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919A -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 Google Patents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919A
KR19990002919A KR1019970026667A KR19970026667A KR19990002919A KR 19990002919 A KR19990002919 A KR 19990002919A KR 1019970026667 A KR1019970026667 A KR 1019970026667A KR 19970026667 A KR19970026667 A KR 19970026667A KR 19990002919 A KR19990002919 A KR 19990002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rrection
luminance signal
correction signal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덕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26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919A/ko
Publication of KR1999000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919A/ko

Links

Landscapes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휘도 신호에 윤곽 보정 신호를 부과하여 텔레비전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윤곽을 개선하기 위해 영상 신호의 경사를 보정하기 위한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로부터 제1 휘도 신호, 제1 보정 신호, 및 제2 보정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분리된 제1 보정 신호와 제2 보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보정 신호, 및 상기 제2 보정 신호를 증폭하고, 그리고 상기 제1 휘도 신호에 상기 증폭된 제1 보정 신호와 제2 보정 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휘도 신호의 고역 부분을 강조하지 않고, 휘도 신호의 전달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휘도 신호의 윤곽을 보정함으로써, 휘도 신호가 과 보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본 발명은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휘도 신호에 윤곽 보정 신호를 부과하여 텔레비전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윤곽을 개선하기 위해 영상 신호의 윤곽을 보정하거나 평활화하기 위한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윤곽 보정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윤곽 보정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연기(121), 제1 가산기(131), 및 2차 미분 회로(100)로 구성된다. 상기 2차 미분 회로(100)는 휘도 신호 입력 단자(101)로부터 입력되는 휘도 신호를 2차 미분하여 윤곽 보정용 신호(142)를 발생하기 위해 제2 지연기(122), 제3 지연기(123), 제2 가산기(132), 감산기(141), 및 1/2 증폭기(15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연기(121, 122)는 입력 단자(101)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를 각각 일정 시간 T 동안 지연시킨다. 상기 제2 지연기(122)는 T 시간 지연시킨 휘도 신호를 상기 제3 지연기(123) 및 감산기(141)로 각각 출력한다. 상기 제3 지연기(123)는 제2 지연기(122)에 의해 T 시간 동안 지연된 휘도 신호를 T 시간만큼 더 지연시켜 2T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를 제2 가산기(132)로 출력한다. 상기 제2 가산기(132)는 입력 단자(101)를 통해 입력되는 현재의 휘도 신호에 상기 제3 지연기(123)에 의해 2T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를 가산하여 1/2 증폭기(151)로 출력한다. 상기 1/2 증폭기(151)는 상기 제2 가산기(132)로부터 입력되는 가산된 휘도 신호를 1/2 증폭하여 상기 감산기(141)로 출력한다. 상기 감산기(141)는 상기 제2 지연기(122)로부터의 상기 T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에서 상기 1/2 증폭기(151)로부터의 1/2 증폭 신호를 감산하여 윤곽 보정용 신호(142)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윤곽 보정 신호(142)를 상기 제1 가산기(131)에 제공한다. 상기 제1 가산기(131)는 상기 제1 지연기(121)로부터의 T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에 상기 감산기(141)로부터의 상기 발생된 윤곽 보정용 신호(142)를 가산하여 윤곽 보정된 휘도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 단자(103)를 통해 매트릭스 회로(도시 안됨)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윤곽 보정 회로에 있어서는 단순히 휘도 신호의 고역 부분을 강조하도록 되어 휘도 신호의 레벨이 높거나 낮은 부분에서는 과 보정되거나 또는 저 보정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휘도 신호의 윤곽 보정시에 신호의 수직 윤곽을 보정하거나 평활화하기 위한 윤곽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상기한 윤곽 보정 방법을 수행하는 데 특히 적합한 윤곽 보정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윤곽 보정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곽 보정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윤곽 보정 회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122, 123, 210, 220 : 지연기131, 132, 230, 510 : 가산기
141, 250 : 감산기151, 240 : 1/2 증폭기
310 : 제어기410, 420 : 증폭기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로부터 제1 휘도 신호, 제1 보정 신호, 및 제2 보정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발생된 보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발생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1 보정 신호, 및 상기 제2 보정 신호를 증폭하여 윤곽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휘도 신호와 증폭된 제1 보정 신호, 및 제2 보정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함으로써 윤곽 보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단계로 구성된 윤곽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로부터 제1 휘도 신호, 제1 보정 신호, 및 제2 보정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2차 미분 회로부; 상기 분리된 제1 보정 신호와 제2 보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보정 신호, 및 상기 제2 보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윤곽 보정부; 및 상기 제1 휘도 신호에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제1 보정 신호와 제2 보정 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기 위한 휘도 신호 출력부로 구성되는 윤곽 보정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단자를 통하여 입력된 휘도 신호로부터 분리된 제1 휘도 신호, 제1 보정 신호, 및 제2 보정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발생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분리된 상기 제1 보정 신호와 상기 제2 보정 신호를 증폭한 후에, 증폭된 제1 보정 신호, 및 제2 보정 신호에 제1 휘도 신호를 가산하여 입력되는 휘도 신호의 윤곽을 보정하게 된다.
