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734A - 디지탈 재생 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재생 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734A
KR19990005734A KR1019970029952A KR19970029952A KR19990005734A KR 19990005734 A KR19990005734 A KR 19990005734A KR 1019970029952 A KR1019970029952 A KR 1019970029952A KR 19970029952 A KR19970029952 A KR 19970029952A KR 19990005734 A KR19990005734 A KR 19990005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update control
signal
weight update
c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29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734A/ko
Publication of KR19990005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734A/ko

Link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럽-아웃된 디지탈 재생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웨이트 업데이트 동작을 제어하여 그 드럽-아웃된 디지탈 재생신호를 등화시키지 않도록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와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드럽-아웃이 발생된 디지탈 재생신호, 입력되는 문턱치 및 총카운팅값에 의해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웨이트 업데이트 동작을 제어하는 업데이트 제어수단과, 상기 업데이트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에 의해 디세이블되어 상기 드럽-아웃이 발생된 디지탈 재생신호에 따른 웨이트 업데이트 동작을 하지 웨이트 업데이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탈 재생 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본 발명은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럽-아웃(drop-out)된 디지탈 재생신호가 발생되는 웨이트의 업데이트동작을 제어하여 그 드럽-아웃된 디지탈 재생신호를 등화시키지 않도록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는 종래 아날로그 재생등화기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아날로그 재생 등화기는 자기기록 테이프에 기록된 자기신호를 헤드(도면에 미도시)로 독취하여 회전 트랜스(도면메 미도시)를 거쳐 출력하는 마그네틱 채널부(1)와, 상기 마그네트 채널부(1)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를 충분한 크기로 증폭하는 재생 증폭부(2)와, 상기 재생 증폭부(2)에서 증폭된 재생신호를 트랜스버설 필터링시켜 1-D 의 지연특성을 갖는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트랜스버설 필터부(3)와, 상기 트랜스버설 필터부(3)로부터 출력되는 재생신호을 지연시켜 1-D2의 지연특성을 갖는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지연 연산부(4)와, 상기 지연연산부(4)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의 3가지 레벨을 검출하여 3 레벨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3 레벨 검출부(5)와, 상기 3 레벨 검출부(5)에서 출력되는 3 레벨 검출신호를 2 레벨의 등화신호로 변환하여 2 레벨의 등화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3-2 레벨 생성부(6)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아날로그 재생 등화기의 등화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기록 테이프에 기록된 자기기록신호가 마그네틱 채널부(1)에 구비된 헤드에 의해 재생되어 회전 트랜스를 거쳐 재생 증폭부(2)에 제공되면, 그 재생 증폭부(2)는 회전 트랜스를 거쳐 재생된 미세한 재생신호를 충분한 크기로 증폭하여 트랜스버설 필터부(3)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트랜스버설 필터부(3)는 상기 재생 증폭부(2)에서 증폭된 재생신호를 트랜스버셜(tranversal) 필터링하여 항시 1-D 의 지연특성을 갖는 재생신호를 지연부(4)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지연 연산부(4)는 상기 트랜스버설 필터부(3)에서 제공되는 1-D 의 지연특성을 갖는 재생신호와 1 샘플링 지연된 신호를 합산하여 1-D2의 지연특성을 갖는 재생신호를 3 레벨 검출부(5)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3 레벨 검출부(5)는 상기 지연부(4)에서 제공되는 재생신호를 3 레벨로 검출한다. 즉 상기 지연 연산부(4)에서 제공되는 재생신호를 1, 0, -1 의 3 가지 레벨로 검출하여 3-2 레벨 생성부(6)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3-2 레벨 생성부(6)는 상기 3 레벨의 재생신호를 2 레벨로 생성하게 된다. 즉, 상기 3-2 레벨 생성부(6)는 상기 3 레벨 검출부(5)에 검출된 1 레벨의 재생신호를 1 레벨로 대응시키고, 0 레벨의 재생신호를 0 레벨로 대응시키며, -1 레벨의 재생신호를 1 레벨의 재생신호로 대응시켜 0, 1 레벨의 등화신호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브이씨알의 아날로그 등화기는 아날로그 방식의 I-NRZI(Interleaved Non-Return to Zero Inverse) 등화기로써 드럽-아웃된 아날로그 재생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그 드럽-아웃된 아날로그 재생신호를 등화시켜 재생함으로 인해 재생신호가 선명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럽-아웃된 디지탈 재생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웨이트 업데이트 동작을 제어하여 그 드럽-아웃된 디지탈 재생신호를 등화시키지 않도록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드럽-아웃이 발생된 디지탈 재생신호, 입력되는 문턱치 및 총카운팅값에 의해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웨이트 업데이트 동작을 제어하는 업데이트 제어수단과, 상기 업데이트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에 의해 디세이블되어 상기 드럽-아웃이 발생된 디지탈 재생신호에 따른 웨이트 업데이트 동작을 하지 웨이트 업데이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 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를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종래 아날로그 재생등화기의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의 블럭도.
