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835B1 - 추진축 지지 브라켓 - Google Patents

추진축 지지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835B1
KR0184835B1 KR1019960040528A KR19960040528A KR0184835B1 KR 0184835 B1 KR0184835 B1 KR 0184835B1 KR 1019960040528 A KR1019960040528 A KR 1019960040528A KR 19960040528 A KR19960040528 A KR 19960040528A KR 0184835 B1 KR0184835 B1 KR 0184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ulsion shaft
mounting portion
mounting
bracke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600A (ko
Inventor
김세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40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835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추진축을 지지하기 위한 추진축 지지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30)은 일측의 설치부(31)는 수직하게, 타측의 설치부(32)는 수직 설치부(31)에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설치부(31,32)와, 설치부(31,32)의 측면을 보강하는 사다리꼴의 보강부(33) 및 수직 설치부(31)의 하단에 형성된 장착부(34)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따라, 설치부(31,32)에 대하여 장착부(34)가 일측으로 편중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브라켓(30)의 장착방식에 따라 장착부(34)의 위치를 전,후로 변위할 수 있게 되므로 추진축(3)의 중간지지가 가능하여 추진축의 진동이나 이상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추진축 지지 브라켓
제1도는 자동차 동력전달장치의 추진축 설치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2도는 추진축 지지용 베어링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3도는 종래의 추진축 지지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축 지지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제5a, 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축 지지 브라켓의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추진축 지지 브라켓의 설치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디 프레임 2 : 변속기
3 : 추진축 4 : 유니버설 조인트
5 : 리어 액슬 어셈블리 6 : 리어 휠
20 : 베어링 어셈블리 30 : 추진축 지지 브라켓
31 : 수직 설치부 32 : 경사 설치부
33 : 보강재 33a : 수직변
33b : 경사변 34 : 장착부
35 : 리벳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추진축(propeller shaft)을 바디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추진축 지지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는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구동바퀴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클러치를 거쳐 변속기로 전달하고, 변속기에서 적정회전수로 변속된 회전력을 추진축을 거쳐 액슬어셈블리를 통해 휠로 전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구동휠에 따라 동력전달장치는 전륜구동형과 후륜구동형 및 4륜구동형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제1도에 전형적인 후륜구동형의 동력전달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구동형의 동력전달장치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에서 발생한 동력을 변속기(2)에서 변속하여 추진축(3)을 거쳐 리어 휠(6)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5)로 전달하여 리어 휠(6)을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추진축(3)은 변속기(2)로부터 리어액슬 어셈블리(5)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축으로 추진축의 설치각에 따른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등속 유니버설 조인트(4)로 연결된 구동축과 피동축으로 분할하여 구성된다.
또한, 추진축(3)은 바디 프레임(1)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데, 추진축(3)을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 어셈블리(20) 및 추진축 지지 브라켓(10)이 사용되고 있다.
즉, 추진축(3)은 통상적으로 유니버설 조인트(4)의 앞부분을 지지하며, 베어링으로 지지된다. 베어링은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댐퍼로 둘러싸여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설치부와 함께 베어링 어셈블리(20)를 구성하며, 지지 브라켓(10)에 장착하여 차량의 바디 프레임(1)에 설치되게 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종래의 베어링 어셈블리(20) 및 추진축 지지 브라켓(10)의 단면도 및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베어링 어셈블리(20)는 내부에 추진축(3)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5)과 차체의 진동이 추진축(3)에 미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환형의 댐핑러버(24)를 베어링(25) 주위에 설치하고, 베어링(25)과 댐핑러버(24)를 브라켓(10)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반원형의 설치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베어링 어셈블리(20)를 바디 프레임(10)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0)의 구성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축 지지용 브라켓(10)은 바디 프레임(1)에 설치하기 위해 U자형으로 대향 형성된 설치부(11,12)와 설치부(11,12)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측면을 보강하는 측면 보강판(13) 및 베어링 어셈블리(20)를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대향 설치된 장착부(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치부(11,12)는 바디 프레임(1)의 고정부(1a)에 볼트공(11a)을 이용하여 볼트로 고정되며, 장착부(14)는 베어링 어셈블리(20)와 리벳(15) 등으로 체결되게 된다.
제2도의 베어링 어셈블리(20)와 제3도의 추진축 지지 브라켓(10)을 결합하여 바디 프레임(1)의 고정부(1a)에 추진축(3)을 지지한 상태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추진축(3)은 되도록 축의 중앙을 지지하는 것이 축의 강성을 유지하고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바디 프레임(1)의 구조나 추진축(3)의 형상으로 인해 정확히 중간을 지지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러나, 추진축(3)의 중간을 지지하지 못하게 되면 브라켓(10)을 중심으로 추진축(3)의 길이가 상이하여 차체의 진동에 따른 영향으로 추진축(3)의 회전에 무리가 가고 굽힘모멘트의 발생으로 추진축의 파손이나 장착부의 이상마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추진축의 지지부 양측의 길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는 장착방법이 개발된다면 편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바디 프레임의 브라켓 고정부 설치 위치에 무관하게 추진축의 중간을 지지할 수 있는 추진축 지지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은 수직으로 타측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설치부, 설치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수직변과 경사변을 구비하여 상기 설치부의 측면을 보강하는 보강부, 및 수직 설치부의 하단에 형성된 장착부로 구성되는 추진축 지지 브라켓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진축 지지 브라켓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에 본 발명에 따른 추진축 지지 브라켓(30)의 사시도가 도시 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 설치부(31,32)를 종래의 브라켓(10)보다 큰 간격을 갖도록 이격시켜 형성하고, 그 측면의 보강재(33)를 수직변(33a)과 경사변(33b)을 가진 사다리꼴 형태의 보강재(33)로 형성하여, 장착부(34)는 수직 설치부(31)에서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므로써, 설치부(31,32)에 대해 장착부(34)가 일측에 치우치도록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설치부(31,32)는 일측의 설치부(31)는 수직한 형태로 형성하고, 타측의 설치부(32)는 경사지게 형성하여, 양 설치부(31,32)의 하부가 일정한 각을 갖도록 형성한다.
일측의 설치부(31)는 수직으로 타측의 설치부(32)는 일측의 설치부(31)에 경사지게 형성된 설치부(31,32)의 측면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변(33a)은 수직하고 마주보는 타변(33b)은 경사 설치부(32)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보강재(33)가 설치부(31,32)의 양측에 대향설치되어 설치부(31,32)의 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장착부(34)는 수직 설치부(31)측의 하방에 설치되어 경사 설치부(32)와는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 장착부(34)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리벳(35)으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베어링 어셈블리(20)와 결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추진축 지지 브라켓(30)은 장착부(34)가 설치부(31,32) 하단의 중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일측의 설치부(31)에 편중하게 설치되어 설치부(31,32)의 설치방향에 따라 장착부(34)가 어느 일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추진축 지지 브라켓(30)을 사용하여, 추진축(3)을 장착한 상태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5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진축(3)에 대해 바디 프레임(1)에 형성된 고정부(1a)가 후방으로 치우치게 되는 경우에는 장착부(34)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브라켓(30)을 설치하여 추진축(3)의 중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5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고정부(1a)가 추진축(3)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브라켓(30)을 180o회전시켜 경사 설치부(32)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설치하므로써 장착부(34)가 설치부(31,32)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여 추진축(3)의 중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축 지니 브라켓(30)은 설치부(31,32)의 장착방법에 따라 장착부(34)가 전,후로 일정한 거리만큼 위치 변경이 가능하므로 브라켓(30)의 장착방법을 달리하므로써 추진축(3)의 중간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추진축 지지 브라켓(30)의 구조를 변경하므로써,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브라켓(30)을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장착하여 추진축(3)의 중간을 지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추진축 지지 위치에 따른 추진축의 진동이나 이상마모 등 추진축의 설치방법에서 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일측은 수직으로 타측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설치부, 설치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수직변과 경사변을 구비하여 상기 설치부의 측면을 보강하는 한 쌍의 보강부 및 수직 설치부의 하단에 형성된 장착부로 구성되는 추진축 지지 브라켓.
KR1019960040528A 1996-09-18 1996-09-18 추진축 지지 브라켓 KR0184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528A KR0184835B1 (ko) 1996-09-18 1996-09-18 추진축 지지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528A KR0184835B1 (ko) 1996-09-18 1996-09-18 추진축 지지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600A KR19980021600A (ko) 1998-06-25
KR0184835B1 true KR0184835B1 (ko) 1999-04-01

