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135U - 균형추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균형추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135U
KR19990006135U KR2019970019569U KR19970019569U KR19990006135U KR 19990006135 U KR19990006135 U KR 19990006135U KR 2019970019569 U KR2019970019569 U KR 2019970019569U KR 19970019569 U KR19970019569 U KR 19970019569U KR 19990006135 U KR19990006135 U KR 199900061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balance
guide
counterweigh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7403Y1 (ko
Inventor
박실룡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2019970019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40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61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1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균형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주차설비에서 엘리베이터 즉, 승강기식 주차설비에서의 균형추를 지지하는 수단을 로프식으로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는 균형추를 지지하는데 따른 부대설비가 많고 균형추의 진행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 거의 없는 방향의 좌우측에 상기 부대설비가 설치되어 있어 공간적으로 낭비이고 제조비용이 비싸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음.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균형추지지장치인 로프와 로프에 장력을 가하는 수단 및 로프와 마찰을 줄이고 균형추의 진행을 안내하는 수단을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해 해결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구조가 간단하므로 재료비 및 설치비를 종전에 비해 절감할 수 있고 공간적으로 설치면적도 작게 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음.

Description

균형추지지장치
본 고안은 균형추(Balance Weight) 지지장치를 이용한 스태커 타입 주차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 주차설비에서 엘리베이터 즉, 승강기식 주차설비 혹은 스태커 타입 주차 설비 구조에서 균형추와 균형추지지장치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균형추는 지면과 수직으로 승하강 운동을 하며 이때 균형추지지장치는 승하강우동을 할 때 운동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균형추의 좌우양측으로 레일을 설치하고 균형추가 레일의 안내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슈 또는 가이드롤러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인해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부대설비가 많이 필요하나 로프를 사용하여 균형추를 지지하는 수단에서는 단지 로프를 천정에 고정하고 로프에 장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설치가 간단하여지고, 구조 역시 간단하여 재료비 및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간적으로 설치면적도 적게 할 수 있는 구성이 가능한 스태커 타입의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송용 주차설비중 스태커 타입은 자동창고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자동창고 방식은 차량을 주차·보관하는 주차실(래크:Rack)과 상기 주차실에서 차량을 입·출고하는 승강기 그리고 상기 승강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시퀀서 및 컴퓨터)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태커 타입의 승강기는 입고대차에서 차량을 넘겨받아 지시된 주차실에 주차시킨다. 또 제어수단으로부터 프로그램된 지령에 따라 출고지령이 나오면 지시된 차량을 주차실에서 추출하여 출고대차 등에 인도한다.
상기 스태커 타입의 승강기는 스태커 본체 위 아래로 상,하 이동식 모타와 주행식 이동 모타가 설치되어 있어, 상하 이동식 모타에 의해 리프트가 상승, 하강시 감속기에 의해서 리프트의 속도가 결정되고 주행식 모타에 의해 스태커 본체와 리프트 전체가 이동하는 이동체로 구성된다.
제4도는 종래의 가이드 레일과 슈우가 설치된 균형추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전체적으로 주행을 위한 주행모터, 감속기, 샤프트, 휠 및 승강을 위한 승강용 모터, 감속기, 풀리, 와이어 등의 기계, 전기수단, 균형추 및 균형추지지장치들을 이용하여 스태커 타입 주차설비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어 스태커 프레임이 커지고 자체중량이 무거워지므로 구동용 모터와 감속기 등이 대용량의 것이 요구되고, 승강을 위한 구동용 풀리 및 아이들 풀리와 와이어 리빙 등 구조가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의 균형추지지장치는 승·하강 운동을 할 때 운동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도면 제4도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였고, 이것은 균형추의 좌우양측에 레일을 설치하고 균형추에는 레일의 안내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슈 또는 가이드롤러를 장착하고 있으며, 이때 안내 레일을 고정해주는 방법은 레일을 지지하는 기둥을 따로 세워서 부착하거나 벽으로부터 지지하는 브라켓을 설치하고 이것을 레일과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같이 균형추를 지지하는 방식은 균형추를 확실히 지지하면서 안내하기는 하지만, 지지하는 방식은 균형추를 확실히 지지하면서 안내하기는 하지만, 지지하기 위한 부대설비가 많이 필요하므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리프트 같은 승강수단과는 달리 균형추는 상하 운동할 때 운동방향과 직각으로 작용하는 힘은 거의 받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균형추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서 레일과 가이드슈 또는 가이드 롤러를 사용하므로서 인해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부대설비가 많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현재 주차설비에서 엘리베이터 즉, 승강기식 주차설비 혹은 스태커 타입 주차설비 구조에서 지면과 수직으로 승하강 운동을 하는 균형추와 균형추의 좌우 양측으로 레일을 설치하고 균형추가 레일의 안내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슈 또는 가이드롤러를 장착하고 있어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 많은 부대설비가 필요한 균형추 지지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균형추와 규형추 지지장치 대신에 로프를 이용한 균형추 및 규형추 지지장치를 이용함으로서 로프를 천정에 고정하고 로프에 장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텐션 웨이트에 고정하고 균형추가 장력에 의해 팽팽해진 로우프에서 상·하강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재료비 및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간적으로도 설치면적을 적게 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나 보수가 용이한 스태커 타입의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스태커 타입 승강기에 있어서, 단지 로프를 천정에 고정하고 로프에 장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텐션 웨이트에 로우프를 장착한 균형추와 균형추지지장치의 구성은 크게 두가지로서 균형추는 몇 개의 블록들로 조합되어 있고 연결볼트와 너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균형추 좌우에 균형추가이드롤러가 있고, 균형추가이드롤러는 홀딩 브라켓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균형추지지장치는 천정에 고정된 브라켓에 로우프를 고정시키고 균형추가이드롤러를 관통하여 텐션웨이트에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균형추와 균형추지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균형추지지장치의 설치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균형추가이드롤러 설치개념도.