도 3 는 도 2 에서의 업데이트 제어부의 상세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대치 계산부 11,51 : 비교부
21 : 합산부 31 : 카운터
41,61 : D 플립플롭 100 : A/D 변환부
101 : 업데이트 제어부 102 : 웨이트 업데이트부
103 : 지연부 104 : 피드포워드 필터부
105 : 레벨 결정부 106 : 레벨 변환부
107 : 에러신호 발생부 108 : 위상에러 검출부
109 : D/A 변환부 110 : LPF
111 : VCO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은 도 2 에서의 업데이트 제어부의 상세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재생 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는 입력되는 클럭(CK)에 따라 아날로그 재생신호를 디지탈 재생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Analog/Digital ; 이하, A/D 로 약칭함) 변환부(100)와, 상기 A/D 변환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재생신호, 기 설정되어 입력되는 문턱치(TV) 및 총 카운터값(sum_count)에 의해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drop-out)를 발생하여 웨이트 업데이트 동작을 제어하는 업데이트 제어부(101)와, 상기 업데이트 제어부(101)에서 발생된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drop_out)의 레벨에 따라 상기 A/D 변환부(100)에서 변환된 재생신호에 따른 웨이트를 업 데이트시킨 후, 지연되어 입력되는 웨이트 또는 에러신호에 의해 웨이트 다시 업데이트시키거나, 그 웨이트 업데이트 동작을 홀드시키는 웨이트 업데이트부(102)와, 상기 웨이트 업데이트부(102)에서 업데이트된 웨이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웨이트 업데이트부(102)에 제공하는 지연부(103)와, 상기 A/D 변환부(100)에서 변환된 디지탈 재생신호를 상기 지연부(103)에서 출력되는 웨이트에 따라 필터링시켜 1-D2의 지연특성을 갖는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피드포워드 필터부(104)와,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부(104)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에서 3 레벨신호를 결정하는 레벨 결정부(105)와, 상기 레벨 결정부(105)에서 결정된 3 레벨신호를 2 레벨의 등화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레벨 변환부(106)와, 상기 피드포워드 필터부(104)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와 상기 레벨 결정부(105)에서 결정된 3 레벨신호를 감산하여 에러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웨이트 업데이트부(102)에 제공하는 에러신호 발생부(107)와, 상기 레벨 결정부(105)에서 결정된 3 레벨신호의 위상에러를 검출하여 위상에러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에러 검출부(108)와, 상기 위상 에러 검출부(108)에서 발생된 위상 에러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Digital/Analog ; 이하 D/A 라 약칭함) 변환부(109)와, 상기 D/A 변환부(109)에서 변환된 아날로그신호를 저역 패스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 ; 이하 LPF 라 약칭함)(110)와, 상기 LPF(110)에서 필터링된 신호에 의해 소정주기의 클럭신호(CK)를 발생하여 상기 A/D 변환부(100)에 제공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 Oscillator ; 이하 VCO 라 약칭함)(111)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업데이트 제어부(101)는 상기 A/D 변환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재생신호의 절대치를 구하는 절대치 계산부(1)와, 기 설정되어 입력되는 문턱치(TV)과 상기 절대치 계산부(4)에서 구해진 절대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값을 출력하는 비교부(11)와, 상기 비교부(11)로부터 출력되는 비교결과값과 지연되어 입력되는 합산값을 합산하는 합산부(21)와, 기 설정된 카운팅값까지 카운팅하여 최상위 비트값(MSB) 및 캐리값(carry)을 출력하는 카운터(31)와, 상기 카운터(31)로부터 출력되는 캐리값(carry)에 의해 상기 합산부(21)로부터 출력되는 합산값을 소정시간 지연시켜 상기 합산부(41)에 제공하는 D 플립플롭(41)와, 상기 합산부(21)로부터 출력되는 합산값과 기 설정되어 입력되는 총 카운팅값(sum_count)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값을 출력하는 비교부(51)와, 상기 카운터(31)로부터 출력되는 최상위 비트값(MSB)에 의해 상기 비교부(51)로부터 출력되는 비교결과값을 소정시간 지연시켜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drop_out)을 발생하여 상기 웨이트 업데이트부(102)에 제공하는 D 플립플롭(61)으로 구성된다.
