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751A -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 Google Patents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751A
KR19990004751A KR1019970028892A KR19970028892A KR19990004751A KR 19990004751 A KR19990004751 A KR 19990004751A KR 1019970028892 A KR1019970028892 A KR 1019970028892A KR 19970028892 A KR19970028892 A KR 19970028892A KR 19990004751 A KR19990004751 A KR 19990004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lay
contour correction
motion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덕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28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751A/ko
Publication of KR1999000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751A/ko

Links

Landscapes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1H 지연된 휘도 신호를 수직 운동과 수평 운동으로 각각 감지하여 그 운동량에 따라 에지 보상율을 제어해줌으로써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지연 증폭부는 입력 단자(IN)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로부터 제1 1H 지연 신호, 윤곽 보정용 신호를 발생한다. 운동 감지부는 상기 제1 1H 지연 신호로부터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운동량을 감지하고, 스위칭부는 상기 운동 감지부의 제어에 따라 각기 다른 증폭율로 지연 증폭부의 윤곽 보정용 신호를 증폭한다. 합산부는 상기 지연 증폭부에서 1H 지연된 신호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 신호를 합산하여 최종 윤곽 보정용 신호를 출력한다. 1H 라인 지연된 신호를 수직 운동량과 수평 운동량에 따라 그 증폭율을 다르게 제어하므로써 휘도 신호의 윤곽을 보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본 발명은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H 지연된 휘도 신호를 수직 운동과 수평 운동으로 각각 감지하여 그 운동량에 따라 에지 보상율을 제어해줌으로써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윤곽 보정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윤곽 보정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연기(121), 제1 합산기(131), 그리고 2차 미분 회로(100)로 구성된다. 상기 2차 미분 회로(100)는 휘도 신호 입력 단자(101)로부터 입력되는 휘도 신호를 2차 미분하여 윤곽 보정용 신호(142)를 발생한다. 상기 2차 미분 회로(100)는 제2 지연기(122), 제3 지연기(123), 제2 합산기(132), 감산기(141), 그리고 1/2 증폭기(15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연기(121 및 122)는 입력 단자(101)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를 각각 일정 시간 T 동안 지연시킨다. 상기 제2 지연기(122)는 T시간 지연시킨 휘도 신호를 상기 제1 합산기(131) 및 감산기(141)로 각각 출력한다.
상기 제3 지연기(123)는 상기 제2 지연기(122)에 의해 T 시간 동안 지연된 휘도 신호를 T 시간만큼 더 지연시켜 2T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를 제2 합산기(132)로 출력한다. 상기 제2 합산기(132)는 입력 단자(101)를 통해 입력되는 현재의 휘도 신호에 상기 제3 지연기(123)에 의해 2T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를 합산하여 1/2 증폭기(151)로 출력한다. 상기 1/2 증폭기(151)는 상기 제2 합산기(132)로부터 입력되는 합산된 휘도 신호를 1/2 증폭하여 상기 감산기(141)로 출력한다.
상기 감산기(141)는 상기 제2 지연기(122)로 부터의 상기 T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에서 상기 1/2 증폭기(151)로부터의 1/2 증폭 신호를 감산하여 윤곽 보정용 신호(142)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윤곽 보정용 신호(142)를 상기 제1 합산기(131)에 제공한다. 상기 제1 합산기(131)는 상기 제1 지연기(121)로부터의 T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에 상기 감산기(141)로부터의 상기 발생된 윤곽 보정용 신호(142)를 합산하여 윤곽 보정된 휘도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 단자(103)를 통해 매트릭스(도시 안됨)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윤곽 보정 회로에 있어서는 단순히 휘도 신호의 고역 부분을 강조하도록 되어 휘도 신호의 레벨이 높거나 낮은 부분에서는 과보정되거나 또는 저보정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입력된 휘도 신호의 1H 지연된 휘도 신호의 수직 운동량 및 수평 운동량에 따라서 휘도 신호의 수직 에지를 보상하여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윤곽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는데 특히 적합한 윤곽 보정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윤곽 보정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곽 보정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윤곽 보정 회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122, 123 : 지연기210, 120 : 1H 지연기
