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906B1 -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Google Patents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906B1
KR100188906B1 KR1019960009740A KR19960009740A KR100188906B1 KR 100188906 B1 KR100188906 B1 KR 100188906B1 KR 1019960009740 A KR1019960009740 A KR 1019960009740A KR 19960009740 A KR19960009740 A KR 19960009740A KR 100188906 B1 KR100188906 B1 KR 100188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equivalent
stainless steel
austenitic stainless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452A (ko
Inventor
유지 이케가미
퀸종 장
Original Assignee
오고오 노리유키
닛뽄 야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7541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40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541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982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541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4225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541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4225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5312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982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96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98260B2/ja
Application filed by 오고오 노리유키, 닛뽄 야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고오 노리유키
Publication of KR960034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C:0.01~0.10wt%, Si:1.0wt%이하, Mn:3.0wt% 이하, Ni:6.0~10.0wt%, Cr:15.0~19.0wt%, Cu:1.0~4.0wt%, Al:0.2~2.5wt% 및 N:0.05wt%이하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0.03~3.0wt%의 Mo와 0.0010~0.020wt%의 B를 함유하는 성분조성으로 하고, 더구나 Ni당량: 21.0~23.0의 범위로 할 것, 결정의 크기를 입도번도(N): 8.0이상으로 할 것, 청정도: 0.020%로 할 것, 저Si 량으로 할 것, (C+N)량≥0.04로 할 것중의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도록 조정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훨씬 우수한 디프드로잉성과 팽출성을 가지는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Description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1도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C량과 한계드로잉비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2도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Ni량과 한계성형높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3도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Mo, B함유 스테인레스강의 공식(孔食: pitting corrosion) 전위 측정결과의 그래프이고,
제4도는 실시예 6에 있어서의 C량과 한계드로잉비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5도는 실시예 6에 있어서의 Ni당량과 한계성형높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6도는 실시예 7에 있어서의 Mo, B함유 스테인레스강의 공식전위 측정결과의 그래프이고,
제7도는 실시예 9에 있어서의 C량과 한계드로잉비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8도는 실시예 9에 있어서의 Ni당량과 한계성형높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9도는 실시예10에 있어서의 Mo, B함유 스테인레스강의 공식전위 측정결과의 그래프이고,
제10도는 제5그룹의 발명에 관한 것으로, 결정입도와 성형품 표면거칠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제11도는 제5그룹의 발명에 관한 것으로, 결정입도번호와 성형품 높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초 디프드로잉(deep drawing)성이 우수하며 또한 양호한 팽출성을 갖는 외에 내시효균열(耐時效龜裂)성이나 연마성도 우수한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과혹한 디프드로잉 성형에 제공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서는 SUS 301이나 SUS 304 등이 있다. 이들의 스테인레스강은 냉간가공에 의해 왜곡 유발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어 현저한 가공경화를 나타낸다. 이 때문에 프레스가공에 있어서의 팽출성은 현저히 우수하나, 디프드로잉 가공후에 방치된 제품에 균열, 소위 시효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컨대 일본국 특공소 51-29854호 공보에는 Si, Mn 및 Cu를 적량 첨가하여 가공경화성을 높이고, 또한 고용(固溶)탄소량과 고용질소량의 합계를 0.04wt% 미만으로 함으로써 시효균열 감수성을 둔화시킨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제안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공평 1-40102호 공보에는 Al과 Cu의 복합첨가 및 Si 함유량의 저하에 의해 디프드로잉성을 더욱 개량한, 디프드로잉성이 극히 양호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제안되어 있는데, 그 성분조성은 C: 0.05wt%이하, Si: 0.5wt% 미만, Mn: 3.0wt%이하, Cr: 15.0~19.0wt%, Ni: 6.0~9.0wt%, Cu: 3.0wt% 이하 및 Al: 0.5~3.0wt%를 함유하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철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건축재료, 씽크대등의 분야에도 사용되고 있는데, 이 강에 요구되고 있는 품질특성은 표면의 요철이적고, 표면성상, 즉 양호한 광택과 사상(寫像)이 높은 선예도(鮮銳度)를 가질 것, 경면(鏡面) 마무리를 위한 연마성이 양호할 것을 필요로 한다.
이 점에서, 종래의 경면 마무리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경면 마무리처리를 행하여 사용하여야만 하고, 이 처리(래핑에 의한 경면 연마마무리 또는 이 처리전의 기초연마)의 부담이 컸었다. 이 처리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강의 결정 입경을 작게 하는 것이 불가결하였다(일본국 특개평 3-169405호 공보 참조). 그러나, 강의 결정 입도를 작게 하면 프레스성형성, 즉 디프드로잉성이나 팽출성이 열화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프레스성형성을 개선한 상기 특공평 1-40102호 공보에 개시된 스테인레스강에서는 형상이 복잡하여 과혹한 프레스가공에 있어서는 디프드로잉성과 팽출성이 충분하지 않으며, 또 일본국 특공소 51-2985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스테인레스강에서는 고용 C와 고용 N의 합계를 0.04wt% 미만으로 하고 있고, 이 레벨에서는 내시효균열성은 우수하나 디프드로잉성 자체가 떨어지며, 그 때문에 이 종래기술에서는 복잡하고 가혹한 프레스가공의 경우, 중간 열처리가 불가결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최근에는 경제성이나 복잡한 표면성상에 대처한다는 관점으로부터 중간열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각종 형상으로 프레스가공이 가능한 소위 디프드로잉성이 우수한 동시에 팽출성도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개발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그 중에서도 일본국 특공소 51-29854호 공보에 개시된 스테인레스강의 내시효균열성, 디프드로잉성 및 팽출성을 훨씬 향상시킨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발명자들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내시효균열성, 디프드로잉성 및 팽출성에 대한 스테인레스강의 성분조성의 영향을 상세하게 연구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제 1그룹은 특히 Mo의 함유가 A1 및 Cu의 공존하에서는 그것들의 상승작용에 의해 내시효균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N량의 제한에 의해 디프드로잉성 및 내시효균열성에 미치는 A1의 효과가 보다 한층 두드러지게 발생된다는 발견에 의거한 발명이다.
(1) 즉, 본 발명은 C: 0.01~0.10wt%, Si: 1.0wt%이하,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Mo: 0.03~3.0wt%, Cu:1.0~4.0wt%, Al:0.2~2.5wt% 및 N:0.05wt%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다.
