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704U - 자동차용 룸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룸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704U
KR19990023704U KR2019970036107U KR19970036107U KR19990023704U KR 19990023704 U KR19990023704 U KR 19990023704U KR 2019970036107 U KR2019970036107 U KR 2019970036107U KR 19970036107 U KR19970036107 U KR 19970036107U KR 19990023704 U KR19990023704 U KR 199900237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uter casing
mirror
vehicl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형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2019970036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3704U/ko
Publication of KR19990023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704U/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방에서 입사되는 광량에 따라 자동으로 각위치가 조절되는 자동차용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되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각위치가 조절되는 미러부;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에 설치되어, 후방에서의 광량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룸미러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후방에서 룸미러에 입사되는 광량이 많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미러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후방에서의 빛을 운전자에게 보내지 않게되어 편안하고 안전한 주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룸미러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에서의 빛의 유무에 따라 가동적으로 위치가 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차용 룸미러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룸미러는, 자동차의 내부에서 운전자의 우측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운전자는 이를 통하여 후방의 차량을 감지하고 있다. 통상 종래의 룸미러는, 그 방향이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물론 사용자가 후방을 정확하게 주시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있으나, 이러한 조작은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조작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자동차의 야간 주행시에는, 후방의 자동차가 상향등을 켰을 경우, 상기 종래의 룸미러의 구조하에서는 운전자이 눈이 부시게 된다. 물론 손으로 조작하여, 후방에서의 상향등이 반사되지 않도록 위치조절은 가능하나, 이러한 조작 자체는 수작업으로 일일이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안전운행에 상당한 방해가 된다.
본 고안은, 후방에서의 빛의 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방향이 조절됨으로써 후방에서의 빛에 의하여 운전자의 시각적 장애를 해소할 수 있는 룸미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룸미러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룸미러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부케이싱12 : 지지부
14 : 미러부18 : 광센서
M : 구동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룸미러는,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되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각위치가 조절되는 미러부;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에 설치되어, 후방에서의 광량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룸미러는,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되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러부와, 상기 미러부를 소정 각도로 위치변환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일측에 설치되어, 후방에서의 광량을 감지하는 광 센서; 그리고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되는 광량을 판단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구성에 의하면, 야간주행시 후방에서 입사되는 광량이 많을 경우에는, 룸미러가 자동으로 각위치를 변화시켜서 운전자가 눈부시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운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룸미러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룸미러는,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되는 외부케이싱(10)과, 상기 외부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원으로써의 모터(M)와, 상기 모터(M)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미러부(14)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통상의 것과 같이 지지부(12)를 통하여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미러부(14)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M)가 설치되어 있다. 미러부(14)는, 상기 모터(M)의 모터축(Ms)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축(Ms)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상태와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 사이를 반복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10)의 상부에는 광센서(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광센서(18)는, 후방에서 직접 조사되는 빛의 유무를 감지하여, 모터(M)를 구동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룸미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이다. 상기 광센서(14)에서는 후방에서 상향등을 켰을 경우 직접 조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 후 제어부(22)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2)에서는, 광센서(14)를 통하여 감지되는 빛이 소정시간(예를 들면 2초) 이상 지속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렇게 광센서(14)에서 감지되는 빛이 소정시간 이상이면, 후방의 차량이 상향등을 켜고 주행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모터구동부(24)에 모터(M)를 구동시키라는 신호를 출력하게되고, 모터구동부(24)는 이러한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M)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모터(M)의 회전은,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각위치로 모터축(Ms)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미러부(14)가 회전하면, 후방에서의 상향등에 의한 빛이 사용자의 눈에 반사되지 않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룸미러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야간주행시, 상기 광센서(18)는 후방의 차량에서의 빛을 감지하게 된다. 