131, 132, 230, 510 : 합산기151, 240 : 1/2 증폭기
141, 250 : 감산기310 : 수직 운동 감지기
320 : 수평 운동 감지기330 : 제어기
SW1, SW2 : 스위치410 : 증폭율 1α의 증폭기
420 : 증폭율 1β의 증폭기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입력 단자(IN)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로부터 제1 1H 지연 신호 및 윤곽 보정용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제1 1H 지연 신호의 운동량을 감지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발생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윤곽 보정용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증폭된 윤곽 보정용 신호와 상기 제1 1H 지연 신호를 합산하여 수직 에지를 보상하기 위한 최종 윤곽 보정용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윤곽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단자(IN)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로부터 제1 1H 지연 신호, 윤곽 보정용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지연 증폭부;
상기 제1 1H 지연 신호로부터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운동량을 감지하기 위한 운동 감지부;
상기 운동 감지부의 제어에 따라 각기 다른 증폭율로 지연 증폭부의 윤곽 보정용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스위칭부; 그리고
상기 지연 증폭부에서 1H 지연된 신호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 신호를 합산하여 최종 윤곽 보정용 신호를 출력하는 합산부로 이루어지는 윤곽 보정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휘도 신호는 수직 운동량 및 수평 운동량으로 각각 감지되어, 출력된 감지 신호를 근거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증폭한 상기 윤곽 보정용 신호를 출력시킨 후, 이 출력 신호에 제1 1H 지연 신호를 합산하므로써 입력되는 휘도 신호의 수직 에지를 보상하게 된다.
따라서, 1H 라인 지연된 신호를 수직 운동량과 수평 운동량에 따라 그 증폭율을 상이하게 제어하여 휘도 신호의 윤곽을 보상함으로써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곽 보정 회로인 수직 에지 보상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 에지 보상 회로는 지연 증폭부(200), 운동 감지부(300), 스위칭부(400) 및 합산부(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연 증폭부(200)는 제1 1H 지연기(210), 제2 1H 지연기(220), 합산기(230), 1/2 증폭기(240) 및 감산기(2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1H 지연기(210)는 입력 단자(IN)를 통해 입력된 휘도 신호(Y)를 1H 라인 지연시켜 제1 1H 지연 신호(211)를 출력하여 제2 1H 지연기(220), 운동 감지부(300) 및 합산부(500)에 각각 제공한다.
상기 제2 1H 지연기(220)는 제1 1H 지연기(210)로부터 제1 1H 지연 신호(211)를 제공받아 1H 라인 지연시킨 후 제2 1H 지연 신호(221)를 제1 합산기(230)에 제공한다.
제1 합산기(230)는 입력된 휘도 신호(Y)와 제2 1H 지연 신호(221)를 합산하여 제1 합산 신호(231)를 1/2 증폭기(240)로 출력한다.
상기 1/2 증폭기(240)는 제1 합산기(230)로부터 합산된 제1 합산 신호(231)를 증폭한 1/2 증폭 신호(241)를 감산기(250)에 제공한다.
상기 감산기(250)는 제1 1H 지연 신호(211)와 1/2 증폭된 신호(241)를 감산하여 윤곽 보정용 신호(251)를 스위칭부(400)에 제공한다.
상기 운동 감지부(300)는 수직 운동 감지기(310), 수평 운동 감지기(320) 및 제어기(33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 운동 감지기(310)는 제1 1H 지연된 휘도 신호(211)로부터 감지한 수직 운동량 감지 신호(A)를 상기 제어기(330)에 제공하고, 또한 수직 운동 감지기(310)에 병렬로 연결된 상기 수평 운동 감지기(320)는 제1 1H 지연된 휘도 신호(211)로부터 감지한 수평 운동량 감지 신호(B)를 상기 제어기(330)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기(330)는 수직 운동 감지기(310)와 수평 운동 감지기(320)의 출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 운동 감지기(310) 및 수평 운동 감지기(320)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운동량 감지 신호(A) 및 수평 운동량 감지 신호(B)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331)를 스위칭부(400)에 제공한다.
