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338U -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338U
KR19990009338U KR2019970022538U KR19970022538U KR19990009338U KR 19990009338 U KR19990009338 U KR 19990009338U KR 2019970022538 U KR2019970022538 U KR 2019970022538U KR 19970022538 U KR19970022538 U KR 19970022538U KR 19990009338 U KR19990009338 U KR 199900093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guard
inner deck
skirt
deck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7961Y1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70022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96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3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9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이 제안하는 구조는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절단 작업후 겹치지 않고 바로 끼워 맞춤식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각 구멍가공작업, 나사체결작업, 단차 조정작업 등이 생략되어 제조 및 설치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동시에 끼워 맞춤후 승객에서 나사를 노출시키지 않아 외관이 매끄럽게 마감 처리되어 의장상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동발판의 양측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스커트 가드와 내측데크가 서로 접하는 단부를 길이 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통해 끼워 맞춤으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나 움직이는 보도(이하, 이동보도라 한다)에 공통적으로 설치되는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를 조립할 때 이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를 겹치지 않고 끼워 맞춤으로 체결하여 조립공수를 줄이고, 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외관의장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나 이동보도는 층과 층 사이에서 승객을 연속적으로 실어 나르기 위한 기계장치이다.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나 이동보도는 구동기에 의해 움직여지는 이동발판과, 이 이동발판의 좌우에 진행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난간과, 상기 난간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동발판과 동일속도로 이동하는 이동손잡이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발판과 이동손잡이에 의해 승객을 실어 나르게 된다.
그리고 에스컬레이터나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는 난간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면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이동발판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하는 것으로, 이같은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는 의장성을 갖게 된다.
지금까지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를 체결할 경우에는 나사 체결방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상이한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를 체결하는데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동시에 나사 체결에 따른 외관을 해치게 된다.
도 1은 종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를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발판(50)의 양쪽으로 배치되는 내측데크(52)가 수직으로 세워진 글라스 패널(54)의 하부에서 경사지면서 내려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커트 가드(56)와 겹쳐지면서 이 스커트 가드(56)를 고정하는 스커트 가드 상부 지지앵글(58)을 통해 미장나사(60)로 체결되어 내측데크(52)가 스커트 가드(56)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커트 가드(56)의 상부는 스커트 가드 상부 지지앵글(58)이 나사(62)에 의해 지지되고, 그 하부는 스커트 가드(56)에 나사와 너트(64)로 고정된 후크(66)를 통해 스커트 가드 하부 지지앵글(68)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 가드 상부 지지앵글(58)과 스커트 가드 하부 지지앵글(68)은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을 통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스커트 가드(56)에 내측데크(52)를 설치시에는 스커트 가드(56)에 내측데크(52)를 겹쳐진 상태에서 미장나사(60)를 통해 내측데크(52)를 스커트 가드(56)에 체결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체결방식은 내측데크(52)와 스커트 가드(56)의 각 부분에 정확한 나사구멍 작업과 나사결합작업, 단차 조정작업 등 공장제조에서부터 현장 설치까지 여러 단계의 공정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겹쳐진 내측데크(52)의 끝단에 미장나사(60)의 머리부가 노출되어(도 2 참조) 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미장나사(60)는 내측데크(52)의 외관 향상을 위해 스테인리스 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상대적 비용이 상승되며, 상기와 같이 나사 체결방식은 많은 조립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작업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제안하는 구조는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절단 작업후 겹치지 않고 바로 끼워 맞춤식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각 구멍가공작업, 나사체결작업, 단차 조정작업 등이 생략되어 제조 및 설치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동시에 끼워 맞춤후 승객에서 나사를 노출시키지 않아 외관이 매끄럽게 마감 처리되어 의장상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동발판의 양측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스커트 가드와 내측데크가 서로 접하는 단부를 길이 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통해 끼워 맞춤으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스커트 가드의 단부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하는 스커트 가드 삽입용 채널(channel)과, 상기 스커트 가드 삽입용 채널과 대응하여 내측데크의 단부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하는 내측데크 삽입용 채널과, 상기 양 채널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커버 및 외측커버와, 상기 내측커버로부터 이어져 연결부재를 지지앵글에 고정되는 지지용 연결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를 예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의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을 위한 연결부재의 정면 도.
