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001U -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001U
KR19990003001U KR2019970016593U KR19970016593U KR19990003001U KR 19990003001 U KR19990003001 U KR 19990003001U KR 2019970016593 U KR2019970016593 U KR 2019970016593U KR 19970016593 U KR19970016593 U KR 19970016593U KR 19990003001 U KR19990003001 U KR 199900030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intake
intake device
vehicl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구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6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001U/ko
Publication of KR19990003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001U/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는 공기흡입덕트(2)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기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를 일부 정화하도록 상기 공기흡입덕트(2)의 소정의 위치에 흡착패드(22)가 부착된 공기환류실(20)을 착탈가능 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공기환류실(20)의 상부에는 격판(30)을 설치하여 오염된 공기가 공기환류실로 유도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공기흡입덕트내에 흡착패드가 부착된 공기환류실을 설치하고, 오염된 공기를 공기환류실에 유도하는 격판을 설치함으로써 공기흡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일부 정화하여 에어클리너가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공기의 흐름을 고르게하여 맥동을 감쇠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공기흡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에어클리너가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새시와 바디로 구성된다. 상기 새시는 엔진, 서스펜션, 스티어링 장치, 동력 전달 장치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는 자동차의 외부를 이룰 뿐만 아니라 상기 새시의 각 부품을 지지하게 된다.
엔진은 자동차를 구동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엔진의 실린더내로 흡입되는 연료를 압축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얻고 있다. 한편, 엔진을 작동시키기 위하여는 실린더내에 공기를 흡입하여 연료와 적절히 혼합하여주는 공기흡기장치가 필요하다.
도 1에는 종래의 공기흡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르면, 종래의 공기흡입장치는 외기로부터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흡입덕트(2)와, 공기중의 먼지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클리너(3)와, 액셀 페달과 연동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스로틀바디(7)와, 에어클리너(3)와, 스로틀바디(7)를 연결하는 연결호스(4)에 설치되어 불규칙한 공기흐름과 양을 일정하게 하여 공기의 소음과 맥동을 감쇠시키는 레조네이터(5)와, 스로틀바디(7)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를 엔진(1)의 실린더내로 유도하는 흡기매니폴드(9)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공기흡기장치는 엔진이 작동하면 엔진내부의 부압으로 인하여 외기의 공기가 공기흡입덕트(2)로 유입되며 공기흡입덕트(2)로 도입된 공기는 공기정화장치를 거치면서 공기중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정화된 공기는 레조네이터(5)를 지나면서 맥동과 소음이 감쇠되며, 스로틀바디(7)에서 양이 조절된 후 흡기매니폴드(9)를 거쳐 엔진(1)의 실린더 내로 흡입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장치가 반드시 제공된다. 공기정화장치는 내부에 엘리먼트를 내장한 에어클리너(3)를 구비하여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대부분의 모래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였다. 또한, 에어클리너(3)는 공기 흡입시 발생하는 흡기소음을 없애는 역할도 겸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에어클리너(3)는 공기흡입덕트(2)로 도입된 공기가 에어클리너(3)로 바로 유입됨으로써,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또는 기타 이물질로 인하여 에어클리너(3)가 쉽게 오염되었으며 특히, 모래먼지가 많은 비포장 도로의 주행시는 에어클리너가 더욱 쉽게 오염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에어클리너(3)의 엘리먼트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의 공기흡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일차적으로 정화하여 에어클리너가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엔진 2: 공기흡입덕트
3: 에어클리너 4: 연결호스
5: 레조네이터 7: 스로틀바디
9: 흡기매니폴드 20: 공기환류실
22: 흡착패드 30: 격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기흡입덕트(2)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기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를 일부 정화하도록 상기 공기흡입덕트의 소정의 위치에 흡착패드가 부착된 공기환류실을 착탈가능 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공기환류실의 상부에는 격판을 설치하여 오염된 공기가 공기환류실로 유도되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외기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에어클리너(3)로 유도하는 공기흡입덕트(2)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흡입덕트(2)에는 외기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일차적으로 정화하는 공기정화수단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공기정화수단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덕트(2)의 소정의 위치에 먼지 및 이물질이 흡착될 수 있는 흡착패드(22)가 부착된 공기환류실(20)을 착탈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공기환류실(20)의 상부에는 공기흡입덕트(2)로부터 연장되는 격판(30)을 형성하여 오염된 공기가 공기환류실로 유도되도록 하였다. 