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008U -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008U
KR19990007008U KR2019970020501U KR19970020501U KR19990007008U KR 19990007008 U KR19990007008 U KR 19990007008U KR 2019970020501 U KR2019970020501 U KR 2019970020501U KR 19970020501 U KR19970020501 U KR 19970020501U KR 19990007008 U KR19990007008 U KR 199900070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roscopic
mass
detector
spectral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황경돌
조상익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70020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008U/ko
Publication of KR19990007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008U/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광 낙구부에 걸린 분광 덩어리를 검출하여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거할 분광 덩어리를 검출하는 검출체와, 검출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분광 덩어리 검출시 경보를 발신하고 벨트콘베이어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분광 덩어리 처리장치를 제공하여, 분광 낙구부에 걸린 분광 덩어리를 즉시 검출할 수 있으며, 분광 덩어리 검출시 벨트콘베이어를 정지시키고, 경보발신으로 광석의 넘침을 방지하고, 벨트콘베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광 덩어리의 검출 및 제거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
본 고안은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로 공장에서 사용되는 연, 원료 이송수단인 벨트콘베이어장치에서 형성되는 분광 덩어리를 검출하고, 이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고로 공정에서 사용되는 광석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괴광석과 분광을 분리하는 장치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벨트콘베이어 분광 낙구부의 상세도이다.
이하에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괴광석과 분광은 스크린(1)을 통해 분류된다. 이 스크린(1)은 상, 하단에 일정크기의 체(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1)을 전동기를 동력으로 진동시킴으로서, 일정크기(예컨대, 16×30mm) 이상의 괴광석은 체(10)를 통과하지 않으며 체(10) 상단에서 평량 호퍼(12)로 보내어지고, 이 평량 호퍼(12)에서 무게를 검출하여 고로에 보내어지게 된다. 상기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괴광석은 다시 체질되어 중간크기(16×30mm~5×30mm)는 체 하단의 스크린 분광 낙구부(11)를 통해 분광 운반용 벨트콘베이어를 통해(즉, 도면부호 3→5→6→7) 중간크기의 분광을 저장하는 호퍼(8)로 보내어진다. 또한, 5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괴광석은 소결공장으로 보내어진다.
상기한 과정에서, 스크린 분광 낙구부(11) 벽에는 미세한 분광가루가 모이게 된다. 이러한 미세한 분광가루는 우천이나 소결광 살수(먼지나 비산되지 않도록 광석에 물을 뿌리는 장치) 등에 의해 습기와 접하게 점점 더 커지게 되고, 날씨가 건조해져 습기가 제거되면 분광 덩어리는 단단하게 뭉쳐지게 된다. 이렇게 단단하게 뭉쳐진 분광 덩어리는 무게에 의해 스크린 분광 낙구부(11)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되어, 벨트콘베이어(3)를 통해 분광 낙구부(4)로 이동한다. 낙구부(4)로 이동한 분광 덩어리는 일부는 벨트콘베이어를 통과하지만, 벨트콘베이어를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큰 분광 덩어리는 낙구부(4)에 걸리게 되어, 벨트와의 마찰로 인한 벨트를 손상시키게 되며, 낙구부를 막게 되어 분광이 넘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스크린 분광 낙구부에서 낙하된 분광 덩어리는 벨트콘베이어(3)로부터 벨트콘베이어(7)를 거치면서, 분광 덩어리의 크기에 따라 분광 낙구부(4)에 걸리게 되어 벨트콘베이어에 과부하를 발생시켜 콘베이어벨트가 정지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철줄을 이용하여 분광 낙구부(4)에 걸린 분광 덩어리를 제거해야 하며, 분광 덩어리가 분광 낙구부(4) 깊숙히 박힌 경우에는 하부의 벨트콘베이어(5)를 정지시키고, 분광 낙구부(4) 하부로 직접 진입하여 분광 덩어리를 제거해야 한다. 이러한 제거 작업은 많은 시간을 요구하여 작업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가 설비에 직접 진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에도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분광 낙구부에 걸린 분광 덩어리를 검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를 제공하여, 벨트콘베이어의 손상 방지 및 분광 넘침방지, 제거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고로 공정에서 사용되는 광석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설비의 개략도.
도 2는 괴광석과 분광을 분리하는 스크린 장치의 상세도.
도 3은 종래의 분광 낙구부의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가 조립된 분광 낙구부의 조립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스크린(screen)2, 3, 5, 6, 7:벨트콘베이어
4:분광 낙구부8, 9:호퍼
10:체11:스크린 분광 낙구부
12:평량 호퍼14:분광 낙구부 점검문
15:분광 덩어리16:검출체
17:로울러18:검출체 고정대
19:지지봉20:유압펌프
21:실린더22:베이스
23:장력 스프링24:장력조절나사
25:리미트 스위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는,
제거할 분광 덩어리를 걸러내는 검출체와,
상기 검출체를 지탱하는 2개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을 고정하는 고정대와,
상기 분광 덩어리가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하는 로울러와,
상기 검출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분광 덩어리 검출시 상기 검출체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장력스프링과,
상기 분광 덩어리 검출시 경보를 발신하며, 벨트콘베이어를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의사시도이다.