상기 비교부(11)에 기 설정되어 입력되는 문턱치(TV)는 1 및 0 이다. 상기 비교부(11)는 상기 절대치 계산부(1)로부터 출력되는 절대치가 기 설정된 문턱치(TV)와 동일한 경우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출력하고, 그 절대치가 기 설정된 문턱치(TV)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1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카운터(31)는 4 비트 카운터이다.
상기 카운터(31)에서 기 설정된 카운팅값은 16 이다.
상기 D 플립플롭(41)의 지연시간은 상기 카운터(31)에서 0 에서 15 까지의 카운팅 시간이다.
상기 비교부(51)에 입력되는 총카운팅값(sum_count)은 16 이다.
상기 비교부(51)는 상기 합산부(21)로부터 입력되는 합산값과 기 설정되어 입력되는 총카운팅값(sum_count)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출력하고, 그 합산값과 총카운팅값(sum_count)이 동일한 경우 1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D 플립플롭(61)의 지연시간은 상기 카운터(31)에서 0 에서 7 까지의 카운팅 시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재생 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럽-아웃이 발생되지 않는 재생신호가 A/D 변환부(100)를 거쳐 디지탈 재생신호로 변환되어 업데이트 제어부(101)에서의 절대치 계산부(1)에 입력되게 되면, 그 절대치 계산부(1)는 그 입력되는 디지탈 재생신호의 절대치를 구하여 비교부(11)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A/D 변환부(100)를 거쳐 변환된 디지탈 재생신호는 드럽-아웃이 발생되지 않는 재생신호이므로, 상기 디지탈 재생신호의 절대치는 0 또는 1 이다.
따라서, 상기 비교부(11)는 상기 절대치 계산부(1)에서 구해진 절대치와 0 및 1 로 기 설정되어 입력되는 문턱치(TV)를 비교한 후, 그 값이 동일하므로,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합산부(21)에 제공하게된다.
한편, 카운터(31)는 4 비트 카운터로써 16 까지 카운팅하게 된다.
초기상태에서, 상기 카운터(31)는 0 에서 1 을 카운팅하게 되므로 카운팅값은 '0001' 이 된다.
그러므로, 상기 카운터(31)는 0 레벨의 캐리값(carry)를 D 플립플롭(41)에 제공하고, 0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를 D 플립플롭(61)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D 플립플롭(41)은 상기 카운터(31)에서 제공되는 0 레벨의 캐리값(carry)에 의해 디세이블되어 동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합산부(21)는 상기 비교부(11)에서 제공되는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비교부(51)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비교부(51)는 상기 합산부(21)에서 제공하는 0 레벨의 합산신호와 16 으로 기 설정된 총 카운팅값(sum_count)을 비교하여 그 값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D 플립플롭(61)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D 플립플롭(61)은 상기 카운터(31)에서 제공되는 0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에 의해 디세이블되어 동작하지 않게 된다.
상기 카운터(31)는 순차적으로 카운팅하여 카운팅값 2 에서 7 이 될 때 까지 상기 동작이 반복 실행되게 된다.
