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821A - 경도편차가 적으며 디프드로윙(Deep Drawing) 가공시 귀부(Ear) 발생이 적은 연속 소둔형 드로윙(Drawing) 및 아이론닝(Ironing)용 고강도 석도원판 제조법 - Google Patents

경도편차가 적으며 디프드로윙(Deep Drawing) 가공시 귀부(Ear) 발생이 적은 연속 소둔형 드로윙(Drawing) 및 아이론닝(Ironing)용 고강도 석도원판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821A
KR19990002821A KR1019970026533A KR19970026533A KR19990002821A KR 19990002821 A KR19990002821 A KR 19990002821A KR 1019970026533 A KR1019970026533 A KR 1019970026533A KR 19970026533 A KR19970026533 A KR 19970026533A KR 19990002821 A KR19990002821 A KR 19990002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manufacturing
high strength
solid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4580B1 (ko
Inventor
김일영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1019970026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580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21D9/4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deep-drawing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프트로윙 가공시 귀부(Ear)(10) 발생이 적은 연속소둔형 드로윙용 고강도 석도원판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의 성분과 조성비를 조정하여 석도 강판의 Ar3 변태점을 강하시켜 열간압연시 훼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혼립조직 발생을 방지하여 석도강판의 폭방향 경도편차를 줄여주며, 강의 조성비를 제한하고 열연강판의 권취온도를 차등 적용하며 냉간압연시 압하율을 조정하고 소둔온도를 관리함으로 면내이방성을 적게하여 드로윙 작업시 귀부(Ear) 발생을 방지시켜 식품용기인 캔 제조시 불량율을 감소시키며 수율을 높여주는 폭방향 경도편차가 적으며 디프드로윙가공시 귀부발생이 적은 고강도 석도원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도편차가 적으며 디프드로윙(Deep Drawing) 가공시 귀부(Ear) 발생이 적은 연속 소둔형 드로윙(Drawing) 및 아이론닝(lroning)용 고강도 석도원판 제조법.
본 발명은 경도편차가 적으며 디프드로윙 가공시 귀부발생이 적은 연속소둔형 드로윙용 고강도 석도원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강에 첨가되는 첨가성분의 범위를 제한하여 폭방향 두께편차를 줄여주며 제조공정의 조건을 제한함으로서 드로윙 가공시 귀부(Ear)의 발생을 방지시켜주는 연속소둔형 고강도 D I용 냉간압연 석도원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도원판은 표면이 미려하여 주석도금후에는 내식성이 우수하게 향상됨으로 식품저장용기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동일 용도로 사용되는 타재료인 종이, 플라스틱, 유리 등에 비해 가격이 싸고 안정적이며 내용물을 안정하게 보관하는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고 있어 수요와 용도가 증가추세에 있다.
종래 석도원판의 제조방법은 고로에서 제조된 용선을 사용하여 전로에서 제강된 강을 열간압연을 행하고 열간압연중 생성된 스케일 제거를 위한 산세작업을 행한후 냉각압연을 행하여 석판의 두께를 확정시킨후 냉간압연시 발생된 스트레스제거 및 경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소둔작업을 행하게 된다.
