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310U -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310U
KR19990011310U KR2019970024664U KR19970024664U KR19990011310U KR 19990011310 U KR19990011310 U KR 19990011310U KR 2019970024664 U KR2019970024664 U KR 2019970024664U KR 19970024664 U KR19970024664 U KR 19970024664U KR 19990011310 U KR19990011310 U KR 199900113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pulley
wheel device
vehicl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남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4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310U/ko
Publication of KR19990011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310U/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티어링 휠의 조향축에 벨트홈의 간격을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풀리를 설치하여, 스티어링 휠의 조향시 브이 벨트의 전달력으로 조향되도록 하므로서, 엔진 룸의 진동이 스티어링 휠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축에 벨트홈 간격이 조절 가능한 풀리에 의하여 조향되도록 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조향축은 엔진 룸의 진동에 의하여 미세한 흔들림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티어링 휠의 조향축에 벨트홈의 간격을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풀리를 설치하여, 스티어링 휠의 조향시 브이 벨트의 전달력으로 조향되도록 하므로서, 엔진 룸의 진동이 스티어링 휠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티어링 휠12 : 구동 풀리
14 : 연동 풀리16 : 브이 벨트
18 : 콘트롤러20 : 차속 감지 센서
22 : 유압 실린더24 : 벨트홈
26 : 조향축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는 상기 스티어링 휠(10)의 조향축(26)에 벨트홈(24) 간격이 조절 가능한 구동 풀리(12)를 장착하고, 이 구동 풀리(12)와 브이벨트(16)로 연동되는 연동 풀리(14)를 장착하며, 상기 각 구동 풀리(12)와 연동 풀리(14)의 일측면에는 차속 감지 센서(20)와 콘트롤러(18)가 연결된 유압 실린더(22)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상기 스티어링 휠(10)의 조향축(26)에 구동 풀리(12)가 장착되는 바, 상기 구동 풀리(12)는 벨트홈(24)을 중심으로 일측판이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풀리(12)의 일측판이 움직임으로서, 벨트홈(24)이 조절된다.
이때 상기 구동 풀리(12)의 일측 외부면에 유압 실린더(22)가 장착되는 바, 이 유압 실린더(22)의 피스톤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풀리(12)의 벨트홈(24)에 브이 벨트(16)가 끼워지는 바, 상기 브이 벨트(16)의 반대쪽이 끼워져 연동되도록 한 연동 풀리(14)가 상기 구동 풀리(12)의 반대쪽에 장착된다.
상기 연동 풀리(14)는 유니버설 조인트 축과 연겨되고, 상기 구동 풀리(12)와 동일하게 일측단이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되며, 이 움직임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유압 실린더(22)가 일측면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구동 풀리(12)와 연동 풀리(14)에 장착된 각 유압 실린더(22)에는 콘트롤러(18)가 연결되고, 이 콘트롤러(18)에는 차속 감지 센서(2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설치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이 고속 주행을 하게 되면 상기 차속 감지 센서(20)에서 차량의 고속 상태를 감지하여, 고속 감지 신호를 상기 콘트롤러(18)에 보내게 된다.
이어서 상기 콘트롤러(18)에서는 상기 각 유압 실린더(22)에 작동 신호를 내리게 되는데 상기 구동 풀리(12)에 장착된 유압 실린더(22)의 피스톤은 당겨지게 되고, 상기 연동 풀리(14)에 장착된 유압 실린더(22)의 피스톤은 돌출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 풀리(12)의 벨트홈(24) 간격은 넓어지게 되고, 연동 풀리(14)의 벨트홈(24)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른 스티어링 휠(10)의 회전수 관계는 자동차의 고속 주행시에는 스티어링 휠(10)의 회전수를 많게하되, 축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적게하여 바퀴의 조향각이 작게하고, 또한 저속 주행시에는 스티어링 휠(10)의 회전수를 적게하되, 축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많게하여 바퀴의 조향각을 크게되도록 하는 상태가 이상적인 조향이다.
이에 따라 상기 벨트홈(24) 간격이 넓어진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10)을 많이 회전시키면 상기 연동 풀리(14)의 간격은 좁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벨트에 의한 스티어링 휠(10)의 회전력 전달이 감소되며, 이 감소된 회전력은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 축으로 전달되어 바퀴의 조향각이 적게 된다.
또한 차량의 저속 주행시에는 상기 차속 감지 센서(20)와 콘트롤러(18)의 신호에 의하여 반대로 상기 구동 풀리(12)의 간격은 유압 실린더(22)에 의하여 좁아지게 되고, 연동 풀리(14)의 간격은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휠(10)을 적게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연동 풀리(14)의 회전력이 증가하여, 이 증가된 회전력은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 축으로 전달되어 바퀴의 조향각이 넓어진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에 의하면 풀리에 끼워진 브이벨트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므로서, 엔진 룸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스티어링 휠에 전달되는 것을 막아 진동을 방지할 수 있고, 고속 및 저속 주행에 따라 효과적인 조향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는 상기 스티어링 휠(10)의 조향축(26)에 벨트홈(24) 간격이 조절 가능한 구동 풀리(12)를 장착하고, 이 구동 풀리(12)와 브이벨트(16)로 연동되는 연동 풀리(14)를 장착하며, 상기 각 구동 풀리(12)와 연동 풀리(14)의 일측면에는 차속 감지 센서(20)와 콘트롤러(18)가 연결된 유압 실린더(22)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
KR2019970024664U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 KR199900113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664U KR19990011310U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664U KR19990011310U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310U true KR19990011310U (ko) 1999-03-25

Family

ID=6968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664U KR19990011310U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31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957A (ko) * 2001-05-03 2002-11-16 주식회사 만도 기어비 가변형 스티어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957A (ko) * 2001-05-03 2002-11-16 주식회사 만도 기어비 가변형 스티어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8770B1 (en) Automotive minimal-turning radius control system
KR19990011310U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장치
KR100580450B1 (ko) 자동차용 주행 장치
KR100264265B1 (ko) 전기 자동차용 파워 스티어링장치
KR101028299B1 (ko) 스티어링 기어 튜브 고정 구조
KR200143798Y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 마운팅 브래킷
KR100443970B1 (ko) 스티어링 틸트를 고려한 가변위상각 스티어링장치
KR950010575Y1 (ko) 진동소음의 전달을 저감시키는 조향장치
KR20050027302A (ko) 차량용 보기류 벨트 풀리의 편차 조정장치 및 방법
JP3867869B2 (ja) 車両の駆動系振動防止装置
KR960007930Y1 (ko) 후륜구동 자동차의 차동기 진동 방지 구조
KR100203179B1 (ko)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구동차축 트레드 제어장치
KR100432080B1 (ko) 자동차의 스포일러
KR19980019601U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
KR19990034220A (ko)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용 탑마운트구조
KR200170914Y1 (ko)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
KR960007931Y1 (ko) 후륜구동자동차의 차동기 진동 방지 구조
KR100251367B1 (ko) 전자제어식 후륜 스핀방지장치
KR20120003198A (ko) 회전반경 제어장치 및 방법
KR0184835B1 (ko) 추진축 지지 브라켓
KR20070035366A (ko) 로워피니언 제어에 의한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조향력제어 장치
KR19980072682A (ko) 오일팬 일체형 클러치하우징
KR20020049546A (ko) 차량 조향장치의 안전장치
KR970069761A (ko) 스티어링 휠의 각속도 변화율을 고려한 파워 스티어링장치
KR19990037978A (ko) 차량용 등속 조인트 꺽임각 조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