이후, 상기 카운터(31)가 계속하여 카운팅하여 카운팅값이 8 즉 1000 이 되면, 그 카운터(31)는 0 레벨의 캐리값(carry)을 상기 D 플립플롭(41)에 제공하고, 1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을 상기 D 플립플롭(61)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D 플립플롭(41)는 계속하여 디세이블상태이므로, 상기 비교부(51)는 0 레벨의 합산신호와 기 설정된 총 카운팅값(sum_count)을 비교하여 계속하여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상기 D 플립플롭(61)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D 플립플롭(61)은 상기 카운터(31)에서 제공되는 1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에 의해 상기 비교부(51)에서 제공되는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0 레벨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drop_out)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카운터(31)는 순차적으로 카운팅하여 그 카운팅값이 8 에서 15 가 될 때 까지 계속하여 0 레벨의 캐리값(carry)을 상기 D 플립플롭(41)에 제공하고, 1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을 상기 D 플립플롭(61)에 제공하게 되므로, 상기 D 플립플롭(61)는 상기 카운터(31)에 제공되는 1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에 의해 그 제공된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0 레벨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drop_out)로 출력하게 된다.
웨이트 업데이트부(102)는 상기 업데이트 제어부(101)에서의 D 플립플롭(61)로부터 출력되는 0 레벨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drop_out)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상기 A/D 변환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재생신호에 따른 웨이트를 업데이트를 업데이트시키게 된다.
지연부(103)는 상기 웨이트 업데이트부(102)에서 업데이트된 웨이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게 되고, 피드포워드 필터부(104)는 상기 A/D 변환부(100)에서 변환된 재생신호를 상기 지연부(103)에서 출력되는 웨이트에 따라 필터링시켜 1-D 의 지연특성을 갖는 재생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레벨 결정부(105)는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부(104)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에서 3 레벨신호를 결정하게 되고, 레벨 변환부(106)는 상기 레벨 결정부(105)에서 결정된 3 레벨신호를 1 샘플링 지연시킨 재생신호를 합산하여 1-D2의 지연특성을 갖는 재생신호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재생신호를 2 레벨의 등화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에러신호 발생부(107)는 상기 피드포워드 필터부(104)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와 상기 레벨 결정부(105)에서 결정된 3 레벨신호를 감산하여 에러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위상 에러 검출부(108)는 상기 레벨 결정부(107)에서 결정된 3 레벨신호의 위상에러를 검출하여 위상에러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D/A 변환부(109)는 상기 위상 에러 검출부(108)에서 발생된 위상 에러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게 되고, LPF (110)는 상기 D/A 변환부(109)에서 변환된 아날로그신호를 저역 패스 필터링하게 된다.
VCO (111)는 상기 LPF(110)에서 필터링된 신호에 의해 소정주기의 클럭신호(CK)를 발생하여 상기 A/D 변환부(100)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A/D 변환부(100)는 상기 VCO(111)로부터 제공되는 클럭(CK)에 의해 입력되는 드럽-아웃이 발생되지 않는 재생신호를 디지탈 재생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므로, 기 설명한 동작이 반복 실행되게 된다.
상기 카운터(31)는 계속하여 카운팅하여 그 카운팅값이 16 이 되면, 그 카운터(31)는 1 레벨의 캐리값(carry) 및 0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D 플립플롭(41)는 상기 카운터(31)로부터 출력되는 1 레벨의 캐리값(carry)에 의해 상기 합산부(21)로부터 출력되는 0 레벨의 합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비교부(51)는 상기 합산부(21)로부터 출력되는 0 레벨의 합산값과 16 으로 기 설정된 총 카운팅값(sum_count)을 비교하여 그 값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계속하여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D 플립플롭(61)는 상기 카운터(31)로부터 0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에 의해 디세이블되어 동작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A/D 변환부(100)를 거쳐 변환된 디지탈 재생신호가 드럽-아웃이 발생되어 상기 업데이트 제어부(101)에서의 절대치 계산부(1)에 입력되게 되면, 그 절대치 계산부(1)는 그 입력되는 디지탈 재생신호의 절대치를 구하여 비교부(11)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A/D 변환부(100)를 변환된 디지탈 재생신호가 드럽-아웃이 발생된 재생신호이므로, 그 디지탈 재생신호의 절대치는 1 보다 작게 된다.
상기 비교부(11)는 상기 절대치 계산부(1)에서 구해진 절대치와 1 또는 0 레벨로 기 설정되어 입력되는 문턱치(TV)를 비교하고, 그 값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그 비교결과 1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합산부(21)에 제공하게된다.
