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566A - 고설 재배용기 - Google Patents

고설 재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566A
KR19990006566A KR1019980020326A KR19980020326A KR19990006566A KR 19990006566 A KR19990006566 A KR 19990006566A KR 1019980020326 A KR1019980020326 A KR 1019980020326A KR 19980020326 A KR19980020326 A KR 19980020326A KR 19990006566 A KR19990006566 A KR 19990006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ultivation
clay
snow
cultiva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헤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고헤이 야마모토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헤이 야마모토,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고헤이 야마모토
Publication of KR19990006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5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중첩된 2장의 가요성 시트(11, 12)에 복수의 고착부(13)를 설치함으로써 가요성 시트(11, 12)간에 형성된 배토 수용부(14)와 이 배토 수용부(14)에 연결가능한 복수의 개구부(15)를 갖는 재배용기(16)를 구비하고, 배토 수용부(14)는 가요성 시트(11, 12)를 연장 설치하여 형성한 걸림부(18)의 통형상부(19)에 삽입한 지지부재(20)에 의해서 지면(17)상에 기립 상태로 유지되고, 재배용기(16)는 지지부재(21)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서서 작업이 가능하며, 배토·물·비료 등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설치 및 철수 작업이 용이하며, 재배 기간중의 안정성에 뛰어 나고, 수납 공간도 작고, 저 비용의 고설 재배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설 재배용기
본 발명은, 딸기, 잎 채소, 화훼, 뿌리 채소류 등을 지표면 보다 높은 위치에서 재배하기 위한 고설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딸기, 잎 채소, 화훼, 뿌리 채소류 등을 재배하는 경우, 재배지의 지표면에 형성한 이랑에 따라 모종을 심어 생육시키는 토경 재배라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토경 재배에서는 육묘로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작업은 엉거 주춤하거나 웅크리고 앉은 자세로 하는 일이 많고, 특히 딸기 등의 경우, 정식의 때는 모종의 운반 등의 중노동을 수반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이 대단히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가혹한 노동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선 상태로 작업 가능한 재배용기의 개발, 개량이나 새로운 재배 기술의 연구 등이 행하여져, 그 하나로서, 소위 고설 재배라 불리는 재배 방법이 일부에 있어서 실시되고 있다.
본 출원인도 딸기 등의 재배용기로서, 배토의 사용량이 적어도 되고, 뿌리의 성장도 양호한 재배용기를 개발하고(일본공개실용신안 평 6-34437 호 공보 참조), 또한 이 재배용기를 유지하는 장치 및 살수나 시비에 적합한 보조기구를 개발하고 있다(일본공고실용신안 평 6-16495 호 공보 참조). 이들의 재배용기와 장치를 조합함으로써 노동조건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보조기구를 세트한 재배용기를 유지 장치로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장치(80)는 프레임(81) 및 지주(82)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끝이 가는 원통상의 재배용기(91)나 살수·시비용의 보조기구(92)를 유지 장치(80)에 유지함으로써, 선 작업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재배 작업의 효율화, 노동 조건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재배용기를 지표면 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본 출원인은 복수개의 용기 본체를 연결 부재로 연결한 형상의 재배용기를 가대(크로스바)에 걸쳐 유지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일본공개특허 평 8-298870 호 공보 등으로 개시하고 있다.
도 10은 상기 공보에 관한 재배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재배용기(95)는, 합성 수지제의 용기 본체(96)의 상단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10개의 용기 본체를 직선상으로 연결한 형상을 갖는 용기 본체군(97a, 97b)을 구성하여, 용기 본체군(97a, 97b)의 상부를 연결부재(98)에 연결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재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서서 작업이 가능해지고, 종래의 재배용기의 다수개분을 1회의 걸림 동작으로 프레임(99)에 걸림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배용기의 걸림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다.
