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917B1 -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917B1
KR100213917B1 KR1019970018886A KR19970018886A KR100213917B1 KR 100213917 B1 KR100213917 B1 KR 100213917B1 KR 1019970018886 A KR1019970018886 A KR 1019970018886A KR 19970018886 A KR19970018886 A KR 19970018886A KR 100213917 B1 KR100213917 B1 KR 100213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information
recording
document
recorded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3544A (ko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917B1/ko
Publication of KR1998008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3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캐닝작업 또는 팩스전송작업이 수행된 원고에 상기 작업내용과 시간, 날짜 등의 부가정보를 기록하도록 한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캐닝원고와 팩스전송원고가 동일한 이송경로를 갖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원고에 기록할 부가정보의 기록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록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기록위치 설정단계; 상기 각 원고에 기록할 부가정보를 설정 및 저장하는 부가정보 설정단계; 및 스캐닝작업 및 팩스송신작업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이 수행되면, 상기 기록위치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스캐닝원고 및 상기 팩스원고의 기록위치에 상기 부가정보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부가정보 기록단계를 포함하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고에 기록된 부가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해당원고의 작업내용과 작업날짜 및 시간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본 발명은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캐닝하고자 하는 원고(이하, '스캐닝원고'라 약칭함)의 이송경로와 팩스전송하고자 하는 원고(이하, '팩스전송원고'라 약칭함)의 이송경로가 동일한 복합기에 있어서, 스캐닝원고 또는 팩스전송원고의 소정위치에 스캐닝 및 인쇄시간 또는 날짜 등의 부가정보를 기록하도록 한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기술 분야 중 팩스통신기술은 과거 일반전화망(PSTN: 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을 통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단순한 개념의 통신방식에 한정되었다. 그러나, 최근 사무자동화(OA: Office Automation)기기의 발전과 보급율의 증가로 인하여 하나의 장치로서 여러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의 복합기(MFP: Multi-Function Product)가 제시되었다. 여기서, 복합기능에 대한 정의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사무환경에서 요구되는 사무자동화기기(팩시밀리, 복사기, 프린터, 스캐너 등)가 일체화된 구조로서의 기능을 말하며, 둘째, 사무환경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컴퓨터(통상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C)'가 사용됨)와 연계되어 새롭고 보다 복합적인 기능을 창출한다는 것이다.
한편, 통상의 팩시밀리는 송/수신 프로토콜(Protocol)에 의해 송신측과 수신측의 단말기간의 송/수신 절차가 이루어지며, 한 페이지 분량을 기준으로 팩스데이터의 송신이 종료되었을 때 송신측의 EOM(End Of Message)를 수신측에서 검출하고, 수신측은 MCF(Message Confirmation)신호를 송신측에 송출함으로써, 팩시밀리의 원고전송을 종료하게 된다.
종래에는 에러(Error)가 발생하지 않고 전송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하게 되면, 사용자가 원고의 전송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팩시밀리에서 확인표(Confirm Report)를 발행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팩스송신 또는 원고스캐닝을 수행한 시간 및 날짜등을 근거자료로 남기기 위해서는 원고상에 전송 및 스캐닝시간 및 날짜등을 직접 표기하는 방법 이외에 별도의 부가기능은 존재하지 않았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팩시밀리 또는 복합기에 있어서, 원고를 팩스전송하거나 또는 스캐닝작업을 수행한 후에, 해당원고가 스캐닝작업을 수행한 원고인가 혹은 전송작업을 수행한 원고인가를 확인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원고의 작업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송작업 또는 스캐닝작업을 수행한 원고상에 해당작업내용과 시간 및 날짜등의 부가정보를 직접 기록하여야 하고, 이후, 확인표(Confirm Report)와 대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팩스전송작업 및 스캐닝작업을 수행한 후, 해당작업에 대한 부가정보를 원고에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고에 기록된 부가정보만으로 수행된 해당작업의 종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팩스전송작업 또는 스캐닝작업을 수행한 후, 해당작업을 수행한 시간, 날짜 등 기타 부가정보를 원고에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고에 기록된 부가정보만으로 해당작업이 수행된 시간 및 날짜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가정보 기록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복합기의 개략적 내부블럭도,
도 2는 도 1의 요부상세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가정보 기록위치 입력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가정보 기록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복합기2: 전화선로
3: 라인 인터페이스4: 메모리
5: 타이머6: 급지센서
7: 프린터 구동부8: 모터 구동부
9: 중앙처리기10: 컴퓨터
11: 인터페이스부12: 유저메모리