(2) 또, 상기 성분조성의 스테인레스강 (1)에 B를 0.0010~0.020wt%의 범위로 더 함유시키는 것을 열간가공성의 향상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제 2그룹은 C+N량과 Ni량을 적정하게 제어한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디프드로잉성과 팽출성이 동시에 우수한 강으로 된다는 발견에 의거한 것으로, Mo를 첨가하여 내식성을 한층 향상시키고 B 첨가에 의해 열간가공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지향하여 개발된 발명이다.
이와 같은 발견하에 개발된 본 발명은,
(3) C: 0.03~0.10wt%, Si: 0.5~1.0wt%이하,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1.0~4.0wt%, Al:0.45~2.0wt% 및 N:0.05wt%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C +N ≥ 0.04wt%를 만족시키고, 하기 Ni 당량(wt%)이 21~22,8미만의 범위내에 있고,
Ni 당량(wt%)=12.6(C +N) + 0.35Si +1.05Mn +Ni +0.65Cr +0.6Cu -0.4Al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다.
(4) 또, 본 발명은 상기 성분조성의 스테인레스강 (3)에 Mo:0.05~3.0wt%를 함유시킨 것이다.
(5) 또, 본 발명은 상기 성분조성의 스테인레스강 (3), (4)에 B:0.0010~ 0.020wt%를 더 함유시킨 것이다.
또, 상기의 스테인레스강 (3)~(5)은 그 성분조성을 C: 0.04~0.08wt%, Al: 0.5~1.5wt%, N: 0.025wt% 미만, 특히 0.020wt% 미만, Ni 당량 21~22.7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는 조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그룹은 준(準)안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Al과 Cu를 복합 첨가하는 동시에 C 및 Ni당량을 제어함으로써, 디프드로잉성과 팽출성 모두 우수하게 된다는 발견에 의거한 발명이다.
이와 같은 발견하에 개발된 본 발명은,
(6) C: 0.03~0.10wt%, Si: 0.5 미만,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1.0~4.0wt%, Al:0.5~2.0wt% 및 N:0.05wt%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의 Ni 당량(wt%)이 21.0~23.0미만의 범위내에 있고,
Ni 당량(wt%)=12.6(C +N) + 0.35Si +1.05Mn +Ni +0.65Cr +0.6Cu -0.4Al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다.
(7) 또, 본 발명은 상기 성분조성의 스테인레스강 (6)에 Mo: 0.05~3.0wt%를 함유시킨 것이다.
(8) 또 본 발명은 상기 성분조성의 스테인레스강 (6), (7)에 B:0.001~ 0.020wt%를 더 함유시킨 것이다.
또, 상기의 스테인레스강 (6)~(8)은 그 성분조성을 C:0.05~0.10wt%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그룹은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소량의 A1과 Cu를 복합첨가하는 동시에 C 및 Ni당량을 제어함으로써, 디프드로잉성과 팽출성 모두의 특성이 우수하게 된다는 발견에 의거한 발명이다.
이와 같은 발견하에 개발된 본 발명은,
(9) C: 0.03~0.10wt%, Si: 0.5wt% 미만,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1.0~4.0wt%, Al:0.2~0.5wt% 미만 및 N:0.05wt%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 Ni 당량(wt%)이 21.0~23,0의 범위내에 있고,
Ni 당량(wt%)=12.6(C +N) + 0.35Si +1.05Mn +Ni +0.65Cr +0.6Cu -0.4Al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다.
(10) 또, 본 발명은 상기 성분조성의 스테인레스강 (9)에 Mo: 0.05~3.0wt%를 함유시킨 것이다.
(11) 또, 본 발명은 상기 성분조성의 스테인레스강을 (9), (10)에 B:0.001~0.020wt%를 더 함유시킨 것이다.
또, 상기의 스테인레스강 (9)~(11)은 그 성분조성을 C:0.04~0.10wt%, Ni 당량=21.0~23.0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그룹은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A1, Cu를 복합 첨가하고 적당한 C와 Ni당량 및 결정입도의 미묘한 균형을 취함으로써, 프레스성형성과 연마특성이라고 하는 본래는 서로 상용(相容)하지 않는 2개의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발명이다.
(12) 즉, 본 발명은 C: 0.01~0.10wt%, Si:1.0wt% 이하,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1.0~4.0wt%, Al:0.2~2.5wt% 및 N:0.05wt%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 Ni 당량(wt%)이 21.0~22.5의 범위내에 들도록 조정되고,
Ni 당량(wt%)=12.6(C +N) + 0.35Si +1.05Mn +Ni +0.65Cr +0.6Cu -0.4Al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결정입도번호(N)가 8 이상인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다.
(13)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성분조성의 스테인레스강(12)에 Mo를 0.03~3.0wt%의 범위로 더 함유시킴으로써, 연마성이나 프레스성형성 외에 내식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14)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성분조성의 스테인레스강 (12), (13)에 B를 0.0010~0.020wt%의 범위로 더 함유시킴으로써, 연마성이나 프레스성형성 외에 열간가공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제6그룹은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소량에 A1과 Cu를 복합첨가하고, 또한 C 및 Ni당량을 소정범위로 제한하는 동시에, 불가피 불순물로서의 O, S의 혼입을 극력 억제하여 청정도를 높이는 것이 유효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발견에 입각한 것이다.
(15) 즉, 본 발명은
C:0.01~0.10wt% Si:1.0wt%이하
Mn:3.0wt% 이하, Ni:6.0~10.0wt%
Cr:15.0~19.0wt% Cu:1.0~4.0wt%
Al:0.2~2.5wt% 및 N:0.05wt%이하를
20ppm 이하로 억제한 0 및
20ppm 이하로 억제한 S
와 동시에 함유하고, 또한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Ni당량이 21.0~23.0의 범위를 만족시키며, 잔부는 질적으로 Fe의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청정도가 0.0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프드로잉성 및 팽출성이 우수한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다.
Ni 당량(wt%)=12.6(C +N) + 0.35Si +1.05Mn +Ni +0.65Cr +0.6Cu -0.4Al
(16) 또, 본 발명은 높은 청정도를 갖는 상기 성분조성의 스테인레스강 (15)에 Mo를 0.03~3.0wt% 더 함유시킨 것이다.
(17) 또, 본 발명은 높은 청정도를 갖는 상기 성분조성의 스테인레스강 (15), (16)에 B를 0.0010~0.020wt% 더 함유시킨 것이다.
[작용]
다음에, 본 발명의 화학성분의 각 한정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C:0.01~0.10wt%
C는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생성원소인 동시에 오스테나이트상(相) 및 가공유발 마르텐 사이트상의 강화에 대단히 유효하며, 디프드로잉성 및 팽출성의 향상에는 필수성분으로, 적어도 0.01wt%, 바람직하게는 0.03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wt%, 더욱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0.05wt% 초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0.10wt%를 초과하면, 시효균열 감수성 및 입계(粒界)부식 감수성이 동시에 높아지기 때문에, 상한은 0.10wt%, 바람직하게는 0.08wt%까지로 한다.
