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678A -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 - Google Patents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678A
KR19990011678A KR1019970034863A KR19970034863A KR19990011678A KR 19990011678 A KR19990011678 A KR 19990011678A KR 1019970034863 A KR1019970034863 A KR 1019970034863A KR 19970034863 A KR19970034863 A KR 19970034863A KR 19990011678 A KR19990011678 A KR 19990011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stamp
original
fax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열
여민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4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678A/ko
Publication of KR1999001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678A/ko

Links

Landscapes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스 및 프린터 복합기(MFP:Multi Function Printer)에서의 팩스 원고 전송시 또는 원고 완료 시점에서 원고에 전송 확인용 마킹(Marking)을 표기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에서의 팩스 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팩스원고 전송시 매 페이지마다 스탬프작업을 수행하고, 원고 완료시점에서는 마지막원고에만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복합기에 있어서, 상기 각 원고에 기록할 스탬프 변환 위치값 및 모터 카운터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탬프위치정보 및 스탬프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팩스전송원고중 1페이지의 원고를 전송하고, 1페이지의 원고전송후 연속페이지모드이면 매 페이지마다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팩스전송원고중 전송페이지가 마지막페이지이면 마지막원고페이지에만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팩스전송시 또는 팩스전송 완료시점에서도 원고에 대한 스탬프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형상의 나타내기 위해 스탬프를 사용자가 만들어 직접 장착시켜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시키고, 또한 전송한 완료 원고의 허위작성을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
본 발명은 팩스 및 프린터 복합기(MFP:Multi Function Printer)에서의 팩스원고 전송시 또는 원고 완료시점에서 원고에 전송 확인용 마킹(Marking)을 표기할 수 있도록 하는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기술 분야 중 팩스통신기술은 과거 일반전화망(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을 통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단순한 개념의 통신방식에 한정되었다. 그러나, 최근 사무자동화(OA:Office Automation)기기의 발전과 보급율의 증가로 인하여 하나의 장치로서 여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의 복합기(MFP:Multi Function Product)가 제시되었다. 여기서, 복합기능에 대한 정의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중 하나는 사무환경에서 요구되는 사무자동화기기(팩시밀리, 복사기, 프린터, 스캐너 등)가 일체화된 구조로서의 기능을 말하면, 다른 하나는 사무환경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컴퓨터(통상적으로, 개인용 컴퓨터가 사용됨)와 연계되어 새롭고 보다 복합적인 기능을 창출한다는 것이다.
한편 도 1은 일반적인 팩스 및 프린터에 적용되는 스탬프 회로도로서, 스탬프 온시 MCF(MESSAGE CONFIRMATION)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TR1),(TR2)로 구성된 다알링톤회로부(10)와, 스탬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팩스 또는 프린터는 송,수신 프로토콜(protocol)에 의해 송신측, 수신측 단말기 간의 송,수신 절차가 이루어지고, 또한 1페이지 분량을 기준으로 메시지송신이 종료되었을 때 송신측의 EOM(END OF MESSAGE)을 수신측에서 검출하고, 수신측은 MCF(Message Confirmation)신호를 송신측에 송출함으로써 팩스의 원고전송을 종료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에 양 단말기간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엔 팩스 원고의 전송을 중단하고, 일부기종에서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MCF신호를 입력받아 송신이 종료되는 시점에서는 스탬프를 찍어 원고상에 송신이 에러없이 종료되었음을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복합기의 스탬프회로는 팩스단말기에 별도의 회로를 구성해야 하고, 또한 기구적인 구성상의 특성으로 인해 1종류의 스탬프기능밖에 사용하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스탬프를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장착시켜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이 뒤따르고 있다.
