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718A - 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718A
KR19990003718A KR1019970027648A KR19970027648A KR19990003718A KR 19990003718 A KR19990003718 A KR 19990003718A KR 1019970027648 A KR1019970027648 A KR 1019970027648A KR 19970027648 A KR19970027648 A KR 19970027648A KR 19990003718 A KR19990003718 A KR 1999000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use
insulating film
semiconductor device
substrate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욱
배휘철
배상섭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2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718A/ko
Publication of KR1999000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718A/ko

Links

Landscapes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페어 유무 확인을 위한 신호 휴즈의 블로잉 시 기판과 신호 휴즈 사이의 숏트로 인한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제 l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기판 상에 형성된 필드 절연막과, 필드 절연막 하부의 기판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웰과, 필드 절연막 상에 형성되고 폴리실리콘막 패턴으로 이루어진 신호 휴즈와, 신호 휴즈 상에 형성되고, 상기 신호 휴즈를 소정 부분 노출시키는 절연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 DRAM) 소자에서, 리페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 휴즈(Signature Fuse)를 갖는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행과 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메모리셀을 가지고 있으며, 메모리의 용량이 증가됨에 따라 더욱 많은 수의 메모리 셀들이 단위 면적에 배열된다. 그리고,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서는 어느 하나의 메모리 셀에 결함이 발생하여도 그 반도체 소자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반도체 메모리소자에 결함이 발생된 메모리 셀이 존재하더라도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의 스페어 셀을 구비하여 결함이 발생된 노멀 메모리 셀을 스페어 셀로 대치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즉, 리페어 기술이 제안된 초창기에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각 비트라인이나 워드라인마다 퓨즈를 접속하고, 노멀 메모리 셀에 결함이 발생시에 상기 노멀 메모리 셀에 연결된 비트라인이나 워드라인에 접속된 퓨즈를 레이저 투사와 같은 방법으로 컷팅하는 리페어를 수행하였다. 최근에는 결함이 발생된 비트라인이나 워드라인에 해당되는 어드레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노멀 비트라인이나 워드라인의 동작 대신에 스페어 워드라인이나 비트라인이 동작하게 함으로써 리페어가 수행된다. 또한, 리페어의 수행 후, 리페어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라이트 인에이블핀(pin)에 신호 휴즈(Signature Fuse)를 만들어서, 이를 컷팅함으로써, 흐르는 전류의 유무로 리페어를 확인하였다.
도 1a 및 도 1a는 종래의 신호 휴즈가 구비된 반도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도 1a는 도 1a의 1a-l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형 반도체 기판(1)과, 기판(1) 상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2)과, 필드 산화막(2) 상에 형성된 폴리실리콘막 패턴으로 이루어진 신호 휴즈(3)와, 신호 휴즈(3)상에 형성되고, 신호 휴즈(3)를 소정 부분 노출시키는 절연막(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신호 휴즈를 컷팅하여 리페어의 유무를 확인하는데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에 따라, 메모리 소자 내의 리던던시 휴즈와 신호 휴즈의 사이즈가 감소됨에 따라, 리페어수행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른 리페어 조건의 조절에 따라, 반도체 공정제어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하여, 리페어를 위한 리던던시 휴즈와 리페어 유무 확인을 위한 신호 휴즈에서, 두께 및 오픈 상태에서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퓨즈 블로잉(blowing) 시, 레이저 빔 조사 불량에 의해 기판에 결함(dannge)이 발생된다. 따라서, 신호 휴즈와 기판이 숏트되어, 신호 휴즈가 연결된 워드라인 인에이블핀(도시되지 않음)의 전류 통로가 형성됨으로써, 과다한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반도체 장치의 특성 및 수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리페어 유무확인을 위한 신호 휴즈의 블로잉 시 기판과 신호 휴즈 사이의 숏트로 인한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a는 종래의 신호 휴즈,가 구비된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a 및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휴즈가 구비된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P형 반도체 기판 22 : 필드 산화막
23 : 신호 휴즈 24 : 절연막
200 : N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제 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기판 상에 형성된 필드 절연막과, 필드 절연막 하부의 기판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웰과, 필드 절연막 상에 형성되고 폴리실리콘막 패턴으로 이루어진 신호 휴즈와, 신호 휴즈 상에 형성되고, 상기 신호 휴즈를 소정 부분 노출시키는 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드 절연막 하부에 웰을 형성함에 따라, 레이저 빔의 조사 불량시, 기판과 신호 휴즈의 숏트를 방지하여 누설 전류를 억제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휴즈가 구비된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도 2a는 도 2a의 2a-2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형 반도체 기판(21) 상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22)과, 필드 산화막(22) 하부의 기판(21)에 형성된 N웰(200)과, 필드 산화막(22) 상에 형성되고 폴리실리콘막 패턴으로 이루어진 신호 휴즈(23)와, 신호 휴즈(23) 상에 형성되고, 신호 휴즈(23)를 소정 부분 노출시키는 절연막(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필드 산파막(22) 하부에 N웰(200)이 형성됨에 따라, 레이저 빔의 조사 불량이 발생되어, 신호 휴즈(22)와 N웰(200)이 숏트되어도, 신호 휴즈(22)가 N웰(200)에 접촉됨으로써 N-P 다이오드, 즉 리버스 접합(reverse junction)이 형성되어 누설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드 산화막 하부에 N웰을 형성함에 따라, 레이저 빔의 조사 불량시, 기판과 신호 휴즈의 숏트를 방지하여 누설 전류를 억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안정성이 증가되어, 반도체 소자의 특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3)

