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721U - 침대 - Google Patents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721U
KR19990010721U KR2019970025073U KR19970025073U KR19990010721U KR 19990010721 U KR19990010721 U KR 19990010721U KR 2019970025073 U KR2019970025073 U KR 2019970025073U KR 19970025073 U KR19970025073 U KR 19970025073U KR 19990010721 U KR19990010721 U KR 199900107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cabinet
shaf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배
Original Assignee
박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길 filed Critical 박병길
Priority to KR2019970025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0721U/ko
Publication of KR19990010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721U/ko

Link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납장내로 수납시켜 침대가 점유하고 있던 실내공간을 유효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여 주기 위해, 상면에는 매트리스를 장착하는 침대의 틀(10)과, 상기 틀의 일단부측을 횡단하게 결합되며 회전하지 못하게 양단이 상기 수납장의 양측 내벽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틀을 수납장에 회전 자재토록 축설치하여주는 고정축(20)과, 사용시에는 상기 틀을 정회전시켜 수납장(30)에서 인출되어 수평으로 놓이게 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틀을 역회전시켜 상기 수납장내에 수직으로 수납되게 하여주는 구동장치와, 연동장치에 의해 회전출몰되는 받침다리(50)들을 갖춘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침대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동 요부 발췌일부 분리 사시도
도 3 은 동 사용 상태 일부 절취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중 받침다리의 출몰 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틀20 : 고정축
30 : 수납장40 : 모터
41,42 : 제 1, 2 변속기어43 : 워엄
44 : 워엄기어45 : 브라켓
50 : 받침다리53 : 안내핀
60 : 연동레버61 : 견인레버
62 : 안내브라켓601 : 연동축
621 : 안내장공
본 고안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붙박이 장이나 수납장에 회동자재토록 설치되어, 사용할 때에만 실내바닥에 놓여있게 하므로 실내공간을 보다 유효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여주는 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침대는 사용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실내바닥에 놓도록 제작되었기 때문에 비교적 넓은 실내 공간을 점유하게 되었다.
따라서, 실내면적이 좁은 경우에는 침대를 놓고 사용할 수 없게 되었고, 또 실내면적이 넓은 경우에도 침대를 놓게 되면 그만큼 공간이 좁아지게 되므로 실내공간의 활용에 제약을 받게 되는 등 사용상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실내공간을 유효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사용할 때에는 실내바닥에 놓여지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붙박이장이나 수납장내로 수납되게 설치되는 침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침대는 수납장 등의 양측내벽에 일단부측을 회동 자재토록 축착시켜주는 고정축과, 이 고정축을 축으로 하여 침대틀을 정·역회동 시켜주는 구동장치와, 상기 침대틀이 회동될 때 연동되어 침대의 받침다리를 회동출몰 시켜주는 연동장치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구동장치가 정구동되면 침대틀이 고정설치된 고정축을 축으로 하여 정회동되어 수납장 등에서 외부로 나와 실내 바닥에 수평으로 놓여지게 되고, 구동장치가 역구동되면 반대로 상기 수납장 등의 내부로 들어가 수직으로 수납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연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받침다리가 출몰되어, 사용시에는 침대의 타단부측을 받쳐주게 되고, 수납시에는 침대틀에 밀착되어 수납공간을 점유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침대의 틀(10)은, 일단부측이 고정축(20)에 의해 붙박이장 또는 수납장(30)의 하부내에 회동자재토록 축착되며, 상부에는 매트리스(11)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축은 틀(10)의 일단부측 내부를 횡단하여 그 양단부가 이 틀의 양측편을 관통 외측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며, 양단(21)은 각각 4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납장(30)의 양측내벽에 고정 착설되는 고정편(31)들에 4각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축홈(3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축은 회전되지 않게 고정 설치되며, 이 고정축에 결합된 틀(10)이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틀(10)의 내측에는 이 틀을 정·역회동시켜 주는 구동장치가 설치된다.
