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978B1 -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978B1
KR101234978B1 KR1020120118372A KR20120118372A KR101234978B1 KR 101234978 B1 KR101234978 B1 KR 101234978B1 KR 1020120118372 A KR1020120118372 A KR 1020120118372A KR 20120118372 A KR20120118372 A KR 20120118372A KR 101234978 B1 KR101234978 B1 KR 101234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gear
fixed shaft
fixed
furnit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석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시스
Priority to KR102012011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978B1/ko
Priority to PCT/KR2013/001221 priority patent/WO201406547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47C19/128Folding bedsteads only legs being fold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이 가구 프레임의 외측 고정물과 고정되고, 가구 프레임과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구 프레임 내측에 구비된 고정축, 고정축에 구비되는 제1 기어, 가구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고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및 가구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고 고정축을 중심으로 가구 프레임 전체가 회전하도록 제2 기어에 구동력을 가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축, 제1 기어, 제2 기어 및 구동부재를 이용한 구동 장치에 의해 가구의 개폐시 반발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수납식 가구의 승하강을 부드럽게 충격없이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Apparatus for driving foldable furniture}
본 발명은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납식 가구의 내측에 구비되어 수납식 가구를 회전, 개폐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핵가족화와 1인 가구수의 증가에 따라 소형 평수의 아파트와 원룸, 오피스텔 등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이렇게 평수가 작은 주거공간에서는 책상과 옷장 및 침대 등 가구들의 배치가 공간활용에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침대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좁은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수납장에 침대를 접어 수납 가능한 수납식 침대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납식 침대는 사용하지 않는 낮에는 수납장 내로 수납시켜 좁은 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밤에 침대를 사용할 때에는 수납장에서 침대를 펼쳐 침대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서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수납식 침대의 구조는 실용신안등록 제 20-0229337호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접이침대를 힌지하는 회전축에 사각고정판을 일체로 고정시키고 이 고정판 일측에 체결되는 장력스프링을 일정 길이로 연장하여 케이스에 체결함과 함께 케이스를 침대 본체에 고정하고 회전축을 연장하여 수납장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렇게 장력스프링을 이용한 구조에서는 큰 사이즈의 침대를 개폐할 때 반발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고, 스프링 자체는 온도 편차에 따라 장력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 스프링 방식의 경우 내구성의 문제와, 큰 사이즈의 가구를 구동시킬 때 침대 몸통이 떨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스프링을 이용하는 수납식 침대의 경우, 이사 또는 가구의 재배치 등에서 수납장과 분리시키는 작업을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식 가구의 내측에 구비되어 수납식 가구의 개폐시 반발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는 양단이 가구 프레임의 외측 고정물과 고정되고, 가구 프레임과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구 프레임 내측에 구비된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구비되는 제1 기어; 상기 가구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및 상기 가구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기 가구 프레임 전체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2 기어에 구동력을 가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고정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축 상에 고정되는 피니언 기어이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고정축과 직교하게 배치되는 랙기어이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구 프레임의 하판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랙기어가 피스톤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축과 상기 가구 프레임의 상대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구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되는 가구 다리를 회전시키는 다리 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다리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는 고정구; 일단이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는 와이어; 및 일단이 상기 가구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결합하고, 타단이 노출되어 회전 가능한 가구 다리와 결합하는 변환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축의 회전 및 상기 와이어의 텐션에 의해 상기 가구 다리가 회전하도록 변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변환부재는, 단면상 각도가 90도를 이루는 가변홀이 외주면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외통; 상기 외통에 내삽되며, 상기 가변홀을 따라 움직이도록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외주면에 구비되는 내통; 및 상기 내통에 외측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외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파손되었을 경우, 상기 가구 다리가 가구의 아래쪽을 향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에 의하면,
첫째, 고정축, 제1 기어, 제2 기어 및 구동부재를 이용한 구동 장치에 의해 가구의 개폐시 반발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수납식 가구의 승하강을 부드럽게 충격없이 조절할 수 있다.
둘째, 고정축, 제1 기어, 제2 기어 및 구동부재가 모두 가구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외관이 깔끔하고, 수납식 침대를 수납하는 가구의 측판에 고정축을 고정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이사 또는 가구의 재배치 등에서 수납장과 분리시키는 작업을 일반인도 할 수 있다.
셋째, 구동부재는 가구 프레임에 스위치를 설치하거나 리모콘 등과 연결하여 그 구동력을 조절하기 용이하다.
넷째, 다리 회전부재를 고정축의 회전 및 와이어의 텐션에 의해 가구 다리가 자동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다섯째, 변환부재에 구비된 탄성부재는 가구 다리가 가구의 아래쪽을 향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와이어가 파손되었을 경우에도 가구 다리가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가구의 구동장치를 구비한 수납식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변환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가구의 구동장치를 구비한 수납식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100)는 양단이 가구 프레임(F)의 외측 고정물(S)과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여기서는 수납식 가구를 수납식 침대로 예시하고, 외측 고정물(S)은 수납식 침대를 수납하는 가구의 측판으로 예시한다. 필요에 따라 외측 고정물(S)은 수납식 침대를 수납하는 가구가 아닌 별도의 프레임일 수도 있다. 도 1에는 수납식 침대의 가구 프레임(F) 위에 매트리스(M)가 안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100)는 고정축(110), 제1 기어(120), 제2 기어(130) 및 구동부재(140)를 포함한다.