소둔작업이 완교된 강판 코일은 도금전처리로 산세를 행한후 도금을 하여 석도원판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석도원판은 용기제조공장으로 운송되어 용기제조공정에 투입되게 되며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은 석도강판을 블랭킹(BLanking)하여 용기의 몸통, 윗뚜껑, 아래뚜껑을 제조하고 3부분을 조립하는 방법과, 블랭킹된 석도강판을 D I(Drawing Ironing)하여 몸통과 아래부위를 동시에 제조하고 뚜껑을 조립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근래에는 생산성이 높고 외관이 미려한 D I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 방법으로 제조된 석도강판을 용기를 제조하는 D I 방법으로 용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석도강판을 펀치와 다이를 이용하여 디프드로윙을 행하게 되고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의 가장자리에 지느러미 같은 귀부분(Ear)이 발생되어 심한 경우에는 컵형태로 가공된 용기의 높이미달이 생기는 불량품이 발생되며 트리밍(trimming)작업시 많은 부분을 절단하게 되어 수율저하가 발생되고 연속작업 과정에서 문제를 야기시켜 작업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귀부분을 발생시키는 원인은 드로윙 공정에 투입되는 강판의 경도편차가 큰 경우 혹은 면내 이방성(△r)이 큰경우로 드로윙 과정에서 경도가 낮은 부분 즉, 연한부분은 가공성이 높아 많이 가공되며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경질부는 적게 가공됨에 기인되며 면내 이방성(△r)과의 관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면내이방성(△r)이 증가시 귀부분(Ear)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도 2의 △r과 귀부(Ear)의 관계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드로윙 비 1.82, 펀치직경 33㎜ø 로 드로윙하여 귀부와 △r과의 상관관계를 도표화 한 것으로 △r이 0.1증가시 Ear높이는 0.5㎜증가하며 Ear 높이는△r의 절대값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면내 이방성(△r)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상술한 내용을 정리하면 디프드로윙시 발생되는 Ear의 생성은 강판의 폭방향 두께편차 및 열간압연시 온도편차에 의한 혼립조직 생성에 의한 경도편차와 압연시의 압하율에 의해 발생되는 방향성에 기인하며 이의 완화를 위한 소둔공정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석도원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디프드로윙 가공시 Ear 부분이 발생되지 않아 불량품감소 및 수율이 향상되며 연속작업에서의 문제가 야기되지 않는 석도원판 즉 강판의 폭방향 경도편차가 적으며 면내이방성이 그 0.15 범위에 드는 석도원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D I 가공후의 귀부(Ear) 발생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면내이방성과 귀부(Ear) 발생 상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귀부(Ear)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경도편차가 적으며 면내 이방성이 적은 석도원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제강, 열간압연, 산세, 냉간압연, 소둔 및 도금으로 이루어진 석도원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강의 성분을 중량비로 C : 0.03%-0.07%, P : 0.03%이하 S : 0.05%이하 N : 0.01%이하 Sol, Al : 0.02∼0.05%이하 고용 Mn 0.2∼0.4%와 잔여물은 Fe 및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조성시켜 저탄소 Al-KillED강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1200℃부근에서 균질화 처리후 850-900℃ 부근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하고, 열연강판의 권취온도는 고용 Al함량이 0.02중량% 미만일 때 710℃이상에서 작업하고 고용 Al함량이 0.02% 이상일 때 680∼700℃에서 권취하는 단계와, 냉간압연은 87%∼89%의 냉간압하율로 냉간압연하고 600℃∼700℃ 범위에서 소둔을 행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경도편차를 적게하기 위하여는 경도편차의 중요원인이 되는 훼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혼립조직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성취시키기 위하여는 열간마루리 압연온도를 Ar3변태점 이상 온도 즉 900℃ 이상에서 작업되어야 하나 마무리 작업이 900℃ 이상에서 작업되기 위하여 초기온도는 그 이상으로 올라가야 하며 강판스트립의 가장자리부는 온도하락이 발생되는 것을 감안하여 초기온도는 더욱 상승되어야 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작업방법을 사용할 때 스케일제거의 어려움 및 온도상승에 의한 제비용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경도편차의 주원인이 되는 혼립조직의 발생을 방지시키는 방법으로 훼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혼립조직이 생성되는 Ar3변태점을 하락시키는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조성비를 구성하므로 800∼850℃에서 마무리 열간압연시에도 혼립조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강에 첨가되는 합금원소를 포함한 성분비와 각 성분의 특성에 관하여 서술하면 하기와 같다.
탄소함량은 강의 강도 경도를 좌우하는 성분으로 적정함량 이상으로 첨가되면 용접성과 노치인성이 열화되고, 가공시 Forming 불량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0.7% 이상인 경우에는 용접불량이 발생되며 드로윙가공시 강도초과에 의해 가공불량이 발생되며 0.03중량% 이하에서는 강도 경도확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어 있어 탄소의 함량은 0.03∼0.07중량%로 제한하였다.
망간은 열간취성을 이르키는 황(S)을 황화물로 석출시킴으로 연주시 크랙발생을 방지하며 또한 오스테나이트 구역 확장원소로 강의 Ar3변태점을 강하시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열간마무리 압연시 냉각속도가 빠른 강판의 가장자리가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 압연되어 고른조직이 생성되도록 Ar3변태점을 강하시키도록 조성을 제한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Mn원소의 Ar3변태점 강하성질은 S와의 화합물인 MnS로 존재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고용상태로 존재시 Ar3변태점 강하효력을 발휘하게 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Mn은 S와 1.71의 비율로 결합됨으로 S를 화합물로 고정시키는 데 필요한 Mn량은 1.71S가 되고 그 이상의 첨가량이 고용 Mn으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용 Mn의 함유량이 0.2중량% 이하에서 Ar3변태점 강하효과가 미약하고 0.4중량% 이상 첨가시에는 목표경도가 초과되어 가공성이 저하되는 것을 감안하면 엄밀하게 Mn첨가량은 (0.2+1.71S)∼(0.4+1.71S) 중량%로 제한하여야 마땅하나 S성분은 불순물로 극소량인 0.05중량%가 첨가되는 것을 감안하여 Mn의 함유량은 0.2∼0.4중량%로 제한하였다.
