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729A - 증폭기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용송신기 - Google Patents

증폭기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용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729A
KR19990006729A KR1019980020964A KR19980020964A KR19990006729A KR 19990006729 A KR19990006729 A KR 19990006729A KR 1019980020964 A KR1019980020964 A KR 1019980020964A KR 19980020964 A KR19980020964 A KR 19980020964A KR 19990006729 A KR19990006729 A KR 19990006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amplifiers
control circuit
circu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3484B1 (ko
Inventor
마사노리 후지타
Original Assignee
가네코 히사시
닛폰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코 히사시, 닛폰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코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90006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77Selecting one or more amplifiers from a plurality of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72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00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 H03G1/0088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using discontinuously variable devices, e.g. switch-opera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39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on or off by putting into parallel or not, by choosing between amplifiers and shunting lines by one or more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송신기에서, 송신전력증폭부는 복수개의 증폭기들(1, 2 및 3)에 의해 구성되고, 복수개의 스위치회로들(21, 22 및 23)은 증폭기들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다. 제어회로(9', 9, 11, 24, 25 및 26)는 증폭기들과 스위치회로들에 연결되고, 증폭기들의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키고, 스위치회로들을 동작시켜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거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를 직렬로 연결한다.

Description

증폭기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용 송신기
본 발명은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이동국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송신기로 구성된 휴대용 전화기에서 송신전력증폭부를 구성하는 증폭기들은 전화기에서 소비된 대부분의 전력을 취하여, 연속통화시에 휴대용 전화기의 성능은 주로 송신전력증폭부의 신호송신효율에 의존한다. 휴대용 전화기의 송신전력증폭부의 신호송신의 효율은 고주파출력전력/입력직류(DC)전력의 비로 나타낸다. 효율은 증폭기들의 정합회로들의 임피던스 특성들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정합회로들의 임피던스 특성들은 출력전력과 송신주파수에 의존하여 변화하므로, 정합회로들의 임피던스는 휴대용 전화기에 사용되는 송신주파수와 출력전력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선행기술의 이동통신용 송신기에서, 고주파수를 매우 효율적으로 증폭하기 위하여 증폭기들의 정합회로들은 휴대용 전화기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전력출력시에 최대효율을 얻도록 설정된 고정임피던스를 가진다. 이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송신기에서 증폭기들이 입력/출력 정합회로들에 의해 정합되도록 적용되므로, 송신기의 송신전력증폭부는 낮은 출력레벨에서 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일본 특개소 제 57-60739호 공보는 낮은 출력동작시에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배열된 복수개의 출력 정합회로들로부터의 효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출력 정합회로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송신장치를 제안한다. 이 송신장치는, 종래의 휴대용 전화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부가하여, 출력정합회로를 선택하는 스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기, 최적정합회로를 선택하고 정합스위치회로에 신호를 송신하는 최적값판정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일본특개소 제57-60739호의 송신장치에서, 송신장치의 증폭기들(트랜지스터들)은 최적출력정합회로를 출력전력레벨의 기능으로 선택한다면 변경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휴대용 전화기시스템용으로 사용된다면 최대출력레벨 이하의 10-30dB 작동영역에서 송신장치의 효율에 대한 향상은 기대할 수 없다. 이는, FET들의 경우에 큰 게이트폭을 갖고 양극성(bipolar) 트랜지스터들의 경우에 이미터(emitter)들의 수에 상당하는 크기를 지닌 대규모의 트랜지스터들이 소정의 최대출력레벨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안에, 트랜지스터들이 최대출력레벨 이하의 10-30dB 작동영역에서 구동될 때 최적의 크기를 지닌 트랜지스터들과 비교된다면 증폭효율의 저하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대규모 트랜지스터들은 낮은 임피던스를 가지므로 완전하게 정합될 수 없다.
(2) 그러한 낮은 임피던스와 정합되는 정합회로 자체는 높은 통과손실을 보여줄 수 있다.
(3) 일반적으로, 대규모 트랜지스터는 복수개의 병렬결합된 단위셀들로 구성되고 셀들의 전위는 셀들의 성능과 셀들의 결합손실로 인하여 충분히 활용될 수 없다.
(4) 대규모 트랜지스터는 낮은 출력레벨에 최적으로 적용된 크기의 소자와 비교할 때 낮은 이득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낮은 출력레벨에 최적으로 적용된 크기의 트랜지스터들의 작동효율이 최대출력레벨 주위의 작동영역에서 특히 크기가 더 큰 트랜지스터들의 작동효율보다 훨씬 더 높다.
최대송신출력과 최소송신출력의 비는 출력동적범위(output dynamic range)로 간주되고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에 대해 약 30dB정도이다. 그러나, 60dB 내지 70dB의 출력동적범위는 최근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부호분할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방식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전화기들에 요구된다. 그러므로, 이는 그러한 광동적(wide dynamic)범위를 지닌 휴대용 전화기의 송신전력증폭부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일본특개소 제57-60739호 공보의 송신기에서, 마지막 단계에서 배열된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일정하므로, 최적의 출력정합회로가 출력레벨의 기능으로 복수개의 정합회로들로부터 선택된다면 상술한 증폭기들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약 +10 내지 -10dBm정도의 낮은 출력레벨에 대해 10%미만의 효율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일본 특개소 제57-60739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광출력범위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여기서, 일본 특개소 제57-60739호 공보에서는 낮은 출력레벨인 0.5W(+27dBm)의 트랜지스터와 특정한 예로서 최대출력레벨인 2W(+33dBm)의 트랜지스터만을 예시한다.
더욱이, 일본 특개소 제57-60739호 공보에서 설명한 송신기는 출력정합회로를 선택하는 수단으로서 PIN 다이오드들에 의해 구성되며, 모든 출력정합회로들이 순차적으로 절환되도록 일정하게 바이어스되어야 한다. 그러면, 여러 mA 레벨의 전류가 바이어스된 PIN다이오드들을 통해 흐른다. 한 쌍의 PIN다이오드가 출력정합회로들 각각에 대해 요구되므로, 총 2×n개의 PIN다이오드들은 'n'개의 정합회로들에 대해 사용되어야 한다. PIN다이오드가 1mA 속도로 전력을 소비한다면, 모든 PIN다이오드들의 전력소비는 송신기의 출력전력에 관계없이 n×2mA가 될 것이다. 이는 전력절약형을 요구하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출력동적벙위(wide output dynamic range)에 대해 높은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용 송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용 송신기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증폭기를 보여주는 상세 블록회로도;
도 3은 도 1의 송신전력증폭부의 송신출력전력과 효율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용 시스템의 제 1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회로도;
도 5는 도 4의 전압제어회로의 상세회로도;
도 6은 도 4의 제어회로의 제어신호들과 전압제어회로의 제어신호들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논리표;
도 7a 내지 7d는 도 4의 송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8은 도 4의 송신전력증폭부의 송신출력전력과 효율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용 송신기의 제 2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회로도;
도 10은 도 9의 제어회로의 제어신호들과 전압제어회로의 제어신호들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논리표;
도 11a 내지 11d는 도 9의 송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및
도 12 및 13은 도 9의 송신전력증폭부의 송신출력전력과 효율간의 관계들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 증폭기 5 : 방향성결합기
7 : 비교기 7a : AGC전압제어회로
6 : 검출기 8 : RSSI
9', 9, 11, 24, 25, 26 : 제어회로
10 : ROM 11 : 전원
21, 22, 23, 31 : 스위치회로
24 , 25 : 바이어스제어회로 26 : 전압제어회로
32 : 정합회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송신기에서 송신전력증폭부는 복수개의 증폭기들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스위치회로들은 증폭기들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다. 제어회로는 증폭기들과 스위치회로들에 연결되고, 증폭기들의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키고 스위치회로들을 작동시켜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거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를 직렬로 연결한다.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동국에 장착된 종래의 이동통신용 송신기를 보여주는 도 1에서 입력신호(Sin)는 자동이득제어(AGC)증폭기(1)와 증폭기들(2 및 3)에 의해 증폭되고, 방향성결합기(5)를 통해 출력신호(Sout)로서 출력된다.
