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530A - 후진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후진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530A
KR19990010530A KR1019970033333A KR19970033333A KR19990010530A KR 19990010530 A KR19990010530 A KR 19990010530A KR 1019970033333 A KR1019970033333 A KR 1019970033333A KR 19970033333 A KR19970033333 A KR 19970033333A KR 19990010530 A KR19990010530 A KR 19990010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river
signal
controller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근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70033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0530A/ko
Publication of KR19990010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53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진 주행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운전석 시트는 차량의 후진시 운전자에게 불편을 초래함에 따라 본 발명은 운전석 시트(10)를 일정 각도(예: 15도)만큼 회전될 수 있게 하는 회전 모터를 운전석 시트(10)의 하방에 설치하고, 등받이(12)의 기울기를 하향 조절(예: -10도)하기 위한 틸팅 모터(30)를 설치하여 각각의 모터가 컨트롤러(40)를 통해 제어되게 하되, 컨트롤러(40)는 신호 입력부(70)를 통해 점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단(IGN)과 교류 발전기의 L 단자의 신호(60)와 후진 기어 스위치(50)의 신호와, 후진 기어가 선택된 후 정격 용량에 따라 일정 시간을 딜레이하는 콘덴서(C1)의 신호를 입력하게 하여 후진 주행시 운전석 시트(10)의 각도 및 등받이(12)의 기울기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게 구성하여 운전자의 운행 편리를 도모하게 한 것임.

Description

후진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
본 발명은 후진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진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운전석 시트가 일정각도 만큼 회전되게 하고 등받이의 기울기가 하향 조절되게 함으로써 차량의 후진시 운전자의 편리를 도모 할 수 있게 한 후진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차량의 후진시 후진 주행되는 차량의 후방을 감시하기 위하여 고개를 180도 회전하여야 함으로 일정시간 이상 후진 주행을 지속하게 되면 고개 및 어깨에 심한 피로와 경직되는 느낌을 받게된다.
그러나, 종래의 거의 모든 차량은 이러한 후진 주행시 운전자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마련하는 별도의 장치가 전무하며, 특히 운전석 시트의 경우 시트의 각도가 고정 설치됨에 따라 운전자는 후진 주행시 고개와 어깨를 완전히 돌린 채 운행을 하게 된다.
즉, 종래 차량은 운전석 시트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후진 주행시 운전 편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지 않음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이상 고개와 어깨를 돌릴 경우 피로를 가중하고 자칫 고개 및 어깨 부분이 경직되어 주행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후진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운전석 시트의 각도가 일정 각도(예: 15도)만큼 자동 회전되게 하고 등받이의 기울기가 일정량(예: -10도) 하향 조절되게 하여 후진 주행시 운전자의 피로 및 운전의 불편이 감소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 모터 및 틸팅 모터의 개략적인 설치 상태도.
도 2a 는 본 발명에 의해 운전석 시트 등받이의 각도가 변화되는 상태를 보인 시트의 좌측면도.
도 2b 는 본 발명에 의해 운전석 시트의 각도가 변화되는 상태를 보인 시트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운전석 시트 12 : 등받이
20 : 회전 모터 30 : 틸팅 모터
40 : 컨트롤러 42 : C.P.U.
50 : 후진 기어 스위치 60 : 교류 발전기의 L단자
70 : 신호 입력부 IGN : 점화 전원
S1 : 후진 기어 선택 신호 S2 : 일정 시간이 지연된 신호
C1 : 일정 시간을 지연하기 위한 콘덴서
따라서, 본 발명은 운전석 시트를 일정 각도(예: 15도)만큼 회전하기 위하여 시트의 하방에는 회전 모터를 설치하고, 시트 등받이의 기울기를 하향 조절(예: -10도)하기 위한 틸팅 모터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 모터와 틸팅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신호 입력부를 통해 각종 신호를 입력하게 하되, 특히 점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단(IGN)과 교류 발전기의 L 단자의 신호와 후진 기어 스위치의 신호와, 후진 기어가 선택된 후 정격 용량에 따라 일정 시간을 딜레이하는 콘덴서의 신호를 입력하게 하여 후진 주행시 운전석 시트의 각도 및 등받이의 기울기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된 도 1 과 같이 운전석 시트(10)의 하방에는 제어 신호에 따라 시트의 각도를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예: 15도)만큼 회전될 수 있게 하는 회전 모터(20)를 설치하며, 운전석 등받이(12)의 기울기를 하향 조절(예: -10도)하기 위한 틸팅 모터(30)를 운전석 시트(10)의 적정 위치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회전 모터(20)와 틸팅 모터(3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40)를 예시된 도 2 와 같이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러(40)는 신호 입력부(70)를 통해 전원 및 제어에 필요한 각종 신호를 입력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신호 입력부(70)는 특히 점화 전원(IGN)으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하고,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교류 발전기의 L 단자의 신호(60)를 입력하며, 차량의 후진 기어가 선택 및 이탈되는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후진 기어 스위치(50)의 신호를 입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후진 기어 스위치(50)와 컨트롤러(40) 사이에는 일정 용량의 콘덴서(C1)를 설치하여 후진 기어가 선택된 후 정격 용량에 따라 일정 시간이 딜레이되는 콘덴서(C1)가 후진기어가 선택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신호(S2)를 상기 컨트롤러(40)에 자동으로 입력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40)에는 상기 입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통해 설정된 로직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C.P.U.(40)를 설치하되, 특히 상기 C.P.U.(40)는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후진 기어가 선택된 신호(S1)를 확인 한 후 일정 시간이 딜레이되는 신호(S2)가 입력될 경우에 운전석 시트(10)의 각도 및 등받이(12)의 기울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 할 수 있게 하고, 후진 기어 스위치(50)를 통해 선택된 후진 기어의 이탈이 감지되면 회전된 회전 모터(20)와 등받이(12)의 기울기를 자동으로 복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컨트롤러(40) 및 내부에 형성된 C.P.U.(40)는 점화 전원(IGN)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교류 발전기의 L단자의 신호(60)를 입력하여 엔진의 운행 상태를 인식하게 되며, 후진 기어 스위치(50)의 신호를 입력하여 후진 기어가 선택/이탈된 경우를 판단하게 되며, 특히 후진 기어 스위치(50)를 통해 전원을 인가 받게 되는 콘덴서(C1)는 정격 용량의 전류가 충전되는 시간만큼 시간을 딜레이하게 됨에 따라 후진 기어 선택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됨을 상기 C.P.U.(40)가 인식 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40) 및 C.P.U.(40)는 입력되는 신호를 분별하여 차량의 정상 운행시 후진 기어가 선택된 후 콘덴서(C1)의 정격 용량만큼 일정 시간이 딜레이되는 신호(S2)가 입력하여 회전 모터(20) 및 틸팅 모터(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기를 판별하게 되며, 판별되어 출력되는 신호는 설정된 각도만큼 운전석 시트(10)의 각도와 등받이(12)의 기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되며, 선택된 후진 기어의 탈거 신호가 후진 기어 스위치(50)로부터 입력되면 변형된 운전석 시트(10)의 각도 및 등받이(12)의 기울기를 원상 복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됨으로써 후진 주행시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을 편리하게 주시할 수 있게 하며 운전의 불편이 감소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의 후진 주행시 운전석 시트(10)의 각도 및 등받이(12)의 각도를 변형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을 편리하게 주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리를 도모하게 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의 후진 주행이 선택되면 일정 시간 후에 시트의 각도 및 등받이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을 주시하는 동안 자칫 어깨와 고개부분이 경직될 수 있는 불편을 해소하여 운전의 편리를 도모하게 된다.