상기 스위칭부(400)는 상기 감산기(250)로부터 출력되는 윤곽 보정용 신호(251)가 입력되는 제1의 입력 단자를 갖는 제1 스위치(SW2), 상기 제1 스위치(SW2)에 연결될 수 있는 증폭율 1α의 증폭기(410), 윤곽 보정용 신호(251)가 입력되는 제2 입력 단자를 갖는 제2 스위치(SW1) 및 상기 제2 스위치(SW1)에 연결될 수 있는 증폭율 1β의 증폭기(42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 운동 감지기(310)에 의해 수직 운동이 감지되면, 제어기(330)에 의해 지연 증폭부(200)로부터의 윤곽 보정용 신호(251)를 증폭율 1α의 증폭기(410)에 제공하도록 상기 제1 스위치(SW2)가 온되어, 상기 증폭율 1α의 증폭기(410)는 윤곽 보정용 신호(251)를 1α만큼 증폭시킨다.
또 상기 수평 운동 감지기(320)에 의해 수평 운동이 감지되면, 제어기(330)에 의해 지연 증폭부(200)로부터의 윤곽 보정용 신호(251)를 증폭율 1β의 증폭기(420)에 제공하도록 상기 제2 스위치(SW1)는 온되어, 상기 증폭율 1β의 증폭기(420)는 윤곽 보정용 신호(251)를 1β만큼 증폭시킨다.
상기 합산부(500)는 제2 합산기(510)로 구성되며, 상기 지연 증폭부(200)의 제1 1H 지연기(210)로부터 제1 1H 지연 신호와 상기 스위칭부(400)의 출력 신호를 합산하여 최종 윤곽 보정용 신호를 출력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수직 에지 보상 회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입력 단자(IN)로부터 입력되는 휘도 신호(Y)는 상기 제1 1H 지연기(210)에 입력되어 제1의 1H 라인 지연 신호(111)로 출력된다(단계 S1).
상기 제1 1H 지연기(210)에서 출력된 제1의 1H 라인 지연 신호(211)를 상기 제2 1H 지연기(220)에 입력하여 제2의 1H 라인 지연 신호(221)를 출력한다(단계 S2)
상기 제2 1H 지연기(220)로부터 출력된 제2의 1H 라인 지연 신호(221)와 상기 입력 단자(IN)로부터의 휘도 신호(Y)를 상기 제1 합산기(230)에 제공하여 제1 합산 신호(231)를 출력한다(단계 S3).
상기 제1 합산기(230)에서 출력된 제1 합산 신호(231)를 상기 1/2 증폭기(240)에 제공하여 1/2 증폭 신호(241)를 출력한다(단계 S4).
상기 1/2 증폭 신호(241)와 상기 1차 1H 라인 지연 신호(211)를 상기 감산기(250)에 제공하여 상기 1/2 증폭 신호(241)와 상기 1차 1H 라인 지연 신호(211)를 감산하여, 윤곽 보정용 신호(251)를 발생한다(단계 S5).
1차 1H 지연 신호(211)를 상기 운동 감지부(300)의 수직 운동 감지기(310) 및 수평 운동 감지기(320)에 각각 입력하여 수직 운동량에 대한 감지 신호(A) 및 수평 운동량에 대한 감지 신호(B)를 제어기(330)에 제공한다(단계 S6).
상기 제어기(330)에 입력되는 수직 운동량 감지 신호(A) 및 수평 운동량 감지 신호(B)를 근거하여 상기 지연 증폭부(200)로부터 발생된 윤곽 보정용 신호(251)를 스위칭부(400)의 1α 증폭기(410)와 1β 증폭기(421)에 선택적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는 제1 스위치(SW2) 및 제2 스위치(SW1)에 제공하여 제2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를 선택적으로 ON/OFF하고 또한 증폭율 1α의 증폭기(410)와 증폭율 1β의 증폭기(420)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1α만큼 증폭된 윤곽 보정용 신호(410) 또는 1β만큼 증폭된 윤곽 보정용 신호(420)를 출력한다(단계 S7).