고정축(110)은 가구 프레임(F)과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구 프레임(F) 내측에 구비된다. 고정축(110)은 가구 프레임(F) 내부에서 베어링이 구비된 브라켓들(B)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2에는 수납식 가구가 고정축(110)과 평행한 방향이 장변 방향일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제1 기어(120)는 고정축(110)에 구비된다. 제1 기어(120)는 고정축(1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축(110) 상에 고정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120)가 예시되어 있다.
제2 기어(130)는 가구 프레임(F)의 내측에 고정되고 제1 기어(120)와 맞물리게 구비된다. 제2 기어(130)는 피니언 기어(120)와 맞물리도록 고정축(110)과 직교하게 배치되는 랙기어(rack gear)(130)가 예시되어 있다.
구동부재(140)는 가구 프레임(F)의 내측에 구비되고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가구 프레임(F) 전체가 회전하도록 제2 기어(130)에 구동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재(140)는 가구 프레임(F)의 하판 상면에 고정되며 랙기어(130)가 피스톤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구동부재(140)는 가구 프레임(F)의 하판 상면에 구비된 브라켓과 힌지 결합할 수 있다. 구동부재(140)는 가구 프레임(F)에 스위치를 설치하거나 리모콘 등과 연결하여 그 구동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구동부재(140)가 랙기어(130)를 당기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경우 랙기어(130)와 맞물린 피니언 기어(120)의 각도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구 프레임(F)은 아래쪽을 향하게 된다. 이때, 가구 다리(L)는 가구 프레임(F)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때 아래쪽을 향하여 회전한다.
반대로 도 3의 (b)를 참조하면, 구동부재(140)가 랙기어(130)를 미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경우 랙기어(130)와 맞물린 피니언 기어(120)의 각도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구 프레임(F)은 윗쪽을 향하여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가구 다리(L)는 가구 프레임(F)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때 가구 프레임(F)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변환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가구 다리(L)는 다리 회전부재(200)에 의해 작동한다. 다리 회전부재(200)는 고정축(110)과 가구 프레임(F)의 상대 회전력을 이용하여 가구 프레임(F)의 외측에 구비되는 가구 다리(L)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다리 회전부재(200)는 고정구(210), 와이어(220) 및 변환부재(230)를 구비하여 고정축(110)의 회전 및 와이어(220)의 텐션에 의해 가구 다리(L)가 회전하도록 변환시킨다.
고정구(210)는 고정축(110)에 결합되고, 와이어(220)는 일단이 고정구(210)에 고정된다. 가구 프레임(F)이 회전하면 고정구(210)에 고정된 와이어(220)는 자연스럽게 고정축(110) 상에 감기기도 하고 풀리기도 한다.
변환부재(230)의 일단은 가구 프레임(F)의 내측에 구비되어 와이어(220)의 타단과 결합하고, 변환부재(230)의 타단은 노출되어 회전 가능한 가구 다리(L)와 결합한다.
이때, 변환부재(230)는 원통 형상의 외통(231), 내통(232) 및 탄성부재(233)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외통(231)은 단면상 각도가 90도를 이루는 가변홀(231a)이 외주면에 형성된다. 내통(232)은 외통(231)에 내삽되며, 가변홀(231a)을 따라 움직이도록 돌출된 가이드돌기(232a)가 외주면에 구비된다.
탄성부재(233)는 내통(232)에 외측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외통(23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탄성부재(233)는 가이드돌기(232a)에 의해 압축될 수도 있고 신장될 수도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구동부재(140)가 랙기어(130)를 당기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경우, 즉 가구 프레임(F)이 아래쪽을 향하게 되는 경우에 고정구(210)에 고정된 와이어(220)는 자연스럽게 고정축(110) 상에서 풀리면서 탄성부재(233)의 외측 방향 탄성력에 의해 가구 다리(L)는 아래쪽을 향하여 회전한다.