Family

ID=1947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528A KR0184835B1 (ko) 1996-09-18 1996-09-18 추진축 지지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8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600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6309B1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US6808033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KR100897787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웜축 유격보상장치
KR0184835B1 (ko) 추진축 지지 브라켓
WO2019207985A1 (ja) 駆動ユニット支持装置
CN210591277U (zh) 一种悬挂装置、运动底盘及机器人
JPH11165516A (ja) 電動車両の後車軸取付構造
KR19980038334U (ko) 추진축 지지브라켓
KR100365205B1 (ko) 자동차 추진축의 2중 방진장치
KR0185345B1 (ko) 엔진롤 제어 기능을 갖는 엔진 마운트 브래킷
JPH08197970A (ja) 車室内のこもり音低減構造
KR960007930Y1 (ko) 후륜구동 자동차의 차동기 진동 방지 구조
KR100276818B1 (ko) 자동차용 엔진의 고정구조
KR940007416Y1 (ko) 자동차용 진동흡수 댐퍼
KR0135287Y1 (ko)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구조
KR19990023439U (ko) 트럭의 프로펠라 샤프트 장착 쿠션 러버 및 브라켓
KR0185346B1 (ko) 슬리브가 일체화 된 자동차 엔진 마운트 브래킷
KR100836127B1 (ko) 러버커플링의 진동저감구조
KR970004857Y1 (ko) 자동차 엔진지지용 방진 마운팅 구조
KR100461363B1 (ko)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KR100307953B1 (ko) 엑슬일체형오일팬을이용한차량의엑슬지지장치
JPH06270704A (ja) 車両の差動装置取付構造
KR101028299B1 (ko) 스티어링 기어 튜브 고정 구조
KR960007931Y1 (ko) 후륜구동자동차의 차동기 진동 방지 구조
KR19980039872A (ko) 진동 흡수가 개선된 엔진 마운트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