특히, 흡착패드(22)는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교환이 가능하며, 공기환류실(20)의 바닥면에 부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에어클리너(3)는 내부에 엘리먼트를 내장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모래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액셀 페달과 연동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스로틀바디(7)가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클리너(3)와 스로틀바디(7)를 연결하는 연결호스(4)에 설치되어 불규칙한 공기흐름과 양을 일정하게 하여 공기의 소음과 맥동을 감쇠시키는 레조네이터(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로틀바디(7)의 후단에는 스로틀바디(7)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를 엔진(1)의 실린더 내로 유도하는 흡기매니폴드(9)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공기흡기장치는 엔진이 작동하면 엔진내부의 부압으로 인하여 외기의 공기가 공기흡입덕트(2)로 유입되어 공기흡입덕트(2) 따라 이동한다. 이때, 공기는 공기흡입덕트(2)내에 설치되어 있는 격판(30)에 부딪히며 동시에 격판(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환류실(20)에 유도된다. 공기환류실(20)에 유도된 공기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먼지와 기타 이물질등이 공기환류실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는 흡착패드(22)에 일부 흡착되며, 공기의 흐름을 고르게하여 공기의 맥동을 감쇠시킨다. 한편, 일차적으로 정화된 공기는 에어클리너(3)를 거치면서 공기중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대부분 제거된다. 또한, 정화된 공기는 레조네이터(5)를 지나면서 맥동과 소음이 완전히 감쇠되며, 스로틀바디(7)에서 유입양이 조절된 후 흡기매니폴드(9)를 거쳐 엔진(1)의 실린더 내로 흡입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는 공기흡입덕트내에 흡착패드가 부착된 공기환류실을 형성하고, 오염된 공기를 공기환류실에 유도하는 격판을 설치함으로써 공기흡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일부 정화하여 에어클리너가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공기의 흐름을 고르게하여 맥동을 감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공기흡입덕트(2)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기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를 일부 정화하도록 상기 공기흡입덕트(2)의 소정의 위치에 흡착패드(22)가 부착된 공기환류실(20)을 착탈가능 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공기환류실(20)의 상부에는 격판(30)을 설치하여 오염된 공기가 공기환류실로 유도되도록 한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패드(22)는 착탈 가능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기환류실(20)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
KR2019970016593U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 KR199900030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593U KR19990003001U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593U KR19990003001U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001U true KR19990003001U (ko) 1999-01-25

Family

ID=6968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593U KR19990003001U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00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6806B2 (en) 2016-12-15 2019-06-11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reducing fuel evaporation gas using closeable path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6806B2 (en) 2016-12-15 2019-06-11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reducing fuel evaporation gas using closeable path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9934B2 (en) Air intake system for straddle-type all terrain vehicle
KR20010047717A (ko) 엔진의 에어 프리클리너
KR19990003001U (ko) 자동차의 공기흡기장치
KR101919440B1 (ko)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US6880516B2 (en) Intake system
ES2109130A2 (es) Aparato de admision de aire para motocicleta.
KR100470775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JP5581843B2 (ja) 自動二輪車のキャニスタ配置構造
KR100758103B1 (ko) 차량용 레조네이터
KR0170852B1 (ko) 진공청소기의 방음장치
KR200250266Y1 (ko) 매연측정 시 적용하는 자동차 매연 정화장치
KR200166698Y1 (ko) 차량용 에어크리너의 더스트 제거장치
KR0128811B1 (ko) 내연기관의 냉각수 보조 탱크 겸용 에어 클리너
KR100440029B1 (ko) 에어클리너의 먼지제거장치
KR19990058253A (ko) 트럭용 에어 크리너의 리어 커버
JPH0355512Y2 (ko)
KR0138930B1 (ko) 에어덕트 하우징을 갖는 자동차의 차체구조
KR19980017657U (ko) 자동차의 흡기장치
JPH0127253B2 (ko)
KR19980037849U (ko) 건습식 에어 클리너
KR20190000460U (ko) 차량용 대기 공기 정화장치
KR100203855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의 배기구조
CN112589693A (zh) 曲轴抛丸清理机
KR960007899Y1 (ko) 챠콜 캐니스터용 필터
KR19980043180U (ko) 자동차용 엔진의 공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122 Request for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 by the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