AGC증폭기(1)는 입력신호(Sin)를 AGC제어전압에 의해 결정된 AGC이득으로 증폭하고, 출력신호(S1)를 출력한다.
증폭기(2)는 AGC증폭기(1)의 출력신호(S1)를 일정한 이득으로 증폭하고 츨력신호(S2)를 출력한다.
증폭기(3)는 증폭기(2)의 출력신호(S2)를 일정한 이득으로 증폭하고 츨력신호(S3)를 출력한다.
증폭기(4)는 증폭기(3)의 출력신호(S3)를 일정한 이득으로 증폭하고 츨력신호(S4)를 출력한다.
방향성결합기(5)는 증폭기(4)의 출력신호(S4)의 약 100분 1을 검출기(6)로 발생시키고 나머지 출력을 출력신호(Sout)로서 출력한다.
검출기(6)는 방향성결합기(5)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검출전압(VD)으로서 출력한다. 비교기(7)는 제어기(10)로부터 얻은 제어전압과 검출기(6)로부터의 검출전압(VD)을 기준전압(VR)과 비교하고, 보정신호(S5)를 발생시키고 이를 AGC전압제어회로(7a)에 전송하여 검출전압(VD)과 기준전압(VR)간의 차이를 보상한다. AGC전압제어회로(7a)는 보정신호(S5)에 따라 AGC제어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동국시스템은 전형적으로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거리에 따른 여러 소정의 전력레벨들중의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송신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자동전력제어(automatic power control; APC)의 기능적 특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동국은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거리에 대한 신호(S6)를 얻기 위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8)를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고 이동국에 의해 수신된 무선파(radio wave)의 신호강도를 검출한다. 그렇게 얻어진 거리신호(S6)는 제어회로(9)에 송신된다.
제어회로(9)는 독립변수(argument)로서 거리신호(S6)를 이용하여 ROM(10)으로부터 기준전압(VR)을 읽어낸다.
또한, 제어회로(9)는 시스템 요구조건에 따라 전원전압을 AGC증폭기(1), 증폭기들(2, 3 및 4) 및 AGC전압제어회로(7a)에 공급하는 전원(11)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회로(9)는 주기적으로 전원(11)을 턴-온함으로써 전력소비를 감소시킨다.
도 2에서 설명한대로, 증폭기(2)는 고정임피던스의 입력정합회로(201), 전형적으로 FET(field effect transistor)에 의해 구성된 증폭부(202) 및 고정임피던스의 출력정합회로(203)로 구성된다. 증폭기(2)는 요구된 왜곡특성들을 만족하도록 선택된 범위내에서 최대효율을 얻기 위하여 입력정합회로(201)와 출력정합회로(203)에 의해 50Ω의 특성임피던스를 정합하도록 한다. 증폭기들(3 및 4)은 증폭기(2)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배열을 갖는다.
이동국은 최대출력레벨에서 원하는 특징들을 실현시키는 사양들을 요구하므로, 증폭기들(2, 3 및 4)의 입력정합회로(201)와 출력정합회로(203)는 증폭기(4)의 출력전력이 최대레벨에 도달할 때 최대효율을 얻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정합회로들(201 및 203)은 APC의 출력이 그 최대레벨에 도달할 때 증폭부들에 대한 최대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배열되므로, 송신전력증폭부들(2, 3 및 4)의 효율은 도 3에서 보여진대로 출력전력레벨이 낮아질 때 감소할 것이다.
송신전력증폭기들(2, 3 및 4)이 1W(+30dBm)이상의 출력레벨에서 60%이상의 효율이 얻어지나, 출력레벨이 20dB(내지 +10dBm)까지 감소할 때 효율이 10%이하로 낮아지는 것이 도 3에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APC의 최대출력레벨과 최소출력레벨간의 차이는 약 20 내지 30dB정도이고, APC는 도시지역들과 이동국이 기지국에 가까이 위치한 지역들에서는 최소출력레벨로 동작한다. 그러나, 출력전력레벨이 낮을 때 이동국이 송신전력증폭기들(2, 3 및 4)의 낮은 효율을 나타내므로, 그러한 지역들에서 이용될 경우에 전력소비를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없다.
이동국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APC의 출력레벨에 따라 소정레벨의 게이트바이어스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고주파수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흐르는 증폭기들의 유휴(idle)전류들을 감소시키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게이트바이어스전압은 그러한 기술에 의해 최대전력출력을 위해 기설정된 레벨로부터 0.3V만큼씩만 변화되므로, 그 기술이 최대출력레벨로부터 5 내지 10dB이하 정도의 작동영역에서 효율의 저하를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일 수 있는 반면에, 최대출력레벨을 20 내지 30dB이하로 하는 영역에서는 실질적으로 효과가 없고 그러한 기술이 사용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효율은 10%이하로 저하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 4에서 스위치회로(21)는 도 1의 AGC증폭기(2)와 증폭기(3) 사이에 구비되고, 스위치회로(22)는 도 1의 증폭기들(2 및 3)사이에 구비되고, 스위치회로(23)는 도 1의 증폭기(4)와 방향성결합기(5) 사이에 구비된다. 스위치회로들(21, 22 및 23)은 직렬로 연결된다. 또한, 바이어스제어회로(24)는 도 1의 전원(11)과 증폭기(3) 사이에 구비되고, 바이어스제어회로(25)는 도 1의 전원(11)과 증폭기(4) 사이에 구비된다. 전압제어회로(26)는 스위치회로들(21, 22 및 23) 및 바이어스제어회로들(24 및 25)을 제어한다.
제어회로(9')는 도 1의 제어회로(9)를 대신하여 구비된다. 제어회로(9')는 비교기(7)와 전원(11)에 부가하여 전압제어회로(26)를 제어한다. 즉, 제어회로(9')는 독립변수(argument)로서 거리신호(S6)를 이용하여 ROM(10)으로부터 기준전압(VR)을 읽어낸다. 또한, 제어회로(9')는 독립변수로서 거리신호(S6)를 이용하여 ROM(10)으로부터 제어신호들(C1, C2및 C3)을 읽어낸다. 전압제어회로(26)는 제어회로(9')로부터 제어신호들(C1및 C2)을 수신하여 제어신호들(C4, C5, C6, C7및 C8)을 출력한다. 전압제어회로(26)는 도 5에 도시된다. 그러므로, 제어회로(9')가 도 6에 도시한대로 제어신호들(C1, C2및 C3)을 발생시키면 전압제어회로(26)는 도 6에 도시한대로 제어신호들(C4, C5, C6, C7및 C8)을 발생시킨다. 제어신호(C3)는 제어신호들(C1및 C2)사이의 논리합(OR)이다.