종래의 고설 재배장치의 경우, 재배용기가 단체용기, 연속용기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라도, 용기내에 배토를 충전하는 작업은 용기마다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다수의 재배용기를 사용하는 대규모 재배에 있어서는, 설치 작업이나 배토 충전작업에 막대한 시간과 노동력을 요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재배용기는 유지 장치에 늘어뜨린 상태로 사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실제로 재배에 기여하고 있는 부분에 비하여, 유지 장치가 차지하는 비율 쪽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장치를 운반할 때에는 손이 많이 가고,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여, 재배지가 좁은 경우는 채용이 곤란하다.
그리고 재배 계절의 종료 후에 있어서는, 재배용기 내의 배토를 배출하는 작업이나 유지 장치류의 철수 작업에 막대한 시간과 노동력을 허비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철수 후에 있어서 이들의 재배용기나 유지 장치 등을 수납하기 위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고설 재배장치는 사이즈가 비교적 크고 구조도 복잡하기 때문에, 제작에 많은 시간과 수고를 요하며, 합성 수지 등의 원재료도 대량으로 필요하고 비용도 높다. 이 때문에 재배 면적의 작은 소규모 농가 등에 있어서는 채용이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서 작업이 가능하고, 배토·물·비료 등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설치 및 철수 작업이 용이하고, 재배 기간중의 안정성에 뛰어 나고, 수납 공간도 작은 저 비용의 고설 재배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기는, 중첩된 복수의 가요성 시트에 복수의 고착부를 설치함으로써 가요성 시트간에 형성된 배토 수용부와, 배토 수용부와 연결된 개구부를 갖는 재배용기와, 재배용기와 결합하여 배토 수용부를 지면상에 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기에 의하면, 유지 수단에 의해서 기립 상태로 유지된 배토 수용부 및 재배용기에 배토를 충전하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기립한 배토 수용부 및 재배용기에 충전한 배토에서 식물 재배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재배 기간 종료 후 배토를 배출하면, 배토 수용부는 원래의 가요성 시트상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철수 작업도 간단하다. 이 경우, 재배용기의 개구부와 배토 수용부를 착탈 가능하게 해 두면, 재배용기와 가요성 시트를 따로따로 철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아진다.
또한, 배토 수용부 및 재배용기를 지면상에 기립시킨 상태에서 식물의 재배를 하기 때문에 서서 작업이 가능하고, 배토는 배토 수용부 등을 채우는 정도의 분량으로 좋으므로 사용량이 적어도 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물·비료 등의 사용량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배토 수용부가 접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면 온도가 가요성 시트에 전달되어 고설 재배용기 전체에 확산되어 보온 효과도 우수하다.
또한 재배용기와 배토 수용부를 달리하여, 재배용기에 결합하는 지지 수단으로 기립 상태에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재배용기에 충전한 배토 등에 의한 배토 수용부의 중량 부담이 작고, 재배 기간중, 배토 수용부가 변형하거나, 경사하지 않고,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토 수용부에 대하여 재배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해 놓으면, 필요에 따라서 재배용기만을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토 수용부는, 배토를 충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복수의 가요성 시트를 중첩된 평면적 형상이기 때문에 부피가 늘어나지 않고, 접거나, 롤형상으로 감는 것도 가능하므로 수납시의 사이즈가 작아지고, 운반 작업 등도 용이하다. 또한, 가요성 시트로 형성한 배토 수용부와 재배용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구조이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원재료도 적게 들어 저 비용이다. 또한, 배토 수용부에서 재배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하여 놓으면, 재배용기와 배토 수용부를 따로따로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 사이즈를 또한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중첩된 복수의 가요성 시트를 고정 장착하는 수단으로서는, 접착제, 압착, 가열압착, 봉제, 고정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기에서는, 가요성 시트에 형성된 걸림부와 결합하여, 배토 수용부를 지면상에 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구비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재배용기와 달리, 배토 수용부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유지능력이 높아지고, 재배 기간 중에 있어서 안정성이 또한 향상한다.
