW1)를 통해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이 모터(40)로 공급됨과 동시에 제어부(100)에서도 현재 구해진 순간 상대 속도에 따라 제2다이오드(D2)를 통해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공급한다.
이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온이 됨과 동시에 거리 센서(90)에서 측정된 거리도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감지한 거리와 동일한 값이 되므로 이에 제어부(100)에서 제어 동작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모터(40)는 제1및2릴레이 스위치(SW1,SW2)의 스위칭 접점에 따라 백 미러(3)의 접힘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제1릴레이 스위치(SW1)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회전 속도를 달리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바로 전에 백 미러(3)를 펴는 과정에서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가 오프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1릴레이 스위치(SW1)의 b접점 출력단을 통한 전원은 온 상태에 있는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50)를 통해 모터(40)와 연결된 제2접지 회로(80)로 흐르게 된다.
이에 모터(40)는 도 2(c)에서와 같이 L에서 R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백 미러(3)를 접게 된다.
이때, 모터(40)가 어느 정도 회전을 하게 되면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의 제1철심(61)은 제2철심(62)과 맞물리게 되어 온 상태가 된다.
이에 제2접지 회로(80)로 흐르던 전원이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를 통한 접지단으로 흐르게 된다. 이는 제2접지 회로(80)의 높은 저항(R6) 때문에 아무 저항이 없는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로의 전원 흐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백 미러(3)가 완전히 접히게 되면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50)의 제1철심(51)이 제2철심(52)을 벗어나게 되므로 오프 상태가 된다.
이에 모터(40)의 회전은 멈추게 되고, 이어 백 미러(3)의 동작이 정지되면 백 미러(3)의 접힘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장애물 근접 상황에서 장애물이 지나치게 되면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오프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트랜지스터(20)의 온동작으로 도 1에 의한 펴짐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백 미러(3)의 펴짐 동작시에도 거리 센서(90)는 동작을 계속하게 되나, 현재 장애물이 지나쳐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제어부(100)의 전류 공급 제어 동작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결국, 백 미러(3)는 제1및2릴레이 스위치(SW1,SW2)의 스위칭 접점에 따라 제2릴레이 스위치(SW2)를 통해 공급되는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으로만 동작하는 모터(40)에 의해 펴짐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이에 따른 구성은 도 3에서 속도 센서(110)가 더 포함되고, 이에 제어부(120)의 동작이 변경된 것으로,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속도 센서(110)는 점화 스위치(2)의 온 상태에서 백 미러(3)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의 자차에 대한 상대 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생하여 부딪혀 돌아오는 신호와 원래 신호의 파장 및 시간 차이로 장애물의 상대 속도를 구한다. 이때의 상대 속도는 크면 클수록 상대 장애물과 자차의 거리 차이가 빠르게 가까워지고 있는 것으로, 자차의 속도가 일정할 경우에는 상대 장애물의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거리 센서(90)에서 측정한 거리와 속도 센서(110)에서 측정한 상대 속도로서 장애물과 자차의 근접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온이 되는 거리에서부터 근접 상태에 따라 설정된 전류를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전원과 함께 상기 릴레이(30)의 전원 공급단으로 공급하여 모터(4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즉, 이는 거리 센서(90)의 측정값과 속도 센서(110)의 측정값에 따라 제어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때 측정된 거리는 작고 상대 속도는 크다면 자차와 장애물과의 근접 상태가 매우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릴레이(30)로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가 커지도록 제어한다.
도면상, 미설명된 부호인 (R9)는 속도 센서(110)의 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저항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 4에 따른 백 미러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차량은 시동이 걸려 점화 스위치(2)의 온 상태에서 운행중이다.
이와 같이, 차량에 시동이 걸리게 되면 속도 센서(110)는 제9저항(R9)을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전원으로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즉, 백 미러(3) 앞쪽으로 장애물이 있을 경우 자차에 대한 장애물의 상대 속도를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제어부(120)로 인가하게 된다.