도 4는 본 고안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를 체결한 상 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해 변형된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내측데 크와 스커트 가드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 예에 의해 변형된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내측 데크와 스커트 가드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부재 12 : 스커트 가드 삽입용 채널
14 : 내측데크 삽입용 채널 16 : 내측커버
18 : 외측커버 20, 22 : 지지용 연결단
22a : 고정편 22b : 지지고정편
24 : 슬라이드 채널 26 : 판스프링
28 : 설치용 바 50 : 이동발판
52 : 내측데크 56 : 스커트 가드
58, 68 : 지지앵글 66 : 후크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병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을 위한 연결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부재(10)는 스커트 가드(56)의 단부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하는 스커트 가드 삽입용 채널(channel)(12)과, 상기 스커트 가드 삽입용 채널(12)과 대응하여 내측데크(52)의 단부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하는 내측데크 삽입용 채널(14)과, 상기 양 채널((12)(14)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커버(16) 및 외측커버(18)와, 상기 내측커버(18)로부터 이어져 연결부재(10)를 지지앵글(58)에 고정되는 지지용 연결단(2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외측커버(18)의 양단부는 스커트 가드(56)와 내측데크(52)의 면에 밀착을 위한 곡선부(18a)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가드(56)의 상단부를 연결부재(10)의 스커트 가드 삽입용 채널(12)에 삽입하여 끼워 맞춤하고, 이와 함께 지지용 연결단(20)을 프레임(도시안됨)에 고정된 스커트 가드 상부 지지앵글(58)에 고정하고, 스커트 가드(56)의 하부를 후크(66)를 통해 프레임에 고정된 스커트 가드 하부 지지앵글(68)에 걸어 고정한 다음, 내측데크(52)의 하단부를 연결부재(10)의 내측데크 삽입용 채널(14)에 삽입하여 끼워 맞춤한다. 이에 따라 스커트 가드(56)와 내측데크(52)는 연결부재(10)를 매개로 겹쳐지지 않고 끼워 맞춤으로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해 변형된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0)의 지지용 연결단(22)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지지앵글(58)에 고정되는 고정편(22a)이 형성되고 이 고정편(22a)을 따라 그 하부가 ㄷ자로 절곡되어 스커트 가드(56)에 설치된 후크(66)에 고정되는 지지고정편(22b)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용 연결단(22)이 변형되어 이루어진 연결부재(10)는 도 4에 도시된 스커트 가드 하부 지지앵글(68)을 삭제시키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가드(56)의 상단부를 연결부재(10)의 스커트 가드 삽입용 채널(12)에 삽입하여 끼워 맞춤하고, 이와 함께 지지용 연결단(22)의 고정편(22a)을 프레임(도시안됨)에 고정된 스커트 가드 상부 지지앵글(58)에 고정하고, 동시에 스커트 가드(56)의 하부를 후크(66)를 통해 지지고정편(22b)에 걸어 고정한 다음, 내측데크(52)의 하단부를 연결부재(10)의 내측데크 삽입용 채널(14)에 삽입하여 끼워 맞춤한다. 이에 따라 스커트 가드(56)와 내측데크(52)는 연결부재(10)를 매개로 겹쳐지지 않고 끼워 맞춤으로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 예에 의해 변형된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0)는 내측데크(52)의 단부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하는 내측데크 삽입용 채널(12)을 형성하되, 이 채널(12)의 내측커버(16) 측으로 슬라이드 채널(24)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반달형 판스프링(26)이 설치된 설치용 바(28)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부재(10)의 채널(14)을 통해 내측데크(52)의 단부를 채널(12)에 삽입할 때 판스프링(26)이 내측데크(52)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압착시켜 판스프링(26)의 반발력에 의해 내측데크(52)가 탄성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데크(52)의 단부가 안쪽으로 절곡단(52a)을 형성하여 채널(14)에 끼워 맞춤함으로서, 외부커버(18)의 노출면과 내측데크(52)의 수직부(52b)가 높이차이 없이 수직을 이루게 되어 외관 의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에서 연결부재(10)는 길이 재로 제조되는 것이며, 이는 알루미늄 몰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용을 고려하여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재로 제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스커트 가드와 내측데크를 체결함으로서 종래와 같은 나사부품의 