상기 카운터(31)는 다시 0 에서 1 을 카운팅하게 되므로 카운팅값은 '0001' 이 되므로, 상기 카운터(31)는 0 레벨의 캐리값(carry)를 D 플립플롭(41)에 제공하고, 0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를 D 플립플롭(61)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D 플립플롭(41)은 상기 카운터(31)에서 제공되는 0 레벨의 캐리값(31)에 의해 디세이블되어 동작하지 않게 된다.
상기 합산부(21)는 상기 비교부(11)에서 제공되는 1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비교부(51)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비교부(51)는 상기 합산부(21)에서 제공하는 1 레벨의 합산신호와 16 으로 기 설정된 총 카운팅값(sum_count)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그 값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D 플립플롭(61)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D 플립플롭(61)은 상기 카운터(31)에서 제공되는 0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에 의해 디세이블되어 동작하지 않게 된다.
상기 카운터(31)는 순차적으로 카운팅하여 그 카운팅값이 2 에서 7 이 될 때 까지 상기 카운터(31)는 계속하여 0 레벨의 캐리값(carry)과 0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을 출력하게 되므로, 각 블록은 기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동작을 반복 실행하게 된다.
상기 카운터(31)가 계속하여 카운팅하여 카운팅값이 8 즉 1000 이 되면, 그 카운터(31)는 0 레벨의 캐리값(carry)을 상기 D 플립플롭(41)에 제공하고, 1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을 상기 D 플립플롭(61)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D 플립플롭(41)는 계속하여 디세이블상태이므로, 상기 비교부(51)는 1 레벨의 합산신호와 기 설정된 총 카운팅값(sum_count)을 비교하여 계속하여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상기 D 플립플롭(61)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D 플립플롭(61)은 상기 카운터(31)에서 제공되는 1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에 의해 상기 비교부(51)에서 제공되는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0 레벨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drop_out)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카운터(31)는 순차적으로 카운팅하여 그 카운팅값이 9 에서 15 가 될 때 까지 계속하여 0 레벨의 캐리값(carry)을 상기 D 플립플롭(41)에 제공하고, 1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을 상기 D 플립플롭(61)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부(51)는 계속하여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상기 D 플립플롭(61)에 제공하게 되고, 상기 D 플립플롭(61)는 상기 카운터(31)에 제공되는 1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에 의해 그 제공된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0 레벨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drop_out)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카운터(31)가 계속하여 카운팅하여 그 카운팅값이 16 이 되면, 그 카운터(31)는 1 레벨의 캐리값(carry) 및 0 레벨의 최상위 비트값(MSB)을 각각 출력하게 된다.
상기 D 플립플롭(41)는 상기 카운터(31)로부터 출력되는 1 레벨의 캐리값(carry)에 의해 상기 합산부(21)로부터 출력되는 1 레벨의 합산값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합산부(21)는 상기 비교부(11)로부터 출력되는 1 레벨의 합산값과 상기 D 플립플롭(41)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1 레벨신호를 합산하여 16 인 합산값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비교부(51)는 상기 합산부(21)로부터 출력되는 16 인 합산값과 16 으로 기설정된 총 카운팅값(sum_count)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그 값이 동일하므로, 1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D 플립플롭(61)은 상기 비교부(51)로부터 출력되는 1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상기 카운터(31)가 0 에서 7 까지 카운팅할 때 까지 지연시켜 1 레벨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drop_out)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웨이트 업데이트부(102)는 상기 업데이트 제어부(101)에서의 D 플립플롭(61)로부터 출력되는 1 레벨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drop_out)에 의해 디세이블되어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여러수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에 기재되었으며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내에 일치는 본 발명 및 모든 수정이 커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럽-아웃이 발생된 재생신호가 디지탈 재생등화기에 입력되게 되면 웨이트 업데이트 동작을 디세이블시켜 드럽-아웃이 발생된 재생신호를 등화시키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에게 선명한 재생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드럽-아웃이 발생된 디지탈 재생신호, 입력되는 문턱치 및 총카운팅값에 의해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웨이트 업데이트 동작을 제어하는 업데이트 제어수단과; 상기 업데이트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에 의해 디세이블되어 상기 드럽-아웃이 발생된 디지탈 재생신호에 따른 웨이트 업데이트 동작을 하지 웨이트 업데이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제어수단은 드럽-아웃이 발생된 디지탈 재생신호의 절대치를 구하는 절대치 계산수단과; 