또한 스탬프가 일정공간을 차지해야 하므로 스탬프 크기에도 제약이 뒤따르고, 원고상에 찍혀지는 위치도 세팅된 위치에만 찍혀지므로 원고의 손상에도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또한 전송한 원고의 스탬프를 위조해 찍을 수 있으므로 전송완료 원고의 허위 작성이 가능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팩스 및 프린터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시 매 페이지마다 스탬프 작업을 수행하고, 원고 완료 시점에서는 마지막 원고에만 스탬프 작업을 수행하여 원고 전송후 원고 전송이 에러없이 완료되었다는 전송 확인용 마킹을 원고에 표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스탬프를 사용자가 만들어 직접 장착시켜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시키고, 또한 전송완료 원고의 허위 작성을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팩스 및 프린터에 적용되는 스탬프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팩스 및 프린터 복합기의 개략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 2의 메모리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PC 인터페이스시 스탬프위치와 스탬프데이터자료를 복합기내의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우챠트
도 5는 팩스원고 전송시 또는 원고 전송시점에서 스탬핑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복합기 30:EOM(END OF MESSAGE)
40:라인 인터페이스부 50:중앙처리장치
60:원고감지센서 70:프린트구동부
80:컴퓨터(PC) 100:프린터메모리
110:사용자메모리 120:주메모리
M:메모리부 MD:모터구동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팩스 원고 전송시 매 페이지마다 스탬프 작업을 수행하고, 원고 완료 시점에서는 마지막 원고에만 스탬프 작업을 수행하는 복합기에 있어서,
상기 각 원고에 기록할 스탬프 변환 위치값 및 모터 카운트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탬프 위치정보 및 스탬프 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팩스전송원고중 1페이지의 원고를 전송하고, 1페이지의 원고전송후 연속페이지모드이면 매 페이지마다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팩스전송원고중 전송페이지가 마지막페이지이면 마지막 원고페이지에만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팩스 및 프린터 복합기의 개략구성도로서, 복합기(2)의 수신측에 EOM(30)신호와 MCF신호를 출력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40)와,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50)와,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팩스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M)와, 원고의 급지유무를 체크하는 원고감지센서(60)와, 프린터를 구동하는 프린터구동부(70)와, 캐리지 리턴모터와 라인 피드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M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합기(2)는 외부의 컴퓨터(PC)와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2의 메모리부의 상세 구성도로서, 상기 메모리부(M)는 팩스 송신시 스탬프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프린터메모리(100)와, 스탬프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메모리(110) 및 송,수신된 팩스 데이터가 저장되는 주메모리(120)로 구성된다.
도 4는 PC 인터페이스시 스탬프위치와 스탬프데이터를 복합기내의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우챠트이고, 도 5는 팩스 원고 전송시 또는 원고 전송 완료시점에서 스탬프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우챠트로서, 각 원고에 기록할 스탬프 변환 위치값 및 모터 카운트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탬프 위치정보 및 스탬프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00), 상기 팩스전송원고중 1페이지의 원고를 전송하고, 1페이지의 원고전송후 연속페이지모드이면 매 페이지마다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2000) 및 상기 팩스전송원고중 전송페이지가 마지막페이지이면 마지막 원고페이지에만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30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설정된 스탬프위치정보 및 스탬프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00)는, 스탬프 세트업 설정모드에서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스탬핑 위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스탬프 변환 위치값 및 모터 카운트 값을 설정하는 단계(S3), 상기 단계에서 설정한 스탬프 위치값을 저장하는 단계(S4) 및 상기 스탬프 위치값에 대한 모터의 구동량을 계산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량을 데이터화하여 데이터한 스탬프데이터자료를 저장하는 단계(S5)로 구성된다.
상기 매 페이지마다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2000)는 1페이지의 원고를 전송하고, 상기 1페이지의 원고전송후 연속스탬프모드 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20), 연속스탬프모드가 아니면 마지막 페이지인가를 판별하여, 마지막페이지이면 스탬프작업을 시작하고 마지막페이지가 아니면 다음 페이지를 전송하는 단계(S40), 연속스탬프모드이면 스탬프작업을 수행한 후 캐리지리턴모터 및 라인피드모터를 구동시키는 단계(S60)로 구성된다.
상기 마지막 원고페이지에만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3000)는 상기 캐리지리턴모터 및 라인피드모터구동시 스탬프 데이터가 마지막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70), 스탬프 데이터가 마지막이면 종료시키고 아니면 스탬프위치에 원고를 이동시키고 프린트헤드를 정위치시켜서 원고를 스탬프 프린트행에 위치시키는 단계(S90), 상기 원고를 스탬프 프린트행에 위치시킨후 연속스탬프모드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100) 및 연속스탬프모드가 아니면 종료시키고, 연속스탬프모드이면 원고가 마지막페이지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110)로 구성하되, 마지막페이지이면 종료시키고, 아니면 다음페이지를 전송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을 두 가지의 모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중 하나는 팩스원고 전송시 매 페이지마다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연속 스탬프모드과, 또 다른 하나는 원고 전송 완료시점에서 마지막 원고에만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마지막 페이지 스탬프모드이다.
