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816B1 - 자동차용 백 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백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816B1
KR950004816B1 KR1019910018451A KR910018451A KR950004816B1 KR 950004816 B1 KR950004816 B1 KR 950004816B1 KR 1019910018451 A KR1019910018451 A KR 1019910018451A KR 910018451 A KR910018451 A KR 910018451A KR 950004816 B1 KR950004816 B1 KR 950004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otor
hole
ligh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722A (ko
Inventor
우승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8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816B1/ko
Publication of KR930007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8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cell of electrically changeable optical characteristic, e.g. liquid-crystal or electrochromic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백 미러
제1도는 이 발명의 자동차용 백 미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이 발명의 자동차용 백 미러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측단면도.
제3도는 이 발명에 관련하는 미러의 사시도.
제4도는 이 발명에 관련하는 모우터의 작동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러 하우징 3,6 : 홀
4,7 : 코팅부 5 : 미러
8 : 보조미러 9 : 모우터
10 : 감지센서 11 : 컨트롤러
이 발명은 자동차용 백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러의 반사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운전자의 시계확보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백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양측에 백 미러가 조정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주,야간에 차선변경을 하거나 차량의 유무를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백 미러는 하우징이 고정되고 미러가 조정 가능하도록 된 형식과, 미러가 조정 가능함과 아울러 차실내에서 하우징을 원격 조정할 수 있는 형식 및 하우징은 고정 설치되고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모우터의 작동에 따라 미러가 전동으로 조정되는 형식이 있다.
상기한 백 미러의 조정 방법은 서로 다르지만, 미러의 뒷면이 완전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야간주행시 후미 차량이 전조등을 켰을 때 그 빛이 미러에 반사되게 된다.
따라서, 미러에 반사된 빛에 의해 후미 차량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운전자의 시계가 방해되기 때문에 대형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미러의 반사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운전자의 시계확보를 보장함으로써 야간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백 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발명은, 미러 하우징의 전면부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코팅부를 보유함과 아울러 조정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미러와, 상기한 미러 뒤쪽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홀이 형성된 코팅부를 보유함과 아울러 선회 가능하도록 모우터의 축에 고정 설치된 보조미러와, 상기한 모우터를 온,오프시키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빛의 세기를 전류의 세기로 변환시킴과 아울러 미러 하우징의 상측 전면부에 고정 설치된 감지센서와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백 미러를 제공한다.
상기한 모우터는 정, 역회전이 가능한 스텝핑 모우터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에 관련하는 백 미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자동차용 백 미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측단면도이며, 제3도는 이 발명에 관련하는 미러의 사시도이고, 제4도는 이 발명에 관련하는 모우터의 작동 회로도로서, 부호(1)은 차체(2)의 양측에 조정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미러 하우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미러 하우징(1)의 전면부에 빛이 부분적으로 통과하도록 다수개의 홀(3)이 형성된 코팅부(4)를 보유하는 미러(5)가 조정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홀(3)은 주간 주행시 후미 차량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크기와 갯수를 조정하여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미러(5)의 뒤쪽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홀(6)이 형성된 코팅부(7)를 보유한 보조미러(8)가 선회 가능하도록 모우터(9)의 축에 고정 설치되어 미러(5)의 홀(3)을 통과한 빛이 되반사되거나 통과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모우터(9)는 미러 하우징(1)의 상측 정면부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빛의 세기를 전류의 세기로 변환시켜 주는 감지센서(10)와 컨트롤러(11)를 개재하여 배터리(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모우터(9)는 소정각도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스텝핑 모우터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며,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비교기(도시생략)에서 로우, 하이펄스에 따라 회전방향을 결정해 주는 통상의 구동회로(도시생략)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S는 이그니션 스위치(도시생략)의 온, 오프시 함께 온,오프되는 스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 발명의 백 미러는, 야간 주행시 차량의 후미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전조등을 켰을때 그 빛이 차체(2)의 양측에 조정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백 미러의 미러(5)에 비치게 된다.
상기한 미러(5)에 빛이 비치게 되면 빛의 일부는 코팅부(4)의 홀(3)을 통해 통과됨과 아울러 나머지는 반사되어 후미 차량의 유무를 확인함은 물론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게 된다.
이때, 미러 하우징(1)의 상측 전면부에 고정 설치된 감지센서(10)가 빛의 세기를 감지하여 전류의 세기로 변환시키면 컨트롤러(11)가 온(ON)되고,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켜 하이(HIGH)나 로우(LOW)펄스가 형성되는 비교기에 의해 모우터(9)의 정,역회전 방향을 결정함과 아울러 모우터(9)를 작동시키는 통상의 구동회로에 의해 모우터(9)가 작동된다.