이 구동장치는 모터(40)와, 이 모터의 구동력을 변속시켜주는 제 1, 2 변속기어(42)에 의해 회전되는 워엄(43)과 워엄기어(44)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는 하단을 틀(10)의 바닥면에 고정착설하는 브라켓(45)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축은 이 브라켓을 관통하게 된다.
모터(40)는 브라켓(45)의 일측 외면에 착설되며, 제 1 변속기어(41)는 상기 모터축에, 이 변속기어와 맞물리게 설치되는 제 2 변속기어(42)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전동축으로 워엄(43)과 함께 축착된다.
또, 워엄기어(44)는 고정축(20)에 회전되지 않게 키이로 고정축착되어 상기 워엄과 맞물리게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40)가 구동되면 그 구동력은 제 1, 2 변속기어(41)(42)에 의해 변속되어 워엄(43)으로 전달되므로 이 워엄을 회전시켜 주는데, 이때 이 워엄은 고정축(20)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축착된 워엄기어(44)와 맞물려 있고, 또 이 워엄기어를 제외한 구동장치가 장착된 브라켓(45)은 틀(10)의 바닥에 고정 착설되어 있기 때문에 워엄기어(44)는 회전되지 않게 되고, 이 워엄기어에 맞물려 있는 워엄(43)이 상기 워엄기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므로, 결국 틀(10) 전체가 고정축(20)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틀에는 침대를 사용하기 위해 이 틀을 수평으로 인출시켰을 때 타단부 양측을 실내바닥에 받쳐주게 되는 한쌍의 받침다리(50)와 이들 다리를 회전 출몰시켜주는 연동 장치가 설치된다.
각 받침다리(50)들은 ㄱ 자 형으로 절곡시킨 실내바닥에 닿게 되는 외단에는 고무류로 성형된 발톱(51)이 결착되고, 상기 틀의 타측면 양쪽을 각각 관통하여 이 틀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단부(52)의 내주면에는 나선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장치는, 연동레버(60)와, 이레버의 하단부에 수평착설된 연동축(601)에 내단이 축결합되며 외단부 외주면에는 받침다리(50)의 내단부(52)내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611)이 형성된 견인레버(61)와, 상기 받침다리의 내단부가 전후면을 관통하게 되고, 측면에는 상기 받침다리의 내단부측 외면에 착설된 안내핀(53)이 관통되어 이동하게 되는 안내장공(621)이형태로 뚫어 설치된 안내브라켓(6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레버들은 각각 고정축(20)의 양측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고정착설되며, 이 고정축과 상기 연동레버의 연동축(601) 사이에는 적정간격이 유지되게 한다.
따라서, 틀(10)이 회전하게 되면 연동레버(60)는 고정축(20)과 함께 고정되어 있게 되고, 또 이 고정축과 연동축은 적정간격으로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틀(10)의 정·역회전 방향에 따라 견인레버(61)는 밀리거나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견인레버(61)가 밀리게 되면, 그 외단과 나사결합되어 있는 받침다리(50)도 함께 밀리게 되고, 이 받침다리에 착설된 안내핀(53)이 안내브라켓(62)의 안내장공(621)의 후단부측에서 경사부를 거쳐 선단부측으로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안내핀이 경사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그 방향이 회전하게 되므로, 견인레버(61)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받침다리(50)는 안내핀(53)에 의해 90도로 정회전하게 되면서 전진하게 되고, 틀(10)이 완전 수평상태로 되면 받침다리(50)는 그 전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그 외단이 수직상태로 되어 실내바닥에 닿아 상기 틀을 받쳐주게 된다.
