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317B1 -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 - Google Patents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317B1
KR0183317B1 KR1019960037093A KR19960037093A KR0183317B1 KR 0183317 B1 KR0183317 B1 KR 0183317B1 KR 1019960037093 A KR1019960037093 A KR 1019960037093A KR 19960037093 A KR19960037093 A KR 19960037093A KR 0183317 B1 KR0183317 B1 KR 0183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load
side mirror
switch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319A (ko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317B1/ko
Publication of KR1998001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하중에 의한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하중에 의해 배터리전원을 제어하도록 온/오프접점능 갖는 스위치로 운전자의 하중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에 따라 사이드미러를 접힌상태에서 펼친상태로, 펼친상태에서 접힌상태로 변환되도록 한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로, 운전자의 하중에 의해 배터리전원을 제어하여 스위치접점을 변환시키는 하중스위치(10)와,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센서(20)와, 상기 하중스위치(10)와 시동감지센서(2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모터구동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릴레이접점을 변환시켜 정역모터(M)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역모터구동부(40)로 이루어지므로 운전자의 하중에 의해 접은상태와 펼친상태로 자동변환되는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

Description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
본 발명은 운전자의 하중에 의한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하중에 의해 배터리전원을 제어하도록 온/오프 접점을 갖는 스위치로 운전자의 하중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에 따라 사이드미러를 접힌상태에서 펼친상태로, 펼친상태에서 접힌상태로 변환되도록 한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사이드미러는 도어의 양측 사이드에 부착되어 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이드미러는 운전자가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수동사이드미러와, 전기적인 힘으로 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미러의 경사면을 조절하는 사이드미러가 사용된다. 상기 수동 사이드는 미러의 경사면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운전자가 직접미러의 경사면을 조절하는 것이며, 자동 사이드미러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스위치조작으로 미러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절첩식 사이드미러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에 따른 절첩식 사이드미러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자동차의 측면에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수평돌출부를 갖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에 고정되며, 후방으로 개구부를 갖는 미러하우징(2)과, 상기 베이스(1)와 미러하우징(2)이 고정되며, 접은상태와 펼친상태로 회동가능한 고정수단(3)을 구비한 절첩식 사이드미러가 있으며, 본 발명은 절첩식 사이드미러에 관계된다.
이러한, 절첩식 사이드미러는 자동차를 주차시킨 후, 외부의 충격이나 폭이 좁은 골목길에서 대향된 차량의 교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미러하우징(2)을 펼친상태에서 접은상태로 고정시키며, 또한 자동차를 출발하게 될 때에는 접은 상태에서 펼친상태로 사이드미러를 회동시켜 사용하게 된다.
즉, 외부의 충격이나 대향된 차량의 교행에 방해하지 않도록 사이드미러(100)를 접게 되고, 자동차를 출발하기 위해서는 접은 상태에서 펼쳐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사이드미러를 통하여 후방시야를 확보한 상태로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 절첩식 사이드미러는 주차시킨 상태에서 사이드미러를 접게되는 경우엔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절첩식 사이드미러는 자동차를 주차시킨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으로 사이드미러를 보호하기 위해 운전자가 직접 사이드미러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접고, 자동차를 출발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접은상태에서 폭방향으로 펼친상태로 일일이 조정하게 된다.
또, 운전자가 자동차를 출발하기 위해 사이드미러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접힌상태에서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펼친 후, 후방시야를 보다 명확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미러의 경사면을 미세조정하게 되는 문제를 갖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운전자의 하중에 의해 배터리전원을 제어하도록 온/오프접점을 갖는 스위치로 운전자의 하중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에 따라 사이드미러를 접힌상태에서 자동적으로 펼친상태로 되고, 펼친상태에서 접힌상태로 변환되도록 한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하중에 의해 배터리전원을 제어하여 스위치접점을 변환시키는 하중스위치와,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센서와, 상기 하중스위치와 시동감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모터구동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릴레이접점을 변환시켜 정역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역모터구동부로 이루어진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절첩식 사이드미러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절첩식 사이드미러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중감지스위치11,12 : 스위치접점
20 : 시동감지스위치30 : 제어부
40 : 정역모터구동부41,42: 릴레이
M : 정역모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절첩식 사이드미러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로서,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운전석에 설치된 하중스위치(10)에 의해 운전자의 하중을 배터리전원으로 감지하도록 제 1접점(11)과 제 2접점(12)을 갖는 하중스위치(10)이며, 하중스위치(10)의 출력은 제어부(30)에 입력된다. 또,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센서(20)의 출력은 제어부(30)에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30)는 하중감지스위치(10)와 시동감지센서(2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정역모터(M)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이 출력된 신호는 정역모터구동부(40)로 입력된다. 상기 정역모터구동부(40)는 제어부(3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제 1릴레이(41)와 제 2릴레이(42)접점을 변환시켜 사이드미러를 접은상태 또는 펼친상태로 변환하도록 정역모터(M)를 구동시키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시동이 걸린상태가 아니면,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는 작동되지 않으며, 수작업으로 조절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된 하중스위치(10)로 운전자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배터리전원으로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 하중이 감지되면, 하중감지스위치(10)의 제 2접점(12)이 온되어 배터리전원은 제어부(30)에 입력된다. 반대로, 운전자의 하중이 감지되지 않으면, 하중감지스위치(10)의 제 1접점(11)이 온되어 제어부(30)로 입력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센서(20)는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출력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제어부(30)는 하중감지스위치(10)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와, 시동감지센서(20)로 감지되는 시동상태에 따라 출력신호를 제어하며, 제어된 신호는 시동이 걸린상태에서 운전자의 하중을 감지하며, 운전자의 하중이 감지되면 정회전신호를 정역모터구동부(40)로 출력하고, 운전자의 하중이 감지되지 않으면 역회전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정역모터구동부(40)는 입력된 신호에 의해 정역모터(M)를 정역회전시켜 사이드미러를 접은 상태와 펼친상태로 변환시키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운전자의 하중이 감지되면, 제어부(30)는 정역모터구동부(40)의 제 1릴레이(41)를 작동시켜 정역모터(M)가 정회전되어 사이드미러를 펼친상태로 변환한다. 반대로, 운전자의 하중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30)는 정역모터구동부(40)의 제 2릴레이(42)를 작동시켜 정역모터(M)가 정회전되어 사이드미러를 접은상태로 변환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하중에 의한 절첩식 자동 사이드미러로, 운전자의 하중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에 의해 사이드미러를 접은상태에서 펼친상태로 펼친산태에서 접은 상태로 자동적으로 절철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차량을 출발하거나 정지시에 일일이 운전자가 사이드미러를 절첩하지 않고도 사이드미러를 펼친상태와 접은 상태로 변환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Claims (2)

