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040Y1 - 카세트 데크 - Google Patents

카세트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040Y1
KR920000040Y1 KR2019880007750U KR880007750U KR920000040Y1 KR 920000040 Y1 KR920000040 Y1 KR 920000040Y1 KR 2019880007750 U KR2019880007750 U KR 2019880007750U KR 880007750 U KR880007750 U KR 880007750U KR 920000040 Y1 KR920000040 Y1 KR 920000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hassis
center base
clutch
shaf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626U (ko
Inventor
허유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정기
안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정기, 안응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정기
Priority to KR2019880007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040Y1/ko
Publication of KR890023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6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Landscapes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데크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 개략도로서, 스톱시와 플레이시의 작동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배면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리와인드레버를 누를경우의 센터베이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 센터베이스의 하단좌측에 돌설된 리와인드 안내돌기와 리와인드레버와의 작동관계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F/F시의 센터베이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5도에 센터베이스와 하단 우측에 돌설된 F/F안내돌기와 F/F레버와의 작동관계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메인샤시에 클러치의 센터베이스를 삽착 고정시키는 상태도.
제8도는 제7도의 A-A선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클러치의 종단면도.
제10도는 기존의 플레이 기어베이스 형상도.
제11도는 제10도의 다른 실시예로써, 헤드 샤시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종래의 정전기 어스방식을 나타낸 단면도.
제13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의 정전기 어스방식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샤시 2 : 클러치
3 : 센터베이스 3a : 리와인드안내돌기
3b : 록크돌기 3c : F/F안내돌기
3d,3e : 슬라이드돌기 7 : 사각공
8 : 조립안내공 8a : 장공
11 : 버링축
본 고안의 F/F 및 리와인드시의 동력 전달장치인 클러치를 개량한 카세트 데크에 과한 것으로, 플레이 아이들러기어와 F/R아이들러기어가 축설된 센터베잇의 하단부에 3개의 돌기를 돌설하여 리와이드시에는 리와인드레버의 선단록크부에서 센터베이스의 좌측에 돌설된 리와인드돌기가 해제되어 리와인드 동작이 이루워지도록 하고, F/F시에는 F/F레버의 선단 경사부에 의하여 센터베이스이 우측에 돌설된 F/F돌기가 좌측으로 밀리면서 F/F동작이 이루워지도록 하는 한편, 플레이시 및 정리시에는 센터베이스의 F/R아이들러기어가 중립위치에 위치토록 함으로써 플레이 동작 및 F/R동작이 원할 정확하게 이루워질수 있는 신뢰도가 일층 향상된 카세트데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종래의 카세트데크의 경우는 F/F 및 리와인드시의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가 직선 슬라이드방식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메인샤시와의 마찰작용에 의하여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워지지 못하며 동작중 오동작이 잦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메인기판에 클러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축에 와샤를 끼어서 유설하거나, 스크류로 조립하였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되어 제작원가 및 조립공수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어왔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세트데크가 갖는 제결함을 감안하여 메인샤시에 일체적으로 돌설된 버링축에 클러치의 센터베이스를 축설하여 회동방식으로 클러치가 구동되도록 안술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형 카세트 데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샤시(1)의 양쪽릴축공(9)(10)사이에 클러치(2)의 F/R아이들러기어(5)가 삽설되는 사각공(7)을 형성하되, 그 하단에조립안내공(8)을 천설하여, 벨트풀리(4)와 F/R 및 플레이아이들러기어(5)(6)사이에 센터베이스(3)가 축설된 클러치(2)를, 메인샤시(1)에 일체로 돌설된 버링축(11)에 좌우회동가능토록 축설하여서 이루워진 것으로 상기 센터베이스(3)의 하단부에는 리와인드레버(R)와 연동하는 리와인드안내돌기(3a)와 록크돌기(b)가 돌설되어 있으며, 우측으로는 F/F레버(F)와 연동하는 F/F안내돌기(3c)가 돌설되어 있고, 또한 센터베이스(3)의 상하단에는 슬라이드돌기(3d)(3e)가 형성되어 메인샤시(1)에 천공된 사각동(7)과 조립안내홈(8)에 슬라이드되도록 삽설되어 있으며, 버링작업에 의하여 메인샤시(1)에 일체적으로 돌출형성된 버링축(11)에 상기 클러치(2)의 센베이스(3)가 축설되어 제2도와 같이 고정 설치된다.