휘도 신호의 고역 부분을 강조하지 않고, 휘도 신호의 전달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휘도 신호의 윤곽을 보정함으로써, 휘도 신호가 과 보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보정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윤곽 보정 회로(600)는 2차 미분 회로부(200), 제어부(300), 윤곽 보정부(400), 및 휘도 신호 출력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2차 미분 회로(200)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2차 미분 회로(100)아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2차 미분 회로(200)는 제1 지연기(210), 제2 지연기(220), 제1 가산기(230), 1/2 증폭기(240), 및 감산기(250)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 단자(201)로부터 입력된 상기 휘도 신호(Y)는 상기 제1 지연기(210), 및 제1 가산기(230)에 입력된다. 상기 제1 지연기(210)는 T 시간 지연시킨 제1 휘도 신호(Y1)를 상기 제2 지연기(220), 상기 감산기(250), 및 상기 휘도 신호 출력부(500)로 각각 출력한다.
상기 제2 지연기(220)는 제1 지연기(210)에 의해 T 시간 동안 지연된 휘도 신호(Y1)를 T 시간만큼 더 지연시켜 2T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222)를 상기 제1 가산기(230)로 출력한다.
상기 제1 가산기(230)는 상기 입력 단자(201)로부터 입력된 상기 휘도 신호(Y)에 상기 제2 지연기(220)에 의해 2T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222)를 가산하여 상기 1/2 증폭기(240)로 출력한다.
상기 1/2 증폭기(240)는 상기 제1 가산기(230)로부터 입력되는 가산된 휘도 신호(232)를 1/2 증폭하여 발생된 제1 보정 신호(C1)를 상기 감산기(250), 및 윤곽 보정부(400)로 출력한다.
상기 감산기(250)는 상기 제1 지연기(212)로부터의 T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Y1)에서 상기 1/2 증폭기(240)로부터의 1/2 증폭된 제1 보정 신호(C1)를 감산하여 보정된 제2 보정 신호(C2)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제2 보정 신호(C2)를 상기 증폭부(400)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제어기(31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310)는 상기 2차 미분 회로부(200)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1 보정 신호(C1), 및 상기 제2 보정 신호(C2)의 증폭하여 휘도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윤곽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x)를 발생하여, 상기 발생된 제어 신호(x)를 상기 윤곽 보정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윤곽 보정부(400)는 제1 증폭기(410), 및 제2 증폭기(4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증폭기(410)는 상기 2차 미분 회로부(200)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1 보정 신호(C1)를 입력받은 후에, 상기 제어기(41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x)에 응답하여 증폭률 β를 결정하여 상기 제1 보정 신호(C1)를 β만큼 증폭된 후에, 증폭된 제1 보정 신호(βC1)를 상기 휘도 신호 출력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증폭기(420)는 상기 2차 미분 회로부(200)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2 보정 신호(C2)를 입력받은 후에, 상기 제어기(410)로 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x)에 응답하여 증폭률 α를 결정하여 상기 제2 보정 신호(C2)를 α만큼 증폭된 후에, 증폭된 제2 보정 신호(αC2)를 상기 휘도 신호 출력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휘도 신호 출력부(500)는 제2 가산기(51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가산기(510)는 상기 제1 지연기(2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휘도 신호(Y1), 상기 제1 증폭기(4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보정 신호(βC1), 및 상기 제2 증폭기(420)로부터 출력되는 제2 보정 신호(αC2)를 가산하여, 윤곽이 보정된 휘도 신호(512)를 휘도 신호 출력 단자(Y')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윤곽 보정 회로(600)의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윤곽 보정 회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입력 단자(201)로부터 입력된 상기 휘도 신호(Y)는 상기 2차 미분 회로부(200)의 상기 제1 지연기(210), 및 상기 제1 가산기(230)에 입력된다. 상기 입력 단자(201)로부터 상기 휘도 신호(Y)를 입력받은 상기 제1 지연기(210)는 입력된 상기 휘도 신호(Y)를 T 시간 동안 지연 시킨 제1 휘도 신호(Y1)를 상기 제2 지연기(220), 상기 감산기(250), 및 상기 휘도 신호 출력부(500)에 각각 제공한다(단계 S1).