Si:1.0wt% 이하
Si는 유효한 탈산제로 제강공성에는 불가결한 성분이다. 그 함유량이 높을수록 오스테나이트상 그 자체의 가공경화성을 높인다. 특히, A1, Cu를 함유하는 성분계에 있어서 팽출성을 높이는데 유효한 원소로서. 1.0wt% 이하 첨가한다. 그 이유는 이 Si는 1.0wt%를 초과하면 δ 페라이트가 생성되어 열간가공성을 훼손하고 고온균열이 생기는 동시에 시효균열이 발생되기 쉽기 때문이다.
단, 상기의 범위내라도 Si의 함유량이 0.5wt%를 초과하면 시효균열성이 발생되기 쉬운 경향을 볼 수 있으므로 제3, 4그룹 강과 같이 Si함유량을 약간 낮게 콘트롤하는 것도 유효한 수단의 하나이다.
Mn:3.0wt% 이하
Mn은 탈산 및 탈황제로서 작용하는 동시에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1wt% 이상은 필요하나, 3.0wt%를 초과하면, 오스테나이트상이 지나치게 안정되어 디프드로잉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3.0wt% 이하로 한다.
Ni:6.0~10.0wt%
Ni는 6.0wt%보다 적으면 δ 페라이트가 생성되어 열간가공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한편 10.0wt%를 초과하면 프레스가공시에 마르텐사이트상이 생성되기 어렵게 되므로, 6.0~10.0wt%의 범위로 한정한다.
Cr:15.0~19.0wt%
Cr은 15.0wt%보다 적으면 내식성이 불충분하게 되며, 한편 19.0wt%를 초과하면 δ 페라이트가 생성되어 열간가공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15.0~19.0wt%의 범위로 한정한다.
Mo: 0.03~3.0wt%
Mo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잘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Cu 및 A1의 공존하에 이들의 상승작용에 의해 내시효균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Mo와 Cu 및 A1의 복합첨가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내시효균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기 때문에, 종래는 내시효균열성에 유해하다고 되어 있는 C의 양을 과도하게 억제할 필요가 없어지며 오히려 C를 디프드로잉성의 향상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 Mo는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불가결한 성분이다.
이러한 내식성과 내시효균열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적어도 0.03wt%의 Mo가 필요하며, 한편 3.0wt%를 초과하면 δ 페라이트가 다량으로 생성되어 열간가공성 및 디프드로잉성을 열화시키게 된다. 또한 단순히 내식성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것뿐이라면 0.05~3.0wt%의 첨가가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0.1w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wt%의 범위내로 한다.
또, 이 Mo 등에 의한 내시효균열성 향상의 효과는 1.0wt%를 초과하면 포화되어 경제적으로는 불리하게 되므로, 경제성을 고려하는 경우는 상한을 1.0w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u:1.0~4.0wt%
Cu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디프드로잉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성분으로서, 1.0wt% 미만으로서는 그 효과가 부족하다. 한편 4.0wt%를 초과하면 열간가공성이 저해되기 때문에 1.0~4.0wt%의 범위로 한정한다. 바람직하게는 1.0~3.0wt%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wt%의 범위로 한다.
Al:0.2~2.5wt%
A1은 Cu와 공동하여 디프드로잉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성분으로서 0.2wt%보다 적으면 디프드로잉성의 향상은 인정되지 않고, 또한 시효균열감수성이 높아진다. 한편, 2.5wt%를 초과하면 δ 페라이트가 생성되어 열간가공성 및 디프드로잉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0.2~2.5wt%로 한정한다. 또한, 디프드로잉성 및 내시효균열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바람직한 범위는 Al:0.45~2.0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wt%이다.
단, 제4그룹 강과 같이 상기 제반 특성에 더하여 팽출성의 향상을 지향하는 경우에는, 이 A1함유량은 0.2~0.5wt% 미만의 범위내로 한정하면 A1질화물, A1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디프드로잉성과 맹출성이 동시에 우수한 재료가 된다.
N:0.05wt% 이하
N은 오스테나이트 생성원소로서, 내식성의 향상에 유효하나, A1을 함유하는 성분계에서는 N이 0.05wt%를 초과하면 A1N이 다량으로 석출되어 내시효균열성 및 디프드로잉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0.05wt% 이하, 바람직하게는 0.025wt% 미만으로 한다. 특히, 0.020wt%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20ppm 이하
0는 강중의 비금속 개재물의 주요인으로서, 이것을 경감시키는 것이 청정도를 낮게 억제하는데 필요하다. 통상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서는 30~50ppm의 0를 함유하나, 과혹한 프레스성형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0를 억제하여 개재물을 경감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0량은 20ppm 이하로 한다.
S: 20ppm 이하
S는 일반적으로 MnS를 형성하며, 냉연강판에서는 압연방향으로 뻗은 개재물로 된다. S가 20ppm을 초과하면 MnS량이 증가하며 또한 치수가 커져, 프레스성형시의 파단기점이 되므로 S는 20ppm 이하로 한다.
B: 0.0010~0.020wt%
B는 Cu 및 A1을 함유하는 강에 있어서, 그 열간가공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극히 유효한 성분으로서, 0.0010wt%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부족하고, 한편 0.020wt%를 초과하면 내식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0.0010~0.020wt%의 범위로 한정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강은 상기의 성분조성으로 하는 동시에 더욱 디프드로잉성과 팽출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하여 C와 N의 합계량을 제어하는 것도 유효한 방법의 하나이다.
즉, C와 N은 함께 고용상태에서 프레스가공시에 생기는 마르텐사이트상을 강화하고, 그 때문에 디프드로잉성과 팽출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질 고용 C량과 고용 N량의 합계를 0.04wt% 이상으로 한다. 바람직한 하한은 0.05wt%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디프드로잉성, 팽출성 및 연마성을 개선하는 다른 수단으로서,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Ni당량(wt%)을 제어하는 것도 유효한 방법의 하나이다.