  1. 제 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필드 절연막과, 상기 필드 절연막 하부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웰과, 상기 필드 절연막 상에 형성되고 폴리실리콘막 패턴으르 이루어진 신호 휴즈와, 상기 신호 휴즈 상에 형성되고, 상기 신호 휴즈를 소정 부분 노출시키는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은 n형이고, 상기 제 2 도전형은 p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3. 제 l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은 p형이고, 상기 제 2 도전형은 n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KR1019970027648A 1997-06-26 1997-06-26 반도체 소자 KR19990003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648A KR19990003718A (ko) 1997-06-26 1997-06-26 반도체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648A KR19990003718A (ko) 1997-06-26 1997-06-26 반도체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718A true KR19990003718A (ko) 1999-01-15

Family

ID=6598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648A KR19990003718A (ko) 1997-06-26 1997-06-26 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71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779A (ja) * 1994-01-21 1995-08-11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
KR950025909A (ko) * 1994-02-07 1995-09-18 김주용 반도체 웨이퍼의 자연 산화막 형성방법
KR960008980A (ko) * 1994-08-02 1996-03-22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보호막 형성방법
JPH0917874A (ja) * 1995-06-29 1997-01-17 Ne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70018418A (ko) * 1995-09-29 1997-04-30 김광호 고 신뢰성 레이저 퓨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779A (ja) * 1994-01-21 1995-08-11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
KR950025909A (ko) * 1994-02-07 1995-09-18 김주용 반도체 웨이퍼의 자연 산화막 형성방법
KR960008980A (ko) * 1994-08-02 1996-03-22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보호막 형성방법
JPH0917874A (ja) * 1995-06-29 1997-01-17 Ne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70018418A (ko) * 1995-09-29 1997-04-30 김광호 고 신뢰성 레이저 퓨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1212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redundant circuit por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966278B1 (ko) 반도체 소자의 안티 퓨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US6233194B1 (en) Method of anti-fuse repair
KR20010108118A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6466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3150113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1140106B1 (ko) 반도체 소자의 안티퓨즈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03718A (ko) 반도체 소자
US20120012943A1 (en) Anti-fuse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950001753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552549B1 (en) Method of reading electrical fuses/antifuses
KR19990004368A (ko) 반도체 소자
JPS61168242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5737511A (en) Method of reducing chip size by modifying main wordline repair structure
KR20010014942A (ko) 용장 기능을 구비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KR100853478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29955A (ko) 반도체 소자의 안티퓨즈 및 그 제조 방법
KR100587661B1 (ko) 반도체소자의 퓨즈 배치구조및 그 구현방법
KR100334388B1 (ko) 반도체소자의 안티퓨즈 제조방법
KR0161729B1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6369406B1 (en) Method for localizing point defects causing leakage currents in a non-volatile memory device
KR10057822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KR20070023978A (ko) 개선된 퓨즈배열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US6310396B1 (en) Semiconductor circuit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emiconductor circuit apparatus
KR20010005114A (ko) 반도체소자의 퓨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