동시에 거리 센서(110)도 제7저항(R7)을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전원으로 동작을 시작하여 백 미러(3) 앞쪽에 있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계속적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그 측정값을 상기 속도 센서(110)의 측정값과 같이 제어부(120)로 인가하게 된다.
이에 제어부(120)에서는 상기 거리 센서(110)와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측정값을 받아들여 입력되는 거리값과 상대 속도에 따라 현재 장애물과 자차의 근접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백 미러(3) 바로 앞쪽으로 상대 차량의 백 미러(3)가 근접해 오고 있을 경우, 이 차량이 장애물 감지 센서(10)의 동작 범위 내에 들어오게 되면 장애물 감지 센서(10)는 온 상태가 된다.
이에 장애물 감지 센서(10)를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이 제3저항(R3)을 통해 릴레이(30)의 제2솔레노이드(S2)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제2솔레노이드(S2)가 동작하게 되면 제1릴레이 스위치(SW1)가 c-b접점으로 스위칭되고, 제2릴레이 스위치(SW2)가 e-d접점으로 스위칭된다.
이러한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1릴레이 스위치(SW1)를 통해서는 제2저항(R2)을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이 제1다이오드(D1)를 거쳐 공급되고, 제2릴레이 스위치(SW2)를 통해서는 접지단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제1릴레이 스위치(SW1)를 통해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이 모터(40)로 공급됨과 동시에 제어부(120)에서도 현재 자차와 장애물 사이의 근접 상태에 따라 제2다이오드(D2)를 통해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공급한다.
이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온이 됨과 동시에 거리 센서(110)에서 측정된 거리도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감지한 거리와 동일한 값이 되므로 이에 제어부(120)에서 근접 상태에 따라 설정된 제어값으로 제어 동작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모터(40)는 제1및2릴레이 스위치(SW1,SW2)의 스위칭 접점에 따라 백 미러(3)의 접힘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제1릴레이 스위치(SW1)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회전 속도를 달리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바로 전에 백 미러(3)를 펴는 과정에서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가 오프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1릴레이 스위치(SW1)의 b접점 출력단을 통한 전원은 온 상태에 있는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50)를 통해 모터(40)와 연결된 제2접지 회로(80)로 흐르게 된다.
이에 모터(40)는 도 2(c)에서와 같이 L에서 R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백 미러(3)를 접게 된다.
이때, 모터(40)가 어느 정도 회전을 하게 되면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의 제1철심(61)은 제2철심(62)과 맞물리게 되어 온 상태가 된다.
이에 제2접지 회로(80)로 흐르던 전원이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를 통한 접지단으로 흐르게 된다. 이는 제2접지 회로(80)의 높은 저항(R6) 때문에 아무 저항이 없는 제2회전 완료 감지 센서(60)로의 전원 흐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백 미러(3)가 완전히 접히게 되면 제1회전 완료 감지 센서(50)의 제1철심(51)이 제2철심(52)을 벗어나게 되므로 오프 상태가 된다.
이에 모터(40)의 회전은 멈추게 되고, 이어 백 미러(3)의 동작이 정지되면 백 미러(3)의 접힘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장애물 근접 상황에서 장애물이 지나치게 되면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오프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트랜지스터(20)의 온동작으로 도 1의 장치에 의한 펴짐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백 미러(3)의 펴짐 동작시에도 거리 센서(90)는 동작을 계속하게 되나, 현재 장애물이 지나쳐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속도 센서(110)에서 측정된 상대 속도가 아무리 크더라도 제어부(120)의 전류 공급 제어 동작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결국, 백 미러(3)는 제1및2릴레이 스위치(SW1,SW2)의 스위칭 접점에 따라 제2릴레이 스위치(SW2)를 통해 공급되는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으로만 동작하는 모터(40)에 의해 펴짐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속도 센서(190)는 점화 스위치(2)의 온 상태에서 백 미러(3)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의 자차에 대한 상대 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생하여 부딪혀 돌아오는 신호와 원래 신호의 파장 및 시간 차이로 장애물의 상대 속도를 구한다. 이때의 상대 속도는 크면 클수록 상대 장애물과 자차의 거리 차이가 빠르게 가까워지고 있는 것으로, 자차의 속도가 일정할 경우에는 상대 장애물의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거리 센서(170)에서 측정한 거리와 속도 센서(190)에서 측정한 상대 속도로서 장애물과 자차의 근접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온이 되는 거리에서부터 근접 상태에 따라 설정된 전류를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전원과 함께 상기 릴레이(150)의 전원 공급단으로 공급하여 모터(16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즉, 이는 거리 센서(170)의 측정값과 속도 센서(190)의 측정값에 따라 제어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때 측정된 거리는 작고 상대 속도는 크다면 자차와 장애물과의 근접 상태가 매우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릴레이(150)로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가 커지도록 제어한다.
