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457A - 고점도 수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점도 수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457A
KR19990008457A KR1019970707987A KR19970707987A KR19990008457A KR 19990008457 A KR19990008457 A KR 19990008457A KR 1019970707987 A KR1019970707987 A KR 1019970707987A KR 19970707987 A KR19970707987 A KR 19970707987A KR 19990008457 A KR19990008457 A KR 19990008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action chamber
ink
precurso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1037B1 (ko
Inventor
테오도르 제이. 윌리암스
로버트 알. 클레인
Original Assignee
제임스더블유.가드리
아리조나케미칼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더블유.가드리, 아리조나케미칼캄파니 filed Critical 제임스더블유.가드리
Publication of KR19990008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FNATURAL RESINS; FRENCH POLISH; DRYING-OILS; OIL DRYING AGENTS, i.e. SICCATIVES; TURPENTINE
    • C09F1/00Obtaining purification, or chemical modification of natural resins, e.g. oleo-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FNATURAL RESINS; FRENCH POLISH; DRYING-OILS; OIL DRYING AGENTS, i.e. SICCATIVES; TURPENTINE
    • C09F1/00Obtaining purification, or chemical modification of natural resins, e.g. oleo-resins
    • C09F1/04Chemical modification, e.g. este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1/00Printing
    • Y10S101/43Machines printing by both intaglio and another type of print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특성을 나타내는 고점도 겔화 잉크 수지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전구체 수지는 가교제, 바람직하게는 열반응성 페놀계 수지와 압출기를 통해 반응되어, 수지내의 공유 가교결합 형성을 유도하여, 고전단 조건하에 점성 파괴를 견디는 고점도 수지가 제조된다. 생성 겔화 잉크 수지는 잉크를 직접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추가로 겔화할 필요성이 미연에 방지되며, 종래의 유기금속성 가교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고점도 수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잉크 수지 및 잉크 수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매우 고분자량의 고도로 가교결합된 잉크 수지의 제조 방법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개선된 수지에 관한 것이다.
석판 잉크 분야에 사용되는 기존의 로진과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는 교반식 탱크 반응기에서 제조된다. 이런 유형의 장치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 점도와 느린 반응 속도가 이상적으로 적합하다. 종종 원하는 특성의 생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대략 24시간 정도의 반응 시간이 필요하다. 이런 수지는 일반적으로 고도로 분지되어 있고, 분자량이 매우 넓게 분포되어 있다. 생성물이 가교결합된 겔 구조물을 일부 함유할 수도 있지만, 교반식 탱크 반응기를 사용하는 경우 그 양은 겔 수지 구조물이 존재함에 따라 수반되는 비뉴톤 거동 및 매우 큰 용융 점성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겔 구조물의 양은 전형적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매우 고도로 구조화된 물질을 원하는 경우 이런 수지의 유동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이러한 수지를 전형적으로는 용액 중에서 별도의 겔화 반응으로 겔화시킨다.
기존의 수지를 석판 잉크 용매에 녹이고/분산시키고, 혼합물을 알루미늄 기재의 가교제에 의해 소위 겔화 반응시켜 종래의 석판 잉크 비히클을 제조할 수 있다. 석판 잉크 비히클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알루미늄 화합물은 전형적으로는 잉크 비히클 유동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해왔다.
잉크 비히클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공지의 알루미늄 겔화 화합물은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1) 알루미늄 염, 2)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3) 킬레이트화 알콕사이드 및 4) 옥시알루미늄 아실레이트. 그러나, 알루미늄 화합물이 궁극적인 유동성 혹은 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히드록실 관능성이 생성되거나 또는 존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생성되는 겔 구조는 알루미늄 히드록실기들의 배위 공유 결합 혹은 수소 결합의 결과이다.
배위 공유 결합 및 수소 결합은 상대적으로 약한 결합들인데, 전형적으로 공유 결합의 약 5 내지 10%의 세기의 결합이다. 석판 인쇄와 연관된 고 전단 조건하에서, 이런 결합에 의한 겔 구조는 실제로 열화된다. 어느 정도의 요변성 거동은 성공적으로 인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그러나, 원치 않는 부작용이 나타나기 전에 허용될 수 있는 흐름 전개 정도에는 한계가 있다. 인쇄 작업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겔 구조의 손실은 훨씬 더 중요하게 된다.
잉크 비히클내의 겔 구조의 손실 결과 중의 하나는 과도한 미스트 (mist)가 발전하는 경향이다. 인쇄기의 롤러 장치 속도가 증가하여 점점 더 큰 전단력이 인가됨에 따라 미스트가 발생하려는 경향은 커진다. 이러한 미스팅 (misting) 경향은 인쇄 속도가 빠를 때 발생되는 겔 구조의 파괴에 기인한 점도 손실에 의해 심화된다.
과도한 전단력에 기인한 잉크 구조와 점도의 또다른 열화 결과는 인쇄 선명도의 손실이다. 잉크의 흐름이 심각해질 정도로 잉크가 전단되는 경우, 인쇄된 도트가 퍼져서 과도한 도트 증량 또는 열등한 인쇄 품질을 낳게 된다.
겔화제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또다른 문제는 잉크 비히클의 제조업자가 재생가능한 원료로부터의 용매, 및 잉크내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VOC)의 수준을 상당히 낮추는 용매를 사용하는 쪽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이런 용매들의 예로는 다양한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 용매는 일반적으로 겔화 잉크 비히클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수지 보다 더 큰 용매화력을 가지지만, 전형적으로 수소 처리된 석유 증류액 유형의 용매와 비교할 때 동일 수준의 수지 담지량을 제공하지 못하는데, 이는 또한 기존의 수지로 강한 겔 구조를 얻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 증가된 용매화력은 전단 유도 파괴에 대한 최적 내성 보다 작은 내성을 갖는 제품의 생산시에 더 많은 가교제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목적하는 강한 겔 구조를 얻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
겔화제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또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면은, 이런 겔화제들이 전형적으로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바니쉬 배합물에 있어서 가장 비싼 성분이라는 것이다. 겔 반응은 또한 겔화 잉크 비히클을 제조하기 위해 별도의 반응 단계를 필요로 하므로, 시간, 에너지 및 인력을 소모한다. 따라서, 유기-알루미늄 겔화제를 사용하는 경우 명백히 경제적으로 불이익을 받는다.
더욱이, 석판 인쇄 산업은 고속으로 인쇄 작업을 하는 동안, 잉크의 인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욱 큰 고분자량/고 용액 점도의 자기 구조화 잉크 수지를 사용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 새로운 세대의 웹-오프셋 석판 인쇄기들은 약 914.4 미터/분 (3,000 피트/분) 이하의 인쇄 속도를 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교반식 탱크 반응기내에서 달성 가능한 가교결합 수지의 범위는 매우 높은 용융 점도를 갖는 최종 생성물을 교반, 조절 또는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는 능력에 의해 제한된다. 가교 결합 수지의 수준이 감소하면, 전형적으로 용액 점도 수준과 수지의 자기 구조화 정도가 감소된다.