스위치회로들(21 및 23) 각각은 SPDT(single pole dual throw) 스위치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신호(C4)가 하이(1)인 경우에 스위치회로(21)는 증폭기(2)를 증폭기(3)에 연결하고, 반면에 제어신호(C4)가 로우(0)인 경우에 스위치회로(21)는 증폭기(2)를 스위치회로(22)에 연결한다. 또한, 제어신호(C8)가 하이(1)인 경우에 스위치회로(23)는 증폭기(4)를 방향성결합기(5)에 연결하고, 반면에 제어신호(C8)가 로우(0)인 경우에 스위치회로(23)는 스위치회로(22)를 방향성결합기(5)에 연결한다.
스위치회로(22)는 DPDT(dual pole dual throw) 스위치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신호(C6)가 하이(1)인 경우에 스위치회로(22)는 증폭기(3)와 스위치회로(21)를 증폭기(4)와 스위치회로(23)에 각각 연결한다. 반면에 제어신호(C6)가 로우(0)인 경우에 스위치회로(22)는 증폭기(3)를 스위치회로(23)에 연결한다.
스위치회로들(21, 22 및 23)은 턴-오프될 때 발생하는 환송손실(return loss)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종료방식의 스위치들이다.
증폭기들(2, 3 및 4)은 다른 크기의 소자를 지니며, 고효율을 실현하기 위하여 그들 출력전력레벨들의 오름차순으로 배열되거나 증폭기들(2, 3 및 4)의 순서로 배열된다.
스위치회로들(21, 22 및 23)과 증폭기들(2, 3 및 4)은 각 소자에 대해 선택되는 출력전력레벨이 광동적범위(wide dynamic range)에 대한 고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기설정되고 각 소자의 스위칭작동에 관한 데이터가 ROM(10)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도 6에서 도시한 대로 스위칭 상태들(Ⅰ,Ⅱ 및 Ⅲ)에 대해 제어된다. 증폭기들(2, 3 및 4)의 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APC작동은 도 1의 송신기에서와 마찬가지로 AGC전압제어회로(7a)에 의해 AGC증폭기(1)의 이득을 변화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태들(Ⅰ,Ⅱ 및 Ⅲ)의 스위칭제어는 APC작동이 스위칭제어 이후에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APC에 대해 우위권을 가진다.
도 6의 상태들(Ⅰ,Ⅱ 및 Ⅲ)은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거리, 즉 거리신호(S6)에 좌우된다.
도 4의 송신기의 작동은 도 7a, 7b, 7c, 7d 및 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전송되는 신호는 우선 기저대역부(미도시됨)에서 변조되어 AGC증폭기(1)로 입력되기 전에 송신주파수를 나타내도록 만들어진다.
이동국이 기지국으로부터 장거리 떨어져 있다면, 거리신호(S6)에 대응하는 ROM(10)으로부터 독출된 제어정보는 송신전력증폭부를 최대출력레벨에 적합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어회로(9')는 송신전력증폭부가 최대출력레벨에 적합하도록 기준전압(VR)을 비교기(7)로 출력한다. 더욱이, 제어회로(9')는 송신전력증폭부가 최대출력레벨에 적합하도록 제어신호들(C1, C2및 C3)이 하이가 되게 한다(도 6의 상태 Ⅰ 참조). 결과적으로, 전압제어회로(26)에 의해 출력된 모든 제어신호들(C4, C5, C6, C7및 C8)은 도 6에서 보여진 대로 하이(1)이다.
상태 Ⅰ에서 전원(11)은 결과적으로 AGC전압제어회로(8), AGC증폭기(1), 증폭기(2) 및 바이어스제어회로들(24 및 25)이 전원전압을 공급받도록 제어신호(C3)에 의해 턴-온된다. 바이어스제어회로(24)는 전원(11)에서 증폭기(3)로 전압을 전송하는 반면에, 바이어스제어회로(25)는 전원(11)에서 증폭기(4)로 전압을 전송한다. 그러므로, 도 7a에서 보여진 대로, 증폭기들(2, 3 및 4)은 활성화된다.
더욱이, 상태 Ⅰ에서 스위치회로(21)는 증폭기(2)의 출력을 증폭기(3)에 공급하고, 스위치회로(22)는 증폭기(3)의 출력을 증폭기(4)에 공급하고, 스위치회로(23)는 증폭기(4)의 출력을 방향성결합기(5)에 공급한다. 그러므로, 도 7a에서 보여진 대로, AGC증폭기(1)로 입력되는 송신신호는 증폭기(2) 경로를 통하여 출력된다.
방향성결합기(5)는 송신출력레벨의 100분의 1의 레벨로 신호를 검출기(6)로 전송한다. 방향성결합기(5)의 출력은 검출기(6)에 의해 검출된 직류(DC)전압인 검출전압(VD)으로 변환되어 비교기(7)로 전송된다. 비교기(7)는 검출전압(VD)을 제어회로(9')로부터의 기준전압(VR)과 비교하고, 보정신호(S5)는 검출전압(VD)과 기준전압(VR)간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AGC전압제어회로(7a)로 전송된다. AGC전압제어회로(8)는 AGC전압을 변화시켜 AGC증폭기(1)의 이득을 조정하여 증폭기(2)의 출력전력레벨을 보정신호(S5)에 의해 지시된 레벨로 가변시킨다. 이 방법에서, 제어회로(9')는 스위치회로(23)의 출력단자의 출력전력레벨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도 8에서 곡선(Ⅰ)은 도 7a에 도시된 상태(Ⅰ)에서 송신전력증폭부의 출력전력과 송신전력증폭부의 작동효율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이동국의 최대출력레벨이 +31dBm이면, 송신전력증폭부의 효율은 약60%정도가 될 것이다.
이동국이 기지국 가까이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면, AGC증폭기(1)는 그의 이득을 감소하기 위해 조정되므로 송신전력증폭부의 출력레벨은 거리신호(S6)의 변화에 응답하여 낮아진다. 결과적으로, 송신전력증폭부의 효율은 최대출력레벨로부터 감소한다. 예를 들어, +31dBm의 출력전력의 효율이 60%이면, 출력전력이 +20dBm으로 감소할 때 약 20%정도로 낮아진다.
상기 상태에서, 제어회로(9')는 거리신호(S6)에 근거하여 이동국이 기지국에 더 가까이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고, 제어신호(C2)가 로우(0)가 되도록 한다 (도 6에서 상태Ⅱ 참조). 그러므로, 전압제어회로(26)는 제어신호들(C6, C7및 C8)이 로우(0)가 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도 7b에서 도시한대로, 증폭기(3)는 스위치회로들(22 및 23)을 통해 방향성결합기(5)에 결합된다. 동시에, 바이어스제어회로(25)는 증폭기(4)로의 전압의 공급을 차단하여, 증폭기(4)가 불활성화됨으로써 전력소비를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도 7b에서 도시한대로, AGC증폭기(1)로 입력되는 송신신호는 증폭기(2) →스위치회로(21)→증폭기(3)→스위치회로(22)→스위치회로(23)→방향성결합기(5)의 경로를 통하여 출력된다. 다시 말하면, 증폭기들(2 및 3)이 턴-온되는 반면에 증폭기(4)는 턴-오프 된다.