상기 제1 지연기(210)에 의해 T 시간 동안 지연된 휘도 신호(Y1)를 입력받아 T 시간만큼 더 지연시킨 상기 제2 지연기(220)는 2T 시간만큼 지연된 휘도 신호(222)를 상기 제1 가산기(230)에 제공한다. 상기 입력 단자(201)로부터 입력된 상기 휘도 신호(Y)에 상기 제2 지연기(220)에 의해 2T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222)를 가산한 상기 제1 가산기(230)는 가산된 결과(232)를 상기 1/2 증폭기(240)로 출력하고, 상기 제1 가산기(230)로부터 입력되는 가산된 휘도 신호(232)를 1/2 증폭한 상기 1/2 증폭기(240)는 1/2 증폭된 결과 발생된 제1 보정 신호(C1)를 상기 감산기(250), 및 윤곽 보정부(400)의 상기 제1 증폭기(410)에 제공한다. 상기 제1 지연기(212)로부터의 T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Y1)에서 상기 1/2 증폭기(240)로부터의 1/2 증폭된 제1 보정 신호(C1)를 감산한 상기 감산기(250)는 감산하고, 상기 발생된 제2 보정 신호(C2)를 상기 증폭부(400)의 상기 제2 증폭기(420)에 제공한다(단계 S2).
윤곽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x)를 발생한 상기 제어기(310)는 상기 발생된 제어 신호(x)를 상기 윤곽 보정부(400)의 제1 증폭기(410), 및 제2 증폭기(420)에 각각 제공한다(단계 S3).
상기 2차 미분 회로부(200)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1 보정 신호(C1)를 입력받은 상기 제1 증폭기(410)는 상기 제어 신호(x)에 응답하여 증폭률 β를 결정한 후에, β만큼 증폭된 제1 보정 신호(βC1)를 상기 휘도 신호 출력부(500)의 제2 가산기(510)에 제공한다. 상기 2차 미분 회로부(200)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2 보정 신호(C2)를 입력받은 상기 제2 증폭기(420)는 상기 제어 신호(x)에 응답하여 증폭률 α를 결정한 후에, α만큼 증폭된 제2 보정 신호(αC2)를 상기 휘도 신호 출력부(500)의 제2 가산기(510)에 출력한다(단계 S4).
상기 제1 지연기(2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휘도 신호(Y1), 상기 제1 증폭기(41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보정 신호(βC1), 및 상기 제2 증폭기(42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보정 신호(αC2)를 가산한 상기 제2 가산기(510)는 윤곽이 보정된 휘도 신호(512)를 휘도 신호 출력 단자(Y')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한다(단계 S5).
이어, 상기한 구성을 갖는 윤곽 보정 회로(600)의 동작 원리를 상기 제1 증폭기(410), 및 상기 제2 증폭기(420)의 증폭률 α, 및 β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 단자(201)로부터 입력된 휘도 신호(Y)로부터 제1 휘도 신호(Y1), 제1 보정 신호(C1), 및 제2 보정 신호(C2)를 분리한 후에, 휘도 신호(Y)를 보정하기 위하여 제1 보정 신호(C1), 및 제2 보정 신호(C2)를 제어 신호에 따른 α,β에 따라 증폭하여 제1 휘도 신호(Y1)에 가산함으로써, 휘도 신호를 보정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휘도 신호의 수직 에지를 보상할 경우에는 β=0으로 하고, α를 다음과 같은 범위에서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상율 α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휘도 신호의 수직 에지 부분을 평활화하는 경우에는 α=0으로 하고, β를 다음과 같은 범위에서,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평활화율 β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정된 α,β에 따라 증폭된 제1 보정 신호(C1), 및 제2 보정 신호(C2)는 제1 휘도 신호(Y1)에 가산되어 윤곽 신호가 보정된 휘도 신호(Y')를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휘도 신호의 고역 부분을 강조하지 않고, 휘도 신호의 전달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휘도 신호의 윤곽을 보정함으로써, 휘도 신호가 과 보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휘도 신호의 고역 부분은 강조하지 않는 반면에 휘도 신호의 전달 시간을 조절하여 휘도 신호의 윤곽을 보정한다. 따라서, 휘도 신호의 윤곽 보정시 과보정되지 않는 윤곽 보정 회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적인 지식의 범위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8)

  1. (a)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로부터 제1 휘도 신호, 제1 보정 신호, 및 제2 보정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발생된 보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c) 상기 발생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1 보정 신호, 및 상기 제2 보정 신호를 증폭하여 윤곽을 보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휘도 신호와 증폭된 제1 보정 신호, 및 제2 보정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함으로써 윤곽 보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를 T 시간 지연시켜 제1 휘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a-2) 상기 제1 휘도 신호를 T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단계;
    (a-3)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와 상기 단계 (a-2)에 의해 T 시간 지연된 제1 휘도 신호를 가산하는 단계;
    (a-4) 상기 단계 (a-3)에 의해 가산된 신호를 1/2 증폭하여 제1 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a-5) 상기 단계 (a-1)에 의해 출력된 제1 휘도 신호에서 상기 단계 (a-4)에 의해 출력된 제1 보정 신호를 감산하여 제2 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제1 보정 신호 및 상기 제2 보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률 α 및 β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단계 (b)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로부터 결정된 증폭률 α에 따라 상기 제1 보정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c-2) 상기 단계 (b)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로부터 결정된 증폭률 β에 따라 상기 제2 보정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제1 휘도 신호, 상기 단계 (c-1)에 의해 출력된 α만큼 증폭된 제1 보정 신호, 및 상기 단계 (c-2)에 의해 출력된 β만큼 증폭된 제2 보정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방법.