이 Ni당량은 가공유발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일어나기 힘든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이 Ni당량이 높으면 오스테나이트상이 안정된다. 이 Ni당량이 21wt% 미만이면, 고용화열처리 상태에서 이미 마르텐사이트상을 생성하게 되어 디프드로잉성, 팽출성이 동시에 열화된다. 한편, 이 Ni당량이 23.0wt%를 초과하면 가공유발 마르텐사이트의 생성량이 적어져 초 디프드로잉성은 얻을 수 없다. 따라서, Ni당량은 21~23.0wt% 미만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1.0~22.7(wt%),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22.5(wt%)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수정 Ni 당량(%)=12.6(C +N) + 0.35Si +1.05Mn +Ni +0.65Cr +0.98Mo +0.6Cu -0.4Al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Ni당량식은 인장(引張)시험에서 30%의 신장을 부여한 시험편의 마르텐사이트량을 페라이트스코프로 그 상대량을 구하고, 오스테나이트 안정도의 지표인 히라야마(平山)의 Ni당량식에 Cu와 A1항을 추가하여 발명자들이 정리한 식이다.
결정입도(N) : 8이상
일반적으로 경면연마공정에서의 부하의 경감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연마소재표면의 표면거칠기(Rmax)를 4μm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이 연마소재의 표면거칠기(Rmax)를 작게(4μm 이하) 하기 위해서는 결정입도를 작게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제10도는 결정입도(N)와 디프드로잉 컵바닥부의 표면거칠기(Rmax)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결정입도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성형품의 표면거칠기(Rmax)가 작아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JIS G 0551에 규정된 결정입도번호(N)가 8.0 미만이면 프레스성형품의 표면거칠어짐이 커지며, 연마성이 현저하게 열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결정입도번호(N)는 8.0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결정입도번호(N)가 커지면 커질수록, 즉 결정입도가 작아질수록 디프드로잉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어,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정입도번호(N)가 8.0 이상인 영역에 있어서 성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범위에 한정하고, 또한 어떤 범위의 Ni당량으로 한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결정입도번호(N)의 상한은 특별히 규정하지 않으나, 제품의 고용화 열처리로 얻어지는 범위는 11.0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분조성의 강을 기초로 결정입도번호(N)가 8 이상이 되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주로 압하율 및 열처리의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행하는 것이있다. 예컨대, 냉연압하율을 40% 이상으로 하고, 또 냉연판어닐링에 있어 1000~1100℃의 온도에서 10~30sec 가열하고, 공냉(空冷)보다 빠른 냉각속도(공냉 혹은 수냉)로 냉각조건으로 실시하면 좋다.
청정도(d): 0.020% 이하
강중에는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에 기인하여 여러 가지 개재물이 형성된다. 이러한 개재물중, 특히 산화물계 개재물이나 황화물계 개재물의 양이 많아지면 프레스 가공시에 균열기점이 되어 본 발명에서 기대한 만큼 디프드로잉성이나 팽출성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청정도(d)를 0.020% 이하로 규제함으로써 산화물 개재물이나 황화물 개재물에 기인한 상기의 악폐를 배제하기로 한 것이다.
d={n/(p×f)] × 100
여기서 p:시야내의 유리판상의 총 격자점수
f : 시야수
n : f 개의 시야에 있어서의 전체 개재물에 의해 점유되는 격자점 중심의 수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A1과 Cu를 복합첨가하고, 다시 Si나 Mo, 혹은 C+N량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또한 결정입도번호(N), 청정도(d) 혹은 Ni당량도 제어함으로써, 디프드로잉성과 팽출성 양자가 우수한 외에, 내시효균열성이나 연마성, 열간가공성 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표 1(발명강), 표 2(비교강)에 표시하는 성분조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녹여만들고, 통상의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으로 1.0㎜ 두께로 마무리하고, 이어서 1100℃×30초의 어닐링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어닐링판으로부터 40㎜φ 평저(平底) 펀치에 의한 원통형상 디프드로잉시험을 행하였다. 디프드로잉성은 한계드로잉비(LDR)가 2.20 이상인지 그 미만인지로 우열을 평가하고, 내시효균열성은 드로잉비 2.20으로 제작한 드로잉컵을 100시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의 균열의 유무로 평가하였다. 또, 팽출성은 에릭센 시험으로 평가하였다. 이 평가결과를 표 1, 표 2에 병기한다.
표 1, 표 2로부터 발명강(A 1~A 19강)은 모두 LDR≥2.20을 나타내며, 또한 시효균열의 발생이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 발생강의 에릭센값은 비교강과 동등이상의 값을 나타내고, 팽충성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강(C 1~C 17)에 있어서 Mo 함유량이 낮은 C 1강 및 Si 함유량이 높은 C 2강은 시효균열이 발생하며, 또 N량이 높은 C 3강과 A1 및 Cu를 함유하지 않은 C 4강(SUS 304)은 LDR이 낮고, Cu를 함유하나 A1을 함유하지 않은 C 5강은 시효균열 감수성이 높았다. 또, C% 밖의 C 6강은 내시효균열성을 수반하며, Ni, Mo, Cr, Cu, A1 범위밖의 C 7~C 17강은 LDR이 어느 것도 2.20에 미치지 않음에 따라 디프드로잉성이 나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표 3에 에시한 성분조성의 강을 녹여만들고, 이어서 연속주조로 슬랩으로 한 후, 1250℃로 가열하고, 이어서 열간압연으로 4㎜두께 ×1050㎜폭의 열연강대를 적절한 길이에 걸쳐서 제조했을 때의 귀(耳)균열의 발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2에 병기한다. 이 표2에 예시한 바와 같이, B를 함유하는 B 2 및 B 3강은 모두 귀균열의 발생이 없고, 따라서, 수율이 향상되어 경제적으로도 유리하였다.
[실시예 3]
표 4(발명강), 표 5(비교강)에 예시하는 성분조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녹요만들고, 통상의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으로 1.0㎜ 두께로 마무리하고, 이어서 1100℃×30초의 어닐링을 실시하였다. 어렇게 하여 얻어진 어닐링판으로부터 40㎜φ 평저펀치에 의한 원통형상 디프드로잉 시험을 행하였다. 디프드로잉성은 한계드로잉비(LDR)가 2.20 이상인지 그 미만인지로 우열을 평가하고, 팽출성은 드로잉비=2.50에서의 한계성형높이(디프드로잉컵이 파단된 때의 컵높이)로 평가하였다. 또, 시효균열은 드로잉비=2.20의 컵을 실온에서 100시간 방치했을 때의 균열발생의 유무로 평가하였다.
표 4로부터 발명강의 경우(No.1~18)는 어느 것이나 LDR≥2.20을 나타내어 디프드로잉성이 우수한 동시에, 100시간 방치하여도 균열발생이 없어 내시효균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 성형높이도 26㎜이상을 나타내고 있어 팽출성도 양호하였다.