상기 절대치 계산수단에서 구해진 절대치와 기 설정되어 입력되는 문턱치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신호를 발생하는 제1 비교수단과; 상기 제1 비교수단에서 발생된 비교결과신호와 지연되어 입력되는 지연신호를 합산하는 합산수단과; 기 설정된 카운팅값까지 카운팅하여 캐리값 및 최상위 비트값을 출력하는 카운팅수단과; 상기 카운팅수단에서 출력되는 캐리값에 의해 상기 합산수단에서 합산된 합산값을 소정시간 지연시켜 상기 합산수단에 제공하는 제1 지연수단과; 상기 합산수단에서 합산된 합산값과 기 설정되어 입력되는 총 카운팅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신호를 발생하는 제2 비교수단과; 상기 카운팅수단에서 출력되는 최상위 비트값에 의해 상기 제2 비교수단에서 발생된 비교결과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웨이트 업데이트수단에 제공하는 제2 지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교수단에 입력되는 문턱치는 0 및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교수단은 상기 절대치 계산수단에서 구해진 절대치와 0 레벨로 설정된 문턱치가 동일한 경우에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교수단은 상기 절대치 계산수단에서 구해진 절대치와 1 레벨로 설정된 문턱치가 동일한 경우에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교수단은 상기 절대치 계산수단에서 구해진 절대치와 0 레벨 및 1 레벨로 설정된 문턱치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 1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수단은 4 비트로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수단에서 설정된 카운팅값은 1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연수단은 한개의 D 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것을 8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연수단의 지연시간은 상기 카운팅수단에서 0 에서 15 까지 카운팅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교수단에 입력되는 총 카운팅값은 1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교수단은 상기 합산수단에서 합산된 합산값과 상기 총 카운팅값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 0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교수단은 상기 합산수단에서 합산된 합산값과 상기 총 카운팅값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 1 레벨의 비교결과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연수단은 한 개의 D 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연수단의 지연시간은 상기 카운팅수단에서 0 에서 7 까지의 카운팅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KR1019970029952A 1997-06-30 1997-06-30 디지탈 재생 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KR19990005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952A KR19990005734A (ko) 1997-06-30 1997-06-30 디지탈 재생 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952A KR19990005734A (ko) 1997-06-30 1997-06-30 디지탈 재생 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734A true KR19990005734A (ko) 1999-01-25

Family

ID=6598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952A KR19990005734A (ko) 1997-06-30 1997-06-30 디지탈 재생 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7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298A (ko) 2020-02-27 2021-09-06 최영수 드럼 전도 자동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298A (ko) 2020-02-27 2021-09-06 최영수 드럼 전도 자동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9790B1 (ko) 비대칭 신호검출기 및 이를 사용한 신호재생장치
JP3329185B2 (ja) Rll符号化データの最大尤度シンボル検出
KR100281951B1 (ko) 데이터 판독 방법, 데이터 판독 장치 및 기록 매체
KR19990005734A (ko) 디지탈 재생 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JP2003518353A (ja) 可変等化器制御システム
KR100246638B1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재생 등화기
JP2977031B2 (ja) データ検出器及びその方法
KR100270201B1 (ko) 디지털 재생 등화기
JP3515186B2 (ja) 自動等化器
KR100236704B1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재생 등화기
JP3060884B2 (ja) 自動等化回路
KR100236705B1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재생 등화기
KR100245340B1 (ko) 디지털 브이씨알의 등화기
JP3140298B2 (ja) チャージポンプ型d/aコンバータ
KR20000004654A (ko) 디지털 브이씨알의 등화기
KR100288484B1 (ko) 디지털 브이씨알의 등화기
JP3689919B2 (ja) 信号再生装置
KR100257730B1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적응 등화기
KR20000000984A (ko) 디지털 브이씨알 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장치
KR20000042567A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 등화기의 레벨 결정장치
KR19980057230A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재생 등화기
KR20000004668A (ko) 디지털 브이씨알 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장치
KR20000042572A (ko) 디지탈 재생 등화기의 웨이트 업데이트 제어장치
KR19990086081A (ko) 디지털 재생 등화기
KR100445529B1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 등화기의 3레벨 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