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541U - 굴곡부위용 용접너트 - Google Patents

굴곡부위용 용접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541U
KR19990011541U KR2019970024897U KR19970024897U KR19990011541U KR 19990011541 U KR19990011541 U KR 19990011541U KR 2019970024897 U KR2019970024897 U KR 2019970024897U KR 19970024897 U KR19970024897 U KR 19970024897U KR 19990011541 U KR19990011541 U KR 199900115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ent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4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541U/ko
Publication of KR19990011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541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굴곡부위용 용접너트는 외주면에 굴곡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특히 너트의 외주면에 굴곡부가 세 군데 형성되어 너트 외주면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지니며, 이 때 삼각형의 세 모서리 해당부분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평부(3a,3b,3c)이고, 상기 세 수평부의 연결부위는 너트 중심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차량의 각종 부품 및 장비를 조립 고정하는 데 있어, 용접부위 부근에 각종 돌출면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간섭되는 일이 없어 기존의 경우와 같이 패널의 돌출면을 깎아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곡부위용 용접너트
본 고안은 용접 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주면의 형상을 삼각형으로 함으로써 복잡하게 굴곡진 모서리등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굴곡형 용접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장비 및 부품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도 1 에 보인 것과 같은 용접너트(10)가 사용된다. 이러한 용접너트(10)는 원하는 위치에 용접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용접너트(10)의 내부에 해당 부품등을 결합시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용접너트(10)는 일반적으로 외주면이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2 는 이러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용접너트를 사용하는 경우를 보인 예시도이다.
즉, 주변에 돌출부(30)를 가지는 차량 패널(20)에서 상기 용접너트(10)를 이용하여 고정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상기한 종래의 용접너트(10)를 이용시 용접너트(10)의 모서리와 상기 돌출부(30)가 충돌하게 되므로 상기 돌출부(30)를 절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주변부가 굴곡진 패널에서 용접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작업을 하는 경우 용접너트의 모서리와 돌출부와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당한 형상을 갖는 용접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용접너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용접너트의 설치시의 문제점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용접너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용접너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 주요부분의 부호에 관한 설명 *
1 : 용접너트 2a,2b,2c : 수평부
3a,3b,3c : 절곡면 30 : 돌출부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굴곡면을 형성하여 차량의 패널에 고정시 패널의 돌출부에 걸리지 않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 굴곡부위용 용접너트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굴곡면은 너트의 외주면에 세 군데 형성되어 너트 외주면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지니도록 하며, 이 때 삼각형의 세 모서리 해당부분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평부이고, 상기 세 수평부의 연결부위는 너트 중심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에 의한 굴곡부위용 용접너트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굴곡부위용 용접너트의 일실시예의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난 실시에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굴곡부위용 용접너트는 그 외주면이 세 부분의 모서리부분과 상기 세 모서리부분을 연결하는 세 절곡면(3a,3b,3c)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 세 모서리부분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평부(2a,2b,2c)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세 수평부(2a,2b,2c)를 연결하는 세 개의 절곡면(3a,3b,3c)은 너트의 중심부(4)를 향한 완만한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의 실시예에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굴곡부위용 용접너트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는 차량의 패널 고정부위 중 주위에 임의의 굴곡면이 존재하는 부위에 본 고안에 의한 용접너트를 적용한 것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도면은 패널 고정부위의 부근에 임의의 돌출부(3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인접부위에 용접너트(1)를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용접너트(1)의 절곡면(3a,3b,3c)중 일측은 상기 돌출부(30)에 대응시켜 위치시킨 후 용접너트(1)의 바닥면을 해당위치에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절곡면(3a,3b,3c)은 충분한 깊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30)가 상기 용접너트(1)의 일부분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도면에 보인 용접너트(1)의 경우 특히 외주면의 형상이 삼각형을 하고 있어, 패널 부근의 굴곡면(30)과 접하게 되는 용접너트(1)의 절곡면(3a,3b,3c)이 많아 너트의 주위의 여러 굴곡면으로부터의 간섭을 다중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또 너트를 쥐기에도 용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용접너트의 주위에 돌출면이 더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절곡면과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시켜 돌출부위와 용접너트와의 충돌을 방지한다.
이제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굴곡부위용 용접너트는 외주면에 굴곡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특히 너트의 외주면에 굴곡면이 세 군데 형성되어 너트 외주면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지니며, 이 때 삼각형의 세 모서리 해당부분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평부이고, 상기 세 수평부의 연결부위는 너트 중심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차량의 각종 부품 및 장비를 조립 고정하는 데 있어, 각종 돌출면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간섭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기존의 경우와 같이 패널의 돌출면을 깍아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주면에 절곡면을 형성하여 차량의 패널에 고정시 패널의 돌출면에 걸리지 않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 굴곡부위용 용접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은 너트의 외주면에 세 군데 형성되어 너트 외주면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지니며, 이 때 삼각형의 세 모서리 해당부분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평부이고, 상기 세 수평부의 연결부위는 너트 중심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위용 용접너트.
KR2019970024897U 1997-08-30 1997-08-30 굴곡부위용 용접너트 KR199900115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897U KR19990011541U (ko) 1997-08-30 1997-08-30 굴곡부위용 용접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897U KR19990011541U (ko) 1997-08-30 1997-08-30 굴곡부위용 용접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541U true KR19990011541U (ko) 1999-03-25

Family

ID=6968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897U KR19990011541U (ko) 1997-08-30 1997-08-30 굴곡부위용 용접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54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0481B2 (ja) パネル取り付けコネクタ
US4629356A (en) Securing unit
US6297967B1 (en) Self-securing RF screened housing
JPH0670175U (ja) パネル取付コネクタ用保護キャップ
JP3290909B2 (ja) 基板用コネクタ
KR19990011541U (ko) 굴곡부위용 용접너트
EP0361642B1 (en) Coupler terminal unit for speaker
JPH0124951Y2 (ko)
JP3221557B2 (ja) 電気コンタクト
JP3311256B2 (ja) 角パイプ材の蓋
KR970063375A (ko) 음극선관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KR200185461Y1 (ko) 차량용 회로 기판 장착 구조
JPH08262926A (ja) 感光体ドラムのアース板構造
JPH0218638Y2 (ko)
JPH10284148A (ja) アース端子の固定部材
KR0119824Y1 (ko) 복합조리기의 워킹 코일 호환고정구조
JPS626771Y2 (ko)
JPS5810340Y2 (ja) トランス
JPH0582983A (ja) ケースの保持方法
JPH07202445A (ja) 軽量筐体
JPH0347356Y2 (ko)
JPH0635579Y2 (ja) ソケット基板アース構造
JPH0453175Y2 (ko)
JPH0427047Y2 (ko)
KR19980064064U (ko) 스피커 그릴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