또한 재배용기, 배토 수용부의 지지 수단으로서, 지상에 설치된 지지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재배용기, 배토 수용부를 지면상에 있어서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설치, 철수 작업도 용이하다. 이 경우, 지면에 설치한 지주에 지지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가설한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시트에 형성된 걸림부에, 지지부재가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를 형성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통형상부에 지지부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걸림부를 지지부재에 확실히 걸 수 있게 되고, 지지부재와 통형상부와의 착탈도 용이하다.
재배용기에는, 배토 수용부의 배열 간격과 동등하게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재배용기의 개구부와 배토 수용부와의 연결이 보다 확실히 행하여지기 때문에, 배토 충전 작업중에 연결부분이 어긋나거나 이탈하지 않고, 재배 기간중에 있어서의 안정성도 향상한다.
또한 배토 수용부를 테이퍼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배토 수용부 내에 배토를 충전할 때에 흙의 가득참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므로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재배 기간 종료 후, 배토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테이퍼형상이 빠져 경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배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시트의 아래 가장자리를 연장 설치하여 멀팅용 시트부를 형성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지면에 형성한 이랑의 위에 배토 수용부를 기립 상태로 유지한 경우, 멀팅용 시트부에서 이랑의 표면을 덮을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통상의 멀팅과 같은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가요성 시트는 합성 수지 필름, 종이, 섬유, 불직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가요성 시트로서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한 경우, 기밀성, 내식성, 내구성에 뛰어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종이, 섬유, 불직포를 사용한 경우는 통풍성을 구비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고, 연소중에 유해 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소각 처분도 용이해 진다.
또한, 재배용기 및 가요성 시트는, 투명한 것 불투명한 것 중 어느 쪽이든 좋지만, 외기 온도를 전하기 쉬운 열전도가 양호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배토 수용부 내에 충전한 배토 중에서의 뿌리의 생육을 활성화할 수 있다.
재배용기는, 경질의 합성 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로 형성한 재배용기는, 가요성 시트에 비하여 강성이 높기 때문에 변형하기 어렵고, 충전된 배토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배토 수용부에의 중량 부담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농약이나 비료 등에 대한 내구성 등도 우수하므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질의 합성 수지재로서는 발포 폴리스티렌,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펠렌, ABS 수지, AES 수지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설 재배용기를 구성하는 재배용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재배용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고설 재배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고설 재배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1의 고설 재배용기의 별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제 2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제 3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고설 재배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고설 재배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30, 40 : 고설 재배용기 11, 12, 41, 42 : 가요성 시트
13, 43 : 고착부 14, 31, 44 : 배토 수용부
15, 15a, 45 : 개구부 16, 46 : 재배용기
17 : 지면 18 : 걸림부
19 : 통형상부 20, 21, 47 : 지지부재
22 : 결합 홈 23 : 지주
24, 32 : 배토 25 : 식물
26 : 이랑 27 : 멀팅용 시트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고설 재배용기를 구성하는 재배용기의 평면도, 도 3은 동일 재배용기의 측면도, 도 4는 고설 재배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같은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10)는 중첩된 2장의 가요성 시트(11, 12)에 복수의 고착부(13)를 설치함으로써 가요성 시트(11, 12)간에 형성된 배토 수용부(14)와, 이 배토 수용부(14)에 연결 가능한 복수의 개구부(15)를 갖는 재배용기(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배토 수용부(14)는 가요성 시트(11, 12)를 연장 설치하여 형성한 걸림부(18)의 통형상부(19)에 삽입한 지지부재(20)에 의해서 지면(17)상에 기립 상태로 유지되고, 개구부(15)를 사이에 두어 배토 수용부(14)에 연결한 재배용기(16)는 지지부재(21)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 상태로 유지된 배토 수용부(14) 및 재배용기(16)에 배토(24)를 충전하면, 식물(25)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배토 수용부(14) 및 재배용기(16)를 지면상에 기립시킨 상태로 식물(25)의 재배를 하기 위해서 서서 작업이 가능하고, 배토(24)는 배토 수용부(14) 등을 채우는 정도의 분량으로 좋기 때문에 사용량이 적어도 되고, 이것에 따라, 물·비료 등의 사용량도 저감할 수 있고, 시비나 소독 등도 용이해 진다. 또한, 배토 수용부(14)가 접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면(17)의 온도가 가요성 시트(11, 12)에 전달되어 고설 재배용기(10) 전체에 확산되어 보온 효과도 우수하다. 