제3도는 롤러를 균형추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홀더의 개념도.
제4도는 종래의 가이드레일과 슈우가 설치된 균형추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블록4,10:풀리
5,11,17,20:핀6:균형추가이드롤러
7:균형추가이드롤러 브라켓8:홀더
9:연결볼트너트세트12:풀리 브라켓
13:구동로프14:가이드로프
15:로프홀더16:소켓
18:턴버클19:텐션웨이트
21:균형추22:가이드 슈
23:레일24:브라켓
제1도는 본 고안의 균형추 지지장치의 설치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로우프를 이용한 스태커 타입 주차설비는 전체적으로 주행을 위한 주행모터, 감속기, 샤프트, 휠 및 승강을 위한 승강용 권상기와 리프트, 모터, 감속기, 풀리, 와이어 등의 기계, 전기수단들과 균형추 그리고 균형추 지지장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균형추와 균형추지지장치의 구성요소로서 균형추는 균형추(1)(2)(3)는 몇 개의 블록들로 조합되어 있고, 각각의 균형추(1)(2)(3)들은 연결볼트와 너트(9)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블록(1)에 핀(5)으로 고정된 풀리(4)(10)가 있어 가이드로프(14)에 의해 상승 하강의 운동이 되도록 되어 있으며, 각 블록(1)(2)(3)에는 승 하강 운동시 가이드로프(14)를 따라 안내하기 위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균형추 상부 블록(1)과 하부 블록(3) 상 하에 균형추가이드롤러(6)가 2개씩 좌우 4개가 설치되어 있어 블록(1)(2)(3)의 상하운동의 안내역할을 하며,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균형추가이드롤러(7)속으로 가이드로프(14)가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균형추가이드롤러(6)는 균형추가이드롤러 브라켓(7) 및 홀더(8)에 의해 구속되고 연속적으로 상기 가이드로프(14)를 안내하게 된다.
또한, 균형추지지장치는 천정에 고정된 소켓(16)에 가이드로프(14)를 고정시키고 블록(1)(2)(3)상하에 2개씩 좌우로 4개가 설치된 균형추가이드롤러(6)을 관통하여 턴버클(18)에 의해 텐션웨이트(19)에 고정시키고 기타의 작동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규형추 지지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균형추는 기계의 자중 또는 계에 작용하는 외력과 균형을 잡기 위해 사용되고, 지면과 수직으로 상승·하강운동을 하며 이때 균형추를 운동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수단을 수반한다.
균형추지지장치에서 블록(1)(2)(3)은 몇 개의 블록들을 조합하여 제작하며, 블록을 추가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중량을 조정할 수 있고, 균형추를 구성하는 블록(1)(2)(3)들을 고정하기 위해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볼트와 너트(9)를 사용하여 고정하며, 상부 블록 균형추(1)에는 핀(5)(11)으로 고정된 풀리(4)(10)가 있어 로우프(14)에 의해 블록(1)(2)(3)이 상승 하강의 연동이 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전동모타의 풀리(도시하지 않음)가 회전운동을 하면서 로우프(14)에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풀리 즉 아이들 풀리(도시하지 않음)와 스태커 프레임 풀리(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측면풀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리프트 풀리(도시하지 않음)를 연동하여 리프트(도시하지 않음)가 상승 하강작용을 하는 것으로 리프트가 상승할 때는 각각의 풀리들의 회전우동에 의해 블록(1)(2)(3)는 반대 방향으로 하강을 하고 이와 반대로 리프트가 하강하면은 블록(1)(2)(3)은 상승한다.