도 8에서 곡선(Ⅱ)은 도 6에 도시된 상태(Ⅱ)에서 송신전력증폭부의 출력전력과 송신전력증폭부의 작동효율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출력전력이 약 +23dBm 내지 +24dBm일 때 송신전력증폭부의 효율이 약 60%정도인 것을 도 8에서 알 수 있다.
이동국이 기지국에 더 가깝게 이동하므로, AGC증폭기(1)의 이득은 송신전력증폭부의 작동 효율을 낮추기 위하여 송신전력증폭부의 출력전력을 감소하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회로(23)의 출력단자에서 출력전력이 약 +12dBm으로 감소할 때 효율은 20%정도로 낮아진다.
그러나, 거리신호(S6)에 근거하여 이동국이 기지국에 매우 가까이에 있음을 검출할 때, 제어회로(9')는 제어신호들(C1및 C2)이 각각 로우(0) 및 하이(1)가 되도록 한다(도 6의 상태(Ⅲ) 참조). 그러므로, 전압제어회로(26)는 제어신호들(C4및 C5)이 로우(0)가 되고 제어신호(C6)가 하이(1)가 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도 7c에서 도시한대로, 증폭기(2)는 스위치회로들(21, 22 및 23)을 통해 방향성결합기(5)에 연결된다. 동시에, 바이어스회로(24)는 증폭기(3)로의 전압의 공급을 차단하여, 증폭기(3)가 불활성화됨으로써 전력소비를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AGC증폭기(1)로 입력되는 송신신호는 증폭기(2) →스위치회로(21)→스위치회로(22)→스위치회로(23)→방향성결합기(5)의 경로를 통하여 출력된다. 다시 말하면, 증폭기(2)의 출력이 이동국의 송신전력증폭부의 출력전력으로서 직접 사용되도록 증폭기(2)가 턴-온되는 반면에, 증폭기들(3 및 4)은 턴-오프된다.
도 8에서 곡선(Ⅲ)은 도 6에 도시된 상태(Ⅲ)에서 송신전력증폭부의 출력전력과 송신전력증폭부의 작동효율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출력전력이 약 +12dBm 내지 +13dBm으로 감소될 때 송신전력증폭부의 효율이 약간 60%이하인 것을 도 8에서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6에서 도시한 특정한 상태(Ⅳ)에서, 제어회로(9')는 제어신호들(C1, C2및 C3)이 모두 로우(0)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AGC전압제어회로(7a)와 AGC증폭기(1)가 불활성화된다. 도 7d에서 도시한대로, 동시에 모든 증폭기들(2, 3 및 4)이 불활성화된다.
제 1실시예에서, 송신전력증폭부는 +12dBm 내지 +31dBm사이의 광출력전력범위에서는 약 60%의 효율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송신전력증폭부의 효율은 광출력동적범위에 대해 하이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증폭기들(2, 3 및 4)에서 사용되는 소자들이 바이어싱방식에서 특별한 참작을 필요하다면, 또는 예를 들어, 증폭기들의 FET들을 바이어싱하는 상기 순서대로 게이트바이어스전압과 드레인바이어스전압을 연속하여 적용한다면, 일반적인 연속하는 제어기술을 제 1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제 1실시예는 휴대용전화시스템 또는 그 시스템의 다른 소자들을 변형하지 않은 그 유사물에 적용될 수 있다.
제 1실시예와 함께, AGC증폭기(1)의 이득의 가변범위는 송신전력이 증폭기들(2, 3 및 4)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으므로 20dB이상까지 감소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증폭기들(2, 3 및 4)이 제 1실시예에서 최대출력레벨에 대한 최대효율을 제공하기 위해 정합되는 동안에, 증폭기들이 인접채널누설전력을 특정레벨 이하로 압축하는 것을 요구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된다면 원하는 왜곡특성들을 만족시키는 조건들하에서 최대효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합회로들을 배열하는 것은 증폭기들의 설계시에 공지된 상식이었다.
특히, 최근 몇 년동안 급증적으로 관심을 끌어온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들의 경우에, 데이터는 0 내지 +10dBm의 송신전력레벨이 어느 다른 출력레벨들보다 훨씬 더 자주 사용되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오늘날 이용가능한 휴대용 전화기들은 최고출력레벨에서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필요로 하고, 동시에 0 내지 +10dBm의 출력레벨에서의 개선된 효율을 보여준다. 제 1실시예는 이러한 요구조건들을 만족스럽게 충족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CDMA형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 7에서, 이중대역시스템이 채택된다. 즉, SPDT스위치회로에 의해 형성된 SPDT방식의 스위치회로(31)는 도 4의 DPDT방식의 스위치회로(22)를 대신하여 구비되고, 정합회로(32)와 출력신호(Sout)을 발생시키는 방향성결합기(33)는 스위치회로(31)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어신호(C6)가 하이(1)이면, 스위치회로(31)가 증폭기(3)를 증폭기(4)에 연결하나, 반면에 제어신호(C6)가 로우(0)이면, 스위치회로(31)가 증폭기(3)를 정합회로(32)에 연결한다.
정합회로(32)는 스위치회로(31)의 출력이 선택된 임피던스를 정합하도록 하고, 이 출력을 방향성결합기(33)로 공급한다. 원하는 주파수대역은 최대효율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방향성결합기(33)는 방향성결합기(5)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정합회로(32)에 의해 발생된 출력의 전력레벨의 약 100의 1정도의 전력레벨의 송신출력이 검출기(6)에 공급되도록 정합회로(32)의 출력측에 배열된다.
제 2실시예가 일본에서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휴대전화시스템인 PDC(personal digital cellular)시스템과 일본에서 또한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코드리스시스템(digital codeless system)인 PHS(personal handy-phone)시스템 모두에 적합한 이동국의 송신전력증폭부에 적용된다. 900MHz 대역이 PDC시스템에 사용된다면 이동국의 송신주파수는 925MHz 내지 960MHz가 되고, 1.5GHz 대역이 PDC시스템에 사용된다면 1,429MHz 내지 1,453MHz가 될 것이다. 반면에, 이동국의 송신주파수는 PHS시스템에 대해서는 1,895MHz 내지 1,918MHz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동국의 증폭기들은 이처럼 다른 주파수들을 최적으로 정합할 필요가 있다. PDC시스템에 대한 최대출력레벨은 약 +30.5dBm이고 PHS시스템에 대한 최대출력레벨은 +21dBm이다.
전술을 참작하여, 증폭기들(2 및 3)은 900MHz 내지 1.9GHz사이의 동작주파수를 갖는 광대역증폭기들로서 설계되고 증폭기들(2 및 3)의 각 입력정합회로는 925MHz 내지 1,920MHz사이의 원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것이다. 제 2실시예의 증폭기들(2, 3 및 4)은 도 4의 증폭기들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배열을 지닌다. 또한, 증폭기(4)는 925MHz 내지 960MHz 또는 1,429MHz 내지 1,453MHz의 협대역에서 최대출력레벨에서의 최대효율을 제공하기 위하여 정합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최대효율은 소망의 인접채널누설전력을 충족시키는 범위내의 효율에 관련한다.