상기 증폭율 1α의 증폭기(410) 또는 증폭율 1β의 증폭기(420)를 통과한 1α만큼 증폭된 윤곽 보정용 신호(411) 또는 1β만큼 증폭된 윤곽 보정용 신호(421)와 상기 지연 증폭부(200)의 제1 1H 지연기(210)에서 출력된 1차 1H 지연 신호(211)를 상기 제2 합산기(510)에 각각 입력하여 수직 에지가 보상된 출력 신호(511)를 최종 윤곽 보정 신호로서 출력 단자(OUT)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8).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된 휘도 신호를 1H 라인 지연시킨 1H 지연 신호(211)를 수직 운동량 및 수평 운동량으로 나누어서 수직 운동량 감지기(310) 및 수평 운동량 감지기(320)에서 운동량을 각각 감지하여 각 감지기(310, 320)에서 출력되는 운동량 감지 신호(A 및 B)에 따라 제1 스위치(SW2)와 제2 스위치(SW1) 및 증폭율 1α의 증폭기(410)와 증폭율 1β의 증폭기(420)를 조정하여 윤곽 보정용 신호(251)를 1α만큼 증폭된 윤곽 보정용 신호(311) 또는 1β만큼 증폭된 윤곽 보정용 신호(421)로 각각 출력한다. 이때 수직 에지에 대한 영향력은 하기 식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운동(1β)보다 수직 운동(1α)이 더 크다.
[식 1]
따라서, 수직 운동이 감지되면 수평 운동을 무시하고, 수평 운동은 수직 운동이 감지되지 않을 때 작동하게 된다. 상기 동작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A B α β SW1 SW2
0 0 1 X OFF ON
0 1 X β* ON OFF
1 X α* X OFF ON
여기서, X는 상관없음(don't care)을 나타내고, 증폭율 α와 β에 대한 해당 증폭도의 값은 α 일 때는 0.2이고, 또한 α=α* 또는 β=β*일 때는 α*/20β*α*/5, 0α*0.2로 정의된다.
상기 표 1과 도 2를 연관하여 만일 수직 운동량 감지 신호(A)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수평 운동량 감지 신호(B)가 발생한다면, 제어기(330)는 제2 스위치(SW1)를 ON시켜 윤곽 보정용 신호(251)를 증폭율 β*으로 증폭하여 β 증폭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경우에, 제어기(330)는 제1 스위치(SW2)를 ON시켜 제2 출력 신호(151)를 증폭율 α*로 증폭하여 α 증폭 신호를 출력한다. 각각의 경우에 출력된 β 증폭 신호 또는 α 증폭 신호를 1차 1H 지연 신호(111)와의 합산 과정을 거쳐 최종의 수직 에지가 보상된 신호(511)를 출력 단자(OUT)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1H 라인 지연된 신호를 수직 운동량과 수평 운동량에 따라 그 증폭율을 다르게 제어하여 휘도 신호의 윤곽을 보상함으로써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휘도 신호를 1H 라인 지연시킨 신호에 대한 운동 감지를 수직 운동과 수평 운동으로 각각 감지해서 그 운동량에 따라서 상이한 증폭율의 증폭기를 제어하여 윤곽 보정용 신호를 증폭해 주고, 상기 증폭된 신호에 상기 입력 휘도 신호를 1H 라인 지연시킨 신호를 합산하여 얻은 수직 에지를 보상할 수 있는 윤곽 보정용 신호로써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a) 입력 단자(IN)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로부터 제1 1H 지연 신호 및 윤곽 보정용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제1 1H 지연 신호의 운동량을 감지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발생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윤곽 보정용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증폭된 윤곽 보정용 신호와 상기 제1 1H 지연 신호를 합산하여 수직 에지를 보상하기 위한 최종 윤곽 보정용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입력 단자(IN)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를 1H 라인 지연시켜 제1 1H 지연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a-2) 상기 제1 1H 지연 신호를 1H 라인 지연시켜 제2 1H 지연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a-3) 상기 제2 1 지연 신호와 입력 단자(IN)를 통해 입력된 휘도 신호를 합산하여 제1 합산 신호를 발생하여 1/2 증폭하는 단계; 그리고 (a-4) 상기 단계 (a-3)에서 발생된 1/2 증폭 신호에서 상기 제1 1H 지연 신호를 감산하여 윤곽 보정용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제1 1H 지연 신호의 수직 운동량을 감지하여 수직 운동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b-2) 상기 제1 1H 지연 신호의 수평 운동량을 감지하여 수평 운동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그리고 (b-3) 상기 수직 운동 감지 신호 및 수평 운동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단계(b-3)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수직 운동량 감지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수평 운동량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윤곽 보정용 신호를 β(α/20≤β≤α/5, 0≤α≤0.2)만큼 증폭하여 β 증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경우에, 상기 윤곽 보정용 신호를 α(0≤α≤0.2)만큼 증폭하여 α 증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방법.