더 빠르게 인쇄하려는 경향과 잉크 적용 공정 및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계속적인 요망으로 인해, 인쇄 산업에서 잉크 비히클로서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수지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어 왔다. 현행 고속 인쇄기의 고전단 격렬 인쇄 조건하에서, 최종 잉크가 양호한 미스트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고점도 수지를 개발하는 것이 하나의 중요한 목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점도 잉크 수지, 및 종래 공정의 단점을 피하는 상기 잉크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속 인쇄기에서 미스팅을 감소시키는 고점도 잉크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배합물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석판 인쇄 잉크 배합물에 사용하기 위한 고점도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물질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가격이 실제적이고 복잡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수지의 특성에 대해 개선된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다량의 수지의 특성에 대해 개선된 균일성을 가능하게 하는 고점도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속 인쇄와 관련된 격렬한 조건하에서도 고점도를 유지하는 고속 인쇄 분야용 고점도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다른 목적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은 고점도 잉크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넓은 의미로는, 이 방법은 로진 또는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를 소정의 비금속 함유 가교제와 반응시켜, 인쇄 작업 동안에 물질에 부여된 기계적 파괴에 대해 개선된 안정성을 나타내는, 사실상 증가된 점도를 갖는 생성 가교결합 잉크 수지 조성물중에 공유 가교결합을 형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생성된 가교결합 수지는 공유 가교 결합의 우세를 특징으로 하는 실제적인 겔 함량을 가진다. 가교결합 반응되는 로진 또는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는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전구체 수지로 불리운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겔화 잉크 수지는 고전단 조건하에서도 수지를 함유하는 바니쉬 잉크 및 배합물에 대해 안정한 고점도를 제공한다는 것을 본 발명에 와서야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수지는 훨씬 개선된 미스트성을 가지며, 그 이유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수지는 혹독한 기계적 및 열적 응력을 받을 때 점성과 탄성을 잃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수지는 이런 조건하에서도 더 높은 점성과 탄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면에 따르면, 로진 및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구체 수지를 연장된 반응실의 입구내로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잉크 수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전구체 수지는 반응실을 통해 그의 입구 말단으로부터 출구를 향해 계속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가교제와 격렬히 혼합되어 혼합물에 대한 충분한 열에너지의 적용하에 전구체 수지에서 공유 가교 결합이 형성된다. 가교제의 양은 전형적으로 전구체 수지와 가교제의 반응물 총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0%이다. 반응실을 통해 혼합되고 통과하여 혼합물내에 공유 가교 결합이 형성될 때 혼합물에 충분한 열에너지를 혼합하고, 이어서 반응실로부터 출구를 관통한다. 이 방법에 의해 38℃에서, 약 150 기포 초 이상의 가드너 기포 점도를 가지는 가교결합 잉크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성 수지의 가드너 기포 점도는 수지를 아마인유 또는 MAGIESOL 47에 용해시킴으로써 결정하였다. 로진 기재 수지의 경우, 아마인유 중 33.3 wt%의 수지 용액을 사용하여 잉크 수지의 가드너 기포 점도를 측정하였다. 탄화수소 기재 수지의 경우, MAGIESOL 47 중 50 wt%의 수지 용액을 사용하여 가드너 기포 점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특히 바람직한 연장된 반응실은 압출기이며, 쌍축 압출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약 1000% 이하의 수지 용액의 점도에 대해 단지 약 30초 내지 약 15분 정도의 반응 시간이 얻어진다. 압출기로부터 나오는 생성된 고점도의 공유 가교결합 생성물은 다른 구성성분과 조합되어 고속 인쇄기, 바람직하게는 석판 인쇄기를 위한 잉크 배합물 중 비히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잉크 바니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로진 및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라는 용어는 잉크 제조에 널리 활용되는 약 5 내지 약 15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원료로부터 유도된 관능화된 시클릭 및 디시클릭 불포화 탄화수소 수지 화합물 및 천연수지, 뿐만 아니라 잉크 제조에 사용되는 수많은 관능화된 로진 기재의 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로진이라는 용어는 검 로진, 나무 로진 및 톨유 로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로진은 소나무 (주로 피너스 팔러스트리스 (pinus palustris)와 피너스 엘리오티 (pinus elliottii))로부터 얻어진다. 검 로진은 살아있는 소나무로부터 액을 받은 함유슈지 (oleoresin)로부터의 테레빈유를 증류한 후 얻은 잔여물이다. 나무 로진은 나프타 또는 다른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소나무 뿌리를 추출하고 휘발 분류를 증류 제거하여 얻는다. 톨유 로진은 나무 펄프화 과정의 부산물인 톨유의 분별에 따른 부산물이다. 로진의 주 성분은 아비에트계 및 피마르계의 로진산이다. 로진산은 페난트렌 핵을 지닌 화학식 C19H29COOH를 가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로진은 톨유 로진이다.
로진은 천연 상태로는 잉크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로진의 주 용도는 다양한 최종 용도를 위해 화학적으로 변성된 로진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 물질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인쇄 잉크 제조에 사용되는 중요한 변성 로진과 로진 유도체로는 중합체 또는 이량체 로진과 그의 에스테르, 금속 수지산염, 페놀 및(또는) 말레산/푸마르산 변성 수지와 그의 에스테르, 및 에스테르 검이 있다.
약 5 내지 약 1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중요한 시클릭 및 디시클릭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 원료로는 시클로펜타디엔 및(또는) 디시클로펜타디엔과, 이들의 올리고머가 포함된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저가의 DCPD 농축물이 전형적으로 약 40 wt% 내지 약 90 wt%의 DCPD를 함유하므로 가장 바람직하지만, 올레핀계 변성제 화합물과 배합되는 매우 고순도의 DCPD도 사용될 수 있다.
시클릭과 디시클릭 불포화 올레핀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올레핀계 변성제 화합물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인덴, 1,3-펜타디엔,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1-부텐, 1-헥센, 1-옥텐, 리모넨, 알파-피넨, 베타-피넨, 각종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들이 포함된다. 올레핀계 변성제 화합물(들)은 전형적으로 시클릭과 디시클릭 불포화 올레핀 및 변성제 화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 중량% 내지 3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올레핀계 변성제 이외에, 로진에 의한 변성체, 증류된 톨유, 지방산, 이량체 지방산, 식물성 기름, 페놀계 화합물, 무수 말레산 또는 푸마르산, 및 이들의 조합물이 일반적이다. 이들은 탄화수소 기재의 로진의 중합 전에, 동안에 또는 후에 첨가될 수 있다. 더욱이, 펜타에리쓰리톨 및(또는) 글리세린과 같은 폴리올을 갖는 산 변성 로진의 에스테르화를 수행하여 탄화수소 기재의 로진 주쇄를 변성시킬 수 있다.
상기의 변성 로진, 로진 유도체와 그의 에스테르 또는 시클릭 및 디시클릭 불포화 올레핀 유도 및(또는) 변성/에스테르화 수지는 모두 본 발명의 방법을 위한 전구체 수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질들중 1개 이상으로부터 형성된 수지는 당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38℃에서 약 10 내지 75 기포 초 범위내의 용액 점도를 가지는 고분자량/높은 용액 점도 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고분자량/높은 용액 점도 수지는 전형적으로 분지화되어 있으나, 본래 가교결합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고분자량의 수지의 경우, 전구체 수지의 화학적 특성이 요구되는 가교제의 양에 영향을 미칠지라도,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겔화 수지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가교제의 양은 전형적으로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중요한 특징은, 사실상 금속 함유 가교제의 부재하에 잉크 수지내에 공유 가교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구체 수지는 상기 반응실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충분한 열에너지의 투입하에 자기 가교결합에 고유의 반응성을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비금속 함유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처방될 수 있다. 가교제의 도움없이는, 반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최종 수지 용액 점도는 비금속 함유 가교제의 도움으로 생성된 동일 수지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불충분할 수 있다.