이 경우, 가요성 시트(11, 12)의 소재로서 열전도가 양호한 것을 사용하면, 플라스틱제의 튜브 덕트 등을 밀착시켜 배치한 경우, 배토 온도의 컨트롤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고착부(13)의 크기나 배치 간격 등을 변경함으로써 배토 수용부(14)의 사이즈 변경도 간단하기 때문에,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배토량을 조정할 수 있고, 재배 계절과 배토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연작 장해가 발생하기 어렵고, 연작이 곤란한 식물의 재배도 가능해지며, 유기 작물도 저 비용으로 재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식 작업 등을 서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대모종의 정식이 용이하게 되며, 재배 기간의 단축 및 연간 재배 회수의 증대의 도모가 가능하고, 정식 후에 있어서의 밑래 잎의 손질이나 솎아냄 등에 요하는 작업을 종래의 1/7 내지 1/10 정도까지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재배용기(16)와 배토 수용부(14)를 달리하여, 각각 결합하는 지지부재(20, 21)로 기립 상태에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재배용기(16)에 충전한 배토(24)에 의한 배토 수용부(14)의 중량 부담이 작고, 재배 기간중, 배토 수용부(14)가 변형하거나, 기울어지는 일이 없고,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토 수용부(14)에 대하여 재배용기(16)는 착탈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서, 재배용기(16)만을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립한 배토 수용부(14) 및 재배용기(16)에 배토(24)를 충전하는 것만으로 식물(25)의 재배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설치 작업은 용이하고, 재배 기간 종료 후, 배토 수용부(14) 및 재배용기(16) 내의 배토(24)를 배출하면, 배토 수용부(14)는 원래의 가요성 시트상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철수 작업은 간단하다. 예를 들면, 설치 작업에 요하는 시간은 종래의 고설 재배 장치와 비교한 경우, 1/3 내지 1/5 정도이다.
이 경우, 재배용기(16)는 배토 수용부(14)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배토(24)의 배출 작업도 용이하고, 재배용기(16)와 배토 수용부(14)를 형성하는 가요성 시트(11, 12)를 따로따로 철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재배용기(16)와 가요성 시트(11, 12)를 따로따로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배토 수용부(14)는 배토(24)를 충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2장의 가요성 시트(11, 12)가 중첩된 평면형상이기 때문에 부피가 늘어나지 않고, 접거나, 롤형상으로 감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수납시의 사이즈가 작아지고, 운반 작업 등도 용이하다. 또한, 가요성 시트(11, 12)로 형성한 배토 수용부(14)와 재배용기(16)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구조이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재료도 적고, 저 비용이고, 종래의 고설 재배 장치와 비교하면, 설비비는 1/5 내지 1/10 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중첩된 2장의 가요성 시트(11, 12)를 고정 장착하는 수단으로서 가열 압착을 채용하고 있지만, 접착제, 압착, 봉제, 고정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재배용기(16)의 개구부(15)는 배토 수용부(14)의 배열 간격과 동등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15)와 배토 수용부(14)를 확실히 연결할 수 있고, 배토 충전 작업중에 연결 부분이 어긋나거나 이탈하는 일이 없고, 재배 기간중에 있어서의 안정성도 우수하다. 또한 복수의 개구부(15) 대신, 구형의 개구부(15a)(도 2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를 설치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0, 21)는 지면(17)에 설치한 지주(23)에 수평 방향으로 가설되어 있고, 연결 상태에 있어서, 재배용기(16) 아래 쪽의 결합 홈(22)을, 지지부재(20)를 삽입한 통형상부(19)에 끼워 맞추고 있기 때문에,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에의 엇갈림이나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가요성 시트(11, 12)의 걸림부(18)에는 지지부재(20)가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19)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통형상부(19)에 지지부재(20)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걸림부(18)를 지지부재(20)에 확실히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지지부재(20)와 통형상부(19)와의 착탈작업도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10)에서는, 지면(17)에 형성한 이랑(26)에 배토 수용부(14)의 하단을 매립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1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요성 시트(11, 12)의 아래 가장자리를 연장 설치하여 멀팅용 시트부(27)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이랑(26) 위에 배토 수용부(14)를 기립 상태로 유지한 경우, 멀팅용 시트부(27)에서 이랑(26)의 표면을 덮을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의 멀팅과 같은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고, 멀팅과 수확봉을 단일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1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열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을 함으로써, 재배지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재배 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설 재배용기(10)로서는 가요성 시트(11, 12)는 합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배토 수용부(14)는 기밀성, 내식성, 내구성에 우수하다. 이 외에, 가요성 시트(11, 12)는, 종이, 섬유, 불직포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통풍성을 구비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고, 연소중에 유해 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각 처분도 용이하여 진다.