여기서, 탄성부재(233)는 와이어(220)가 파손되었을 경우, 가구 다리(L)가 가구의 아래쪽을 향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도 4의 (b)를 참조하면, 구동부재(140)가 랙기어(130)를 미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경우, 즉 가구 프레임(F)이 윗쪽을 향하여 들어 올려지게 되는 경우에 고정구(210)에 고정된 와이어(220)는 자연스럽게 고정축(110) 상에 감기면서 내통(232)을 당기게 되고, 가이드돌기(232a)가 가변홀(231a)을 따라 움직이면서 탄성부재(233)는 압축되며, 가구 다리(L)는 가구 프레임(F)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여 회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수납식 가구가 고정축(110)과 평행한 방향이 장변 방향일 경우이고, 도 5는 수납식 가구가 고정축(110)과 평행한 방향이 단변 방향일 경우, 즉 더 큰 사이즈의 침대일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가구 프레임(F)이 더 무겁기 때문에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100)와 다리 회전부재(200)가 2개씩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100)에 의해 가구의 개폐시 반발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수납식 가구의 승하강을 부드럽게 충격없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축(110), 제1 기어(120), 제2 기어(130) 및 구동부재(140)가 모두 가구 프레임(F)의 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외관이 깔끔하고, 수납식 침대를 수납하는 가구의 측판에 고정축(110)을 고정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이사 또는 가구의 재배치 등에서 수납장과 분리시키는 작업을 일반인도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110...고정축 120...제1 기어
130...제3 기어 140...구동부재
200...다리 회전부재

Claims (6)

  1. 양단이 가구 프레임의 외측 고정물과 고정되고, 가구 프레임과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구 프레임 내측에 구비된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구비되는 제1 기어;
    상기 가구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및
    상기 가구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기 가구 프레임 전체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2 기어에 구동력을 가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축과 상기 가구 프레임의 상대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구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되는 가구 다리를 회전시키는 다리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는 고정구;
    일단이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는 와이어; 및
    일단이 상기 가구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결합하고, 타단이 노출되어 회전 가능한 가구 다리와 결합하는 변환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축의 회전 및 상기 와이어의 텐션에 의해 상기 가구 다리가 회전하도록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고정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축 상에 고정되는 피니언 기어이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고정축과 직교하게 배치되는 랙기어이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구 프레임의 하판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랙기어가 피스톤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재는,
    단면상 각도가 90도를 이루는 가변홀이 외주면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외통;
    상기 외통에 내삽되며, 상기 가변홀을 따라 움직이도록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외주면에 구비되는 내통; 및
    상기 내통에 외측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외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파손되었을 경우, 상기 가구 다리가 가구의 아래쪽을 향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KR1020120118372A 2012-10-24 2012-10-24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KR101234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372A KR101234978B1 (ko) 2012-10-24 2012-10-24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PCT/KR2013/001221 WO2014065471A1 (ko) 2012-10-24 2013-02-18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372A KR101234978B1 (ko) 2012-10-24 2012-10-24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978B1 true KR101234978B1 (ko) 2013-02-20

Family

ID=4789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372A KR101234978B1 (ko) 2012-10-24 2012-10-24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9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769B1 (ko) * 2013-04-24 2014-09-12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침대
CN113142840A (zh) * 2021-04-24 2021-07-23 广东欧美斯家具有限公司 一种可旋转折叠组合柜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721U (ko) * 1997-08-27 1999-03-15 박병길 침대
KR20110065240A (ko) * 2009-12-09 2011-06-15 남승우 벽걸이 침대
KR20120109717A (ko) * 2011-03-25 2012-10-09 윤창한 수납식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721U (ko) * 1997-08-27 1999-03-15 박병길 침대
KR20110065240A (ko) * 2009-12-09 2011-06-15 남승우 벽걸이 침대
KR20120109717A (ko) * 2011-03-25 2012-10-09 윤창한 수납식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769B1 (ko) * 2013-04-24 2014-09-12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침대
CN113142840A (zh) * 2021-04-24 2021-07-23 广东欧美斯家具有限公司 一种可旋转折叠组合柜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489B1 (ko) 수납식 침대
US20140157547A1 (en) Gravity-balancing device for electric roller shade lifting system
KR101234978B1 (ko)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KR101439769B1 (ko) 수납식 침대
KR101439648B1 (ko) 수납식 가구의 승하강 구동 장치
CN204083712U (zh) 电视机底座及平板电视机
KR20150054107A (ko) 수납식 침대
CN201243824Y (zh) 基于弹簧动力的折叠床
CN204351428U (zh) 一种多功能沙发
WO2014065471A1 (ko) 수납식 가구의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식 침대
KR101362535B1 (ko) 수납식 가구의 링크 구동 장치
CN108240349B (zh) 一种折叠风扇
KR20120041337A (ko) 자동 슬라이트형 수납 메커니즘
KR101439727B1 (ko) 수납식 침대
KR20110065240A (ko) 벽걸이 침대
KR101234833B1 (ko) 가림판이 구비된 상판 접이 구조
KR101307251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접이식 책상
CN209360051U (zh) 一种多功能书桌
CN208017229U (zh) 一种便于携带的户外折叠椅
KR102250394B1 (ko) 회전고정식 원터치텐트
KR20090119445A (ko) 이동수단을 구비한 상향식 전동스크린
KR20170079070A (ko)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
CN207378444U (zh) 一种智能家居中控平台支架
KR200486630Y1 (ko) 부분 개폐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장치
KR100186939B1 (ko) 절첩 수납 침대의 탄력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