적합한 비금속 함유 가교 결합제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푸마르산, 무수 말레산, 및 이량체 지방산과 같은 폴리카르복실산, 열반응성 페놀계 화합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실란 커플링제, 및 이들 중 임의의 둘 이상의 혼합물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 포함된다. 이들 중, 바람직한 가교제는 열반응성 페놀계 화합물이다. 이들 페놀계 화합물들은 전형적으로 페놀 또는 여러 알킬 중 임의의 것으로 치환된 페놀 또는 염기 촉매된 조건하에서 최종 생성물이 수지성이고 잔여 메틸롤 관능기를 갖도록 과량의 포름알데히드와 반응시킨 상기 페놀들의 조합물들로부터 유도된다. 예를 들면, 비금속 함유 가교제로서 사용되는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는 생성 수지가 1개 이상의 반응성 메틸롤기를 함유하도록 부틸-페놀과 비스페놀-A를 과량의 포름알데히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공유 가교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가교제의 양은 반응실로 도입되는 수지와 가교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0.5 wt% 내지 약 15 wt%, 바람직하게는 약 1.0 wt% 내지 약 5.0 wt%, 더 바람직하게는 약 1.25 wt% 내지 약 3.0 wt%의 범위일 수 있다.
가교제는 수지에 첨가되어 혼합물을 형성한 후 압출기와 같은 반응 용기에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반응 용기에 가교제를 수지에 연이어서 또는 수지와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별법으로, 수지와 가교제는 가교결합 반응을 개시하기는 하지만 완결시키지는 않는 조건하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그 후에 반응 용기내의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생성물을 본질적으로 가교결합 반응이 원하는 정도로 완결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혼합하고 약 160 내지 약 30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된 생성물을 추가로 가교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로진 또는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와 약 1.5 내지 약 3.0 wt%의 가교제를 압출기의 길이를 따라 1개 이상의 대역에서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이 발생되도록 장치된 다수의 대역을 갖는 압출기로 결핍된 조건하에서 공급한다. 역회전 또는 공동회전 (co-rotating) 맞물림 나사를 가진 다수 대역 쌍축 압출기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데 특히 바람직한 장치이다. 상기 결핍된이란 용어는 반응실내의 빈 공간이 모두 로진으로 채워져 있지 않은 반응실로 수지를 공급하는 속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반응실의 1개 이상의 대역, 바람직하게는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의 대역에서 반응실로 공급된 수지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0℃를 넘어서 약 275℃까지 증가된다.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하에서 압출기의 한 대역을 운전하는 것에 대한 별법으로 또는 그 운전에 추가하여, 1개 이상의 대역에 퍼지 기체, 바람직하게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퍼지 기체 대역의 하류의 1개 이상의 대역에 퍼지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을 적용하기 위한 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물이나 부산물 기체들을 압출기로부터 제거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전구체 수지와 가교제가 압출기를 통과함에 따라, 이들은 하나 이상의 혼합 대역에서, 바람직하게는 가교제와 전구체 수지 모두의 연화점 보다 높은 온도에서 격렬히 섞인다. 수지와 가교제가 가열되는 동안에 완전히 섞이는 것은 중요하다. 혼합 및 가열하는 동안, 수지에 가교결합 반응이 발생하여 생성된 생성물에 공유 가교 결합을 제공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겔화된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압출기의 펌핑 요건에 의해 지시된 온도에서 압출기의 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전형적으로 이것은 수지 온도가 약 180℃ 내지 약 24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수지는 다이 개구 구조에 따라 점성이 큰 리본, 시트 또는 로프처럼 압출기의 출구 말단에서 나와서 냉각 경화된 후, 분말, 칩, 과립, 플레이크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부분적으로 겔화된 수지는 반응실로부터 배출될 때 가드너 기포 점도가 일반적으로 38℃에서 약 150 기포 초 이상이며, 이는 잉크 비히클에 사용될 수 있는 종래의 수지 보다 상당히 높다. 당업자들은 이러한 점도를 가지는 수지를 기존의 교반식 탱크 처리 기술로 생산하기가 극히 힘들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전체적으로, 가교결합 반응은 불활성 기체 분위기하에서 수행될 필요는 없으나, 이런 불활성 기체 분위기는 일부 수지에 대해서는 이로울 수 있고 과도한 착색을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반응은 대기압,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또는 과도한 압력 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조건하에서 복수개 대역 반응실 중 1개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의 범위는 약 250 mmHg 내지 약 20 mmHg이 특히 바람직하다. 반응실내의 압력과는 무관하게, 수지 생성물의 겔화 수준이 기대치로 얻어질 수 있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반응물을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격렬히 혼합하면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특징은 지금까지 얻을 수 없었던 높은 용액 점도의 최종 생성물이 약 0.5분 정도, 전형적으로 약 2 내지 약 5분의 매우 짧은 반응 시간안에 그리고 연속적인 기준으로 볼 때 사실상 균일한 특성으로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응된 그리고 압출된 생성물은, 전형적으로 수지/용매 혼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0 wt% 내지 약 50 wt% 범위의 양의, MAGIESOL 47/470 (미국 펜조일에 위치한 마기에 브라더스 케미켈사 (Magie Brothers Chemical Company)), 아마인유 또는 대두유 같은 석판 용매와 혼합될 수 있고, 여기에서 겔화 물질은 안료, 왁스 화합물 등과 같은 다른 잉크 성분을 갖는 최종 잉크 조성물에 직접 첨가될 수 있도록 생성된다.
잉크 제조업자가 비히클 컴파운딩시에 생성물에 가교제를 첨가할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생성물의 점도와 특성이 잉크 제조업자가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얻으려는 요건과 전형적으로 일치하거나 이를 초과하므로 요구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추가 단계와 관련된 시간과 비용을 피해, 생성물은 최종 잉크 비히클 또는 잉크 조성물을 제조할 때 가교제를 첨가할 필요성을 미연에 막는다. 추가로, 목표 점도는 잉크 수지 자체의 기지의 특성에 기초하여 얻어지므로, 잉크 제조업자에 의한 겔화의 필요성이 감소되며, 따라서 잉크 수지 특성에 있어서 추가적인 변성이 모면된다.
본 발명을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실시예 1 내지 6
다양한 변성 로진 에스테르 전구체 수지를 SP-134하의 미국 뉴욕주 쉐넥타디 소재의 쉐넥타디 케미칼 캄파니 (Schenectady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열반응성 순수 페놀계 수지 (반응성 메틸롤기를 포함하는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와 압출기에서 결합하였다. 전구체 로진은 하기 표 1에 명시된다. 압출기는 미국 뉴저지주 서머빌 소재의 레이스트리츠사 (Leistritz Corporation)로부터 입수가능하고, 1개의 공급 대역, 1개의 다이 대역 및 7개의 개별 가열 대역을 갖는, 직경이 18 mm인 공동회전 맞물림 쌍축 압출기이었다. 공급 대역의 온도는 실온에서 유지하였다. 제1 대역의 온도는 180℃이고; 제2, 3 및 4 대역의 온도는 250℃이며; 제5 대역은 온도가 250℃이고 질소 살포기를 가지고; 제6 대역은 온도가 250℃이고 질소 벤트를 가지며; 제7 대역의 온도는 225℃이고; 다이 대역의 온도는 205℃이었다. 수지와 페놀계 가교제를 분말로서 건식 배합해서 그대로 압출기에 공급하였다. 스크류 속도는 150 RPM을 유지하여 체류 시간이 약 5분이 되도록 하였다.