13: 주메모리14: 기록위치정보 메모리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스캐닝원고와 팩스전송원고가 동일한 이송경로를 갖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원고에 기록할 부가정보의 기록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록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기록위치 설정단계; 상기 각 원고에 기록할 부가정보를 설정 및 저장하는 부가정보 설정단계; 및 스캐닝작업 및 팩스송신작업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이 수행되면, 상기 기록위치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스캐닝원고 및 상기 팩스원고의 기록위치에 상기 부가정보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부가정보 기록단계를 포함하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기록위치 설정단계는, 상기 복합기에 접속된 컴퓨터를 통하여 위치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위치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는, 스캐닝작업 또는 팩스전송작업과, 날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짜 및 시간정보는, 상기 복합기에 내장된 타이머로부터 검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복합기에 접속된 컴퓨터로부터 전송받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 기록단계는, 상기 스캐닝원고 및 상기 팩스전송원고 중 어느 하나의 원고에 대하여 매 페이지마다 상기 부가정보가 기록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스캐닝원고 및 상기 팩스전송원고 중 어느 하나의 원고에 대하여 처음 페이지에만 상기 부가정보가 기록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스캐닝원고 및 상기 팩스전송원고 중 어느 하나의 원고에 대하여 마지막 페이지에만 상기 부가정보가 기록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지막 페이지에만 상기 부가정보가 기록되도록 설정하는 경우, 상기 각 원고의 데이터가 전송이 완료되었는가를 체크하는 전송체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가정보 기록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복합기의 개략적 내부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보면, 복합기(1)는 전화선로(일반전화망(PSTN))(2)를 통한 외부의 팩시밀리 또는 기타장치와의 팩스데이터 송/수신상태를 인터페이싱하는 라인 인터페이스(3)와, 라인 인터페이스(3)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팩스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4)와,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타이머(통상, 'RTC(Real Time Clock)'을 사용함)(5)와, 원고의 급지유무를 체크하는 급지센서(6)와, 프린터를 구동하는 프린터 구동부(7)와, 캐리지 리턴모터(Carriage Return Motor)와 피드모터(Feed Motor)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8)와,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기(9)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합기(1)는 외부의 컴퓨터(10)에 직접 접속된 후, 컴퓨터(10)에 내장된 타이머(RTC)(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 제공되는 시간정보를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하여 인가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도 1에서의 메모리(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에 의해 설정된 각종 설정내용이 저장되는 유저메모리(12)와, 송/수신된 팩스데이터가 저장되는 주메모리(13)와, 부가정보의 기록위치정보가 저장되는 기록위치정보 메모리(14)로 구분할 수 있다. 단, 상기에서 설명한 메모리(4)는 그 영역을 논리적인 의미로 그 영역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각각 개별적으로 독립된 메모리들(12, 13, 14)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두가지 모드(Mode)로 동작이 가능하다. 즉, 도 1에서의 구성과 같은 복합기(1)에서 매 페이지마다 전송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복합기 자체에 내장된 타이머(5)를 이용하여 시간 및 날짜 등을 원고상에 표시하는 모드와, 컴퓨터(10)에 내장된 타이머로부터 시간 및 날짜정보를 전송받아서 이를 원고상에 표기하는 모드이다. 여기서, 컴퓨터(10)에 내장된 타이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컴퓨터(10)와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상태를 전제로 한다.
또한, 상기의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은 팩스원고와 스캐닝원고가 상호 동일한 이송경로를 갖는 것과, 이 이송경로상에 부가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프린터헤드가 장착된 것을 전제로 하여야 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원고에 기록될 부가정보의 기록위치 설정과정을 설명한다.
원고에 기록될 부가정보 기록위치 설정모드(S1)에서 사용자가 컴퓨터(10)를 이용하여 부가정보 기록위치를 지정하면(S2), 중앙처리부(9)는 지정된 기록위치값에 대한 캐리지 리턴모터 및 피드모터의 구동량을 계산하고(S3), 상기 기록위치값과 계산된 캐리지 리턴모터 및 피드모터의 구동량을 데이터화하여 메모리(4)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한 도 3에서와 같이, 메모리(4)가 각 영역별로 구분되어 있을 경우, 상기 기록위치값과 계산된 캐리지 리턴모터 및 피드모터의 구동량데이터는 기록위치정보 메모리(14)에 저장된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설정된 부가정보의 기록위치정보에 따라 팩스전송 또는 스캐닝된 원고에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팩시밀리와 프린터 및 스캐너로 구성된 복합기(1)에서 중앙처리기(9)는 팩시밀리 전송시 매 페이지단위로 메시지를 보내고, 라인 인터페이스부(3)를 통하여 수신측에 EOM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수신측은 수신이 완료된 시점에서 MCF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는 라인 인터페이스부(3)를 통하여 중앙처리기(9)에 입력된다. 중앙처리기(9)는 급지센서(6)로부터의 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원고의 전송완료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며, 이때 원고의 전송이 완료되면(S5), 중앙처리기(9)는 복합기(1) 자체의 타이머(5)로부터 시간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지 혹은 컴퓨터(10)에 내장된 타이머로부터 시간정보를 전송받아야 하는지를 판단한다(S6). 이 단계 6(S6)에서 복합기(1) 자체의 타이머(5)로부터 시간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경우, 중앙처리기(9)는 타이머(5)로부터 시간정보를 검출한다(S7). 만약, 상기 단계 6(S6)에서 컴퓨터(10)에 내장된 타이머로부터 시간정보를 전송받아야 하는 경우, 중앙처리기(9)는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하여 컴퓨터(10)에 내장된 타이머로부터 시간정보를 전송받는다(S8).