한편, 비교강의 경우(No.18~27)에 있어서는 C+N 밖의 것(No.21), Ni 당량 밖의 것(No. 18,22)은 어느 것이나 LDR이 2.20 미만으로 디프드로잉성이 나쁘고, C, Si의 상한밖의 것(No, 21, 24)에서는 100시간 방치로 시효균열이 발생하고, A1이 높은 No.26 강에서는 LDR 2.20 미만으로 불량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제1도는 Ni 당량을 22%로 일정하게 한 Cu, A1함유강(No.4,5,6,7,8,20,21)의 한계드로잉비(LDR)와 C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량이 0.03wt% 이상이면 LDR은 2.30으로 대단히 우수한 디프드로잉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C=0.12wt%에서는 시효균열이 발생하였다.
이 도면으로부터 초 디프드로잉(LDR≥2.20)을 얻기 위해서는 C는 0.03wt% 이상이 필요하며, C≥0.04wt%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또, 제2도는 C=0.04wt%의 Cu, A1 함유강(No.1,2,3,18,19)의 Ni 당량과 한계성형높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Ni 당량이 21.0~22.8wt% 미만인 범위에서 26㎜이상의 한계성형높이가 얻어진다. 따라서, 양호한 팽출성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범위내로 Ni 당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표 4에 예시하는 강 No.2, No.16, No.17의 강을 녹여만들고, 이어서 연속주조로 슬랩으로 한 후, 1250℃에서 가열하고, 이어서 열간압연으로 4㎜두께×1050㎜폭의 열연강대를 제조했을 때의 귀균열발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예시한다.
이 표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B를 함유하는 No.16 강 및 Mo와 B를 함유하는 No.17강은 어느 것이나 귀균열의 발생이 없고, 따라서 수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유리하였다.
[실시예 5]
표 4에 예시한 No.2, No.15(Mo함유), No.17의 강(Mo+B 함유)을 연속주조하여 강편으로 한 후, 이 강편을 열간압연, 냉간압연 및 필요한 어닐링을 포함하는 통상법에 따르는 처리에 의해 두께 0.6㎜의 제품판으로 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제품판에 대하여 내식성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에 있어서 내식성 시험은 JIS G 0577(스테인레스강의 공식전위 측정법)에 의하였다. 이 시험에 의한 결과를 제3도에 도시하였는데, Mo, B 함유의 스테인레스강(No.15,17)은 어느 것이나 높은 내공식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표 7에 예시한 성분조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녹여만들고, 통상의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으로 1.0㎜ 두께로 마무리하고, 이어서 1100℃×30초의 어닐링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어닐링판으로부터 40㎜φ 평저펀치에 의한 원통형상 디프드로잉시험을 행하였다. 디프드로잉성은 한계드로잉비(LDR)가 2.20이상인지 그 미만인지로 우열을 평가하고, 팽출성은 드로잉비=2.50에서의 한계성형높이(디프드로잉컵이 파단했을 때의 컵높이)로 평가하였다. 또, 시효균열은 드로잉비=2.20의 컵을 실온에서 100시간 방치했을 때의 균열의 발생유무로 평가하였다.
표 7로부터 발명강의 경우(No.31~42)는 어느 것이나 LDR≥2.20을 나타내며, 100시간 방치하여도 시효균열을 일으키는 일이 없어, 디프드로잉성과 내시효균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 한계성형높이가 26㎜ 이상으로 크므로 팽출성도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강의 경우(No.43~46)에 있어서는 C가 0.03wt%에 미치지 않는 No.43 강 및 Ni당량 밖의 No.45,46강은 어느 것이나 LDR 2.20이며, 한계성형높이도 낮다. 또, C의 상한을 초과하는 No.44강은 시효균열이 발생하는 결과가 되었다.
제4도는 Ni당량을 22%로 일정하게 한 Cu, A1 함유 강의 한계드로잉비(LDR)와 C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량이 0.03wt% 이상이면 LDR≥2.20이 되고, 또한 C량이 0.05wt%를 초과하면 LDR=2.30으로 대단히 높은 LDR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C=0.13wt%에서는 시효균열이 발생하였다.
이 도면으로부터 LDR≥2.20을 가지는 강을 얻기 위해서는 C≥0.03wt%가 필요하며, 또한 보다 높은 LDR을 얻기 위해서는 C는 0.05 초과하여 0.10wt%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제5도는 C=0.05wt%의 Cu, A1 함유강의 한계성형높이와 Ni당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Ni당량이 21.0~23.0인 범위에서 26㎜ 이상의 높이를 나타내고 있어, 양호한 팽출성을 얻기 위해서는 Ni당량의 제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표 7에 예시하는 강 No.33,41,42의 강을 녹여만들고, 이어서 연속주조로 슬랩으로 한후 1250℃에서 가열하고, 이어서 열간압연으로 4㎜두께×1050㎜폭의 열연강대를 제조했을 때의 귀균열발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예시한다.
이 표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B를 함유하는 No.41 강 및 Mo와 B를 함유하는 No.42강은 어느 것도 귀 균열의 발생이 없고, 따라서 수율이 향상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유리하였다.
[실시예 8]
표 7에 예시한 No.33,40의 강(Mo 함유) 및 N0.42(Mo+B 함유)을 연속주조하여 강편으로한 후, 이 강편을 열간압연, 냉간압연 및 필요한 어닐링을 포함하는 통상법에 따르는 처리에 의해 두께 0.6㎜의 제품판으로 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제품판에 대해 내식성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에 있어서 내식성 시험은 JIS G 0577(스테인레스강의 공식 전위 측정법)에 의하였다. 이 시험결과를 제6도에 도시하였는데, Mo, B 첨가의 스테인레스강 No.40, 42는 모두 높은 내공식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9]
표 9에 예시한 성분조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녹여만들고, 통상의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으로 1.0㎜두께로 마무리하고, 이어서 1100℃×30초의 어닐링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어닐링판으로부터 40㎜φ 평저펀치에 의한 원통형상 디프드로잉시험을 행하였다. 디프드로잉성은 한계드로잉비(LDR)가 2.20이상인지 그 미만인지로 우열을 평가하고, 팽출성은 드로잉비=2.50에서의 성형높이로 평가하였다. 또, 시효균열은 드로잉비=2.20의 컵을 실온에서 100시간 방치했을 때의 균열발생 유무로 평가하였다.