따라서, 빛의 세기가 강하면 감지센서(10)가 이를 감지하여 전류의 세기로 변환시켜 주고 컨트롤러(11)가 온(ON)됨과 동시에 비교기에서 하이펄스가 형성되어 구동회로에 의해 모우터(9)가 정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됨에 따라 보조미러(8)가 회전되어 미러(5)의 홀(3)과 보조미러(8)의 홀(6)이 일치하게 된다.
상기한 미러(5)의 홀(3)과 보조미러(8)의 홀(6)이 일치하게 됨에 따라 미러(5)의 홀(3)을 통과한 빛이 보조미러(8)의 홀(6)을 통해 흡수되어 미러(5)에 입사된 빛은 홀(3)(6)을 통과한 빛만큼 감소되어 미러(5)에서 반사됨에 기인하여 반사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미러(5)에 입사되는 빛의 세기가 약하면 감지센서(10)가 이를 감지하여 전류의 세기로 변환시켜 주고 컨트롤러(11)가 온(ON)됨과 동시에 비교기에서 로우펄스가 형성되어 구동회로에 의해 모우터(9)가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됨에 따라 보조미러(8)가 회전되어 미러(5)의 홀(3)과 보조미러(8)의 홀(6)이 어긋나게 된다.
상기한 홀(3)(6)이 어긋나게 됨에 따라 미러(5)의 홀(3)을 통과한 빛은 홀(3)(6)의 어긋난 정도에 따라 보조미러(8)의 홀(6)을 통해 빛의 일부가 흡수되고 나머지는 보조미러(8)에 의해 되반사되어 미러(5)의 홀(3)을 통해 반사되게 됨에 따라 적정한 반사율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백 미러는, 미러에 입사되는 빛의 세기에 따라 반사율을 적정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후미 차량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운전자의 시계확보를 보장하여 안전 운행을 수행함으로써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미러 하우징(1)의 전면부에 다수개의 홀(3)이 형성된 코팅부(4)를 보유함과 아울러 조정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미러(5)와, 상기한 미러(5)뒤쪽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홀(6)이 형성된 코팅부(7)를 보유함과 아울러 선회 가능하도록 모우터(9)의 축에 고정 설치된 보조미러(8)와, 상기한 모우터(9)를 온,오프시키는 컨트롤러(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빛의 세기를 전류의 세기로 변환시킴과 아울러 미러 하중징(1)의 상측 전면부에 고정 설치된 감지센서(10)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 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모우터(9)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스텝핑 모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KR1019910018451A 1991-10-18 1991-10-18 자동차용 백 미러 KR950004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451A KR950004816B1 (ko) 1991-10-18 1991-10-18 자동차용 백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451A KR950004816B1 (ko) 1991-10-18 1991-10-18 자동차용 백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722A KR930007722A (ko) 1993-05-20
KR950004816B1 true KR950004816B1 (ko) 1995-05-13

Family

ID=19321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451A KR950004816B1 (ko) 1991-10-18 1991-10-18 자동차용 백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8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722A (ko) 199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39545A (ja) 車両用防眩型反射鏡駆動装置
KR950004816B1 (ko) 자동차용 백 미러
KR20040013013A (ko) 자동 다이밍 자동차 밀러
KR0137876Y1 (ko) 자동차의 회전식 사이드미러 장치
KR0160275B1 (ko) 후방입사광 광도 감지식 룸미러 장치
KR200154366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JPH0333546Y2 (ko)
KR0166289B1 (ko)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
KR19980032933U (ko) 자동차용 일사 감지 선 바이저
KR100224060B1 (ko) 헤드 램프의 수평유지장치
KR0133147Y1 (ko) 전조등 스위치에 의해 야간 시야보호 기능이 작동되는 룸 미러
KR0137530Y1 (ko) 차량용 룸미러
KR0180122B1 (ko) 차량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불빛반사 회피방법 및 그 장치
JPH0333547Y2 (ko)
KR970008538B1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방향 조정장치
KR20000005701U (ko) 자동차 미러의 눈부심 방지장치
KR950006995B1 (ko) 자동차용 백미러의 후방시야각도 자동변환장치
KR19980024407U (ko) 자동차용 룸미러의 눈부심 방지장치
JPS59162501A (ja) 自動防眩ミラ−
KR20210109696A (ko) 자동차의 측면 라이트 장치
KR100206107B1 (ko) 전조등 자동 조명조절 장치
KR0140558Y1 (ko) 자동차의 훼손방지 경고장치
KR19980035324U (ko) 차량용 자동 선바이저
KR100199581B1 (ko) 가변형 후방관측 미러
KR19980074972A (ko) 차속 및 차간거리를 이용한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빔 각도 자동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