표 1은 다양한 양의 가교제를 갖는 생성물의 특성을 나타낸다. 생성 수지의 특성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겔화 수지 (실시예 6, 미국 플로리다주 잭슨빌 소재의 웨스트바코 페이퍼사의 웨스트바코 케미칼 디비젼 (Westvaco Chemical Division of Westvaco Paper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존레츠 (JONREZ) RP-339)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수지의 용액 점도는 가드너 기포관 방법으로 초 단위로 측정하고, 수지의 연화점은 ASTM 방법 E28-67에 따라 측정하고, 생성 수지의 허용량은 아마인 유내의 33.3 wt% 수지 용액 10g을 MAGIESOL 47을 사용하여 혼탁점까지 적정하여 결정하였다.
실시예번호 수지번호 가교제(wt%) 최종 수지산가 최종 수지연화점(℃) 최종 수지용액 점도1(초) 최종 수지허용량2(M47 mL)
1 1 2.00 19.1 200+ 322 12
2 2 1.00 15.9 200+ 620 17
3 3 2.00 19.2 200+ 500 6
4 4 1.00 15.6 200+ 489 60
5 5 11.75 14.3 200+ 180 13
비교예 6 - - 18.6 168 128 7
1아마인유 중 33.3wt% 수지 용액. 38℃에서의 가드너 기포 초로서 기록한 점도.
2MAGIESOL 47로 적정한 상기 용액 10g의 혼탁점.
수지 제1번 - 연화점 153℃, 산가 18, 용액 점도 22초 및 허용량 20mL를 갖는 말레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수지 제2번 - 연화점 163℃, 산가 20, 용액 점도 75초 및 허용량 25mL를 갖는 페놀계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수지 제3번 - 연화점 152℃, 산가 20, 용액 점도 26초 및 허용량 10.5mL를 갖는 페놀계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수지 제4번 - 연화점 165℃, 산가 20, 용액 점도 48초 및 허용량 200+mL를 갖는 페놀계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수지 제5번 - 연화점 136℃, 산가 17.8, 용액 점도 5초 미만 및 허용량 125+mL를 갖는 말레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수지는 JONREZ RP-339 수지 (실시예 제6번) 보다 훨씬 더 높은 용액 점도와 일반적으로 더 큰 최종 수지 허용량를 갖는다.
실시예 7
DCPD 농축물, 로진, 증류된 톨유 및 무수 말레산으로부터 유도된 전구체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를 압출기로 가교결합 반응시켰다. 출발 수지는 38℃에서 50 wt% MAGIESOL 47 용액의 용액 점도가 12초이었고, MAGIESOL 47의 허용량이 6.5 mL이었다. 압출기는 레이스트리츠사로부터 입수가능한, 직경이 18mm이고, 9개 대역의 맞물림 공동회전 쌍축 기계이었으며, 이 기계는 리본 다이가 설치되 있었다. 94 wt%의 탄화수소 수지와 6 wt%의 SP-134의 건조 분말 배합물을 공급 대역을 갖는 압출기에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대역은 250℃로 설정하였다. 질소 살포기를 압출기의 제6 대역에 위치시키고, 대기 벤트를 제7 대역에 위치시켰다. 다이 대역 온도를 210℃로 유지시켰다. 최종 가교결합 수지는 연화점이 194.7℃이고, 38℃에서 MAGIESOL 47 중 50 wt% 수지의 용액 점도가 467초이며, MAGIESOL 47의 허용량이 5 mL이었다.
실시예 8 및 9
실시예 7의 가교결합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를 석판 바나쉬 시스템에서, 고분자량의 상용 탄화수소 수지 (미국 코넥티커트주 스탬포드 소재의 레지날사 (Resinall Corporation)로부터 입수가능한 레지날 (RESINALL) 523))와 비교하였다. 바니쉬 조성물을 표 2에 나타낸다. 바니쉬를 겔화되지 않았거나 또는 겔화된 상태 모두에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성 분 실시예 8본 발명의 수지 실시예 9비교 시료 제1번 RESINALL 523
수지 (wt%) 31.86 31.86
BECKACITE 45103(wt%) 16.99 16.99
S-84 #3 알키드4(wt%) 8.49 8.49
MAGIESOL 470 (wt%) 37.91 37.91
트리데실 알콜 (wt%) 2.50 2.50
OAO5용액 (wt%) 2.25 2.25
3BECKACITE 4510 - 미국 플로리다주 파나마 시티 소재의 아리조나 케미칼 캄파니 (Arizona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수지.
4S-84#3 - 스웨덴 산다르네 소재의 베르그빅 케미 AB (Bergvik Kemi AB) 로부터 입수가능한 알키드 화합물.
5OAO - MAGIESOL 47 중 50 wt% 옥시알루미늄 옥토에이트.
특성 실시예 8본 발명의 수지 실시예 9비교 시료 제1번(RESINALL 523)
OAO 가교제 반응 전 OAO 가교제 반응 후 OAO 가교제 반응 전 OAO 가교제 반응 후
점도 (poise) 246.0 373.0 108.0 166.0
수율치 (dynes/cm2) 3016.0 11776.0 663.0 2165.0
쇼트니스비6 12.3 31.6 6.1 13.0
M47 허용량 (mL) 5.0 13.5 10.5 14.0
6쇼트니스비 = 수율치/점도 (겔 구조의 측정치)
상기 실시예 8 및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교결합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는 실시예 9의 시료 제1번에 비해 겔화 반응 전후 모두에 상당히 더 높은 점성과 탄성 (수율치)을 제공하였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수지로 제조한 바니쉬의 쇼트니스비는 실시예 9의 바니쉬의 대응하는 쇼트니스비 보다 상당히 더 높았다.