또한, 고설 재배용기(10)로서는 재배용기(16)를 경질의 합성 수지인 폴리염화 비닐로 형성하고 있어서, 가요성 시트(11, 12)에 비하여 강성이 높게 변형하기 어렵고, 충전된 배토(24)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배토 수용부(14)에의 중량 부담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농약이나 비료 등에 대한 내구성 등도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 재배용기(16)는 발포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펠렌, ABS 수지, AES 수지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설 재배용기(10)로서는 가요성 시트(11, 12)는 불투명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하고 있어서, 기밀성, 내구성, 내식성, 보온성 등에 뛰어 나, 배토(24) 중에 있어서의 식물(25)의 생육상태는 양호하다. 또한 이외에, 발포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펠렌, ABS 수지, AES 수지 등을 소재로 하는 필름재, 또는, 종이, 섬유, 불직포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생물 등의 활동에 의해서 분해하는 성질을 구비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사용 후, 땅속 등에 폐기 처분도 할 수 있게 되어, 연소중에 유독 가스 등의 발생하기 어려운 합성 수지를 사용하면 소각 처분도 가능해진다. 또한, 종이, 섬유, 불직포 등을 사용하면, 뿌리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통풍성을 구비한 배토 수용부(14)를 형성할 수 있어, 이들의 소재는 연소중에 유독 가스를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각 처분도 용이하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 2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30)에 있어서는 배토 수용부(31)를 테이퍼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배토 수용부(31) 내에 배토(32)를 충전할 때에 흙의 가득참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므로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재배 기간 종료 후, 배토(32)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테이퍼형상이 빠져 경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부분의 구조, 기능에 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10)와 같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 3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40)는 중첩된 복수의 가요성 시트(41, 42)에 복수의 고착부(43)를 설치함으로써 가요성 시트(41, 42)간에 형성된 배토 수용부(44)와, 배토 수용부(44)와 연결된 개구부(45)를 갖는 재배용기(46)와, 재배용기(46)와 결합하여 배토 수용부(44)를 지면(17)상에 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47)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40)의 경우, 재배용기(46)를 유지하는 지지부재(47)만으로, 배토 수용부(44)를 기립 상태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작업은 용이하고, 재배 기간 종료 후, 배토를 배출하면 배토 수용부(44)는 원래의 가요성 시트형상으로 되돌아가므로 철수 작업도 간단하다. 이 경우, 재배용기(46)의 개구부(45)와 배토 수용부(41)와는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재배용기(46)와 가요성 시트(41, 42)를 따로따로 철수할 수 있고, 작업성이 양호하다. 그 밖의 부분의 구조, 기능에 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10)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중첩된 복수의 가요성 시트에 복수의 고착부를 설치함으로써 가요성 시트간에 형성된 배토 수용부와, 배토 수용부와 연결된 개구부를 갖는 재배용기와, 재배용기와 결합하여 배토 수용부를 지면상에 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기립한 배토 수용부 및 재배용기에 충전한 배토로 식물 재배를 할수 있게 되기 때문에, 서서 작업이 가능해지고, 배토·물·비료 등의 사용량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배토 수용부가 접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면 온도가 가요성 시트에 전달되어 고설 재배용기 전체에 확산되어 보온 기능도 우수하다.