필요없이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절단 작업후 겹치지 않고 바로 끼워 맞춤식으로 체결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및 설치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는 효과와, 이와 함께 끼워 맞춤후 종래와 같은 나사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매끄럽게 마감 처리되어 의장상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이동발판(50)의 양쪽으로 배치되는 내측데크(52)와 이 내측데크(52)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커트 가드(56)를 서로 체결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가드(56)와 내측데크(52)의 단부를 길이 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0)를 통해 끼워 맞춤으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는 스커트 가드(56)의 단부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하는 스커트 가드 삽입용 채널(12)과, 상기 스커트 가드 삽입용 채널(12)과 대응하여 내측데크(52)의 단부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하는 내측데크 삽입용 채널(14)과, 상기 양 채널((12)(14)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커버(16) 및 외측커버(18)와, 상기 내측커버(18)로부터 이어져 연결부재(10)를 지지앵글(58)에 고정되는 지지용 연결단(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18)의 양단부는 스커트 가드(56)와 내측데크(52)의 면에 밀착을 위한 곡선부(18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의 지지용 연결단(22)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지지앵글(58)에 고정되는 고정편(22a)이 형성되고 이 고정편(22a)을 따라 그 하부에 스커트 가드(56)에 설치된 후크(66)에 고정되는 지지고정편(22b)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의 내측데크 삽입용 채널(12)에는 이 채널(12)의 내측커버(16) 측으로 슬라이드 채널(24)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반달형 판스프링(26)이 설치된 설치용 바(2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는 알루미늄 몰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KR2019970022538U 1997-08-20 1997-08-20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KR200167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538U KR200167961Y1 (ko) 1997-08-20 1997-08-20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538U KR200167961Y1 (ko) 1997-08-20 1997-08-20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338U true KR19990009338U (ko) 1999-03-15
KR200167961Y1 KR200167961Y1 (ko) 2000-03-02

Family

ID=1950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538U KR200167961Y1 (ko) 1997-08-20 1997-08-20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9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961Y1 (ko)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1438B2 (ja) 手すり構造
KR100339455B1 (ko) 난간핸드레일의입구하우징
KR200167961Y1 (ko) 이동보도의 내측데크와 스커트 가드의 체결구조
JP2000211871A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支持装置
JP2549151B2 (ja) マンコンベヤ
JPH0318464Y2 (ko)
JPS6127895Y2 (ko)
JPS622230Y2 (ko)
JPH10182047A (ja) 乗客コンベアの透明型欄干用フェンス体
JP3227095B2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
JPS6127894Y2 (ko)
JPH06255971A (ja) 手摺り用一体型スカートパネル
KR19990013739U (ko) 이동보도의 아웃데크
JPH0720138Y2 (ja) マンコンベアの欄干
KR100302697B1 (ko) 에스컬레이터난간의설치구조
JP4246936B2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構造
KR200158711Y1 (ko) 에스컬레이터의 아웃사이드 데크용 연결부재 취부구조
JPH04358689A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
JPH0364436B2 (ko)
JPS638695Y2 (ko)
JPH07291569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設備
JPS6225506Y2 (ko)
JPS6116301Y2 (ko)
JPS6216464Y2 (ko)
KR19990027988A (ko)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프레임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