  5. 입력 단자(IN)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로부터 제1 1H 지연 신호, 윤곽 보정용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지연 증폭부(200);
    상기 제1 1H 지연 신호로부터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운동량을 감지하기 위한 운동 감지부(300);
    상기 운동 감지부(300)의 제어에 따라 각기 다른 증폭율로 지연 증폭부(200)의 윤곽 보정용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스위칭부(400); 그리고
    상기 지연 증폭부(200)에서 1H 지연된 신호와 상기 스위칭부(400)의 출력 신호를 합산하여 최종 윤곽 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합산부(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증폭부(200)는,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휘도 신호를 1H 지연시켜 제1 1H 지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1H 지연기(210); 상기 제1 1H 지연 신호를 1H 지연시켜 제2 1H 지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1H 지연기(120);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제2 1H 지연기(220)로부터 지연된 신호를 합산하는 제1 합산기(230); 상기 제1 합산기(230)로부터 합산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1/2 증폭기(240); 그리고 상기 제1 1H 지연 신호와 상기 증폭된 신호를 감산하기 위한 감산기(2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감지부(300)는, 상기 제1 1H 지연된 휘도 신호 수직 운동을 감지하기 위한 수직 운동 감지기(310); 상기 제1 1H 지연된 휘도 신호로부터 수평 운동을 감지하기 위한 수평 운동 감지기(320); 그리고 상기 수직 운동 감지기(310) 및 수평 운동 감지기(320)로 1H 지연된 휘도 신호로부터 운동량을 감지하여 스위칭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회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400)는, 상기 운동 감지부(300)로부터 수직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지연 증폭부(200)로부터의 윤곽 보정용 신호를 증폭율 α(0≤α≤0.2)로 구동하기 위한 제1 스위치(SW2); 상기 운동 감지부(300)로부터 수평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지연 증폭부(200)로부터의 윤곽 보정용 신호를 증폭율 β(α/20≤β≤α/5)로 구동하기 위한 제2 스위치(SW1); 상기 운동 감지부(300)의 수직 운동의 감지에 따라 제1 스위치(SW2)의 구동에 연결되는 증폭율 α의 증폭기(410); 그리고 상기 운동 감지부(300)의 수평 운동의 감지에 따라 제2 스위치(SW1)의 구동에 연결되는 증폭율 β 의 증폭기(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회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산부(500)는, 상기 지연 증폭부(200)의 1H 지연기(210)로부터 제1 1H 지연 신호와 스위칭부(400)의 출력 신호를 합산하여 상기 최종 윤곽 보정용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합산기(5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보정 회로.
KR1019970028892A 1997-06-30 1997-06-30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KR19990004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892A KR19990004751A (ko) 1997-06-30 1997-06-30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892A KR19990004751A (ko) 1997-06-30 1997-06-30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751A true KR19990004751A (ko) 1999-01-25

Family

ID=6598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892A KR19990004751A (ko) 1997-06-30 1997-06-30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7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6706A1 (en) High efficiency amplification
JPH09107244A (ja) 歪発生・低減回路
US5329244A (en) Linear compensating circuit
CA2288460A1 (en) Distortion compensation circuit
JPH07336718A (ja) 映像表示装置
JPH0678244A (ja) 自動画質補償方法及び装置
KR19990004751A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KR100225583B1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보정 회로
JP3943645B2 (ja) 輪郭補償回路
JPH09322019A (ja) ノイズ抑圧回路
JP2002044679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H08307161A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KR100266419B1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윤곽 보정 회로
KR100261490B1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KR100240254B1 (ko) 수직 에지를 보상하기 위한 윤곽 보정 방법 및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KR19990004750A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KR100240255B1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보정 회로
KR19990002919A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 회로
KR100245185B1 (ko) 윤곽 보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윤곽 보정회로
JPS6161572A (ja) くし形フイルタ
KR940002302Y1 (ko) 입력신호 적응형 윤곽 보상 회로
JPS6155283B2 (ko)
KR100394498B1 (ko) 영상신호의윤곽보정회로
JPH02141068A (ja) ディジタル・ノイズリデューサ
JPH05161035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