반면에, 정합회로(32)는 1,895MHz와 1,918MHz사이의 PHS시스템의 동작주파수를 정합하기 위하여 변경된다. 스위치회로들(21 및 31)은 약 900MHz의 주파수대역과 2GHz의 주파수대역의 삽입손실을 보여준다. 이는 스위치회로(4)가 증폭기(4)에 유사한 동작주파수대역을 확보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제어회로(9)는 이중대역시스템에 응답하기 위하여 도 4의 제어회로(9')를 대신하여 구비된다. 즉, 제어회로(9)는 또한 거리신호(S6)에 부가하여 시스템모드신호(S7)를 수신한다. PDC시스템 또는 PHS시스템에 대한 시스템모드신호(S7)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스위치회로들(21, 31 및 23)과 증폭기들(2, 3 및 4)은 각 소자에 대해 선택되는 출력전력레벨이 광동적범위에 대한 고효율을 얻기 위하여 미리 결정되고 각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관한 데이터가 ROM(10)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도 10에 도시된 대로 스위칭 상태들(Ⅰ, Ⅱ 및 Ⅲ)을 절환하기 위해 제어된다. 증폭기들(2, 3 및 4)의 수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는 APC동작은 도 1에서의 송신기와 마찬가지로 AGC전압제어회로(8)에 의해 AGC증폭기(1)의 이득을 변화시킴으로써 유도된다.
상태들(Ⅰ, Ⅱ 및 Ⅲ)의 스위칭제어는 APC작동이 스위칭제어 이후에만 일어나도록 APC에 대해 우위권을 갖는다.
이동국이 PDC시스템을 위해 사용된다면, 도 10의 상태들(Ⅰ 및 Ⅱ)은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거리, 즉 거리신호(S6)에 의존한다.
도 9의 송신기의 작동은 도 11a, 11b, 11c, 11d, 12 및 1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우선, 이동국이 PDC시스템을 위해 사용된다, 즉 시스템모드신호(S7)가 PDC 시스템을 나타낸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전송되는 신호는 우선 기저대역부(미도시됨)에서 변조되어 AGC증폭기(1)로 입력되기 전에 송신주파수를 보여주도록 되어있다.
이동국이 기지국으로부터 장거리 떨어져 있다면, 거리신호(S6)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ROM(10)으로부터 독출하여 송신전력증폭부를 최대출력레벨에 적합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어회로(9)는 송신전력증폭부를 최대출력레벨에 적합하게 하는 기준전압(VR')을 비교기(7)로 출력한다. 더욱이, 제어회로(9)는 송신전력증폭부가 최대출력레벨에 적합하도록 제어신호들(C1, C2및 C3)이 하이가 되게 한다(도 10의 상태 Ⅰ 참조). 결과적으로, 전압제어회로(26)에 의해 출력된 모든 제어신호들(C4, C5, C6, C7및 C8)은 도 10에서 보여진대로 하이(1)이다.
상태 Ⅰ에서, 전원(11)은 결과적으로 AGC전압제어회로(8), AGC증폭기(1), 증폭기(2) 및 바이어스제어회로들(24 및 25)이 전원전압을 공급받도록 제어신호(C3)에 의해 턴-온된다. 바이어스제어회로(24)는 전원(11)에서 증폭기(3)로 전압을 공급하는 반면에, 바이어스제어회로(25)는 전원(11)에서 증폭기(4)로 전압을 공급한다. 그러므로, 도 11a에서 보여진대로, 증폭기들(2, 3 및 4)은 활성화된다.
더욱이, 상태 Ⅰ에서 스위치회로(21)는 증폭기(2)의 출력을 증폭기(3)에 공급하고 스위치회로(31)는 증폭기(3)의 출력을 증폭기(4)에 공급하고, 스위치회로(23)는 증폭기(4)의 출력을 방향성결합기(5)에 공급한다. 그러므로, 도 11a에서 보여진 대로, AGC증폭기(1)로 입력되는 송신신호는 증폭기(2) 경로를 통하여 출력된다.
방향성결합기(5)는 송신출력레벨의 100분의 1의 레벨로 신호를 검출기(6)로 전송한다. 방향성결합기(5)의 출력은 검출기(6)에 검출된 직류(DC)전압인 검출전압(VD)으로 변환되어 비교기(7)로 전송된다. 비교기(7)는 검출전압(VD)을 제어회로(9)로부터의 기준전압(VR)과 비교하고, 보정신호(S5)는 검출전압(VD)과 기준전압(VR)간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AGC전압제어회로(7a)로 전송된다. AGC전압제어회로(8)는 AGC전압을 변화시켜 AGC증폭기(1)의 이득을 조정하여 증폭기(2)의 출력전력레벨을 보정신호(S5)에 의해 지시된 레벨로 가변시킨다. 이 방법에서, 제어회로(9)는 스위치회로(23)의 출력단자의 출력전력레벨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도 12에서 곡선(Ⅰ)은 도 11a에 도시된 상태(Ⅰ)에서 송신전력증폭부의 출력전력과 송신전력증폭부의 작동효율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이동국의 최대출력레벨이 +31dBm이면, 송신전력증폭부의 효율은 약60%정도가 될 것이다.
이동국이 기지국에 더 가까이 이동하므로, AGC증폭기(1)의 이득은 송신전력증폭부의 출력전력을 감소시켜 송신전력증폭부의 작동효율을 낮추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회로(23)의 출력단자에서 출력전력이 약 +12dBm정도로 감소할 때 효율은 20%만큼 낮아진다.
그러나, 거리신호(S6)에 근거하여 이동국이 기지국에 매우 가까이 있음을 검출할 때, 제어회로(9)는 제어신호들(C1및 C2)이 각각 로우(0) 및 하이(1)가 되도록 한다 (도 10에서 상태Ⅱ 참조). 그러므로, 전압제어회로(26)는 제어신호들(C4, C5, C7및 C8)이 로우(0)가 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도 11b에서 도시한대로, 증폭기(2)는 스위치회로들(21, 31 및 23)을 통해 방향성결합기(5)에 결합된다. 동시에, 바이어스제어회로들(24 및 25)은 증폭기들(3 및 4)로의 전압의 공급을 차단하여, 증폭기들(3 및 4)이 불활성화됨으로써 전력소비를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AGC증폭기(1)로 입력되는 송신신호는 증폭기(2) →스위치회로(21)→스위치회로(31)→스위치회로(23)→방향성결합기(5)의 경로를 통하여 출력된다. 다시 말하면, 증폭기(2)의 출력이 이동국의 송신전력증폭부의 출력전력으로서 직접 사용되도록 증폭기(2)만이 턴-온되고, 반면에 증폭기들(3 및 4)은 턴-오프된다.
도 13에서 곡선(Ⅱ)은 도 10에 도시된 상태(Ⅱ)에서 송신전력증폭부의 출력전력과 송신전력증폭부의 작동효율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출력전력이 약 +12dBm 내지 +13dBm으로 감소할 때 송신전력증폭부의 효율이 약간 60% 이하인 것을 도 13에서 알 수 있다.