표 9로부터 발명강의 경우(No.51~58)는 어느 것이나 LDR≥2.20을 나타내며 100시간 방치하여도 시효균열을 일으키지 않고, 디프드로잉성과 내시효균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 성형높이가 어느 것이나 26㎜를 초과하여 팽출성도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강의 경우(No.59~65)에 있어서는 C가 0.03wt%에 미치지 않고(No.59), A1부족(No.61) 및 Ni당량 밖의 No.63,64강은 어느 것이나 LDR이 2.20에 미치지 않아 디프드로잉성이 나쁘다. 또, C가 0.10wt%를 초과하는 것(No.60)에서는 시효균열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A1초과의 No.62,65강에는 판에 스캡(scab)흠이 발생하여 표면성상의 열화가 눈에 띈다.
제7도는 Ni당량을 22로 일정하게 한 Cu, A1 함유 강(No.51,52,53,59.60강)의 한계드로잉비(LDR)와 C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량이 0.03wt% 이상이면 LDR은 2.20이상이 되고, 또한 C량이 0.04wt% 이상이면 LDR은 2.30으로 대단히 우수한 디프드로잉성을 나타내었다. C=0.12wt%에서는 시효균열이 발생하였다.
이 도면으로부터 초 디프드로잉성(LDR 2.20)을 얻기 위해서는, C는 0.03wt% 이상 필요하며, 또한 C≥0.04wt%인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제8도는 C≥0.05wt% 의 Cu, A1 함유 강(No. 52,57,58,63,64)의 Ni당량과 한계성형높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Ni 당량이 21.0~23.0%인 범위에서 26㎜이상의 한계성형높이를 나타내고 있어, 양호한 팽출성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범위내에 Ni 당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
표 9에 예시한 강 No.52, No.55, No.56의 강을 녹여만들고, 이어서 연속주조로 슬랩으로 한 후, 1250℃에서 가열하고, 이어서 열간압연으로 4㎜두께×1050㎜폭의 열연강대를 제조했을 때의 귀균열발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이 표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B를 함유하는 No.55 강 및 Mo와 B를 함유하는 No.56강은 어느 것도 귀 균열의 발생이 없고, 따라서 수율이 향상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유리하였다.
[실시예 11]
표 9에 예시하는 No.52, No.54(Mo 함유) 및 No.56(Mo+B 함유)을 연속주조하여 강편으로 한 후, 이 강편을 열간압연, 냉간압연 및 필요한 어닐링을 포함하는 통상법에 따른 처리에 의해 두께 0.6㎜의 제품판으로 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제품판에 대하여 내식성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에 있어서, 내식성시험은 JIS G 0577(스테인레스강의 공식전위 측정법)에 의하였다. 이 시험에 의한 결과를 제9도에 나타내었는데, Mo, B함유의 스테인레스 강 No.54, No.56은 어느것이나 높은 내공식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표 11에 예시한 성분조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녹여만들고, 통상법에 따른 방법으로 열간압연과 냉간압연을 행하여 1.0㎜두께의 박판으로 마무리하고, 이어서 1000~1150℃사이에서 10~60초간 어닐링을 실시하여 결정입도번호(N)를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어닐링판으로부터 40㎜φ 평저펀치에 의한 원통 디프드로잉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디프드로잉성은 한계드로잉비(LDR)가 2.20 이상인지 그 미만인지로 우열을 평가하고, 팽출성은 드로잉비(LDR)=2.50에서의 성형높이로 평가하였다.
연마성은 표면거칠기가 작은 것일수록 양호하므로, 이 실험에서는 드로잉비=2.20의 원통 디프드로잉 컵의 바닥부(팽출변형이 강한 부분)의 표면거칠기(Rmax)를 측정하여 이것을 연마성의 지표로서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에 예시하였는데, 본 발명에 적합한 성분조성의 강(A~F)을 사용한 No.71~78은 결정입도번호(N)가 어느 것이나 8.0 이상을 나타내어 디프드로잉성이 양호하며 표면거칠기(Rmax)는 어느 것이나 3.0μ 이하를 나타내어 연마성과 함께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것이 얻어지고 있다. 이것에 대해 비교강 No.79는, 성분조성은 본 발명에 적합한 것이나, 결정입도가 크기 때문에 연마성이 나쁘다. 또, Ni 당량밖의 강(G,H)을 사용한 No.80,81, Cu,A1의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를 벗어난 No.82~84는 어느 것이나 디프드로잉성이 불량한 결과가 되었다. 또, C의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No.85는 LDR ≥2.20에서 시효균열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13]
표 13에서 예시한 각종 성분조성으로 이루어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슬랩을 통상의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으로 1.0㎜두께로 마무리하고, 이어서 1100℃, 30초의 어닐링을 실시하였다. 여기에 각 합금강의 녹여만들기는 전기로로 용해 후, AOD로로 S를 0.001wt%까지 경감시킨 후, 재차 마무리탈탄(脫炭)하고, 이어서 일정시간 방치하여 개재물을 부상시킴으로써 행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어닐링판의 편면에 보호비닐을 점착시키고, 50㎜φ 평저펀치에 의한 원통형상 디프드로잉시험을 행하였다. 보호비닐 점착면을 펀치측으로 함으로써 디프드로잉컵 바닥부의 팽출변형을 균일화할 수 있어 팽출변형량도 많아진다.
본 시험에 의해 한계드로잉비(LDR)가 2.20 이상인지 그 미만인지로 디프드로잉성의 우열을 평가하였다. 또, 팽출성은 드로잉비=2.20의 컵 바닥부의 팽출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개재물에 기인한 균열발생의 유무로 평가하였다.(시험부 100개).
표 13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강의 경우(No.91~94)는 어느 것이나 LDR≥2.20을 나타내며 또 컵 바닥부의 팽출부에는 개재물에 기인한 균열의 발생도 없어, 디프드로잉성과 팽출성의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이에 대해 No.95의 비교강은 LDR은 2.20 이상을 나타내기는 하나 청정도가 0.020%를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드로잉비=2.20의 컵 바닥부에 균열(100개중 7개균열)이 인정되었다. 또, No.96의 비교강은 A1과 Cu를 함유하고 있지 않는 SUS 304 강이기 때문에 LDR이 2.20미만으로, 개재물기인의 균열 평가까지 이르지 못했다.