그러나, 견인레버(61)가 당겨지게 되면, 그 외단과 나사결합되어 있는 받침다리(50)도 함께 당겨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안내핀(53)이 안내장공(621)의 선단부에서 경사부를 거쳐 후단부측으로 후진 이동하게 되므로, 전진시와는 반대로 받침다리(50)를 90도 역회전시켜주게 되며, 이에 따라 틀(10)이 수납장(30)내로 들어가 수직 상태로 되면 상기 받침다리의 외단은 수평 상태로 되면서 상기 틀의 전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침대를 사용할 때에는 도 1 및 도 3 의 실선에서와 같이 틀(10)을 수납장(30)으로부터 인출시켜 수평상태로 놓이게 하면 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3 가상선(A)에서와 같이 수납장(30)내에 수직으로 삽입되게 하면 되는데, 그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침대를 사용하기 위해 틀(10)을 인출하고져 할 때에는 별도로 설치되는 통상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구동장치의 모터(40)를 정구동시켜주면 된다.
이렇게 되면, 워엄(43)이 워엄기어(44)를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틀(10)이 함께 정회전되어 수납장(30)으로부터 안출된다.
이렇게, 인출되는 틀(10)이 수평위치로 90도 회전하게 되면, 하부에 별도로 설치된 통상의 리미스위치(도시하지 않음)나 광센서 등과 같은 감지기(70)의 감지작동으로 모터(40)의 정구동을 정지시켜 준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연동장치의 연동레버(60)와 견인레버(61)의 연동작동으로 받침다리(50)들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정회전되어 그 외단이 수직상태로 되므로 바닥에 달아 수평상태로 된 틀(10)을 안정되게 받쳐주어 사용시 수평을 유지토록 하여준다.
한편,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40)를 역 구동시켜 주면 되는데, 이렇게 되면 워엄(43)이 워엄기어(44)를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틀(10)이 수직 위치로 90도 역회전되어 수납장(30)내에 삽입된다.
이렇게 되면, 상부에 설치된 감지기(70)의 감지작동으로 모터(40)의 역구동은 정지되며, 이 과정에서 연동레버(60)와 견인레버(61)의 연동작동으로 받침다리(50)는 후진 이동되면서 그 외단이 수평상태로 90도 역회전되어 틀(10)의 전면에 밀착되므로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됨과 동시에 수납공간을 점유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침대는 사용할 때에는 수납장으로부터 인출시켜 일반적인 침대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납장 내에 수직상태로 삽입시켜 주므로 수납공간이 최소화되고, 또 침대를 놓았던 실내공간은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삽입과 인출작동이 자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며, 실내면적이 좁은 곳에서도 침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4)

  1. 상면에는 매트리스를 장착하는 침대의 틀(10)과, 이 틀을 수납하게 되는 수납장(30)과, 상기 틀의 일단부측을 횡단하게 결합되며 회전하지 못하게 양단이 상기 수납장의 양측 내벽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틀을 수납장에 회전 자재토록 축 설치하여주는 고정축(20)과, 사용시에는 상기 틀을 정회전시켜 수납장(30)에서 인출되어 수평으로 놓이게 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틀을 역회전시켜 상기 수납장내에 수직으로 수납되게 하여주는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장치는 고정축(20)의 중간부분이 관통하게 틀(10)의 바닥에 고정착설되는 브라켓(45)과, 이 브라켓의 외측 일면에 착설되는 모터(40)와, 이 모터의 구동력을 변속시켜주는 제 1, 2 변속기어(41)(42)들과, 제 2 변속기어(42)와 함께 회전되게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전동축에 축착되어 이 브라켓의 내측에 설치되는 워엄(43)과, 이 워엄과 맞물리게 상기 고정축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축착되는 워엄기어(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틀(10)의 타단부측 전면 양쪽에는 받침다리(50)가 상기 틀의 회전시 이 틀과 고정축(20)에 의해 동작되는 연동장치로 회전출몰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연동장치는 고정축(20)의 양측부에 상하로 관통결착되며 하단부에는 연동축(601)이 수평으로 착설된 연동레버(60)와, 후단에는 이 레버의 연동축이 관통축결합되고 선단에는 받침다리(50)가 회전자재토록 결합되는 견인레버(61)와, 틀(10)의 타단부측 양쪽벽 내면에 고정착설되며 상기 받침다리의 후단부가 전후로 관통 결합되고 내측면에는 이 받침다리에 수평으로 착설된 안내핀(53)이 관통결합되는형상의 안내장공(621)이 설치된 안내브라켓(6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KR2019970025073U 1997-08-27 1997-08-27 침대 KR199900107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073U KR19990010721U (ko) 1997-08-27 1997-08-27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073U KR19990010721U (ko) 1997-08-27 1997-08-27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721U true KR19990010721U (ko) 1999-03-15