그럼 여기서 먼저 매 페이지마다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연속스탬프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스탬프 세트업 모드를 설정한 후(S1) 사용자가 컴퓨터(80)를 이용하여 스탬핑 위치를 선택하면(S2), 중앙처리장치(50)는 선택한 스탬핑 위치에 대한 캐리지리턴모터 및 피드모터의 구동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캐리지리턴모터 및 피드모터의 구동량을 데이터화하여 사용자메모리(110)에 스탬프데이터자료를 저장하고(S5),프린터메모리(100)에 스탬프 변환 위치값을 저장한다(S4).
상기의 과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팩시밀리와 프린터 및 스캐너로 구성된 복합기(2)에서 중앙처리장치(50)는 팩시밀리 전송시 매 페이지마다 메시지를 보내고, 라인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하여 수신측 EOM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수신측은 수신이 완료된 시점에서 MCF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는 라인 인터페이스부(3)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50)에 입력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50)는 원고감지센서부(60)로부터 감지한 원고의 전송완료여부를 판정하여 1페이지의 전송이 완료되면(S10) 상기 중앙처리장치(50)는 연속 스탬프모드인가를 판단(S20)하여 연속스탬프모드이면 스탬프작업(S50)을 수행한 후캐리지리턴모터 및 라인피드모터를 구동시키고(S60), 연속스탬프모드가 아니면 마지막페이지인가를 판단하여(S30) 마지막페이지가 아니면 다음페이지를 전송하고(S40), 마지막페이지이면 캐리지리턴모터 및 라인피드모터(S60)를 구동시킨다.
단 여기서, 중앙처리장치(50)는 라인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MCF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현재의 전송을 마친 원고는 완전히 배출이 안되고 원고 피딩(FEEDING)(도면에 도시 생략)부에 남아 있는 상태이다.
이를 역방향으로 완전히 피딩하여 초기 스탬프 작업(S50)에 들어간다.
이때는 다음 원고를 피딩하지 않는다.
한편 중앙처리장치(50)는 모터구동부(70)내의 캐리지 리턴모터 및 라인피드 모터를 구동시켜(S60) 프린터헤드를 정위치 시키고, 스탬핑위치는 사용자가 시스템 세팅시 기본적으로 끝단에 세팅하도록 한다.
한편 단계60(S60)에서 캐리지리턴모터 및 라인피드모터가 구동되면 중앙처리장치(50)는 스탬프 데이터가 마지막인가를 판별(S70)하여 스탬프 데이터가 마지막이면 팩스전송을 종료시키고, 아니면 스탬프위치에 원고를 이동시키고 프린트헤드를 정위치시켜(S80) 원고를 스탬프 프린트행에 위치시킨다(S90).
상기 단계90(S90)에서 원고를 스탬프 프린트행에 위치시킨 후 중앙처리장치(50)는 연속스탬프모드인가를 판별하여(S100) 아니면 팩스전송을 종료시키고, 연속스탬프모드이면 상기 중앙처리장치(50)는 전송되는 원고페이지가 마지막페이지인가를 판별하여(S110) 마지막페이지이면 마지막페이지전송후 종료시키고, 마지막페이지가 아니면 다음페이지전송단계(S40)로 리턴시킨다.
다음, 마지막원고에만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마지막스탬프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스탬프모드의 동작도 앞서 전술한 연속스탬프모드의 동작과 동일한 작업을 수행한다.
즉, 1페이지의 전송을 마치고 라인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하여 수신측에 EOM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수신측은 수신이 완료된 시점에서 MCF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는 라인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50)에 입력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50)는 원고감지센서부(60)로부터 더 이상의 원고센서신호가 없음을 알리는 노-원고(NO-DOCUMENT)신호를 출력하는가를 검사한다.