만일 후방에서의 차향이 하향등을 켜고 주행하는 상태라면, 상기 광센서(18)에 들어오는 광량이 허용값 이하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미러부(14)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만일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상향등을 켰을 경우, 상기 광센서(18)에서 감지되는 광량을 허용값 이상으로 되고, 이러한 광량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후 제어부(22)에 인가된다. 제어부(22)에서는 이러한 허용값 이상의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가를 감지하게 되고, 만일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면 후방의 차량이 상향등을 켜고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렇게 제어부(22)에서 후방의 차량이 상향등을 켜고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구동부(24)에 모터를 구동시키라는 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명령에 기초하여, 모터구동부(24)는 모터를 소정의 회전각을 가지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즉 모터(M)가 구동하면, 회전축과 연결된 상기 미러부(14)는 회전축(Ms)와 같이 소정각도로 회전하여,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렇게 되면, 실제로 후방에서의 빛이 미러부(14)를 통하여 운전자의 눈으로 반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미러부(14)가 하향 회전한 상태를 가지더라도, 상기 광센서(14)는 외부케이싱(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이동없이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계속하여 후방에서의 광량을 감지하게 된다. 후방에서의 광량이 허용값 이하로 떨어지면, 이러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22)에서는 후방에서의 차량이 하향등을 켠 상태라고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를 모터구동부(24)에 인가하게 되고, 모터구동부(24)는 모터(M)를 회전시켜서 원래의 위치(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룸미러의 외부케이싱에 설치되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후방의 차량에서 입사되는 광량의 유무(설정값의 초과 또는 미만 여부)에 의하여 룸미러의 미러부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미러부(14)의 회전각도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운전자의 눈으로 빛을 반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각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미러부(14)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실시예로서, 모터 이외의 다른 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야간주행 중에 후방의 차량이 상향등을 켠 경우, 룸미러의 미러부가 자동으로 각위치가 조절되어, 운전자의 눈을 향하는 빛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러부가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야간 운전시 시각적 장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별도의 룸미러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안전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되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각위치가 조절되는 미러부;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에 설치되어, 후방에서의 광량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미러.
  2.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되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러부와;
    상기 미러부를 소정 각도로 위치변환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일측에 설치되어, 후방에서의 광량을 감지하는 광 센서; 그리고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되는 광량을 판단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룸미러.
KR2019970036107U 1997-12-08 1997-12-08 자동차용 룸미러 KR199900237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107U KR19990023704U (ko) 1997-12-08 1997-12-08 자동차용 룸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107U KR19990023704U (ko) 1997-12-08 1997-12-08 자동차용 룸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704U true KR19990023704U (ko) 1999-07-05

Family

ID=6967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107U KR19990023704U (ko) 1997-12-08 1997-12-08 자동차용 룸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370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72B1 (ko) * 2014-01-21 2015-05-22 자동차부품연구원 사이드 미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72B1 (ko) * 2014-01-21 2015-05-22 자동차부품연구원 사이드 미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85257A (ja) 車両の前照灯回転制御方法とその装置
KR19990023704U (ko) 자동차용 룸미러
KR20010007485A (ko) 자동차용 외측 미러
KR100204701B1 (ko) 차량전조등의 조사각확대장치
KR100228086B1 (ko) 속도감응식 틸딩 아웃 사이드 미러
KR0180122B1 (ko) 차량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불빛반사 회피방법 및 그 장치
KR100230763B1 (ko) 미러 각도 조절방법
KR100246881B1 (ko) 헤드라이트의 주사빔 전환장치
KR200408543Y1 (ko) 아웃사이드 미러 자동 조절 장치
KR0160275B1 (ko) 후방입사광 광도 감지식 룸미러 장치
KR19980046303U (ko) 자동차의 후사경 조절 장치
KR19990047508A (ko) 곡율 조정이 가능한 사이드 미러
KR100341302B1 (ko) 차량용 선바이저 각도 조절장치
KR19990020016A (ko) 전동식 사이드미러 제어장치
KR200167494Y1 (ko) 좌.우측 방향지시레버작동시 후방사각지대 각도제어 좌,우측아웃사이드 전동미러
KR100229446B1 (ko) 차량용 눈부심 방지 후방 미러
KR19980047565A (ko) 방향지시등과 연동되는 사각 감지용 사이드 미러
KR19980074972A (ko) 차속 및 차간거리를 이용한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빔 각도 자동 조절장치
KR20030006710A (ko) 자동차의 자동 선바이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950004816B1 (ko) 자동차용 백 미러
KR19990051464A (ko) 다기능 사이드 미러
KR19980044951A (ko) 차량속도에 따른 사이드 미러 반사각 조절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15450A (ko) 차량의 룸미러 눈부심 방지장치
KR970038089A (ko) 눈부심 방지 후사경 장치
KR20030025741A (ko) 자동차의 윈드노이즈 제거용 아웃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