P는 고용경화효과가 큰 치환형 합금원소로 0.03중량%초과시 재질이 경화되어 성형성이 저하되므로 0.03중량%이하로 제한하였다.
Sol, Al은 강의 탈산을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0.05중량% 이상에서 재질경화원인이 되고 0.02중량% 이하에서는 시효유발원소인 N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이유로 0.02중량%∼0.05중량%로 제한하였다.
N은 침입형 원소로서 집합조직을 억제하여 가공성을 해치고 입자성장을 방해하여 연신율을 저하시키므로 낮게 제한하는 것이 가공성에 좋으며 시효성원소로서 시효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0.01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상술한 첨가원소가 첨가된 합금강을 주로하여 형성된 슬라브는 열간압연전 오테나이트 조직이 충분히 균질화 되는 1200℃에서 가열하고 Ar3변태점 온도직상인 850∼900℃에서 열간압연을 행함으로 열간압연시 오스테나이트와 훼라이트의 혼립조직생성을 방지하여 경도편차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면내 이방성(△r)이 ±0.15 이내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Al의 첨가로 Al과 N의 복합석출물을 형성시켜 N을 고정시키며 면내 이방성을 감소시키는 성질을 이용하여 고용 Al이 0.02% 미만일 때 정확히 서술하면 첨가 Al이 (0.02+1.9N)중량% 미만이 되는 경우 고용 Al의 부족으로 면내 이방성 지수가 - 방향으로 커지게 되는 것을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열연강판의 권취온도를 비교적 높은 710℃이상에서 작업하며 고용 Al이 0.02중량%이상일 때 정확히는 첨가 Al이 (0.02+1.9N)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충분한 고용 Al의 확보로 면내이방성 지수가 안정화되고 따라서 면내이방성의 안정화를 위하여 열연강판의 권취온도를 680∼700℃에서 작업한후 산세를 행한 열간압연판은 면내이방성이 안정되게 확보되는 87%∼89%의 냉간압하율하에서 0.11∼0.30㎜ 두께로 냉간압연을 실시후 소둔을 실시한다.
소둔온도는 재결정이 완료되고 훼라이트 결정립 성장이 일어나는 600∼700℃가 적당하며 700℃ 이상인 경우 장력제어에 어려움이 생기고 입자의 과대 성장에 의한 목표경도가 미달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면내 이방성을 개선하는 예로 일본특개소 61-64852 호가 알려져 있으나 이는 Nb를 극저탄소강에 첨가하는 방법이며 한국특허 95-13192 경우 극저탄소강에 대하여 열연강판온도를 변화시킴으로 면내이방성을 개선하는 방법이나 탄소가 0.03중량%이하 첨가되는 저탄소강에 대한, 특히 경도가 61 정도되는 고강도 D I 용 소재에 대한 면내 이방성을 개선하는 방법과는 차이가 많이나는 상이한 방법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고용 Al 함량에 따라 열연강판 권취온도를 조정하며 냉간압연시 압하율을 제한하며 소둔온도를 제한함으로서 면내이방성을 ±0.15 이내 범위에 드는 강판을 제소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도원판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상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저탄소 Al-Killed강을 전로에서 용해하여 노외 정련을 한 후 연속주조하여 강 SLAB 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표에 나타난 발명강(1-3) 및 비교강(4-9)는 모두 노외정련후 최종강 성분이다.
별명강(1)은 [Mn]이 0.46%로서 고용 Mn 확보범위인 0.2+1.71[S] 0.4+1.71[S]구간내에 첨가되었으며,[Al]이 0.028%로서 고용[Al]기준인 0.02+1.9[N]을 초과하였고, 발명강(2,3)도 [Mn]이 0.33%, 0.25%로서 고용[Mn]확보범위내로 첨가되었으며, A101 0.051%, 0.032%로서 고용Al 기준을 초과, 그리고 미달첨가 되었다.