Claims (3)

  1. 차량의 운행 상태와 후진 및 전진 주행을 판별하기 위하여 각각의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신호 입력부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별하여 주행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석 시트를 일정 각도(예: 15도)만큼 회전하며 시트의 하방에 설치되는 회전 모터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시트 등받이의 기울기를 하향 조절(예: -10도)하기 위하여 시트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는 틸팅 모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전원을 공급받는 점화 전원의 신호와, 엔진의 구동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교류 발전기의 L 단자의 신호와, 차량의 후진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후진 기어 스위치의 신호와, 후진 기어 선택 후 일정 시간을 딜레이하기 위한 콘덴서의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내부에는 입력되는 신호를 분별하여 차량의 운행 상태 및 전진 및 후진 상태를 판별하며 설정된 로직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일정한 로직을 형성한 C.P.U.가 구비되어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
KR1019970033333A 1997-07-16 1997-07-16 후진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 KR19990010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333A KR19990010530A (ko) 1997-07-16 1997-07-16 후진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333A KR19990010530A (ko) 1997-07-16 1997-07-16 후진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530A true KR19990010530A (ko) 1999-02-18

Family

ID=6604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333A KR19990010530A (ko) 1997-07-16 1997-07-16 후진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05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492B1 (ko) * 2001-09-15 2004-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 위치조절장치
KR20190142048A (ko) * 2018-06-15 2019-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위블 시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492B1 (ko) * 2001-09-15 2004-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 위치조절장치
KR20190142048A (ko) * 2018-06-15 2019-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위블 시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0530A (ko) 후진시 운전자의 보조를 위한 시트 회전 장치
JPS61291242A (ja) 自動車用電動ミラ−制御装置
JPH0699829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8336237A (ja) 作業機の電気負荷制御装置
KR100456553B1 (ko) 후진시의시트자동회전장치
JP2943555B2 (ja) バックミラー駆動制御装置
KR100203155B1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미러의 위치 자동 재생장치
JP3832060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3385609B2 (ja) 車載モータの正逆転制御回路
JP5045130B2 (ja) 車両の制御システ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姿勢制御装置
KR19980047505A (ko) 차량 후진시 사이드 미러 자동 조절 장치
KR100250256B1 (ko) 자동차 회전시 아이엠에스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26209A (ko) 차량 후진시의 사이드 미러 자동 조절 장치
JP2003133936A (ja) 負荷制御装置
KR100222029B1 (ko) 자동차용 메모리 시트 및 그 구동방법
KR100195477B1 (ko) 승용차용 조수석 시이트
KR19980037142A (ko) 자동차 빽미러의 자동제어장치
KR19980069664A (ko) 자동차 미러 조절 시스템
KR100221274B1 (ko) 자동차 스티어링 틸트위치 자동 재생장치
KR0160275B1 (ko) 후방입사광 광도 감지식 룸미러 장치
KR200154410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200292560Y1 (ko) 차량용 엔진동작표시장치
JPH07304388A (ja) 車両用死角解消装置
JPH02234858A (ja) 自動車用電動ミラー装置
KR19980051996U (ko) 아웃사이더 미러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