실시예 10, 11 및 12
다양한 반응 조건하에서 생성된 수지의 관용도를 설명하기 위해, 말레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를 다양한 반응 조건하에서 SP-134와 반응시켰다. 전구체 말레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는 18.7의 산가, 154℃의 연화점 및 38℃에서 18초의 용액 점도 (아마인유 중 33.3 wt% 수지)를 가졌다. 압출기는 베르너-플라이더러사(Werner-Pfleiderer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한 40mm의 직경을 갖는 공동회전 쌍축 기계였다. 고상의 비금속을 함유하는 가교결합 수지를 사실상 실온에서 제1 대역으로 공급하였다. 용융 전구체 수지를 250℃의 온도로 유지시킨 제2 대역으로 공급하였다. 대기압 보다 낮은 약 100 mmHg의 압력을 갖는 제6 및 제10 대역을 포함하는 일련의 8개 대역을 반응 온도 275℃에서 유지시켰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하였다. 마지막 4개의 대역을 200℃의 온도로 유지하였다. 수지는 바닥 배출 오리피스를 통해 기계를 빠져나왔다. 실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번호 전구체 공급 온도(℃) 반응 온도(℃) 스크류RPM 처리 속도(kg/hr(lbs/hr)) 가교제 함량(wt%) 용액 점도(33.3 wt%)
10 270 275 450 116.68 (257) 2.75 399
11 250 275 450 117.13 (258) 2.90 444
12 225 275 400 93.52 (206) 2.90 432
실시예 10 내지 12는 여전히 목적하는 최종 수지 점도를 달성하면서 공급 온도와 처리 속도 범위에 걸쳐서 작동되는 압출기에 수지를 용융 상태로 첨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10과 11을 비교할 때, 가교제를 2.75 wt%에서 2.90 wt%로 증가시키면 점도를 약 10% 증가시킬 수 있으며, 공급 온도가 270℃에서 250℃로 떨어질 때도 그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용융 수지를 추가하면 또한 더 빠른 처리 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수지를 용융시키고 전구체 수지/가교제 혼합물을 반응 온도까지 끌어올리는 데 소모되는 시간을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13 내지 17
일련의 순수 페놀계 수지를 사용하여 말레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를 가교결합시켰다. 전구체 수지는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말레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이었다. 압출기는 직경이 18mm인 공동회전 쌍축 압출기였으며, 운전 조건은 반응 시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5 (표 1)에서 사용된 조건과 유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번호 가교제 유형(쉐텍타디 명칭) 가교제(wt%) 메틸롤 함량(가교제 중 wt%) 반응 온도(℃) 최종 수지 용액 점도(초)
13 HRJ-10518 5.0 7.5 250 195
14 SP-1045 3.0 9.3 275 183
15 SP-103 3.5 9.7 250 165
16 HRJ-1367 2.25 15.2 250 180
17 SP-134 2.25 14.9 235 344
상기 표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페놀계 수지 함유 다관능성 비스페놀-A (SP-134)는 그의 비선형 구조로 인해 가장 높은 점도와 가장 낮은 용해도를 제공하였다. 가교제의 반응성은 그의 메틸롤 관능성 함량의 작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더 많은 메틸롤 함량을 갖는 가교제는 원하는 최종 수지 용액 점도를 얻는데 필요한 더 적은 가교제로 바뀐다.
실시예 18 내지 20
고점성 수지 (표 1의 실시예 1), 및 비교 목적으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기존의 수지 (비교 시료 제2번) 및 자기 겔화 수지 (비교 시료 제3번)을 사용하여잉크 바니쉬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바니쉬 배합물을 하기 표 6에 나타내고, 잉크 바니쉬의 특성을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성분 실시예 18본 발명의 수지(wt%) 실시예 19비교 시료 제2번(wt%) 실시예 20비교 시료 제3번(wt%)
수지 (실시예 1) 39.0 - -
BECKACITE 60007 - 38.7 -
JONREZ RP-339 - - 39.0
S-84 #3 알키드 15.0 14.9 15.0
MAGIESOL 470 41.0 39.7 38.4
트리데실 알콜 5.0 4.8 7.6
OAO 용액8 - 2.0 -
7BECKACITE 6000 - 미국 플로리다주 파나마 시티 소재의 아리조나 케미칼 캄파니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수지.
8OAO 용액 - MAGIESOL 47 중 50 wt% 옥시알루미늄 옥토에이트.
특성 실시예 18본 발명의 수지 실시예 19비교 시료 제2번 실시예 20비교 시료 제3번
라레이(Laray) 점도 (poise) 169 144 96
수율치(dynes/cm2) 4996 3402 1810
쇼트니스비(수율치/점도) 29.6 23.6 18.9
MAGIESOL 47 톨(TOL). 6.5 6.5 6.5
수율치와 쇼트니스비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수지는 기존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자기 구조화 수지 (실시예 20)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것 보다 더 구조화된 잉크 바니쉬 (실시예 18)의 제조를 가능케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에 의해 제공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가교제의 첨가 및 연이은 겔 반응이 기존 수지 (실시예 19)에 대해 행해져야만 한다.
실시예 18, 19 및 20의 잉크 바니쉬 배합물을 사용하여 잉크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바니쉬 배합물을 하기 표 8에, 잉크 배합물의 성능을 하기 표 9에 나타낸다.
성분 실시예 18본 발명의 바니쉬 (g) 실시예 19비교 시료 제2번(g) 실시예 20비교 시료 제3번(g)
바니쉬 (실시예 1의 수지로 제조) 12.75 - -
BECKACITE 60007바니쉬 - 12.75 -
JONREZ RP-339바니쉬 - - 12.75
블루 플러쉬(Blue Flush)9 9.75 9.75 9.75
왁스 컴파운드10 1.25 1.25 1.25
MAGIESOL 47(점착성 조정) 0.75 0.50 0.40
9블루 플러쉬 - 프탈로시아닌 G.S. 열고정 플러쉬
10왁스 컴파운드 - 열고정(heatset) 왁스 분산물
특성 실시예 18본 발명의 바니쉬 실시예 19비교 시료 제2번 실시예 20비교 시료 제3번
평균 광택도11(60°각) 46.40 46.0 46.4
인쇄 밀도12 2.34 2.36 2.38
미스팅13 2 3 4
점착성14 12.0 12.0 12.0
11미국 메릴랜드주 실버 스프링스 소재의 가드너사 (Gardener,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마이크로-트리-글로스 미터-BYK (Micro-tri-gloss Meter-BYK)로 측정.
12미국 텍사스주 달라스 소재의 코사르사 (Corsar Corporation)로부터 입수가능한 COSAR SOS 40 농도계로 측정.
131200 rpm 및 32℃에서 잉코미터로 결정 ( 0 = 미스팅 없슴, 10 = 심각한 미스팅).
141200 rpm 및 32℃에서 쓰윙 알버트 (Thwing Albert) 전자 잉코미터로 측정.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수지를 함유하는 잉크 배합물 (실시예 18)은 기존의 수지와 상업용 자기 겔화 수지로 제조한 잉크 배합물 (실시예 19 및 20)과 비교할 때 필적할만한 바니쉬, 인쇄 밀도 및 점착성을 나타내지만, 더 낮은 미스팅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진 잉크 수지는 미스팅 측면에서 개선된 잉크 조성 특성을 가능케 할 수 있으며, 이는 수지내의 공유 가교 결합과 관련된 수지의 더 강한 겔 구조를 반영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실시예 21
반응성 로진 기재 수지의 제조
톨유 수지 1000 g을 3.785 리터 (1 갤론)의 파르 (Parr)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 넣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160℃까지 가열하여 녹였다. 그 다음, 질소 분위기하에서 교반시키면서 산화마그테슘 (1.0 g)과 비스페놀-A 76 g을 용융 수지에 첨가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120℃까지 낮췄다. 반응기의 내용물이 120℃에 도달한 후에, 여기에 파라포름알데히드 55 g을 혼합하였다. 반응기를 밀봉한 후, 반응물을 140℃로 가열하여 이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약 393 kPa (57 psig)의 압력을 유지하였다.