한편 S릴(13)과 T릴(14)에는 6가으로 삼각안내돌기(15)가 형성되고 테이프안착시 어느각도로 테이프가 안착되더라도 릴이 슬라이드 회동하면서 정확하게 테이프가 안착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제1도에서와 같이 정지상태에서 플레이레버(P)를 누르면 헤드샤시(16)가 밀리면서 플레이기어베이스(17)를 저지하고 있던 헤드샤시(16)의 선단후크부(16a)가 해제되어 해제되어 제2도에서 도시된 스프링(12)의 인력에 의하여 플레이어기어베이스(17)가 회동하여 플레이어기어베이스(17)에 축설된 플레이기어(24)가 이동하여 클러치(2)에 축설된 플레이 아이들러기어(6)에 치합되어 플레이 동작이 이루워지는 것이며, 스톱레버(S)를 누르게 되면 헤드샤시(16)가 원위치되면서 헤드샤시(16)의 선단후크부(16a)에 의하여 플레이기어베이스(17)의 좌단돌기(17a)가 당겨져 회전하고 있는 플레이 아이들러기어(6)에서 플레이기어(24)가 이탈되어 테이프가 정지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정지시와 플레이 동작시에는 클러치(2)가 회동하지 않고 중립위치에서 정리해 있게 되는데, 이것은 플레이기어베이스(17)에 탄설된 스프링(12)이 센터베이스(3)의 하단부를 우측으로 (제1도상에서)잡아당기고 있으나 센터베이스(3)의 하단 좌측에 돌설된 리와인드안내돌기(3a)를 리와인드레버(R)의 선단 록크암(Ra)에 저지되어 중립위치에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플레이기어베이스(17)의 좌단돌기(17a)형상을 제10도와 같이 할수도 있으며, 제11도와 같이 벤딩시켜 플레이동작시 헤드샤시(16)의 선단 후크부(16a)에 의하여 플레이기어베이스(17)가 부상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하여 기어의 마모와 이탈을 방지토록 되어 있다.
한편, 테이프를 이와인드시키고져 리와인드레버(R)를 누르게 되면 리와인드레버(R)의 선단 록크암(Ra)에 록크되어 있던 센터베이스(3)의 리와인드안내돌기(3a)가 제4도와 같이 스프링(12)의 힘에 의하여 록크암(Ra)의 경사면(i)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센터베이스(3)에 축설된 F/R아이들러기어(5)가 좌측으로 회동하여 제3도의 일점쇄선과 같이 S릴(13)에 치합되어 리와인드 동작이 실행되는 것이다.
이때 제4도에서와 같이 센터베이스(3)의 하단부 중앙에 돌설된 록크돌기(3b)가 리와인드레버(R)의 록크암(Ra)우단부를 록크하여 동작중 S릴(13)에서 F/R아이들러기어(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스톱레버(S)를 누르게 되면 리와인드레버(R)가 원위치 되면서 리와인드 안내돌기(3a)를 좌측으로 밀어 클러치(2)가 중립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테이프를 정역 방향으로 빠르게 회전시키고져 F/F레버(F)를 누르게 되면, 제5도와 같이 F/F레버(F)가 직상으로 전진하면서 선단에 형상된 경상부(1')에 의하여 센터베이스(3)의 하단우측에 돌설된 F/F안내돌기(3c)를 좌방향으로 밀게되므로 F/R아이들러기어(5)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T릴(14)과 연결된 F/F전달기어(18)과 치합되어 F/F동작이 이루워지게 되는 것으로, 다시 스톱레버(S)를 누르게 되면 F/F레버(F)가 후진하면서 스프링(12)의 인력에 의하여 센터베이스(3)의 하단부가 우측으로 당겨져 F/R아이들러기어(5)는 중립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모터풀리(32)와 플라이휠풀리(25)에 연결된 벨트(26)에 의하여 발생하는 정전기를 접지시키는 방식으로써, 종래에는 제12도와 같이 고가의 단짖기스크류(27)를 사용하여 모울드베이스(28)와 메인샤시(1)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스프링(29)을 탄설하여 정전기를 접지시켰었으나 이와같은 방식은 고가의 단짖기스크류(27)를 사용해야 하는 관계로 제조원가 상승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어 왔엇으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제1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캡스턴축(30)으로 흐르는 정전기를 메인샤시(1)에 접지시키기 위하여 접지스프링(29)을 탄설하되, 몰드베이스(28)에, 일측이 확개된 고정축봉(28a)을 돌설하여 여기에 접지스프링(29)을 탄설한 후 일반스크류(31)를 사용하여 몰드베이스(28)와 메인샤시(1)를 고정토록 함으로써 고가의 단짖기 스크류를 상요하지 않고서도 저가의 일반스크류(31)로써 캡스턴측(30)으로 흐르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F/R아이들러기어(5)가 S릴과 T릴과 연결된 F/F전달기어와의 사이에서 원활하고,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직선이동 슬라이드방식이 아닌 버링축(11)을 기점으로 회동하면서 클러치(2)가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테이프의 정역회전 동작이 정화하게 이루워지도록 한 장점이 있으며, 또한 메인샤시(1)에 일체적으로 돌출형성된 버링축(11)에 센터베이스(3)를 축설함으로써 원가절감 및 조립공수를 대폭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메인샤시에 클러치(2)를 조립함에 있어서, 제7도와 같이 메인샤시(1)의 양쪽 릴축공(9)(10)사이에 형성된 사각공(7)의 상단 좌측변에 센터베이스(3)의 상단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3d)를 먼저 삽지하고, 상기 센터베이스(3)의 우측에 돌설된 F/F안내돌봉(3c)을 사각공(7)하단에 천설된 조립안내공(8)의 우측으로 길게 천설된 장공(8a)에 삽입시킨후 우회전을 시키게 되면 센터베이스(3)의 