그러나 비교강(4)의 경우[Mn]이 0.23%로서 고용[Mn]확보범위인 0.285∼0.485내에 미달첨가되었고, Al은 0.044%로서 고용Al기준을 초과하였으며, 비교강(5)의 경우[Mn]이 0.28%로서 고용[Mn]확보범위인 0.234∼0.434내에 첨가된 강종이고, Al이 0.055%로서 고용Al기준을 초과 첨가되었다. 비교강(6)의 경우, [Mn]이 0.47%로서 고용[Mn]확보범위인 0.280∼0.480내에 첨가된 강종이고, Al이 0.30%로서 고용 Al기준을 미달첨가 되었고, 또한 비교강(7)의 경우 [Mn] 이 0.44%로서 고용[Mn]확보범위인 0.217∼0.417내에 초과 첨가되었고, Al이 0.025%로서 고용[Al]기준에 미달 첨가되었다.
상기 표.1과 같은 조성을 갖는 강 SLAB를 1200℃정도에서 균질화처리한 후 Ar3온도 직상인 850∼900℃에서 2.3㎜의 두께로 마무리열간압연을 한 후, 표 2에 표기한 권취온도에서 권취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산세를 행하였다. 산세된 열연강판을 냉간압연후 연속소둔을 적용하여 최종 냉연강판의 두께가 0.26㎜인 냉연강판을 얻었다. 또한 표2는 발명강 비교강의 기계적 성질 및 D I Can을 가공후 가공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표.1,2에 나타난 바와같이, 비교강(4)에 경우 Al은 고용Al기준을 초과하여 첨가되고, 열연 Coiling 온도는 670∼700℃이내에서 작업되었으나, [Mn]이 고용[Mn]범위에 미달 첨가됨으로서 Center 부와 Edge부의 재질차, 즉 경도차가 2.2발생하였고 따라서 D I 가공 결과 재질편차에 인하여 불량하였다.
비교강(5,6)에 경우[Mn]이 고용[Mn]범위내 첨가됨으로서 Center부와 Edge부의 경도차가 각각 0.1,0.3으로 양호하게 얻었지만, 비교강(5)의 경우 Al은 고용Al기준을 초과하여 첨가되고, 열연 Coiling온도는 670∼700℃범위 미만으로 작업되어 △r이 -0.31로 높게 발생되었고 그 결과 D I 가공시 Ear 발생으로 인하여 불량하였다.
비교강(7)에 경우 Al은 고용 Al기준을 초과하여 첨가되고, 열연 Coiling 온도 (열연강판 권취온도)는 670∼700℃범위를 초과하여 작업됨으로서 △r이 +0.38로 높게 발생되었으며, [Mn]이 고용 [Mn]범위에 초과 첨가됨으로 Center부와 Edge부의 경도차는 0.4로서 양호하였지만 경도가 목표를 초과함으로서 불량하였다. 또한, D I 가공결과 Ear 과다발생으로 인하여 불량하였다.
그러나 발명강(1,2,3)의 경우 [Mn]이 고용[Mn]확보 범위내로 첨가되었으므로, Center 부와 Edge부의 재질차 즉, 경도차가 각각 0.3, 0.1, 0.4 발생하여 재질편차가 거의 없이 양호하였으며, Al량이 고용[Al]초과시 열연 Coiling온도(열연강판 권취온도)를 670∼690℃에서 작업하고, 고용[Al]이하시 열연 Coiling온도(열연강판 권취온도)를 710℃이상에서 작업함으로서 면내이방성(△r)이 ±0.51이내로 확보되었다. 그 결과 D I용 Can을 가공한 결과 가공불량 없이 양호하였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D I 용 소재 가공시 생산성, 작업성, 실수율 향상을 위하여 폭방향 경도편차 및 Ear성을 개선한 것으로서, 즉 첨가성분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서 폭방향 경도편차를 우수하게 하고, 제조조건을 제한함으로서 D I 가공시 Ear의 발생을 방지하는 △r 값이 ±0.15범위내에 만족하는 경도편차 및 Ear 성이 우수한 연소소둔형 D I 용 고강도 석도원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석도원편을 소재로 용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디프드로윙 가공시 Ear부분 발생을 방지시켜 불량품을 감소시키며 수율을 향상시키고 연속 작업시 발생되는 작업중단을 방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강, 열간압연, 산세, 냉간압연, 소둔 및 도금으로 이루어진 석도원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강의 성분을 중량비로 C : 0.03중량%∼0.07중량%, P : 0.03중량%이하, S : 0.05중량%이하, N : 0.01중량%이하, 고용 Al : 0.02중량%∼0.05중량%이하, 고용Mn이 0.2중량%∼0.4중량%와 잔여물은 Fe 및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조성된 저탄소 Al-Killed강스라브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라브를 1200℃ 부근에서 균질화 처리후 850∼900℃사이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하고, 열연강판의 권취온도는 고용 Al함량이 0.02중량% 미만일 때 710℃이상에서 작업하고 고용Al 함량이 0.02중량%이상일 때 600℃∼700℃ 사이에서 권취하는 단계와, 냉간압연시 87%∼89%의 냉간압하율로 냉간압연하고 600℃∼700℃ 범위에서 소둔을 행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편차가 적으며 디프드로윙 가공시 귀부(Ear) 발생이 적은 연속소둔형 드로윙 및 아이론닝용 고강도 석도원판 제조법.
