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999A -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999A
KR19990004999A KR1019970029160A KR19970029160A KR19990004999A KR 19990004999 A KR19990004999 A KR 19990004999A KR 1019970029160 A KR1019970029160 A KR 1019970029160A KR 19970029160 A KR19970029160 A KR 19970029160A KR 19990004999 A KR19990004999 A KR 19990004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ransmission
oil pan
cylinder block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청용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29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999A/ko
Publication of KR1999000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999A/ko

Links

Landscapes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부품 수와 공정 수를 줄이므로 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부품관리에 편할 뿐만 아니라 소음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엔진의 실린더 블록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 트랜스미션, 실린더 블록 하부에 결합되는 오일 팬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 트랜스미션 및 실린더 블록과 오일 팬 및 상부 트랜스미션과 하부 트랜스미션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에 관한 발명.

Description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
본 발명은 엔진(engine)과 트랜스미션(transmission) 및 오일 팬(oil pan)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에 탑재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과 엔진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오일 팬 및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변속하여 필요한 곳으로 전달하는 트랜스미션간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엔진에는 오일 팬과 트랜스미션이 연결되어 있다. 오일 팬은 엔진의 하부에 설치되어 엔진에 윤활유를 공급하므로 써 엔진을 구성하는 각 구성품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주기 위한 것이고, 트랜스미션을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변속하여 필요한 곳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엔진 하부에 볼트를 이용해 오일 팬을 결합하고 엔진과 오일 팬 측면에 볼트를 이용해 트랜스미션을 결합하였다. 이러한 엔진과 오일 팬 및 트랜스미션은 그 체결부위가 많이 엔진 구동시 진동을 발생하는 데, 이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엔진(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엔진(10)은 실린더 블록(12), 실린더 블록(12) 상에 결합되어 연소실을 형성하고 각종 밸브 등이 설치되는 실린더 헤드(14) 및 실린더 헤드(14)를 덮어주는 실린더 헤드 커버(16)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2) 하면에는 오일 팬(20)이 볼트(18)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이 오일 팬(18)은 실린더 블록(12)의 내부에서 작동되는 크랭크샤프트 등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므로 써 내부 각 구성품들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오일 팬(18)은 엔진 오일을 저장하는 용기이며 또 외부로 열을 발산하여 오일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도 한다. 오일 팬(18)은 엔진(10)을 순환 윤활하는 데 충분한 오일을 담을 수 있는 용량이라야 하며 이 것은 기관의 총 배기량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량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2)과 오일 팬(20)의 측면으로는 트랜스미션(30)이 볼트(18)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 트랜스미션(30)은 엔진(10)에서 발생된 동력을 변속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이 트랜스미션(30)은 클러치와 추진축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상태 변화에 따른 엔진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자동차를 후진시키기 위한 역전장치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엔진을 조정할 때나 엔진을 워엄 업(warm-up)시키기 위해 엔진과 구동륜과의 연결을 일정시간 동안 끊어두는 역할도 한다.
즉, 볼트(18)를 이용해 엔진(10)의 하면에 오일 팬(20)을 설치하고 엔진(10)과 오일 팬(20)의 측면에 볼트(18)를 이용해 트랜스미션(30)을 결합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실린더 블록(12), 트랜스미션(30) 및 오일 팬(20)이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볼트(18)를 통해 서로 조립되어 있어 진동이 심하게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부품수도 많아져 조립공수가 늘어나고 생산성도 떨어진다. 또한, 오일 팬(20)을 볼트(18)를 이용해 장착할 때와 트랜스미션(30)을 장착할 때 그 자세가 달라져야 하므로 볼트(18) 체결작업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수와 공정 수를 줄이므로 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부품관리에 편할 뿐만 아니라 소음도 저감시킬 수 있는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볼트를 한쪽 방향으로만 체결할 수 있게 하므로 써 엔진과 오일 팬 및 트랜스미션간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엔진 112 : 실린더 블록
114 : 실린더 헤드 116 : 실린더 헤드 커버
118 : 볼트 120 : 오일 팬
132 : 상부 트랜스미션 134 : 하부 트랜스미션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엔진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오일 팬 및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필요한 위치로 변속하여 전달하기 위한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엔진의 실린더 블록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 트랜스미션, 실린더 블록 하부에 결합되는 오일 팬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 트랜스미션 및 실린더 블록과 오일 팬 및 상부 트랜스미션과 하부 트랜스미션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는 엔진(1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엔진(110)은 실린더 블록(112), 실린더 헤드(114) 및 실린더 헤드 커버(116)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12)의 일측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트랜스미션(1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트랜스미션의 내부 부품은 기존의 것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단지 그 케이스만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구분하여 구성하면 된다.
트랜스미션은 엔진(110)에서 발생된 동력을 변속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이 트랜스미션은 클러치와 추진축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상태 변화에 따른 엔진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자동차를 후진시키기 위한 역전장치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엔진을 조정할 때나 엔진을 워엄 업(warm-up)시키기 위해 엔진과 구동륜과의 연결을 일정시간 동안 끊어두는 역할도 한다.
실린더 블록(112) 아래쪽으로는 오일 팬(120)이 볼트(118)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이 오일 팬(120)은 엔진(110) 각 구성품의 작동에 필요한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오일 팬(120)은 실린더 블록(112)의 내부에서 작동되는 크랭크샤프트 등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므로 써 내부 각 구성품들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오일 팬(120)은 엔진 오일을 저장하는 용기이며 또 외부로 열을 발산하여 오일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도 한다. 오일 팬(120)은 엔진(110)을 순환 윤활하는 데 충분한 오일을 담을 수 있는 용량이라야 하며 이 것은 기관의 총 배기량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량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오일 팬(120)의 일측면에는 하부 트랜스미션(13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트랜스미션(134) 역시 볼트(118)를 통해 상부 트랜스미션(132)과 결합된다.
즉, 종래 별도로 구성되던 트랜스미션을 실린더 블록(112)과 오일 팬(120)에 각각 상하로 절반씩 일체로 형성하므로 써 부품수가 줄어들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엔진(110)과 오일 팬(120) 및 상, 하부 트랜스미션(132, 134)을 볼트(118)로 체결하면 된다. 이 경우 볼트(118)는 일측 외주면을 따라 체결하면 되고, 여타의 부분은 볼트(118)로 체결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공정도 줄일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체결부위도 줄어들어 진동을 줄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 자세로 볼트를 연속하여 체결하면 되므로 볼트 체결작업도 한결 쉬워져 엔진 조립에 따른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Claims (2)