통상, 분광 낙구부(4)에 걸리는 분광 덩어리는 크기가 400×500mm 이상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200×300mm 정도의 검출체(16)를 이용하여 상기 크기의 분광 덩어리가 걸러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검출체(16)에 의해 걸러지는 분광덩어리는 최소한 무게가 100kg 이상이므로, 검출체(16)를 지탱하는 2개의 지지봉(19)과, 이 지지봉(19)을 고정시키는 고정대(18)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검출체(16)에 걸러진 분광 덩어리가 잘 미끄러지도록 상기 검출체(16)에는 로울러(17)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검출체(16)를 올리고 내리는 구동장치로서 유압펌프(20)와 상기 검출체(16)를 올리고 내리는 유압실린더(21)와 분광 덩어리 검출시 검출체(16)를 내리는 장력 스프링(23)이 고정대(18)에 고정되어 있다. 이 장력 스프링(23)에는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나사(24)가 설치되어 있다.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를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베이스(22)가 낙구부 바닥에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분광 덩어리를 검출하여 벨트콘베이어를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25)가 베이스 위에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가 조립된 분광 낙구부의 조립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검출체(16) 위에 무게 50kg의 철판을 올려놓고, 스프링 장력조절나사(24)를 좌우로 조정하여 상기 철판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한다. 한편, 무게 10kg의 철판을 검출체(16)에 더 올려놓아 검출체(16)가 밑으로쳐져 벨트콘베이어 정지용 리미트 스위치(25)를 터치할 수 있도록 스프링 장력조절나사(24)를 재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16mm×30mm~5mm×30mm 정도의 크기를 갖는 분광은 검출체(16)를 그냥 통과하고, 크기가 큰 분광 덩어리(15)는 걸러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광 덩어리(15)가 벨트콘베이어(3)를 통과하여 검출체(16)에 걸러지면, 검출체(16)의 앞부분이 스프링 장력을 극복하여 리미트 스위치(25)가 작동한다. 리미트 스위치(25)가 작동하면, 벨트콘베이어(3)가 정지하고 경보가 발생되며, 유압펌프(20)를 작동시켜 유압실린더(21)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유압실린더(21)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검출체(16)가 40°각도로 기울어지게 되어 분광 덩어리(15)는 분광 낙구부 문(14)을 통과하여 바닥으로 떨어져 제거된다. 분광 덩어리(15)가 제거되면, 유압실린더(21)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검출체(16)를 원위치시키고, 벨트콘베이어(3)를 재가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조업자는 분광 덩어리의 검출을 확인작업만을 행하면 되고, 바닥에 떨어진 분광 덩어리를 천천히 제거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에 의하면, 분광 낙구부에 걸린 분광 덩어리를 즉시 검출할 수 있으며, 분광 덩어리 검출시 벨트콘베이어를 정지시키고, 경보발신으로 광석의 넘침을 방지하고, 벨트콘베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광 덩어리의 검출 및 제거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제거할 분광 덩어리를 걸러내는 검출체와,
    상기 검출체를 지탱하는 2개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을 고정하는 고정대와,
    상기 분광 덩어리가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하는 로울러와,
    상기 검출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분광 덩어리 검출시 상기 검출체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장력스프링과,
    상기 분광 덩어리 검출시 경보를 발신하며, 벨트콘베이어를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
KR2019970020501U 1997-07-30 1997-07-30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 KR199900070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501U KR19990007008U (ko) 1997-07-30 1997-07-30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501U KR19990007008U (ko) 1997-07-30 1997-07-30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08U true KR19990007008U (ko) 1999-02-25

Family

ID=6968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501U KR19990007008U (ko) 1997-07-30 1997-07-30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00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39B1 (ko) * 2005-05-20 2007-06-07 주식회사 포스코 켄베이어라인에서의 광석역수송감지장치
KR100733342B1 (ko) * 2001-09-10 2007-06-28 주식회사 포스코 분광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일체형 스크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342B1 (ko) * 2001-09-10 2007-06-28 주식회사 포스코 분광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일체형 스크린
KR100725339B1 (ko) * 2005-05-20 2007-06-07 주식회사 포스코 켄베이어라인에서의 광석역수송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0544A (en) Optoelectronic separation apparatus
US7806353B2 (en) Crusher apparatus
KR101585677B1 (ko) 컨베이어의 비정상 적재물 처리장치
CN106623006A (zh) 一种粮食色选机用除尘下料装置
KR19990007008U (ko) 분광 덩어리 검출 및 제거장치
CN109909157A (zh) 一种海绵钛颗粒筛选装置
CN206405066U (zh) 一种粮食色选机用除尘下料装置
CN218924918U (zh) 一种圆锥破碎机喂料装置
CN116944078A (zh) 建筑固废中杂料识别分选结构
KR20000011539U (ko) 이물질 검출 및 제거가 가능한 슈트
CN115301331B (zh) 一种固废回收利用处理用预分离装置
JP2009180636A (ja) 分別装置、分別方法及び資材の製造方法
CN214421787U (zh) 一种用于小颗粒物气力提升装置
KR100962661B1 (ko) 소결 배합원료의 수분 측정 장치
CN210411483U (zh) 一种抑尘剂加工用原料筛分装置
CN210048173U (zh) 一种集尘斗自平衡装置
KR101402749B1 (ko) 트리퍼의 슈트 막힘 방지장치
CN219850834U (zh) 一种金矿石加工分拣装置
TWM554904U (zh) 入料震動裝置
CN217050281U (zh) 防尘溅式粉料吨包装料装置
CN212711796U (zh) 除尘灰冷化球装车吸尘装置
KR100879339B1 (ko) 대형 이물질 처리기능을 갖는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장치
KR20000012022U (ko) 스크린 매트 절손 자동검지 및 벨트 정속도 회전유지장치
CN215655331U (zh) 一种矿石细碎筛分系统
CN221024726U (zh) 一种新型的粉料拆包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