도면상, 미설명된 부호인 (R9)은 속도 센서(190)의 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저항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 5에 따른 백 미러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차량은 시동이 걸려 점화 스위치(2)의 온상태에서 운행중이다.
이와 같이, 차량에 시동이 걸리게 되면 속도 센서(190)는 제9저항(R9)을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전원으로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즉, 백 미러(3) 앞쪽으로 장애물이 있을 경우 자차에 대한 장애물의 상대 속도를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제어부(200)로 인가하게 된다.
동시에 거리 센서(170)도 제7저항(R7)을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전원으로 동작을 시작하여 백 미러(3) 앞쪽에 있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계속적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그 측정값을 상기 속도 센서(190)의 측정값과 같이 제어부(200)로 인가하게 된다.
이에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거리 센서(170)와 속도 센서(190)로부터의 측정값을 받아들여 입력되는 거리값과 상대 속도에 따라 현재 장애물과 자차의 근접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백 미러(3) 바로 앞쪽으로 상대 차량의 백 미러(3)가 근접해 오고 있을 경우, 이 차량이 장애물 감지 센서(10)의 동작 범위 내에 들어오게 되면 장애물 감지 센서(10)는 온상태가 된다.
이에 장애물 감지 센서(10)를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이 제4저항(R4)을 통해 제2타이머(140)로 입력된다.
이어 제2타이머(140)는 기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하면서 제5저항(R5)을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을 릴레이(150)의 제2솔레노이드(S2)로 공급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제2솔레노이드(S2)가 동작하게 되면 제1릴레이 스위치(SW1)가 c-b접점으로 스위칭되고, 제2릴레이 스위치(SW2)가 e-d접점으로 스위칭된다.
이러한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2릴레이 스위치(SW2)를 통해서는 제2저항(R2)을 통한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이 제1다이오드(D1)을 거쳐 모터(160)로 공급되고, 제1릴레이 스위치(SW1)를 통해서는 모터(160)가 접지단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제2릴레이 스위치(SW2)를 통해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이 모터(160)로 공급됨과 동시에 제어부(200)에서도 현재 자차와 장애물 사이의 근접 상태에 따라 제2다이오드(D2)를 통해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공급한다.