Claims (18)

  1. C: 0.01~0.10wt%, Si: 1.0wt%이하,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Mo: 0.03~3.0wt%, Cu: 1.0~4.0wt%, Al: 0.2~2.5wt% 및 N: 0.05wt%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2. C: 0.01~0.10wt%, Si: 1.0wt%이하,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Mo: 0.03~3.0wt%, Cu: 1.0~4.0wt%, Al: 0.2~2.5wt%, N: 0.05wt%이하 및 B: 0.0010~0.020wt%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3. C: 0.03~0.10wt%, Si: 0.5~1.0wt%,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 1.0~4.0wt%, Al: 0.45~2.0wt%, N: 0.05wt% 이하 및 B: 0.0010~0.020wt%를 함유하고, 또한 C+N≥0.04wt%를 만족시키고, 하기 Ni당량(wt%)이 21~22.8 미만의 범위내에 있고, Ni 당량(wt%)= 12.6(C+N) +0.35Si +1.05Mn +Ni +0.65Cr +0.6Cu - 0.4A1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디프드로잉성과 팽출성이 우수한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4. C: 0.03~0.10wt%, Si: 0.5~1.0wt%,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 1.0~4.0wt%, Al: 0.45~2.0wt%, N: 0.05wt% 이하, B: 0.0010~0.020wt% 및 Mo: 0.05~3.0wt%를 함유하고, 또한 C+N≥0.04wt%를 만족시키고, 하기 Ni당량(wt%)이 21~22.8 미만의 범위내에 있고, Ni 당량(wt%)= 12.6(C+N) +0.35Si +1.05Mn +Ni +0.65Cr +0.6Cu - 0.4A1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디프드로잉성과 팽출성이 우수한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5. C: 0.03~0.10wt%, Si: 0.5wt% 미만,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 1.0~4.0wt%, Al: 0.5~2.0wt%, N: 0.05wt% 이하 및 B: 0.0010~0.020wt%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 Ni당량(wt%)이 21.0~23.0의 범위내에 있고, Ni 당량(wt%)= 12.6(C+N) +0.35Si +1.05Mn +Ni +0.65Cr +0.6Cu - 0.4A1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6. C: 0.03~0.10wt%, Si: 0.5wt% 미만,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 1.0~4.0wt%, Al: 0.5~2.0wt%, N: 0.05wt% 이하, B: 0.0010~0.020wt% 및 Mo: 0.05~3.0wt%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 Ni당량(wt%)이 21.0~23.0 미만의 범위내에 있고, Ni 당량(wt%)= 12.6(C+N) +0.35Si +1.05Mn +Ni +0.65Cr +0.6Cu - 0.4A1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7. C: 0.03~0.10wt%, Si: 0.5wt% 미만,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 1.0~4.0wt%, Al: 0.2~0.5wt% 미만 및 N: 0.05wt%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 Ni당량(wt%)이 21.0~23.0 범위내에 있고, Ni 당량(wt%)= 12.6(C+N) +0.35Si +1.05Mn +Ni +0.65Cr +0.6Cu - 0.4A1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8. C: 0.03~0.10wt%, Si: 0.5wt% 미만,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 1.0~4.0wt%, Al: 0.2~0.5wt% 미만, N: 0.05wt% 이하 및 Mo: 0.05~3.0wt% 함유하고, 또한 하기 Ni당량(wt%)이 21.0~23.0 미만의 범위내에 있고, Ni 당량(wt%)= 12.6(C+N) +0.35Si +1.05Mn +Ni +0.65Cr +0.6Cu - 0.4A1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9. C: 0.03~0.10wt%, Si: 0.5wt% 미만,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 1.0~4.0wt%, Al: 0.2~0.5wt% 미만, N: 0.05wt% 이하 및 B: 0.0010~0.020wt% 함유하고, 또한 하기 Ni당량(wt%)이 21.0~23.0 범위내에 있고, Ni 당량(wt%)= 12.6(C+N) +0.35Si +1.05Mn +Ni +0.65Cr +0.6Cu - 0.4A1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10. C: 0.01~0.10wt%, Si: 1.0wt% 이하,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 1.0~4.0wt%, Al: 0.2~2.5wt% 및 N: 0.05wt%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 Ni당량(wt%)이 21.0~22.5의 범위내에 들도록 조정되고, Ni 당량(wt%)= 12.6(C+N) +0.35Si +1.05Mn +Ni +0.65Cr +0.6Cu - 0.4A1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JIS G 0551에 규정되어 있는 결정입도번호(N)가 8이상인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11. C: 0.01~0.10wt%, Si: 1.0wt% 미만,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 1.0~4.0wt%, Al: 0.2~2.5wt%, N: 0.05wt% 이하 및 Mo: 0.03~3.0wt%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 Ni당량(wt%)이 21.0~22.5의 범위내에 들도록 조정되고, Ni 당량(wt%)= 12.6(C+N) +0.35Si +1.05Mn +Ni +0.65Cr +0.6Cu - 0.4A1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JIS G 0551에 규정되어 있는 결정입도번호(N)가 8이상인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12. C: 0.01~0.10wt%, Si: 1.0wt% 이하,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 1.0~4.0wt%, Al: 0.2~2.5wt%, N: 0.05wt% 이하 및 B:0.0010~0.020wt%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 Ni당량(wt%)이 21.0~22.5의 범위내에 들도록 조정되고, Ni 당량(wt%)= 12.6(C+N) +0.35Si +1.05Mn +Ni +0.65Cr +0.6Cu - 0.4A1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JIS G 0551에 규정되어 있는 결정입도번호(N)가 8이상인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13. C:0.01~0.10wt%, Si:1.0wt%이하, Mn:3.0wt% 이하, Ni:6.0~10.0wt%, Cr:15.0~19.0wt%, Cu:1.0~4.0wt%, Al:0.2~2.5wt% 및 N:0.05wt%이하를 20ppm 이하로 억제한 0 및 20ppm 이하로 억제한 S와 동시에 함유하고, 또한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Ni당량이 21.0~23.0의 범위를 만족시키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Fe의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청정도(d)가 0.020% 이하인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Ni 당량(wt%)=12.6(C +N) + 0.35Si +1.05Mn +Ni +0.65Cr +0.6Cu -0.4Al
  14. C:0.01~0.10wt%, Si:1.0wt%이하, Mn:3.0wt% 이하, Ni:6.0~10.0wt%, Cr:15.0~19.0wt%, Cu:1.0~4.0wt%, Al:0.2~2.5wt% 및 N:0.05wt%이하 및 Mo: 0.03~3.0wt%를 20ppm 이하로 억제한 0 및 20ppm 이하로 억제한 S 와 동시에 함유하고, 또한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Ni당량이 21.0~23.0의 범위를 만족시키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Fe의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청정도(d)가 0.020% 이하인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Ni 당량(wt%)=12.6(C +N) + 0.35Si +1.05Mn +Ni +0.65Cr +0.6Cu -0.4Al
  15. C:0.01~0.10wt%, Si:1.0wt%이하, Mn:3.0wt% 이하, Ni:6.0~10.0wt%, Cr:15.0~19.0wt%, Cu:1.0~4.0wt%, Al:0.2~2.5wt% 및 N:0.05wt%이하 및 B: 0.0010~0.020wt%를 20ppm 이하로 억제한 0 및 20ppm 이하로 억제한 S와 동시에 함유하고, 또한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Ni당량이 21.0~23.0의 범위를 만족시키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Fe의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청정도(d)가 0.020% 이하인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Ni 당량(wt%)=12.6(C +N) + 0.35Si +1.05Mn +Ni +0.65Cr +0.6Cu -0.4Al