만일 더 이상의 원고가 없다면 현재 전송을 마친 원고에 대해 스탬프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드웨어 구성시 스탬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종류와 용량은 어떠한 형태의 구성도 가능하며, 필수적으로 구분된 형태의 메모리 구성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도 3의 메모리구조는 논리적인 구분일 뿐이며 물리적인 구성을 규정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스탬프 위치 및 프린터메모리의 데이터는 컴퓨터상에서 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레지스터 형태로 캐리어리턴모터 및 라인피드모터의 구동횟수를 규정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컴퓨터상에서 사용자가 원고의 스탬프 위치를 선택하면 이를 물리적인 위치로 계산하고, 시작위치로 카운팅하여 데이터형태로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하는 스탬프데이터는 컴퓨터가 인터페이스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탬프로 쓸 이미지 피드를 선택하면 이를 복합기의 메모리부의 영역으로 전송하여, 다시 업데이터 하기 전까지는 계속 저장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은 복합기의 단순한 회로구성과,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도입함으로써 원고를 훼손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어떠한 형태의 도안도 팩스전송시 또는 팩스전송 종료시점에서도 원고에 대한 스탬프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스탬프를 사용자가 만들어 직접 장착시켜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시키고, 또한 전송한 완료 원고의 허위 작성을 사전에 방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팩스원고 전송시 매 페이지마다 스탬프작업을 수행하고, 원고 완료시점에서는 마지막원고에만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복합기에 있어서,
    상기 각 원고에 기록할 스탬프 변환 위치값 및 모터 카운트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탬프위치정보 및 스탬프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팩스전송원고중 1페이지의 원고를 전송하고, 1페이지의 원고전송후 연속페이지모드이면 매 페이지마다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팩스전송원고중 전송페이지가 마지막페이지이면 마지막 원고페이지에만 스탬프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위치정보 및 스탬프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복합기에 접속된 컴퓨터를 통하여 스탬프위치정보 및 스탬프데이터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스탬프위치정보 및 스탬프데이터정보를 데이터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화한 스탬프위치정보를 프린트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화한 스탬프데이터정보를 사용자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
KR1019970034863A 1997-07-25 1997-07-25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 KR19990011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863A KR19990011678A (ko) 1997-07-25 1997-07-25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863A KR19990011678A (ko) 1997-07-25 1997-07-25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678A true KR19990011678A (ko) 1999-02-18

Family

ID=6604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863A KR19990011678A (ko) 1997-07-25 1997-07-25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67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8469A (ja) * 1987-06-10 1988-12-15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165263A (ja) * 1991-12-13 1993-07-02 Hitachi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54091A (ja) * 1992-07-30 1994-02-25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8340416A (ja) * 1995-06-13 1996-12-24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
KR970056733A (ko) * 1995-12-09 1997-07-31 유기범 문서 구분 마크 표시기능을 갖춘 팩시밀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8469A (ja) * 1987-06-10 1988-12-15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165263A (ja) * 1991-12-13 1993-07-02 Hitachi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54091A (ja) * 1992-07-30 1994-02-25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8340416A (ja) * 1995-06-13 1996-12-24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
KR970056733A (ko) * 1995-12-09 1997-07-31 유기범 문서 구분 마크 표시기능을 갖춘 팩시밀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4454B (zh) 图像传送系统
KR19990011678A (ko)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
JP3599408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538212B1 (ko)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방법
KR100213917B1 (ko)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KR100265042B1 (ko) 전송결과정보를 수신측 전자우편주소로 전송하는 방법
KR100325813B1 (ko) 양방향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193805B1 (ko) 팩시밀리와 컴퓨터 및 프린터를 이용한 복합기 및 그 제어방법
JP3652355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264330B1 (ko) 팩시밀리의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KR100271151B1 (ko)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
KR100238028B1 (ko) 팩시밀리의 수신데이터 재전송방법
KR100260909B1 (ko) 팩시밀리 작업정보의 관리방법
JP3529174B2 (ja) 複写ファクシミリ複合装置
KR20050035624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문서정보 관리방법
JP3564070B2 (ja) ファクシミリ通信を行なう電子機器、ファクシミリ通信を行なう電子機器の制御方法、ファクシミリ通信を行なう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およびファクシミリ通信を行なう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KR19980074587A (ko) 팩시밀리의 송신페이지 전송방법
KR100268346B1 (ko) 팩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370679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法、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3084472U (ja) 多数の選択可能なプリンタを具備する走査コピア
KR19990081324A (ko) 팩시밀리의 원고 송수신방법
JPH07162575A (ja) ファクシミリ制御方式
KR19980078800A (ko) 복합기의 팩스 송수신 데이터 제어방법
KR19990019418A (ko) 네트워크 팩시밀리 시스템 및 그의 팩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9990059651A (ko) 팩스 데이터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