그 다음, 반응물을 3구 둥근바닥 유리 플라스크에 넣고 190℃까지 가열하여 재용융시켰다. 이어서, 여기에 무수 말레산 (30.0 g)을 첨가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1시간 동안 190℃로 유지시켰다. 1시간 후에, 120 g의 글리세린을 반응기에 첨가하고 반응기 온도를 260℃까지 승온하며 이 온도를 반응물의 산가가 약 40 내지 35 (ASTM D465-59)로 떨어질 때까지 유지하였다. 그 다음, 반응물을 꺼내고 실온까지 냉각되도록 하였다. 냉각된 물질을 분말로 분쇄하고 관찰한 결과 하기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가 : 34.1
연화점 : 144.5℃
38℃에서 가드너 기포 점도 : 10초
(아마인유 중 33.3 wt% 수지)
자기 가교결합 반응
상기에서 제조한 수지를 원료가 결핍된 공급 조건에서 4단 원뿔 공동회전 쌍축 압출기 (미국 뉴저지주 사우쓰 핵켄색 소재의 씨.더블유. 브라벤더 인스트루먼츠사 (C.W. Brabender Instrument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15-30 씨리즈 압출기)에 공급하였으며, 스크류 속도는 5 RPM이었다. 압출기의 제1단 (공급)을 약 140℃의 온도로 유지시켰고, 제2 단을 약 275℃의 온도와 약 100 mmHg의 압력으로 유지했으며, 제3단을 약 240℃, 제4단 (다이)을 약 140℃의 온도로 유지하였다. 압출기를 빠져나오는 생성물을 회수하여 관찰한 결과 아마인유 중 33.3 wt% 용액에 대한 가드너 기포 점도는 100 기포 초이었다.
실시예 22
페놀계 변성 로진 에스테르 전구체 수지, 실시예 2의 수지 (표 1)를 압출기내에서 1.0 wt%의 무수 말레산과 결합시켰다. 압출기는 공급 대역, 다이 대역 및 7개의 개별 가열 대역을 가지고 있는, 미국의 뉴저지주 서머필 소재의 레이스트리츠사로부터 구입가능한 18mm 직경의 공동회전 맞물림 쌍축 압출기였다. 공급 대역의 온도는 상온으로 유지하였다. 제1 대역의 온도는 180℃; 제2 대역은 235℃; 제3, 4, 5 및 6 대역은 255℃로 유지했고, 제5 대역에는 질소 살포기가 있고; 제6 대역은 질소 벤트를 가지며; 제7 대역은 235℃; 다이 대역은 225℃를 유지하였다. 수지와 무수 말레산 가교제를 분말로서 건식 배합시켜 그대로 압출기에 공급하였다. 스크류 속도는 20 RPM으로 유지하여, 체류 시간은 약 15분이었다. 생성 수지는 25.2의 산가, 194.5℃의 연화점, 120초의 용액 점도 (아마인유 중 33.3 wt% 수지) 및 18mL의 MAGIESOL 47 허용량을 가졌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대한 상기 서술 내용은 단지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서술되었고, 많은 변성 및 변경이 다음의 청구항들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양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출원인이 알고 있는 최상의 양식이지지만, 청구항에 따른 고점도 잉크 수지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들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63)

  1. 로진 및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구체 수지를 연장된 반응실의 입구로 도입하고,
    전구체 수지를 반응실을 통해 그의 입구 말단으로부터 출구까지 진행시키며,
    전구체 수지가 반응실을 통해 진행할 때 전구체 수지를 수지내의 공유 가교 결합의 형성을 유도하도록 선택된 비금속 함유 가교제와 혼합물에 대해 충분한 에너지를 적용하면서 연속적으로 혼합시키고,
    혼합물이 반응실을 통해 혼합되면서 진행할 때 혼합물을 혼합물내의 공유 가교 결합을 형성시키고, 안정한 고점도 잉크 수지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특정 온도에서 가열하며,
    반응실의 출구로부터 잉크 수지를 배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고점도 잉크 수지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반응실의 적어도 1개 부분을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하에 유지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물이 형성될 때 반응실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전구체 수지가 변성 로진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로진 기재의 수지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전구체 수지가 연화점이 약 153℃이고, 산가가 약 18이며, 용액 점도가 약 22초이고, 허용량이 10 mL인 말레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로진 기재의 수지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전구체 수지가 연화점이 약 150 내지 약 170℃이고, 산가가 약 20이며, 용액 점도가 약 20 내지 약 80초이고, 허용량이 약 8 내지 약 200 mL 초과인 페놀계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로진 기재의 수지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전구체 수지가 탄소 원자수 약 5 내지 약 15개의 탄화수소 원료로부터 유도된, 관능화된 시클릭 또는 디시클릭 불포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1개 이상의 반응성 메틸롤기를 함유하는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부틸 페놀-비스페놀-A로부터 유도된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온도가 약 150 내지 약 280℃의 범위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전구체 수지/가교제 혼합물이 반응실의 빈 공간의 용적 보다 작은 용적을 차지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가교제의 양이 반응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약 15 wt% 범위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반응실로부터 나오는 잉크 수지가 38℃에서의 가드너 기포 점도가 약 150 기포 초 이상인 것인 방법.
  14. 제1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방법으로 제조된 겔화 수지.
  15. 제14항 기재의 잉크 바니쉬 약 30 내지 약 60 wt%, 프탈로시아닌 열고정(heatset) 플러쉬(flush) 약 20 내지 약 60 wt%, 용매 약 1 내지 약 10 wt%, 및 왁스 분산물 약 1 내지 약 10 wt%를 포함하는 석판 잉크 배합물.
  16. 1개 이상의 혼합 대역 및 1개 이상의 가열 대역을 갖는 연장된 반응실의 입구로 변성 로진 기재의 수지를 도입하고,
    수지를 반응실의 혼합 및 가열 대역을 통해 그의 입구 말단으로부터 출구까지 진행시키며,
    수지를 반응실의 혼합 대역에서 수지내의 공유 가교 결합을 형성시키도록 선택된 비금속 함유 가교제와 혼합물이 반응실을 통해 진행할 때 수지/가교제 혼합물에 충분한 에너지를 적용하면서 연속적으로 혼합시키고,
    혼합물이 반응실을 통해 혼합되면서 진행할 때 혼합물을 반응실의 가열 대역에서 혼합물내의 공유 가교 결합을 형성시키고, 반응실내로 초기에 도입된 수지에 대해 사실상 증가된 점도의, 반응실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겔화된 잉크 수지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특정 온도에서 가열시키며,
    반응실의 출구로부터 겔화 수지를 배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가교제의 양은 반응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약 15 wt%이고 생성 잉크 수지의 약 38℃에서의 가드너 기포 점도는 아마인유 중 약 33.3 wt% 수지 용액에서 약 180 내지 약 650 기포 초인 겔화 잉크 수지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반응실이 1개 이상의 물 제거 대역을 더 갖는 것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물이 형성될 때, 물 제거 대역에서 반응실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반응실이 혼합물이 반응실을 통해 진행할 때 혼합물에 불활성 기체를 살포하고, 반응실로부터 살포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살포 대역 및 1개 이상의 배출 대역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반응실의 적어도 1개 부분을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조건하에 유지시키는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변성 로진 기재의 수지가 변성 로진의 부분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변성 로진 기재의 수지가 연화점이 약 153℃이고, 산가가 약 18이며, 용액 점도가 약 22 가드너 기포 초이고, 허용량이 10mL인 말레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변성 로진 기재의 수지가 연화점이 약 150 내지 170℃이고, 산가가 약 20이며, 용액 점도가 약 20 내지 약 80 가드너 기포 초이고, 허용량이 약 8 내지 약 200 mL 초과 범위인 페놀계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열반응성 페놀계 수지인 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1개 이상의 반응성 메틸롤기를 함유하는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인 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가열 대역의 온도가 약 150 내지 약 280℃의 범위인 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수지/가교제 혼합물이 반응실의 빈 공간의 용적 보다 작은 용적을 차지하는 방법.