  6.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로부터 제1 휘도 신호, 제1 보정 신호, 및 제2 보정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2차 미분 회로부(200);
    상기 분리된 제1 보정 신호와 제2 보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300);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보정 신호, 및 상기 제2 보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윤곽 보정부(400); 및
    상기 제1 휘도 신호에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제1 보정 신호와 제2 보정 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기 위한 휘도 신호 출력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미분 회로부(200)는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휘도 신호를 T 시간 지연시켜 제1 휘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지연기(210);
    상기 제1 휘도 신호를 T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제2 지연기(220);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휘도 신호와 상기 제2 지연기(220)로부터 출력된 2T 지연된 휘도 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제1 가산기(230);
    상기 제1 가산기(230)로부터 출력된 2T 지연된 휘도 신호를 증폭하여 제1 보정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1/2 증폭기(240); 및
    상기 제1 지연기(210)로부터 출력된 제1 휘도 신호에서 상기 1/2 증폭기(240)로부터 출력된 제1 보정 신호를 감산하여 제2 보정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감산기(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1/2 증폭기(240)에 의해 출력된 제1 보정 신호 및 상기 감산기(250)에 의해 출력된 제2 보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률 α 및 β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310)로 구성되고,
    상기 윤곽 보정부(400)는, 상기 제어기(310)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로부터 결정된 증폭률 α에 따라 상기 1/2 증폭기(240)로부터 출력된 제1 보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1 증폭기(410); 및 상기 제어기(310)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로부터 결정된 증폭률 β에 따라 상기 감산기(250)로부터 출력된 제2 보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1 증폭기(410)로 구성되고,
    상기 휘도 신호 출력부(500)는 상기 제1 지연기(2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휘도 신호, 상기 제1 증폭기(4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보정 신호(βC1), 및 상기 제2 증폭기(420)로부터 출력되는 제2 보정 신호(αC2)를 가산하기 위한 제2 가산기(5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회로.
KR1019970026667A 1997-06-24 1997-06-24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KR19990002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667A KR19990002919A (ko) 1997-06-24 1997-06-24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667A KR19990002919A (ko) 1997-06-24 1997-06-24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919A true KR19990002919A (ko) 1999-01-15

Family

ID=6598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667A KR19990002919A (ko) 1997-06-24 1997-06-24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29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2609C (en) Video signal gradation corrector
JP2967008B2 (ja) 自動画質補償方法及び装置
US20030156225A1 (en) Gradation correction apparatus
US5144399A (en) Color image pickup apparatus
KR19990002919A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KR100225583B1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보정 회로
KR100261491B1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KR19980030425A (ko) 윤곽 보정 회로
KR100261490B1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JPH114363A (ja) 輪郭補正回路
JP2002152771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19990004749A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KR940003037B1 (ko) 2차 미분에 의한 영상윤곽 보정회로
KR100225582B1 (ko) 윤곽 보정 회로
JPH03214973A (ja) アパーチャ補償回路
KR100266419B1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윤곽 보정 회로
KR19990004751A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KR100240254B1 (ko) 수직 에지를 보상하기 위한 윤곽 보정 방법 및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KR0139155B1 (ko) 적응형 윤곽보정장치
JPH0615375U (ja) 画像シェーディング補正処理装置
JP2970175B2 (ja)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
JPH05336470A (ja) 映像信号制限回路
JPH10200788A (ja) 輪郭補正回路
JPH05161035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H03247079A (ja) 適応型輪郭補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