이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온이 됨과 동시에 거리 센서(170)에서 측정된 거리도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감지한 거리와 동일한 값이 되므로 이에 제어부(200)에서 근접 상태에 따라 설정된 제어값으로 제어 동작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모터(160)는 제1및2릴레이 스위치(SW1,SW2)의 스위칭 접점에 따라 백 미러(3)의 접힘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제2릴레이 스위치(SW2)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회전 속도를 달리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제2타이머(140)에 기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 제2솔레노이드(S2)로의 공급 전원이 없어지게 되어 제1및2릴레이 스위치(SW1,SW2)의 접점 상태는 플로팅(floating)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모터(16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그 회전이 정지되고, 백 미러(3)의 접힘 동작도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장애물 근접 상황에서 장애물이 지나치게 되면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오프되는 바, 즉, 백 미러(3)의 펴짐 동작시에도 거리 센서(170)는 동작을 계속하게 되나, 현재 장애물이 지나쳐 장애물 감지 센서(10)가 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속도 센서(190)에서 측정된 상대 속도가 아무리 크더라도 제어부(200)의 전류 공급 제어 동작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결국, 백 미러(3)는 제1및2릴레이 스위치(SW1,SW2)의 스위칭 접점에 따라 제1릴레이 스위치(SW1)를 통해 공급되는 점화 스위치(2)로부터의 배터리(1) 전원으로만 동작하는 모터(160)에 의해 펴짐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각 센서(10,90,110,170,190)는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백 미러(3)를 차체 바디(5)에 고정시켜 주면서 접힘이 가능하도록 회전을 지지해 주는 미러 베이스(4)의 정면에 장착되어 앞쪽으로 다가오는 장애물을 확인하게 된다.
도면상, 미설명 부호인 (6)은 전면 유리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에 따라 백 미러의 접힘 상태 및 속도 조절이 자동으로 가능하게 됨으로써 자차 또는 상대 차량의 속도가 아무리 빨라도 좁은 골목길이나 좁은 차선에서조차 백 미러의 손상을 걱정하지 않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에게 신뢰성 및 편리성을 제공한다.

Claims (7)

  1. 차량 좌우측에 장착되어 후방 시야를 확보해 주는 백 미러에 있어서,
    점화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되면 온상태가 되는 장애물 감지 센서와;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의 오프상태에서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으로 온되어 스위칭 동작을 하면서 장애물 감지 센서가 온상태일 시에는 오프상태가 되도록 베이스단에 저항을 연결한 트랜지스터와;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의 온상태와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을 통한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으로 동작하는 각각의 솔레노이드와, 상기 각각의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해 전원 공급단과 접지단으로 각각 스위칭 접점되는 두 개의 릴레이 스위치로 이루어져 백 미러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접점에 따른 상기 전원 공급단과 접지단과의 연결로 전원을 공급받고, 이에 백 미러의 축을 회전시켜 접힘 상태를 조절하는 모터와;
    상기 릴레이의 두 릴레이 스위치와 모터 사이의 두 연결 라인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모터에 의한 백 미러의 접힘 또는 펴짐이 완료됨에 따라 두 연결 라인 중 현재 전원 공급 라인이 오프되도록 동작하는 제1및2회전 완료 감지 센서와;
    상기 제1 또는 2회전 완료 감지 센서의 오프 상태에서 백 미러를 펴거나 접고자 할 경우 상기 릴레이를 통한 모터의 접지측을 오프 상태의 회전 완료 감지 센서가 온 상태가 될 때까지 다른 접지단으로 유도하여 모터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1및2접지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2. 차량 좌우측에 장착되어 후방 시야를 확보해 주는 백 미러에 있어서,
    점화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되면 온상태가 되는 장애물 감지 센서와;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의 오프상태에서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으로 온되어 스위칭 동작을 하면서 장애물 감지 센서가 온상태일 시에는 오프상태가 되도록 베이스단에 저항을 연결한 트랜지스터와;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의 온상태와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을 통한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으로 동작하는 각각의 솔레노이드와, 상기 각각의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해 전원 공급단과 접지단으로 각각 스위칭 접점되는 두 개의 릴레이 스위치로 이루어져 백 미러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접점에 따른 상기 전원 공급단과 접지단과의 연결로 전원을 공급받고, 이에 백 미러의 축을 회전시켜 접힘 상태를 조절하는 모터와;
    상기 릴레이의 두 릴레이 스위치와 모터 사이의 두 연결 라인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모터에 의한 백 미러의 접힘 또는 펴짐이 완료됨에 따라 두 연결 라인 중 현재 전원 공급 라인이 오프되도록 동작하는 제1및2회전 완료 감지 센서와;