이동국이 PHS시스템용으로 이용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AGC증폭기(1)는 그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해 조정되므로 송신전력증폭부의 출력레벨은 거리신호(S6)의 변화에 응답하여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회로(9)는 이동국이 시스템모드신호(S7)에 의해 PHS시스템용으로 이용되는 것을 검출하고 제어신호(C2)가 로우(0)가 되게 한다(도 10의 상태Ⅲ 참조). 그러므로, 전압제어회로(26)는 제어신호들(C4및 C5)이 하이(1)가 되게 하고 제어신호들(C6, C7및 C8)이 로우(0)가 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도 11c에서 도시한대로, 증폭기(3)는 스위치회로(31)를 통해 정합회로(32)와 방향성결합기(33)에 연결된다. 동시에, 바이어제어회로(25)는 증폭기(4)로의 전압의 공급을 차단하여, 증폭기(4)가 불활성화됨으로써 전력소비를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도 11c에서 도시한대로, AGC증폭기(1)로 입력되는 송신신호는 증폭기(2)→스위치회로(21)→증폭기(3)→스위치회로(31)→정합회로(32)
→방향성결합기(33)의 경로를 통하여 출력된다. 다시 말하면, 증폭기들(2 및 3)은 턴-온되고 반면에 증폭기(4)는 턴-오프된다.
도 13에서 곡선(Ⅲ)은 도 10에 도시된 상태(Ⅲ)에서 송신전력증폭부의 출력전력과 송신전력증폭부의 작동효율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PHS시스템에서, 증폭기(3)는 정합회로(32)에 의해 1,895MHz 내지 1,918MHz의 협대역에서 PHS시스템을 최적으로 정합하고, 정합회로의 출력은 방향성결합기(33)로 출력된다. 방향성결합기(33)는 송신출력레벨의 100분의 1정도 레벨의 신호를 검출기(6)로 출력한 다음, 나머지 송신전력을 출력신호(Sout)로서 전송한다. 그러므로, 제 2실시예는 PHS단말로서 동작한다.
반면에,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특정상태(Ⅳ)하에서 제어회로(9)는 제어신호들(C1, C2및 C3)이 모두 로우(0)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AGC제어회로(8)와 AGC회로(1)가 불활성화된다. 동시에, 도 11d에서 도시한대로, 모든 증폭기들(2, 3 및 4)이 불활성화된다.
그러므로, 제 2실시예는 PDC시스템과 PHS시스템에서 주파수가 다른 두 시스템들에 적용되는 하나의 송신전력증폭부를 구비한 이동국세트로서 동작하므로, 두 개의 송신전력증폭부들, PDC시스템용과 PHS시스템,을 지닌 종래기술의 이동국들에 대해 구성요소의 장착지역과 제조비용면에서 주요한 이점을 제공한다. PDC방식에서,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의 경우에서처럼 낮은 출력동작에 대한 효율의 향상을 보여준다.
제 2실시예를 PDC시스템과 PHS시스템의 이중대역시스템에 적용하지만, 유럽에서 이용할 수 있는 900MHz대역을 사용하는 GSM(global system for a mobile)시스템과 PCN(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시스템의 이중대역 또는 GSM시스템과 PHS시스템의 이중대역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자체가 변형될 수 있다.
상술한 제 1 및 제 2실시예들이 송신전력증폭부에 대해 세 단계 구성의 증폭기들을 구비하나, 본 발명은 세 개 이상 또는 두 단계 구성의 증폭기들을 구비한 송신전력증폭부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전력증폭부는 최대송신출력전력레벨에 대해 최대효율을 확보하면서 낮은 출력동작에 대해 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광출력동적범위에 대해 매우 효율적으로 동작하여 연속통화시간을 상당히 연장할 수 있다. 더욱이, 단일의 송신전력증폭부 자체를 다른 두 주파수 대역들중의 어느 한쪽의 무선파의 송신에 적용하여 송신전력증폭부의 소자장착영역과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0)

  1.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송신기에 있어서,
    복수개의 증폭기들(1, 2 및 3)로 구성된 송신전력증폭부;
    상기 증폭기들 각각의 출력단에 연결된 복수개의 스위치회로들(21, 22 및 23); 및
    상기 증폭기들과 스위치회로들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기들의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스위치회로들을 동작시켜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거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증폭기를 직렬로 연결시키는 제어회로(9', 9, 11, 24, 25 및 26)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송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회로들중의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기들이 정합되는 주파수대역과 다른 주파수대역에서 정합을 실행시키는 정합회로(32)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송신기.
  3.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송신기에 있어서,
    자동이득제어증폭기(1);
    방향성결합기(5);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와 상기 방향성결합기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각각은 하나의 증폭기(2, 3 및 4)와 하나의 스위치회로(21, 22 및 23)에 의해 구성되는 복수개의 증폭기단(段)들; 및
    상기 증폭기단들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단들중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증폭기단들 각각의 스위치회로를 동작시켜 상기 이동국과 상기 기지국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와 상기 방향성결합기 사이에 상기 활성화된 증폭기를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어회로(9', 11 및 26)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송신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거리에 따라 명령신호(C1및 C2)를 발생시키는 제 1제어회로(9'); 및
    상기 제 1제어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와 상기 방향성결합기 사이에 상기 증폭기를 직렬로 연결하는 제 2제어회로(26)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송신기.
  5. 상기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단들의 제 1단의 상기 스위치회로는 단일극성이중스로우(single pole double throw)방식이고,
    상기 증폭기단들의 최종단의 상기 스위치회로는 단일극성이중스로우 방식이고,
    상기 증폭기단들의 중간단의 상기 스위치회로는 단일극성이중스로우 방식인 이동통신용 송신기.
  6. 상기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결합기에 연결된 검출기(6);
    상기 검출기 및 상기 제어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기의 검출전압(VD)과 상기 제어회로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거리에 의존하는 기준전압(VR)을 비교하는 비교기(7); 및
    상기 비교기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전압이 상기 기준전압에 근접하도록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를 제어하는 자동이득제어전압제어회로(7a)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송신기.
  7.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송신기에 있어서,
    자동이득제어증폭기(1);
    제 1 및 제 2 방향성결합기들(5 및 33);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와 상기 제 1방향성결합기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각각은 하나의 증폭기(2, 3 및 4)와 하나의 스위치회로(21, 31 및 23)에 의해 구성되는 복수개의 증폭기단(段)들;
    상기 증폭기단들의 중간단과 상기 제 2방향성결합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들이 정합되는 주파수대역과 다른 주파수대역에서의 정합을 실행하는 정합회로(32); 및
    상기 증폭기단들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단들중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증폭기단들 각각의 스위치회로를 동작시켜 상기 이동국과 상기 기지국간의 거리 및 상기 제 1방향성결합기 및 제 2 방향성결합기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시스템모드신호(Sn)에 따라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와 상기 제 1 및 제 2방향성결합기들 사이에 상기 활성화된 증폭기를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어회로(9, 11 및 26)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송신기.
  8. 상기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거리 및 시스템모드신호에 따라 명령신호(C1및 C2)를 발생시키는 제 1제어회로(9); 및
    상기 제 1제어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고,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와 상기 방향성결합기들중 하나의 방향성결합기 사이에 상기 증폭기를 직렬로 연결하는 제 2제어회로(26)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송신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단들 각각의 상기 스위치회로는 단일극성이중스로우(single pole double throw)방식인 이동통신용 송신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방향성결합기들에 연결된 검출기(6);
    상기 검출기 및 상기 제어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기의 검출전압(VD)과 상기 제어회로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거리에 의존하는 기준전압(VR)을 비교하는 비교기(7); 및
    상기 비교기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전압이 상기 기준전압에 근접하도록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를 제어하는 자동이득제어전압제어회로(7a)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송신기.
