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614A -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614A
KR19990005614A KR1019970029826A KR19970029826A KR19990005614A KR 19990005614 A KR19990005614 A KR 19990005614A KR 1019970029826 A KR1019970029826 A KR 1019970029826A KR 19970029826 A KR19970029826 A KR 19970029826A KR 19990005614 A KR19990005614 A KR 19990005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ke light
brake
relay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상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7002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614A/ko
Publication of KR1999000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614A/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제동등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으면 제동등은 항상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
본 발명은 자동차가 설정 시간 동안 정지상태에 있음을 감지하여 상기 정지상태를 감지할 시 제동등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릴레이를 구동하며, 상기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진행을 감지하면 상기 릴레이를 초기상태로 전환하도록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였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장치 및 방법.

Description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제동등(brake lamp)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가 정지시 제동등(brake lamp)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는 자동차 주행과 관련한 자신의 의사를 모든 교통관계자들에게 명확히 표시(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의사를 표시하는 의사표시수단을 가지며, 상기 의사표시수단으로 광학신호장치와 음향신호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광학신호장치를 이용한 의사표시수단의 예로는 주행방향을 변경할 의사를 표시하는 방향지시등, 주제동 브레이크를 제동중임을 표시하는 제동등 등이 있다. 또한 음향신호장치를 이용한 의사표시수단의 예로는 위험을 경고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음기등이 있다.
통상적으로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행할 시 현재 속도가 표시창에 표시되며, 운전자가 감속하거나 정지하기 위해 제동 페달에 해당하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감속된 속도가 표시된다. 이때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에 따라 제동등이 점등된다.
따라서 상기 제동등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브레이크 페달에 연동하여 점멸하므로 자동차가 완전히 정지한 상태에서도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으면 제동등이 점등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가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정지상태가 유지되면 제동등을 소등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가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정지상태가 유지되면 제동등을 소등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동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동등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동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10)는 자동차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제동등(60a,60b)의 점등을 위해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제동등 스위치(50)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므로 인해 온되어 상기 배터리(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한다. 상기 제동등 스위치(50)는 기계식, 유압식, 공압식 등이 있다. 상기 기계식은 브레이크 페달 근처에 설치하며, 유압식과 공압식은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각각 설치된다. 속도센서(20)는 현재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출력한다. ECU(30)는 자동차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속도센서(2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 레벨에 따라 현재의 주행 속도를 검출한다. 또한 자동차의 정지에 따른 전압 레벨이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제동등을 소등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릴레이(40)는 상기 ECU(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제동등 스위치(5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제동등(60a,60b)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제동등(60a,60b)은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동등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는 자동차의 정지를 감지하여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를 통해 설정 시간의 경과를 감지하면 전원을 차단하도록 릴레이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자동차가 정지상태에서 진행을 감지하면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ECU(30)는 자동차가 진행하는 속도에 따라 속도 센서(2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 레벨을 제공받아 현재 진행 속도를 감지한다. 상기 ECU(30)는 상기 감지한 속도를 속도계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ECU(30)는 도 2의 210단계에서 상기 속도 센서(2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 레벨을 통해 자동차가 정지하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ECU(30)는 정지상태라 판단하면 2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2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ECU(30)는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를 구동한다. 상기 타이머를 구동한 후 상기 ECU(30)는 214단계와 216단계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자동차가 다시 진행하는 가를 감지한다. 상기 자동차의 진행 여부는 상기 속도 센서(2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 레벨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시간은 자동차가 정지한 후 다른 운전자가 자신의 상태를 인지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214단계와 216단계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밝아 자동차가 진행하면 상기 ECU(30)는 210단계로 리턴한다.
하지만 상기 214단계와 216단계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자동차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ECU(30)는 21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8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ECU(30)는 릴레이(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40)는 구동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동등 스위치(50)가 제동등(60a,60b)으로 연결된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자동차가 설정 시간 동안 정지하여 상기 ECU(30)로부터 상기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릴레이(40)는 스위칭되어 상기 제동등 스위치(50)와 제동등(60a,60b)을 차단한다. 따라서 자동차가 설정 시간 동안 정지하게 되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어도 제동등(60a,60b)이 소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속도 센서(2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 레벨에 의해 정지 상태에 있던 자동차가 진행하기 시작하는 것을 210단계에서 감지하면 상기 ECU(30)는 2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20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ECU(30)는 출력하던 구동신호를 차단한다. 상기 구동신호의 차단에 의해 상기 릴레이(40)는 초기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제동등 스위치(50)와 제동등(60a,60b)을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가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정지되어 있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다고 하여도 제동등을 소등함으로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지 않아 후방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자동차의 제동등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와, 브레이크 페달의 상태에 의해 상기 배터리 전원을 스위칭하는 제동등 스위치와, 자동차의 현재 속도에 따른 전압 레벨을 출력하는 속도 센서와, 상기 전압 레벨을 통해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임을 감지하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제동등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제동등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장치.
  2. 자동차의 제동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동차의 정지를 감지하여 타이머를 구동하는 제1과정과, 상기 타이머를 통해 설정 시간의 경과를 감지하면 전원을 차단하도록 릴레이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자동차의 진행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신호를 차단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방법.
  3. 자동차의 제동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동차가 설정 시간 동안 정지상태에 있음을 감지하여 상기 정지상태를 감지할 시 제동등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릴레이를 구동하며, 상기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진행을 감지하면 상기 릴레이를 초기상태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방법.
KR1019970029826A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05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826A KR19990005614A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826A KR19990005614A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614A true KR19990005614A (ko) 1999-01-25

Family

ID=6599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826A KR19990005614A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6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5614A (ko)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88795B1 (ko) 차량의 제동등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129794B1 (ko) 악셀 페달과 연계된 브레이크 등의 자동 제어장치
KR0123538Y1 (ko) 브레이크 램프 밝기 조절장치
KR0119194Y1 (ko) 자동차의 제동등장치
KR100252419B1 (ko) 엔진브레이크의 경고장치
KR0120818Y1 (ko) 주차 브레이크등 장치
KR0125735Y1 (ko) 브레이크 작동시 작동되는 자동차의 비상등
KR19980047985U (ko) 엔진 브렝킹시 브레이크등점등장치
KR970006292Y1 (ko) 주차브레이크조작시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KR0140585B1 (ko) 자동차의 주차등
KR970001112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제어장치
KR19980029789U (ko) 안전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경고표시장치
KR19980016160U (ko) 주차브레이크 해제경고장치
JPH08216780A (ja) 自動車表示灯の表示制御装置
KR19980056468A (ko) 차량용 브레이크 감속량 표시램프
KR20000006977A (ko) 자동차의 스톱램프 자동점멸 장치
KR20040011134A (ko) 차량의 브레이크 램프 점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23357A (ko)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장치 및 그 방법
KR970026455A (ko) 브레이크등 단락 표시 장치
KR19990027131A (ko) 차량의 브레이크등 구동제어장치
KR970037589A (ko) 자동차의 보조 제동등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00019247A (ko) 차량 제동등 점멸 방법
KR20000015157A (ko) 차량 제동등 점멸 방법
KR970010220B1 (en) Emergency lamp control apparatus of a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