    상기 제1 또는 2회전 완료 감지 센서의 오프 상태에서 백 미러를 펴거나 접고자 할 경우 상기 릴레이를 통한 모터의 접지측을 오프 상태의 회전 완료 감지 센서가 온 상태가 될 때까지 다른 접지단으로 유도하여 모터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1및2접지 회로와;
    점화 스위치의 온상태에서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와;
    상기 거리 센서에서 감지된 거리값을 시간에 대해 미분하여 장애물의 순간 상대 속도를 구하면서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가 온이 되는 거리에서부터 순간 상대 속도에 비례한 크기의 전류를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과 함께 상기 릴레이의 전원 공급단으로 공급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3. 차량 좌우측에 장착되어 후방 시야를 확보해 주는 백 미러에 있어서,
    점화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되면 온상태가 되는 장애물 감지 센서와;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의 오프상태에서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으로 온되어 스위칭 동작을 하면서 장애물 감지 센서가 온상태일 시에는 오프상태가 되도록 베이스단에 저항을 연결한 트랜지스터와;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의 온상태와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을 통한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으로 동작하는 각각의 솔레노이드와, 상기 각각의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해 전원 공급단과 접지단으로 각각 스위칭 접점되는 두 개의 릴레이 스위치로 이루어져 백 미러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접점에 따른 상기 전원 공급단과 접지단과의 연결로 전원을 공급받고, 이에 백 미러의 축을 회전시켜 접힘 상태를 조절하는 모터와;
    상기 릴레이의 두 릴레이 스위치와 모터 사이의 두 연결 라인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모터에 의한 백 미러의 접힘 또는 펴짐이 완료됨에 따라 두 연결 라인 중 현재 전원 공급 라인이 오프되도록 동작하는 제1및2회전 완료 감지 센서와;
    상기 제1 또는 2회전 완료 감지 센서의 오프 상태에서 백 미러를 펴거나 접고자 할 경우 상기 릴레이를 통한 모터의 접지측을 오프 상태의 회전 완료 감지 센서가 온 상태가 될 때까지 다른 접지단으로 유도하여 모터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1및2접지 회로와;
    점화 스위치의 온상태에서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와;
    점화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 오는 장애물의 자차에 대한 상대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와;
    상기 거리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와 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상대 속도로서 장애물과 자차의 근접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가 온이 되는 거리에서부터 근접 상태에 따라 설정된 전류를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과 함께 상기 릴레이의 전원 공급단으로 공급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4. 차량 좌우측에 장착되어 후방 시야를 확보해 주는 백 미러에 있어서,
    점화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되면 온상태가 되는 장애물 감지 센서와;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의 오프상태에서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으로 온되어 스위칭 동작을 하면서 장애물 감지 센서가 온상태일 시에는 오프상태가 되도록 베이스단에 저항을 연결한 트랜지스터와;
    백 미러의 접힘 또는 펴짐에 따른 회전 동작에 걸리는 시간이 설정되어 있으면서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의 온상태와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 따른 각각의 신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만 온상태가 되어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및2타이머와;
    상기 제1및2타이머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동작하는 각각의 솔레노이드와, 상기 각각의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해 전원 공급단과 접지단으로 각각 스위칭 접점되는 두 개의 릴레이 스위치로 이루어져 백 미러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접점에 따른 상기 전원 공급단과 접지단과의 연결로 백 미러의 축을 회전시켜 접힘 상태를 조절하는 모터와;
    점화 스위치의 온상태에서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와;
    점화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백 미러쪽으로 근접해오는 장애물의 자차에 대한 상대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와;