(2) 배토를 충전하지 않고 있는 상태의 배토 수용부는 평면적형상이기 때문에, 부피가 늘어나지 않고, 접거나, 롤형상으로 감는 것도 가능하므로, 수납 공간도 작아도 되고, 운반 등도 용이하다. 가요성 시트로 형성한 배토 수용부와 재배용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심플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원재료도 적어서 좋고, 저 비용이다.
(3) 재배용기와 배토 수용부를 달리하여, 재배용기에 결합하는 지지 수단으로 기립 상태에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재배용기에 충전한 배토의 중량에 의한 배토 수용부의 부담이 작고, 재배 기간중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4) 가요성 시트에 형성된 걸림부와 결합하여, 배토 수용부를 지면상에 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구비한 구조로 함으로써, 재배용기와 달리, 배토 수용부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유지 능력이 높아지고, 재배 기간중에 있어서의 안정성이 또한 향상한다.
(5) 재배용기, 배토 수용부의 지지 수단으로서, 지상에 설치된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지면상에 있어서 배토 수용부, 재배용기 등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설치, 철수 작업도 용이하다.
(6) 가요성 시트에 형성된 걸림부에, 지지부재가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를 형성한 구조로 함으로써, 통형상부에 지지부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걸림부를 지지부재에 확실히 걸 수 있도록 되어, 지지부재와 통형상부와의 착탈도 용이하다.
(7) 재배용기에, 배토 수용부의 배열 간격과 동등하게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를 설치한 구조로 함으로써, 재배용기의 개구부와 배토 수용부와의 연결이 보다 확실화하기 때문에, 배토 충전 작업중에 연결 부분이 어긋나거나 이탈하는 일이 없고, 재배 기간중에 있어서의 안정성도 향상한다.
(8) 배토 수용부를 테이퍼형상으로 함으로써, 배토 수용부 내에 배토를 충전할 때에 흙의 가득참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재배 기간 종료 후, 배토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테이퍼형상이 빠져 경사로서 기능하므로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9) 가요성 시트의 아래 가장자리를 연장 설치하여 멀팅용 시트부를 형성한 구조로 함으로써, 이랑의 위에 배토 수용부를 기립 상태에 유지한 경우, 멀팅용 시트부에서 이랑의 표면을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통상의 멀팅과 같은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10) 가요성 시트로서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기밀성, 내식성, 내구성에 우수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종이, 섬유, 불직포를 사용함으로써, 통풍성을 구비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고, 연소중에 유해 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각 처분도 용이하여 진다. 또한, 이들의 재료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재질의 특징을 겸비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11) 재배용기를 경질의 합성 수지재로 형성함으로써, 가요성 시트에 비해 강성이 높아 변형하기 어렵게 되어, 충전된 배토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배토 수용부에의 중량 부담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농약이나 비료 등에 대한 내구성 등도 우수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중첩된 복수의 가요성 시트에 복수의 고착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시트간에 형성된 복수의 배토 수용부와, 상기 배토 수용부에 연결된 개구부를 갖는 재배용기와, 상기 재배용기와 결합하여 상기 배토 수용부를 지면상에 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구비한 고설 재배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에 형성된 걸림부와 결합하여, 상기 배토 수용부를 지면상에 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구비한 고설 재배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이 지상에 설치된 지지부재인 고설 재배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상기 지지부재가 통하게 삽입한 통형상부를 형성한 고설 재배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기에 상기 배토 수용부의 배열 간격과 동등하게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를 설치한 고설 재배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 수용부를 테이퍼형상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의 밑테두리를 연장 설치하여 멀팅용 시트부를 형성한 고설 재배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가 합성 수지 필름, 종이, 섬유, 부직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형성된 고설 재배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기가 경질의 합성 수지재로 형성된 고설 재배용기.