Family

ID=6968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073U KR19990010721U (ko) 1997-08-27 1997-08-27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0721U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743B1 (ko) * 2009-02-27 2011-07-25 최인섭 기능성 침대
KR101128949B1 (ko) * 2009-09-23 2012-04-12 안형준 매립형 침대
KR200461213Y1 (ko) * 2010-11-16 2012-06-29 (주)렉스 연결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침대
KR101220489B1 (ko) * 2011-03-25 2013-01-10 우미정 수납식 침대
KR101234978B1 (ko) * 2012-10-24 2013-02-20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KR101362535B1 (ko) * 2013-02-04 2014-02-13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가구의 링크 구동 장치
WO2014065471A1 (ko) * 2012-10-24 2014-05-01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식 침대
KR101439727B1 (ko) * 2013-01-09 2014-09-12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침대
KR101439769B1 (ko) * 2013-04-24 2014-09-12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침대
KR102012973B1 (ko) * 2018-02-23 2019-08-22 (주)대진아트와이어 의자가 인출되는 신발장
RU203548U1 (ru) * 2020-11-19 2021-04-12 Дмитрий Георгиевич Скуратов Механизм поворота кровати-трансформер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743B1 (ko) * 2009-02-27 2011-07-25 최인섭 기능성 침대
KR101128949B1 (ko) * 2009-09-23 2012-04-12 안형준 매립형 침대
KR200461213Y1 (ko) * 2010-11-16 2012-06-29 (주)렉스 연결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침대
KR101220489B1 (ko) * 2011-03-25 2013-01-10 우미정 수납식 침대
KR101234978B1 (ko) * 2012-10-24 2013-02-20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WO2014065471A1 (ko) * 2012-10-24 2014-05-01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식 침대
KR101439727B1 (ko) * 2013-01-09 2014-09-12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침대
KR101362535B1 (ko) * 2013-02-04 2014-02-13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가구의 링크 구동 장치
KR101439769B1 (ko) * 2013-04-24 2014-09-12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침대
KR102012973B1 (ko) * 2018-02-23 2019-08-22 (주)대진아트와이어 의자가 인출되는 신발장
RU203548U1 (ru) * 2020-11-19 2021-04-12 Дмитрий Георгиевич Скуратов Механизм поворота кровати-трансформер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0721U (ko) 침대
KR10135682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조립방법
US9499932B2 (en) Detergent drawer
CN110873498B (zh) 冰箱
KR102640808B1 (ko) 냉장고
US4852932A (en) Container device used in a vehicle
KR100625351B1 (ko)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KR100598619B1 (ko) 차량용 모니터의 팝업장치
CN211287058U (zh) 门锁锁体自动开锁结构
CN113833942B (zh) 一种抽拉式家用电器
JP2021517001A (ja) 引き出しを自動開閉可能な複合型洗濯機
JP2000152442A (ja) キャビネットラック取付用引出し式パネルのスライドロック機構
KR200354807Y1 (ko) 카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모니터 수납 장치
JP2000225866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システム
JP3653646B2 (ja) 引出しのラッチ装置
JP2006226600A (ja) グリル
JP3923109B2 (ja) 自動車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KR200393315Y1 (ko)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CN110670959A (zh) 门锁锁体自动开锁结构
KR20080095552A (ko) 오븐
KR19990019196U (ko) 침대
KR920000040Y1 (ko) 카세트 데크
KR0126306Y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0118383Y1 (ko) 바베큐 꽂이 고정장치
JP4495610B2 (ja) グ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