이러한 상승 하강 운동을 하기 위해서 각 블록(1)(2)(3)에 상승 하강 운동시 가이드로프(14)를 따라 안내하기 위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균형추를 구성하는 상부 블록(1)과 하부 블록(3)에는 상하 2개씩 좌우 4개의 균형추가이드롤러(6)가 있어서 균형추가이드롤러(6) 사이로 로우프(14)가 관통하게 되어 블록(1)(2)(3)의 상하운동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균형추가이드롤러(6)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균형추가이드롤러 브라켓(7) 및 홀더(8)에 장착되어 로우프(14)를 사방에서 둘러싸서 균형추가이드롤러(6)가 분리되지 않고 균형추가이드롤러 브라켓(7) 및 홀더(8) 안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균형추 지지장치는 천정에 고정된 소켓(16)에 로우프(14)를 고정시키고 지면방향으로 균형추가이드롤러(6)을 관통하여 텐션웨이트(19)에 고정시키며, 상기 텐션웨이트(19)에 고정 지지되어진 로우프(14)가 레일역할이 되어 블록(1)(2)(3)가 상승 하강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텐션웨이트(19)는 로우프(14)에 장력을 주기 위한 최소한의 중량을 가진 물체이므로, 로프에 장력을 주기 위해 텐션웨이트(19)를 사용하지 않고 천정에 로우프(14)를 고정한 것과 같이 로우프(14)를 소켓(16)에 고정시켜 지면에 부착하는 방법도 있다.
물론, 장력 조정을 위한 턴바클이 필요하다.
본 고안의 균형추지지장치는 단지 로프를 천정에 고정하고 로프에 장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면 되므로 설치가 간단하여, 종래의 기술처럼 균형추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지지수단인 레일과 가이드 슈 또는 가이드 롤러를 사용하므로 인해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부대설비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므로 재료비 및 설치비를 종전에 비해 절감할 수 있고 공간적으로 설치면적도 작게 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 또는 승강기식 주차설비에서 승강기와 로프로 연결된 균형추와 균형추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1)(2)(3)을 연결볼트너트세트(9)로 체결하여 이루어진 균형추(21)와, 상기 균형추(21)의 상부블럭(1) 및 하부블럭(3)의 좌우에 각각 1개씩 모두 4개가 부착되는 균형추가이드롤러(6)와, 상기 균형추가이드롤러(6)를 가이드로프(14)의 사방으로 둘러싸도록 하여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 틀로써의 균형추가이드롤러 브라켓(7) 및 홀더(8)와, 상기 가이드로프(14)의 상단을 천정에 고정하는 수단인 소켓(16)과, 상기 소켓(16)에 한쪽을 고정한 가이드로프(14)는 상기 균형추가이드롤러(6)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로프(14)의 다른 한쪽인 하단과 연결되는 텐션웨이트(19)로 이어져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추지지장치.
KR2019970019569U 1997-07-24 1997-07-24 균형추지지장치 KR200157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569U KR200157403Y1 (ko) 1997-07-24 1997-07-24 균형추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569U KR200157403Y1 (ko) 1997-07-24 1997-07-24 균형추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135U true KR19990006135U (ko) 1999-02-18
KR200157403Y1 KR200157403Y1 (ko) 1999-09-15

Family

ID=1950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569U KR200157403Y1 (ko) 1997-07-24 1997-07-24 균형추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4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985A (ko) * 2018-07-05 2020-01-15 김성은 밸런스웨이트를 구비한 승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077B1 (ko) * 2012-12-27 2014-04-30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무파레트 타입의 주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985A (ko) * 2018-07-05 2020-01-15 김성은 밸런스웨이트를 구비한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7403Y1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0618B2 (en) Traction sheave elevator
FI93630B (fi)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hissikuiluun
CN1182021C (zh) 牵引绳轮电梯
EP2043938B1 (en) Elevators
CN1236992C (zh) 电梯结构装置
JP2007099515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の支持手段を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に取り付ける方法
CN101128383B (zh) 具有成角度设置的下悬式挂绳布置的电梯轿厢
FI117335B (fi)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
WO2020142001A1 (en) A moveable platform
JP5122135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能の最新化方法および最新化装置
CN212863711U (zh) 一种电梯
CN219823333U (zh) 一种井道施工升降机的提升机构
KR200157403Y1 (ko) 균형추지지장치
WO2001064572A1 (en) Jump-lift and method for lifting a machine room
EP4039632A1 (en) Method for expanding a rise of an elevator hoistway
JP379787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7237847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
EP1105337B1 (en) Elevator construction
JP2000335847A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
CN216426400U (zh) 一种电梯曳引力的检测装置
JPH082850A (ja) エレベーター昇降路内工事方法
KR100688362B1 (ko)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JP2007137681A (ja) エレベーター
CA2049422C (en) Support frame for a rope brake and hoist system
JPH11139711A (ja) 昇降装置におけるレールキャ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