  28. 제16 내지 27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겔화 수지 약 20 내지 약 60 wt%를 포함하는 잉크 바니쉬 조성물.
  29. 제28항 기재의 잉크 바니쉬 약 30 내지 약 50 wt%, 프탈로시아닌 열고정 플러쉬 약 20 내지 약 60 wt%, 용매 약 1 내지 약 10 wt%, 및 왁스 분산물 약 1 내지 약 10 wt%를 포함하는 석판 잉크 배합물.
  30. 로진 및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구체 수지를 비금속성 가교제와 반응시켜 약 38℃에서의 가드너 기포 점도가 약 130 기포 초 이상인 적어도 부분적으로 겔화된 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겔화 잉크 바니쉬 수지의 제조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중합 반응 동안 반응실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반응실의 적어도 1개 부분을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조건하에 유지시키는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전구체 수지가 변성 로진의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전구체 수지가 연화점이 약 153℃이고, 산가가 약 18이며, 용액 점도가 약 22초이고, 허용량이 10mL인 말레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5. 제30항에 있어서, 전구체 수지가 연화점이 약 150 내지 약 170℃이고, 산가가 약 20이며, 용액 점도가 약 20 내지 약 80초이고, 허용량이 약 8 내지 약 200 mL 초과의 범위인 페놀계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6. 제30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열반응성 페놀계 수지인 방법.
  37. 제30항에 있어서, 반응을 약 150 내지 약 28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38. 제30 내지 37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겔화 수지 약 20 내지 약 60 wt%를 포함하는 잉크 바니쉬 조성물.
  39. 제38항 기재의 잉크 바니쉬 약 30 내지 약 60 wt%, 프탈로시아닌 열고정 플러쉬 약 20 내지 약 60 wt%, 용매 약 1 내지 약 10 wt%, 및 왁스 분산물 약 1 내지 약 10 wt%를 포함하는 석판 잉크 배합물.
  40.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를 연장된 반응실의 입구로 도입하고,
    수지를 반응실을 통해 그의 입구 말단으로부터 출구를 향해 진행시키며,
    수지가 반응실을 통해 진행할 때 수지를 수지내 공유 가교 결합의 형성을 유도하도록 선택된 비금속 함유 가교제와 혼합물에 충분한 에너지를 적용하면서 연속적으로 혼합하고,
    혼합물이 반응실을 통해 혼합되면서 진행할 때 혼합물내의 공유 가교 결합을 형성시키고, 사실상 안정한 고점도 잉크 수지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특정 온도에서 혼합물을 가열하며,
    잉크 수지를 반응실의 출구로부터 배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고점도 잉크 수지의 제조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반응실의 적어도 1개 부분을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조건하에 유지시키는 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물이 형성될 때 반응실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43. 제40항에 있어서,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가 탄소 원자수 약 5 내지 약 15개의 탄화수소 원료로부터 유도된, 관능화된 시클릭 또는 디시클릭 불포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것인 방법.
  44. 제40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열반응성 페놀계 수지인 방법.
  45. 제40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1개 이상의 반응성 메틸롤기를 함유하는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인 방법.
  46. 제40항에 있어서, 온도가 약 150 내지 약 280℃ 범위인 방법.
  47. 제40항에 있어서, 수지/가교제 혼합물이 반응실의 빈 공간의 용적 보다 작은 용적을 차지하는 방법.
  48. 제40항에 있어서, 가교제의 양이 반응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약 15 wt%의 범위인 방법.
  49. 제40항에 있어서, 반응실을 나오는 잉크 수지가 38℃에서 MAGIESOL 47 중 50 wt% 수지 용액에서 약 150 기포 초 이상의 가드너 기포 점도를 갖는 것인 방법.
  50. 제40 내지 49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방법으로 제조된 겔화 수지.
  51. 제40항 기재의 잉크 바니쉬 약 30 내지 약 60 wt%, 프탈로시아닌 열고정 플러쉬 약 20 내지 약 60 wt%, 용매 약 1 내지 약 10 wt%, 및 왁스 분산물 약 1 내지 약 10 wt%를 포함하는 석판 잉크 배합물.
  52. 반응성 로진 및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반응성 전구체 수지를 연장된 반응실의 입구로 도입하고,
    반응성 전구체 수지를 반응실을 통해 그의 입구 말단으로부터 출구를 향해 진행시키며,
    반응성 전구체 수지가 반응실을 통해 진행할 때 반응성 전구체 수지를 수지내의 공유 가교 결합을 형성하고, 사실상 안정한 고점도 잉크 수지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특정 온도에서 가열시키고,
    잉크 수지를 반응실의 출구로부터 배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고점도 잉크 수지의 제조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가교결합에 대해 전구체 수지내의 고유 반응성이 이용가능하도록 로진, 로진 에스테르, 시클로펜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충분한 시간 동안 충분한 열에너지의 투입하에 관능화시켜 반응성 전구체 수지를 제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54. 제52항에 있어서, 반응성 전구체 물질을 연장된 반응실의 입구로 도입하기 전에, 로진, 로진 에스테르, 시클로펜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비금속성 가교제와 배합하여 반응성 전구체 수지를 제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가교제를 반응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약 15 wt% 범위의 양으로 전구체 수지와 배합하는 방법.
  56. 제54항에 있어서, 비금속성 가교제가 열반응성 페놀계 수지인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1개 이상의 반응성 메틸롤기를 함유하는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인 방법.
  58. 제52항에 있어서, 반응실의 적어도 1개 부분을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조건하에 유지시키는 방법.
  59. 제52항에 있어서, 온도가 약 150 내지 약 280℃ 범위인 방법.
  60. 제52항에 있어서, 반응성 전구체 수지가 반응실의 빈 공간의 용적 보다 작은 용적을 차지하는 방법.
  61. 제52항에 있어서, 반응실로부터 나오는 잉크 수지가 38℃에서 약 150 기포 초 이상의 가드너 기포 점도를 갖는 것인 방법.
  62. 제52 내지 61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방법으로 제조된 겔화 수지.
  63. 제62항 기재의 잉크 바니쉬 약 30 내지 약 60 wt%, 프탈로시아닌 열고정 플러쉬 약 20 내지 약 60 wt%, 용매 약 1 내지 약 10 wt%, 및 왁스 분산물 약 1 내지 약 10 wt%를 포함하는 석판 잉크 배합물.