KR1019980020964A 1997-06-06 1998-06-05 증폭기들을선택적으로활성화할수있는이동통신용송신기 KR100293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49229 1997-06-06
JP14922997A JP3171141B2 (ja) 1997-06-06 1997-06-06 移動体通信用送信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729A true KR19990006729A (ko) 1999-01-25
KR100293484B1 KR100293484B1 (ko) 2001-09-17

Family

ID=1547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964A KR100293484B1 (ko) 1997-06-06 1998-06-05 증폭기들을선택적으로활성화할수있는이동통신용송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15987B1 (ko)
EP (1) EP0883250B1 (ko)
JP (1) JP3171141B2 (ko)
KR (1) KR100293484B1 (ko)
CN (1) CN1098566C (ko)
DE (1) DE69826563T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052A (ko) * 2000-10-04 2002-04-13 송재인 무선 기기의 출력 자동 조정 방법
KR20030016449A (ko) * 2001-08-16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송신기의 송신 전력 제어장치
US6833771B1 (en) 2000-05-16 2004-12-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igh efficiency amplifier with amplifier element, radio transmission device therewith and measuring device therefor
KR100789203B1 (ko) * 2000-08-30 2007-12-31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폐쇄 전력 제어 피드백 루프를 사용하여 증폭기로부터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컴퓨터에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11382D0 (en) 1998-05-27 1998-07-22 Nokia Mobile Phones Ltd A transmitter
JP3587347B2 (ja) 1998-08-07 2004-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JP3587346B2 (ja) * 1998-08-07 2004-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US6418304B1 (en) * 1998-09-16 2002-07-0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efficiency of high-power linear amplifier
FI106412B (fi) 1998-11-10 2001-01-31 Nokia Mobile Phones Ltd Lineaarinen tehovahvistinjärjestely ja menetelmä sen käyttämiseksi
JP2000196521A (ja) * 1998-12-25 2000-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US6615028B1 (en) * 1998-12-29 2003-09-02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mplifiers in a communications device
EP1032120A3 (en) * 1999-02-26 2003-07-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wer amplifier, power control method for power amplifie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WO2000059119A1 (de) * 1999-03-25 2000-10-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funk-endgerät
JP4062816B2 (ja) * 1999-05-13 2008-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送信電力制御回路
US6763470B1 (en) * 1999-05-19 2004-07-13 Globespanvirata,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mplifying a delayed analog signal based on amplitude information obtained from its digital representation
US6556814B1 (en) * 1999-07-22 2003-04-29 Motorola, Inc. Memory-based amplifier load adjust system
JP3739614B2 (ja) * 1999-11-24 2006-01-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出力電力調整を行う送信機
KR20010059473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장치 및 방법
US6721368B1 (en) * 2000-03-04 2004-04-1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ter architectures for communications systems
US6920334B1 (en) * 2000-03-24 2005-07-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ain control feedback in RF amplifiers
JP2001284998A (ja) * 2000-03-31 2001-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送信装置
JP4610697B2 (ja) 2000-06-13 2011-0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FR2812141B1 (fr) * 2000-07-21 2003-01-10 Thomson Multimedia Sa Bloc d'amplification de signaux rf, dispositif d'emission de signaux rf et terminal-antenne d'emission de signaux rf
JP3848068B2 (ja) * 2000-09-12 2006-11-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Cdma無線送信装置、cdma無線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cdma無線送信装置の送信電力制御方法ならびにcdma無線送受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送信装置の送信電力制御方法
FR2815510B1 (fr) * 2000-10-17 2005-02-25 Sagem Telephone mobile avec emetteur perfectionne
EP1202470B1 (fr) 2000-10-27 2007-07-18 STMicroelectronics N.V.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ntrôle de la puissance d'émission d'un téléphone mobile cellulaire
US6653898B2 (en) * 2000-12-28 2003-1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gh efficiency stage-switching CDMA power amplifier
US6961368B2 (en) 2001-01-26 2005-11-01 Ericsson Inc. Adaptive antenna optimization network
TW503345B (en) * 2001-03-26 2002-09-21 Mediatec Inc Power controller
WO2002097983A1 (en) * 2001-05-31 2002-12-05 Nokia Corporation Power varying circuit, radio transmitter, radio terminal and method for varying the power of signals
WO2002104043A2 (en) * 2001-06-19 2002-12-27 Harri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nominal remote station operational setting for minimal base station noise interference
US6819941B2 (en) 2001-10-11 2004-11-16 Rf Micro Devices, Inc. Single output stage power amplification for multimode applications
JP2003124754A (ja) * 2001-10-18 2003-04-25 Hitachi Ltd 高周波増幅器
TW516748U (en) * 2001-10-26 2003-01-01 Kye Systems Corp Wireless transmitting circuit with adjustable radio frequency transmitting power
JP2004159221A (ja) * 2002-11-08 2004-06-03 Renesas Technology Corp 通信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4160381B2 (ja) * 2002-12-27 2008-10-01 ローム株式会社 音声出力装置を有する電子装置
JP3922571B2 (ja) 2003-03-26 2007-05-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170341B2 (en) * 2003-08-05 2007-01-30 Motorola, Inc. Low power consumption adaptive power amplifier
US7228135B2 (en) * 2003-08-12 2007-06-05 Yury Alexeevich Gromakov Method for cellular communications
JP4521806B2 (ja) * 2003-09-11 2010-08-11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力増幅装置および送信装置
US7623896B2 (en) * 2004-02-04 2009-11-24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7379714B2 (en) * 2004-04-02 2008-05-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transmitter's impedance
KR20050100300A (ko) * 2004-04-13 2005-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증폭기모드 선택장치
US7292096B2 (en) * 2004-06-21 2007-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mplifier
JP4487768B2 (ja) * 2004-12-27 2010-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及びその送信電力調整方法
US7345534B2 (en) * 2005-05-31 2008-03-18 M/A-Com Eurotec Bv Efficient power amplification system
JP4584062B2 (ja) * 2005-07-21 2010-11-1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US7808985B2 (en) * 2006-11-21 2010-10-05 Gigle Networks Sl Network repeater
US20070076666A1 (en) * 2005-10-03 2007-04-05 Riveiro Juan C Multi-Wideband Communications over Power Lines
EP1770870B1 (en) * 2005-10-03 2019-04-03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Powerlin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8406239B2 (en) * 2005-10-03 2013-03-26 Broadcom Corporation Multi-wideband communications over multiple mediums
US8213895B2 (en) * 2005-10-03 2012-07-03 Broadcom Europe Limited Multi-wideband communications over multiple mediums within a network
US7933567B2 (en) * 2006-01-26 2011-04-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linear monotonic output power
US7860146B2 (en) * 2006-07-06 2010-12-28 Gigle Networks, Inc. Adaptative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S8885814B2 (en) 2006-07-25 2014-11-11 Broadcom Europe Limited Feedback impedance control for driving a signal