  1. 운전자의 하중에 의해 배터리전원을 제어하여 스위치접점을 변환시키는 하중스위치(10)와,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센서(20)와,
    상기 하중스위치(10)와 시동감지센서(2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모터구동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릴레이접점을 변환시켜, 절첩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에 연결된 정역모터(M)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역모터구동부(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 절첩식 자동 사이드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운전자의 하중이 감지되면 제 1릴레이(41)을 작동시켜 펼친상태로, 운전자의 하중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 2릴레이(42)를 작동시켜 사이드미러를 접은상태로 절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첩식 자동 사이드미러.
KR1019960037093A 1996-08-30 1996-08-30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 KR0183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093A KR0183317B1 (ko) 1996-08-30 1996-08-30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093A KR0183317B1 (ko) 1996-08-30 1996-08-30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319A KR19980017319A (ko) 1998-06-05
KR0183317B1 true KR0183317B1 (ko) 1999-05-01

Family

ID=1947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093A KR0183317B1 (ko) 1996-08-30 1996-08-30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3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319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3317B1 (ko) 자동 절첩식 사이드미러
KR20060006509A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폴딩장치
JP2004521823A (ja) 外部後視鏡折畳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9980085680A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제어장치
KR100259954B1 (ko) 전동식 자동 선바이저
KR19980050980A (ko) 차량의 접이식 사이드미러 작동장치
KR100482132B1 (ko) 차량의 전동 사이드 미러 안전 장치
KR970001051Y1 (ko) 차량의 사이드미러 하향 제어회로
JP4244258B2 (ja)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JPS6137555A (ja) 電動式ドアミラ−における駆動回路
KR0140685Y1 (ko)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작동 한계 위치 경고장치
KR19980036297U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장치
KR950015022B1 (ko) 자동차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KR19990020016A (ko) 전동식 사이드미러 제어장치
KR100221274B1 (ko) 자동차 스티어링 틸트위치 자동 재생장치
JPH0434116Y2 (ko)
KR19980035522U (ko) 자동접이식 사이드 미러
KR19980041461U (ko) 차량의 압력감지용 자동접이식 사이드미러
JPH09182473A (ja) モータ制御装置
KR19980047180U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자동 회동장치
JPH061026B2 (ja) 車両用備品駆動装置
KR19990051915A (ko) 사이드 미러 자동 접철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23704U (ko) 자동차용 룸미러
KR19980045049U (ko) 차량 커브시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장치
KR980001385A (ko) 자동차의 방향전환시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