록크돌기(3b)와 F/F안내돌기(3c)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3e)가 조립안내공(8)의 하변에 괘지되어 클러치(2)가 메인샤시(1)에 완전조립되게 되는 것이며, 리와인드레버(R)를 조립하게되면 리와인드레버(R)의 선단 후크부(16a)에 선터베이스의 좌측 리와인드 안내돌기(3a)가 록크되어 클러치(2)는 메인샤시에서 완전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와샤 축이나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신뢰도가 일층 향상된 신규유용의 고안으로 제9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클러치(2)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19는 휄트베이스, 20은 휄트, 21은 클러치스프링, 22는 클러치스프링베이스, 23은 F/R클러치축이다.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Claims (4)

  1. 일반용도 카세트 데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샤시(1)의 양쪽릴축공(9)(10)사이에 클러치(2)의 F/R아이들러기어(5)가 삽설되는 사각공(7)을 형성하되, 그 하단에조립안내공(8)을 천설하여, 벨트풀리(4)와 F/R 및 플레이 아이들러기어(5)(6)사이에 센터베이스(3)가 축설된 클러치(2)를 메인샤시(1)에 일체로 돌설된 버링축(11)에 좌, 우회동 가능토록 축설하여서 이루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데크.
  2. 제1항에 있어서, 센터베이스(3)하단부에 3개의 리와인드안내돌기(3a)와 록크돌기(3b) 및 F/F안내돌기(3c)를 돌설하는 것.
  3. 제1항에 있어서, 센터베이스(3)의 상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3d)(3e)가 상기 메인샤시(1)에 천공된 사각공(7)과 조립안내홈(8)에 조립록크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메인샤시(1)의 버링축(11)에 센터베이스(3)를 축설하는 것.
  4. 제1항에 있어서, 캡스턴축(30)으로 흐르는 정전기를 메인샤시(1)에 접지시키기 위해 접지스프링(29)을 탄설하되, 몰트베이스(28)에, 일측이 확가ㅐ된 고정축봉(28a)을 돌설하여, 여기에 접지스프링(29)을 탄설하고, 일반스크류(31)을 사용하여 상기 스프링(29)을 고정토록하는것.
KR2019880007750U 1988-05-26 1988-05-26 카세트 데크 KR920000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750U KR920000040Y1 (ko) 1988-05-26 1988-05-26 카세트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750U KR920000040Y1 (ko) 1988-05-26 1988-05-26 카세트 데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626U KR890023626U (ko) 1989-12-04
KR920000040Y1 true KR920000040Y1 (ko) 1992-01-15

Family

ID=1927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750U KR920000040Y1 (ko) 1988-05-26 1988-05-26 카세트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0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626U (ko) 198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4193A (en) Key interlock system for automatic floor mounted transmission shifter
KR920000040Y1 (ko) 카세트 데크
US4034835A (en) Clutch and throttle control mechanism
KR19990010721U (ko) 침대
EP0215627A2 (en) Auto-reverse tape recording apparatus
EP0286691A1 (en) Reel lock for video tape cassettes
US5449124A (en) Reel lock mechanism for tape cassette
KR910002330Y1 (ko) 카세트 데크
KR890002041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정지장치
KR920000215B1 (ko) 자동 정지장치
KR930001878B1 (ko)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카셋트 장착기구
JPS6025843Y2 (ja) 可変抵抗の操作機構
KR900003385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구동장치
KR910000146Y1 (ko) 테이프레코더의 릴동력 절환장치
KR920005712Y1 (ko) 브이티알의 리뷰아암 작동 장치
KR910009425Y1 (ko) 테이프레코더의 테이프 정, 역주행 구동장치
KR900001619Y1 (ko) 스라이드 조작기구
KR910002329Y1 (ko) 카세트 데크
KR920007476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데크의 테이크 업 가이드 장치
KR870004051Y1 (ko) 카세트 데크의 레버 작동 캠
KR930008169Y1 (ko) 간판 구동장치
KR930002400B1 (ko) 로직데크의 헤드위치 변환장치
KR920002754Y1 (ko) 카 데크
JPH0626034B2 (ja) テ−プエンド検出機構
KR900005074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릴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