KR1019970707987A 1995-05-10 1996-04-19 고점도수지의제조방법 KR100431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38,606 US5635591A (en) 1995-05-10 1995-05-10 Process for making high viscosity ink resins
US8/438,606 1995-05-10
US08/438,606 1995-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457A true KR19990008457A (ko) 1999-01-25
KR100431037B1 KR100431037B1 (ko) 2004-12-17

Family

ID=2374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987A KR100431037B1 (ko) 1995-05-10 1996-04-19 고점도수지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5635591A (ko)
EP (1) EP0861305B1 (ko)
JP (1) JP4111541B2 (ko)
KR (1) KR100431037B1 (ko)
AR (1) AR001912A1 (ko)
AT (1) ATE260325T1 (ko)
AU (1) AU5743196A (ko)
BR (1) BR9608136A (ko)
DE (1) DE69631673T2 (ko)
TW (1) TW341591B (ko)
WO (1) WO1996035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6128A (en) * 1997-06-17 1999-03-23 Union Camp Corporation Modified phenolic resin and uses related thereto
US6469125B1 (en) 2001-08-27 2002-10-22 Arizona Chemical Company Tall oil pitch-modified phenolic resin and methods related thereto
JP3988076B2 (ja) * 2002-06-21 2007-10-10 ハリマ化成株式会社 印刷インキ用樹脂ワニスの製造方法
US7666338B2 (en) * 2004-03-25 2010-02-23 Ppg Industries Ohio, Inc. Focused heat extrus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powder coating compositions
EP1739142A4 (en) * 2004-04-22 2009-12-02 Dainippon Ink & Chemicals METHOD FOR MANUFACTURING MODIFIED ROSIN ESTER RESIN COMPOSITION FOR LITHOGRAPHIC INK VARNIS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OGRAPHIC INK VARNISH
US7674327B2 (en) * 2004-10-27 2010-03-09 Global Printing Solutions, Inc. Flexographic ink compositions
US20110034669A1 (en) * 2006-02-02 2011-02-10 Dallavia Anthony J Rosin Ester with Low Color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WO2007092250A2 (en) * 2006-02-02 2007-08-16 Hexion Specialty Chemicals Inc. Rosin ester with low color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WO2008024332A2 (en) * 2006-08-24 2008-02-28 Chattem Chemicals, Inc. Aluminum chelates
FI123126B (fi) * 2007-04-25 2012-11-15 Upm Kymmene Oyj Paperi ja menetelmä paperin valmistamiseksi
JP5682444B2 (ja) * 2010-05-19 2015-03-11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ロジン変性フェノール樹脂、印刷インキ用ワニス、および印刷インキ
ES2887651T3 (es) * 2016-03-22 2021-12-27 Toyo Ink Sc Holdings Co Ltd Resina modificada con colofonia y método para producir la misma, barniz para tinta litográfica curable por rayos de energía activa, tinta litográfica curable por rayos de energía activa, y producto impres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8490A (en) * 1946-08-12 1949-08-09 Krumbhaar William Rosin modified phenol formaldehyde resins of enlarged molecular size
US3121914A (en) * 1961-04-10 1964-02-25 Us Rubber Co Mixer-extruder method and apparatus
NL269036A (ko) * 1961-06-16
US3387073A (en) * 1964-01-10 1968-06-04 Phillips Petroleum Co Polyethylene extrusion
NL6506398A (ko) * 1965-05-20 1966-06-27
BE759829A (fr) * 1969-12-03 1971-06-03 Upjohn Co Preparation de polyurethanes
US4197378A (en) * 1972-12-30 1980-04-08 Hoechst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modified hydrocarbon resin
US4189410A (en) * 1974-01-17 1980-02-19 Neville Chemical Company Production of synthetic resins and their uses in printing ink compositions
JPS5338113B2 (ko) * 1974-11-08 1978-10-13
US4304601A (en) * 1975-06-04 1981-12-08 Mallinckrodt, Inc. Planographic printing ink
GB2052529A (en) * 1979-06-22 1981-01-28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etroleum resins
US4320048A (en) * 1980-06-30 1982-03-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lt-blending method of forming pigmented powder coatings
DE3119637A1 (de) * 1981-05-16 1982-12-02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ruckfarbenbindemitteln"
DE3224324A1 (de) * 1982-06-30 1984-01-05 Basf Ag, 6700 Ludwigshafen Zweistufen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polyurethan-elastomeren
US4434007A (en) * 1982-08-04 1984-02-28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Process for reproducibly preparing uniform dry ink compositions comprising water-soluble cationic dyestuffs
US4704165A (en) * 1985-05-21 1987-11-03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Pigment composition
DE3538549A1 (de) * 1985-10-30 1987-05-07 Hoechst Ag Wasserverduennbares druckfarbenbindemittelsystem und dessen verwendung als druckfarbe
US4693846A (en) * 1986-05-09 1987-09-15 Ppg Industries, Inc. Urethane-modified rosin esters
US4857624A (en) * 1988-05-27 1989-08-15 Basf Corporation Phenolic-modified rosin ester printing inks
US4963188A (en) * 1988-09-30 1990-10-16 Union Camp Corporation Novel water-based ink composition
US5021538A (en) * 1989-12-01 1991-06-04 Westvaco Corporation Polyimide/polyamide derivatives of diels-alder/ene adducts of phenol-modified rosin esters
US5208319A (en) * 1991-06-10 1993-05-04 Westvaco Corporation Rosin-based grind resins for aqueous printing inks
US5500324A (en) * 1994-10-31 1996-03-19 Xerox Corporation Processes for low melt crosslinked toner resins and t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35591A (en) 1997-06-03
AU5743196A (en) 1996-11-29
US5844071A (en) 1998-12-01
EP0861305A1 (en) 1998-09-02
JPH11506481A (ja) 1999-06-08
EP0861305A4 (en) 1999-04-14
JP4111541B2 (ja) 2008-07-02
DE69631673T2 (de) 2005-01-13
DE69631673D1 (de) 2004-04-01
ATE260325T1 (de) 2004-03-15
BR9608136A (pt) 1999-08-24
WO1996035759A1 (en) 1996-11-14
TW341591B (en) 1998-10-01
EP0861305B1 (en) 2004-02-25
AR001912A1 (es) 1997-12-10
KR100431037B1 (ko) 200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037B1 (ko) 고점도수지의제조방법
US3887641A (en) Method for producing resin for printing ink
US5021538A (en) Polyimide/polyamide derivatives of diels-alder/ene adducts of phenol-modified rosin esters
US5427612A (en) Phenolic-resin-modified natural resin acid ester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printing inks
EP0991685B1 (en) Modified phenolic resin and uses related thereto
EP1421127A1 (en) Tall oil pitch-modified phenolic resin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5902389A (en) Rosin-based resin ink vehicles
EP1490438A1 (en) Resinates from monomer fatty acids
JP4291414B2 (ja) インク配合物用自己ゲル化樹脂溶液の製造方法
US4317753A (en) Offset ink compositions
EP1454932B1 (en) Rosin phenolic resin and uses related thereto
US5597884A (en) Phenolic-resin-modified natural resin acid ester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binder resins in printing inks
JPS623186B2 (ko)
EP0021642B1 (en) Modified petroleum resins and their preparation
JPH09169955A (ja) 変性天然樹脂酸アルデヒド付加物
JPH08509253A (ja) フェノール化合物及びオレフィン系不飽和非酸性テルペン化合物の各群のモノマー単位から成る樹脂状コポリマー
JPH06322320A (ja) フェノール樹脂変性された天然樹脂酸エステ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の、印刷インキにおけるバインダー樹脂としての用途
US3929736A (en) Process for preparing resin for printing ink use
JPH1081718A (ja) 変性炭化水素樹脂
JPH08176514A (ja) ロジンの連続的製造方法
US7910635B2 (en) Shear resistant printing ink vehicles
US20050107549A1 (en) Aromatic carboxylic acid-modified cyclopentadiene-based hydrocarbon resins
JPS61287919A (ja) 印刷インキ用樹脂
GB1563588A (en) Production of varnish
JPH1067831A (ja) 変性炭化水素樹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