KR1019970026533A 1997-06-23 1997-06-23 경도편차와귀부발생이적은고강도석도원판의제조방법 KR100334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533A KR100334580B1 (ko) 1997-06-23 1997-06-23 경도편차와귀부발생이적은고강도석도원판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533A KR100334580B1 (ko) 1997-06-23 1997-06-23 경도편차와귀부발생이적은고강도석도원판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821A true KR19990002821A (ko) 1999-01-15
KR100334580B1 KR100334580B1 (ko) 2002-11-22

Family

ID=3747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533A KR100334580B1 (ko) 1997-06-23 1997-06-23 경도편차와귀부발생이적은고강도석도원판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5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893B1 (ko) * 2001-12-17 2006-04-12 주식회사 포스코 스틸 2피스 고압캔용 고강도 석도원판의 제조방법
KR100605835B1 (ko) * 1998-11-25 2006-07-3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캔용 강철 스트립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350B1 (ko) * 1983-10-29 1986-04-1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연속소둔에 의한 석도금 원판의 제조방법
JPH01172523A (ja) * 1987-12-26 1989-07-07 Nippon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たブリキ原板の製造方法
JPH07107177B2 (ja) * 1988-11-10 1995-11-15 川崎製鉄株式会社 表面処理鋼板用原板の製造方法
KR950006691B1 (ko) * 1992-12-30 1995-06-2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귀발생이 적은 석도 강판용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835B1 (ko) * 1998-11-25 2006-07-3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캔용 강철 스트립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70893B1 (ko) * 2001-12-17 2006-04-12 주식회사 포스코 스틸 2피스 고압캔용 고강도 석도원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4580B1 (ko) 200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380B1 (ko) 캔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196914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strength steel strips with superior formability and excellent coatability
KR20080061853A (ko) 기계적 성질 및 표면 품질이 우수한 고강도 아연도금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9533083A (ja) 耐食性及び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熱間成形用冷延鋼板、熱間成形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508067A (ja) 成形性及び耐リッジング性が向上し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US553408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mall planar anisotropic high-strength thin can steel plate
KR20070023995A (ko) 가공성이 우수한 아연도금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0001741A (ja) 表面性状が良好で耐つまとび性に優れる深絞りほうろう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51778B2 (ja) 表面性状が良好な3ピース缶に適した缶用鋼板
KR100188906B1 (ko)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JPH0681037A (ja) 二相ステンレス鋼熱延鋼帯の製造方法
KR100334580B1 (ko) 경도편차와귀부발생이적은고강도석도원판의제조방법
JPH06102810B2 (ja) 二次加工性に優れた深絞り用合金化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US6855213B2 (en) Non-ridging ferritic chromium alloyed steel
KR100349155B1 (ko) 시효특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표면처리 도금원판의 제조방법
JP4513434B2 (ja) コイル内材質均一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17892B2 (ko)
KR20140064392A (ko)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S609097B2 (ja) すぐれた加工性と非時効性を有する極低降伏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60092B1 (ko) 폭방향으로의 재질편차가 적은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20090068906A (ko) 주석 도금 원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0135001B1 (ko)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의 제조방법
KR100530076B1 (ko) 내2차가공취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제조방법
KR100530075B1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KR19990038339A (ko) 가공성이 우수한 주석도금원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