KR1019980020326A 1997-06-02 1998-06-02 고설 재배용기 KR199900065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4362 1997-06-02
JP14436297A JP3464887B2 (ja) 1997-06-02 1997-06-02 高設栽培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566A true KR19990006566A (ko) 1999-01-25

Family

ID=1536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326A KR19990006566A (ko) 1997-06-02 1998-06-02 고설 재배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64887B2 (ko)
KR (1) KR19990006566A (ko)
CN (1) CN1095323C (ko)
TW (1) TW3852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046B1 (ko) * 2020-07-16 2021-05-07 윤여신 작물 재배용 베드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00279U (zh) * 2010-05-11 2011-10-05 孙希贤 拼接式绿化隔离栏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4821A (ja) * 1984-04-09 1985-10-28 増淵 秀雄 立面式水耕栽培装置
JPH0546261U (ja) * 1991-11-21 1993-06-22 株式会社誠和 植物栽培用簡易ベッド
JPH0634437U (ja) * 1991-02-27 1994-05-10 福岡丸本株式会社 育苗用筒
JPH08163932A (ja) * 1994-12-15 1996-06-25 Nagano Kida Kogyo Kk プランター
JPH08298870A (ja) * 1995-05-02 1996-11-19 Fukuoka Marumoto Kk 高設栽培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2529U (zh) * 1990-11-29 1991-08-14 北京化工学院 一种植物栽培容器
CN2133132Y (zh) * 1992-04-30 1993-05-19 陈文荣 栽培架的结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4821A (ja) * 1984-04-09 1985-10-28 増淵 秀雄 立面式水耕栽培装置
JPH0634437U (ja) * 1991-02-27 1994-05-10 福岡丸本株式会社 育苗用筒
JPH0546261U (ja) * 1991-11-21 1993-06-22 株式会社誠和 植物栽培用簡易ベッド
JPH08163932A (ja) * 1994-12-15 1996-06-25 Nagano Kida Kogyo Kk プランター
JPH08298870A (ja) * 1995-05-02 1996-11-19 Fukuoka Marumoto Kk 高設栽培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046B1 (ko) * 2020-07-16 2021-05-07 윤여신 작물 재배용 베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85228B (en) 2000-03-21
JPH10327680A (ja) 1998-12-15
JP3464887B2 (ja) 2003-11-10
CN1095323C (zh) 2002-12-04
CN1200871A (zh) 199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2225B1 (en) Grow bag system with irrigation
WO2009007414A1 (en) Device for soilless culture of plants and mushrooms
KR19990006566A (ko) 고설 재배용기
JP3464886B2 (ja) 高設栽培容器
JP3464885B2 (ja) 高設栽培容器
JP2001169672A (ja) 養液培地植物栽培システム
KR100452786B1 (ko) 고설 재배용기
JP3117672B2 (ja) 高設栽培容器
JP2995275B2 (ja) 鉢植え植物のためのかん水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プランター
JP3578713B2 (ja) 栽培用容器
JP3117673B2 (ja) 高設栽培容器
JP2002306000A (ja) 袋詰軽石栽培用植物栽培容器及び植物栽培装置
JP3133024B2 (ja) 高設栽培装置
JP3688216B2 (ja) 栽培用容器
JPH055879Y2 (ko)
JP3064927B2 (ja) 高設栽培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装置
KR100281610B1 (ko) 식물육성묘판 및 이를 사용하여 식물을 육성하는 방법
JPH0937664A (ja) 水耕栽培用の栽培物保持器
TW391856B (en) An elevated cultivating container
JP2001286224A (ja) 家庭園芸用栽培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86863A (ja) 高畝栽培方法
JPH10309128A (ja) 植物栽培用資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