상기 단계 7, 8(S7, S8)이 완료되면, 중앙처리기(9)는 캐리지 리턴모터와 피드모터를 구동시켜 원고를 부가정보 기록위치로 이송시키고(S9), 메모리(4)를 검색하여 원고상에 기록할 부가정보가 존재하는가를 체크한다(S10). 만약, 상기 단계 10(S10)에서 기록할 부가정보가 없다면,중앙처리기(9)는 모든 진행을 끝낸다.
상기 단계 10(S10)에서 기록할 부가정보가 있다면, 중앙처리기(9)는 메모리(4)로부터 상기 부가정보를 순차적으로 인가받고, 프린터 구동부(7)를 제어하여 상기 원고의 부가정보 기록위치에 기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고에 기록된 부가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원고의 해당작업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부가정보 기록방식은 통상의 프린팅과정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원고에 기록되는 부가정보는, 팩스전송 혹은 스캐닝을 판별할 수 있는 문자, 날짜 및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고를 팩스전송 또는 스캐닝한 후에, 원고의 소정위치에 팩스전송 또는 스캐닝을 구분할 수 있는 문자와 시간 및 날짜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확인표를 대조하지 않고도 원고의 작업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스캐닝원고와 팩스전송원고가 동일한 이송경로를 갖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원고에 기록할 부가정보의 기록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록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기록위치 설정단계;
    상기 각 원고에 기록할 부가정보를 설정 및 저장하는 부가정보 설정단계; 및
    스캐닝작업 및 팩스송신작업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이 수행되면, 상기 기록위치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스캐닝원고 및 상기 팩스원고의 기록위치에 상기 부가정보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부가정보 기록단계를 포함하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록위치 설정단계는,
    상기 복합기에 접속된 컴퓨터를 통하여 위치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위치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스캐닝작업 또는 팩스전송작업과, 날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날짜 및 시간정보는,
    상기 복합기에 내장된 타이머로부터 검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날짜 및 시간정보는,
    상기 복합기에 접속된 컴퓨터로부터 전송받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기록단계는,
    상기 스캐닝원고 및 상기 팩스전송원고 중 어느 하나의 원고에 대하여 매 페이지마다 상기 부가정보가 기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기록단계는,
    상기 스캐닝원고 및 상기 팩스전송원고 중 어느 하나의 원고에 대하여 처음 페이지에만 상기 부가정보가 기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부가정보 기록단계는,
    상기 스캐닝원고 및 상기 팩스전송원고 중 어느 하나의 원고에 대하여 마지막 페이지에만 상기 부가정보가 기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기록단계는,
    상기 각 원고의 데이터가 전송이 완료되었는가를 체크하는 전송체크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KR1019970018886A 1997-05-16 1997-05-16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KR100213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886A KR100213917B1 (ko) 1997-05-16 1997-05-16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886A KR100213917B1 (ko) 1997-05-16 1997-05-16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544A KR19980083544A (ko) 1998-12-05
KR100213917B1 true KR100213917B1 (ko) 1999-08-02

Family

ID=19506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886A KR100213917B1 (ko) 1997-05-16 1997-05-16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9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544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923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0200955B1 (ko) 팩시밀리의 전송 에러 페이지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29692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US8373891B2 (en) Imag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0136118B1 (ko)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방법
JP3962696B2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213917B1 (ko) 복합기의 부가정보 기록방법
KR100538212B1 (ko)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방법
US20050157326A1 (en) Multi-functional peripheral device (MFP) and method of indicating a shortage of printing media
KR100265042B1 (ko) 전송결과정보를 수신측 전자우편주소로 전송하는 방법
KR100193805B1 (ko) 팩시밀리와 컴퓨터 및 프린터를 이용한 복합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60909B1 (ko) 팩시밀리 작업정보의 관리방법
JP3652355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246442B1 (ko) 팩스데이터의부가정보관리방법
KR100268341B1 (ko) 복합기의 스캐닝 데이터 인쇄방법
JP3119555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88705B1 (ko) 송수신 데이터의 백업방법
KR100580190B1 (ko) 수신 팩스 문서에 대해 답장을 송신하는 방법
JP3505833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80078800A (ko) 복합기의 팩스 송수신 데이터 제어방법
KR19990011678A (ko) 복합기에서의 팩스원고 전송 확인 마킹방법
KR19980065956A (ko) 팩시밀리에서 수신정보 기록방법
KR20000032748A (ko) 팩스 데이터 출력 방법
JPH1120556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9247300A (ja) 静止画像伝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