    상기 거리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와 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상대 속도로서 장애물과 자차의 근접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가 온이 되는 거리에서부터 근접 상태에 따라 설정된 전류를 점화 스위치로부터의 전원과 함께 상기 릴레이의 전원 공급단으로 공급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5. 상기 제 1에서 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2회전 완료 감지 센서 각각의 일측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백 미러의 접힘 또는 펴짐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축 밑면에서 일접점으로 서로 대응되게 장착된 제1철심으로 구성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축의 윗면에서 서로 대응되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철심의 위치와 맞물리도록 고정축의 원주를 따라 길게 형성되고, 그 원주 길이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작점과 완료점에서의 상기 제1철심의 각각의 위치에 의한 맞물림 상태로 상기 릴레이의 각 솔레노이드의 접지 라인의 온/오프가 결정되도록 형성된 제2철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6. 상기 제 1 항에서 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2접지 회로는 접지방향으로의 다이오드와 저항의 직렬 연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7. 상기 제 1에서 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 또는 거리 센서 또는 속도 센서는 백 미러를 차체 바디에 고정시켜 주면서 접힘이 가능하도록 회전을 지지해주는 미러 베이스의 정면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KR1019970035131A 1997-07-25 1997-07-25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KR19990011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131A KR19990011877A (ko) 1997-07-25 1997-07-25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131A KR19990011877A (ko) 1997-07-25 1997-07-25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877A true KR19990011877A (ko) 1999-02-18

Family

ID=6603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131A KR19990011877A (ko) 1997-07-25 1997-07-25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87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515B1 (ko) * 2001-07-21 2004-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US7138336B2 (en) 2001-08-06 2006-11-21 Asm Genitech Korea Ltd. Plasma enhanced atomic layer deposition (PEALD) equipment and method of forming a conducting thin film using the same thereof
KR100988415B1 (ko) * 2001-04-06 2010-10-1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상점 창용 투사 스크린
EP2293322A1 (en) 2000-06-08 2011-03-09 Genitech, Inc. Method for forming a metal nitride layer
CN111619452A (zh) * 2020-05-25 2020-09-04 泉州信息工程学院 智能型后视镜及其工作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3322A1 (en) 2000-06-08 2011-03-09 Genitech, Inc. Method for forming a metal nitride layer
KR100988415B1 (ko) * 2001-04-06 2010-10-1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상점 창용 투사 스크린
KR100419515B1 (ko) * 2001-07-21 2004-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US7138336B2 (en) 2001-08-06 2006-11-21 Asm Genitech Korea Ltd. Plasma enhanced atomic layer deposition (PEALD) equipment and method of forming a conducting thin film using the same thereof
CN111619452A (zh) * 2020-05-25 2020-09-04 泉州信息工程学院 智能型后视镜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072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urning of headlights of vehicle
KR19990011877A (ko)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EP0899172B1 (en) A wiper control method
KR100919627B1 (ko) 조향핸들의 회전방향 및 각도에 따라 자동조정되는 차량용사이드 미러의 방향, 각도조정장치
US7476011B2 (en) Lamp assembly with variable illuminating direction
KR102455572B1 (ko) 차량의 사이드미러 구동장치 및 방법
KR20210031195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19980045040A (ko) 전자감지식 백미러 조절장치
KR100925685B1 (ko) 차량의 접동식 사이드미러
GB2435919A (en) Vehicle lamp assembly with variable illuminating direction
KR19990011871A (ko) 차량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KR19990020016A (ko) 전동식 사이드미러 제어장치
KR100198779B1 (ko) 차량 백 미러 접힘 제어 장치
KR19980041461U (ko) 차량의 압력감지용 자동접이식 사이드미러
KR19980048021U (ko)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
KR970007555B1 (ko) 자동차의 백미러 제어장치
JP3022048B2 (ja) 自動車用ドアミラ−制御装置
JPH0434116Y2 (ko)
KR0149132B1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 보호장치
KR0128191Y1 (ko) 속도 감응형 전자 턴 신호 시스템
KR0120348Y1 (ko) 주차 확인시 전동 백미러의 동작 제어 장치
KR19980041409A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및 그 제어방법
KR0183317B1 (ko)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
KR970001051Y1 (ko) 차량의 사이드미러 하향 제어회로
KR19980031399A (ko) 차량용 파워윈도우 자동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