  1. 엔진, 상기 엔진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오일 팬 및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필요한 위치로 변속하여 전달하기 위한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실린더 블록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 트랜스미션, 상기 실린더 블록 하부에 결합되는 오일 팬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 트랜스미션 및 상기 실린더 블록과 오일 팬 및 상기 상부 트랜스미션과 하부 트랜스미션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
KR1019970029160A 1997-06-30 1997-06-30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 KR19990004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160A KR19990004999A (ko) 1997-06-30 1997-06-30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160A KR19990004999A (ko) 1997-06-30 1997-06-30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999A true KR19990004999A (ko) 1999-01-25

Family

ID=6598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160A KR19990004999A (ko) 1997-06-30 1997-06-30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9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1696B1 (en) Integrated power transmission drive and method
JP4414573B2 (ja) エンジンブロック
US7178497B2 (en) Inertial torque reaction management with selectively engageable counter rotating component
US20090084207A1 (en) Split shaft for high power diesel engine
JP4275846B2 (ja) V型バーチカルエンジン及び船外機のハンガ構造
EP1197374B1 (en) Joint fastening structure for an automotive power plant fastening portion
JP3232059B2 (ja) 自動二輪車用のエンジン
KR19990004999A (ko)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오일 팬의 조립구조
JP3203068B2 (ja) エンジンのオイルパン構造
US6179582B1 (en) Oil pump attachment structure for engine
KR0153687B1 (ko) 자동차용 크랭크 축 지지 구조
US6912986B2 (en) Engine accessory support arrangement
KR200206926Y1 (ko) 디젤 엔진의 아이들러 기어 윤활 구조
JPH0361620A (ja) 車両用エンジンユニット
JP2006283778A (ja) エンジンにおける軸の連結構造
KR200155305Y1 (ko) 자동변속차량의 변속기 고정용 브라켓
JP5251798B2 (ja) 内燃機関の潤滑装置
KR19980064587U (ko) 자동차용 크랭크샤프트와 커넥팅 로드의 결합구조
JP2800042B2 (ja) エンジン
AU2006201682A1 (en) Integrated power transmission drive and method
JPS628191Y2 (ko)
JPH0610667A (ja) ウォータポンプの取付構造
JPH05288073A (ja) 内燃機関
JPH08312311A (ja) V型エンジンのカム軸駆動装置
KR20030075027A (ko) 자동차용 오일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