EP1892827A1 (en) * 2006-08-24 2008-02-27 Alcatel Lucent Single-band multi-standard power amplifier
JP5022792B2 (ja) * 2007-07-02 2012-09-12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Dcdcコンバータユニット、電力増幅器、及び基地局装置
US8619639B2 (en) 2007-07-06 2013-12-31 Lantiq Deutschland Gmbh Power detector radio frequency multiplexer
US7795973B2 (en) * 2008-10-13 2010-09-14 Gigle Networks Ltd. Programmable gain amplifier
JP4957734B2 (ja) * 2009-02-10 2012-06-20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撮像装置及び受信方法
US8971830B2 (en) * 2009-05-12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Multi-mode multi-band power amplifier module
US8487705B2 (en) 2010-05-26 2013-07-16 Triquint Semiconductor, Inc. Protection circuit for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CN102420711B (zh) * 2010-09-28 2014-04-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网络通信设备及其侦测负载异常的方法
TWI450509B (zh) * 2010-10-07 2014-08-21 Hon Hai Prec Ind Co Ltd 網路通訊設備及其偵測負載異常的方法
RU2481696C9 (ru) * 2011-05-05 2013-09-10 Евгений Васильевич Прокофьев Генератор автоколебаний прокофьева
CN102355204B (zh) * 2011-05-20 2014-04-16 深圳市纳芯威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功放自动切换电路及功放芯片
US8538368B1 (en) * 2011-11-14 2013-09-17 Triquint Semiconductor, Inc. Dynamic power limiter circuit
US8829997B1 (en) 2012-10-23 2014-09-09 M/A-Com Technology Solutions Holdings, Inc. Monolithic integrated power regulation for power control and/or bias control
CN107733379B (zh) * 2016-08-11 2021-08-03 格兰康希通信科技(上海)有限公司 射频放大器输出端失配检测电路及其检测方法
JP2019092131A (ja) * 2017-11-17 2019-06-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モジュール
KR20230003120A (ko) 2020-04-28 2023-01-05 레이크 쇼어 크라이오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동기식의 정확한 재료 특성 측정을 위한 통합 측정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1453B2 (ja) 1980-09-29 1983-11-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送信装置
US4485486A (en) * 1982-08-03 1984-11-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duplex radio channels and scanning duplex radio channels assigned to mobile and portable radio telephones in a cellular radio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
US4598252A (en) * 1984-07-06 1986-07-01 Itt Corporation Variable gain power amplifier
US4755769A (en) * 1987-05-20 1988-07-05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e amplifier with efficient power reduction
JPH02246531A (ja) * 1989-03-20 1990-10-02 Fujitsu Ltd 送信電力可変形送信機の送信断検出回路
JP2746685B2 (ja) * 1989-09-06 1998-05-06 富士通株式会社 送信出力制御回路
JPH0425220A (ja) * 1990-05-21 1992-01-29 Toshiba Corp 自動電力制御回路
JPH0454006A (ja) * 1990-06-22 1992-02-21 Fujitsu Ltd 増幅装置
KR950000054B1 (ko) * 1990-07-27 1995-01-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자동파워 콘트롤장치
US5129098A (en) * 1990-09-24 1992-07-07 Novatel Communication Ltd. Radio telephone u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in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US5251328A (en) * 1990-12-20 1993-10-05 At&T Bell Laboratories Predistortion technique for communications systems
NZ255617A (en) * 1992-09-04 1996-11-26 Ericsson Telefon Ab L M Tdma digital radio: measuring path loss and setting transmission power accordingly
JP3444653B2 (ja) * 1994-06-09 2003-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増幅器
US5758269A (en) * 1995-03-30 1998-05-26 Lucent Technologies Inc. High-efficient configurable power amplifier for use in a portable unit
US5661434A (en) * 1995-05-12 1997-08-26 Fujitsu Compound Semiconductor, Inc. High efficiency multiple power level amplifier circuit
US5862461A (en) * 1995-08-31 1999-01-19 Sony Corporation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gain of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gain of received signal
US5852770A (en) * 1995-09-19 1998-12-22 Sanyo Electric Co., Ltd.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US5872481A (en) * 1995-12-27 1999-02-1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parallel-stage power amplifier
JPH1022756A (ja) * 1996-07-04 1998-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送信機およびその送信制御方法
US5834975A (en) * 1997-03-12 1998-11-10 Rockwell Science Center, Llc Integrated variable gain power amplifier and method
US5923213A (en) * 1997-07-09 1999-07-13 U.S. Philips Corporation Digitally gain-controlled amplifying device, and camera using such a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3771B1 (en) 2000-05-16 2004-12-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igh efficiency amplifier with amplifier element, radio transmission device therewith and measuring device therefor
KR100789203B1 (ko) * 2000-08-30 2007-12-31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폐쇄 전력 제어 피드백 루프를 사용하여 증폭기로부터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컴퓨터에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020027052A (ko) * 2000-10-04 2002-04-13 송재인 무선 기기의 출력 자동 조정 방법
KR20030016449A (ko) * 2001-08-16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송신기의 송신 전력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41172A (ja) 1998-12-22
DE69826563D1 (de) 2004-11-04
US6215987B1 (en) 2001-04-10
KR100293484B1 (ko) 2001-09-17
CN1098566C (zh) 2003-01-08
EP0883250B1 (en) 2004-09-29
CN1202046A (zh) 1998-12-16
EP0883250A2 (en) 1998-12-09
DE69826563T2 (de) 2006-02-23
EP0883250A3 (en) 2003-03-19
JP3171141B2 (ja) 200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484B1 (ko) 증폭기들을선택적으로활성화할수있는이동통신용송신기
KR100423854B1 (ko) 고주파증폭기,송신장치및수신장치
KR100312367B1 (ko) 이동체통신장치및방법
KR100357619B1 (ko) 이동 통신단말기의 출력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RU225248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силения мощности передачи беспроводного телефона при пониженном энергопотреблении
US6169449B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circuit capable of varying electric power over a wide range
KR100353313B1 (ko) 전력제어회로및이동전화의전력효율을향상시키는방법
US200900213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of mimo systems
US20060009164A1 (en) Radio frequency switching circuit
US6337974B1 (en) Cellular mobile telephone terminal
US6043721A (en) Dual band amplifier
US20060044067A1 (en) High-frequency power amplifier
US20020132596A1 (en) Power rate enhancement circuit for an RF power amplifier in a dual mode mobile phone
JP3235580B2 (ja) 高効率増幅器
US6760604B2 (en) Portable radio transceiver having shared power source for audio and RF amplifiers
US6518840B1 (en) Circuit for linearizing the power control profile of a BiCMOS power amplifier
US6445729B1 (en) Radio signal transceiver apparatus
JP2000165311A (ja) 携帯端末の出力回路
GB2317513A (en) RF fet power amplifier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US7190228B2 (en) Gain control device of transmit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6842072B1 (en) Power gain reduction circuit for power amplifiers
KR100654644B1 (ko) 최적화된 전력 효율을 갖는 전력 증폭기
JP2002171177A (ja) 中間周波数がゼロである構造の送信機で、htb技術によるパワー増幅器を使用可能にする制御方法および回路
KR100757706B1 (ko) 선택적 전압 제어를 이용한 고효율 바이패스 스위칭 다중모드 전력 증폭 장치
US668749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