  16. C: 0.03~0.10wt%, Si: 0.5wt% 미만,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 1.0~4.0wt%, Al: 0.2~0.5wt% 미만, N: 0.05wt% 이하, Mo: 0.05~3.0wt% 및 B: 0.0010~0.020wt%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 Ni당량(wt%)이 21.0~23.0의 범위내에 있고, Ni 당량(wt%)= 12.6(C+N) +0.35Si +1.05Mn +Ni +0.65Cr +0.6Cu - 0.4A1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17. C: 0.01~0.10wt%, Si: 1.0wt% 이하,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 1.0~4.0wt%, Al: 0.2~2.5wt%, N: 0.05wt% 이하, Mo: 0.03~3.0wt% 및 B: 0.0010~0.020wt%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 Ni당량(wt%)이 21.0~22.5의 범위내에 들도록 조정되고, Ni 당량(wt%)= 12.6(C+N) +0.35Si +1.05Mn +Ni +0.65Cr +0.6Cu - 0.4A1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JIS G 0551에 규정되어 있는 결정입도번호(N)가 8 이상인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18. C: 0.01~0.10wt%, Si: 1.0wt% 이하, Mn: 3.0wt% 이하, Ni: 6.0~10.0wt% Cr: 15.0~19.0wt%, Cu: 1.0~4.0wt%, Al: 0.2~2.5wt%, N: 0.05wt% 이하, Mo: 0.03~3.0wt% 및 B: 0.0010~0.020wt%를 20ppm 이하로 억제한 0 및 20ppm 이하로 억제한 S 와 동시에 함유하고, 또한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Ni당량이 21.0~23.0의 범위를 만족시키며, 잔부는 질적으로 Fe의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청정도(d)가 0.020% 이하인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Ni 당량(wt%)= 12.6(C+N) +0.35Si +1.05Mn +Ni +0.65Cr +0.6Cu - 0.4A1
KR1019960009740A 1995-03-31 1996-04-01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KR100188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541295A JP3364040B2 (ja) 1995-03-31 1995-03-31 深絞り性と張出し性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95-75413 1995-03-31
JP95-75414 1995-03-31
JP95-75412 1995-03-31
JP07541195A JP3398250B2 (ja) 1995-03-31 1995-03-31 耐時期割れ性および深絞り性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07541395A JP3422591B2 (ja) 1995-03-31 1995-03-31 深絞り性と張出し性と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95-75411 1995-03-31
JP07541495A JP3422592B2 (ja) 1995-03-31 1995-03-31 深絞り性と張出し性と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95-153120 1995-06-20
JP15312095A JP3398258B2 (ja) 1995-06-20 1995-06-20 研磨性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16496095A JP3398260B2 (ja) 1995-06-30 1995-06-30 深絞り性および張出し性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95-164960 1995-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452A KR960034452A (ko) 1996-10-22
KR100188906B1 true KR100188906B1 (ko) 1999-06-01

Family

ID=2755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740A KR100188906B1 (ko) 1995-03-31 1996-04-01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86044A (ko)
EP (1) EP0735154A1 (ko)
KR (1) KR100188906B1 (ko)
CA (1) CA217279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068B1 (ko) * 2001-12-11 2010-06-28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석출 경화형 오스테나이트계 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1427B2 (ja) * 1993-06-18 2002-08-05 株式会社デンソー 複合磁性部材およびその製法およびこの複合磁性部材を用いた電磁弁
US6405214B1 (en) * 1998-12-17 2002-06-11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of gathering usag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o a primary server and a third party server by a client program
SI1766101T1 (sl) * 2004-07-08 2009-06-30 Arcelormittal Stainless France Sestava avstenitnega nerjavnega jekla in njegova uporaba za izdelavo strukturnih delov za sredstva za kopenski transport zabojnikov
DE102012104254A1 (de) * 2011-11-02 2013-05-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ostenreduzierter Stahl für die Wasserstofftechnik mit hoher Beständigkeit gegen wasserstoffinduzierte Versprödung
CN102719764B (zh) * 2012-06-01 2014-06-11 天津大学 一种石油油井用耐硫化氢腐蚀的膨胀管材料及其制备方法
US9351547B2 (en) 2013-03-11 2016-05-31 Crs Holdings Inc. Ferrous alloy for coin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3276171B (zh) * 2013-05-28 2015-02-25 浙江大学 确定奥氏体不锈钢低温容器应变强化保压完成时间的方法
CN111910122A (zh) * 2020-06-17 2020-11-10 宁波宝新不锈钢有限公司 一种奥氏体抗菌不锈钢及其制造方法
CN112974562B (zh) * 2021-03-31 2023-04-07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焊带用不锈钢热轧卷的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6780A (en) * 1966-09-19 1968-04-09 Armco Steel Corp Stainless steel, products and method
JPS5818015B2 (ja) * 1974-08-22 1983-04-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ロンリカイロ
JPH0675722B2 (ja) * 1987-08-05 1994-09-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金属スラブの熱間幅圧延方法
JPH03169405A (ja) * 1989-11-30 1991-07-23 Kawasaki Steel Corp カーブミラー用鏡面仕上げ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H0466651A (ja) * 1990-07-06 1992-03-03 Nisshin Steel Co Ltd コイニング性および耐摩耗性に優れたコイン用非磁性材料
JP3001614B2 (ja) * 1990-07-11 2000-01-24 日新製鋼株式会社 極軟質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6287635A (ja) * 1993-03-31 1994-10-11 Nisshin Steel Co Ltd 延性に優れ溶接軟化のない高耐力・高強度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068B1 (ko) * 2001-12-11 2010-06-28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석출 경화형 오스테나이트계 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72794A1 (en) 1996-10-01
EP0735154A1 (en) 1996-10-02
KR960034452A (ko) 1996-10-22
CA2172794C (en) 2000-06-27
US5686044A (en) 1997-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4504A (en) Duplex structure stainless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elongation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teel
US4824491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strip of a chromium stainless steel of a duplex structure having high strength and elongation as well as reduced plane anisotropy
KR100484037B1 (ko)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
WO2015022932A1 (ja) 耐摩耗性と耐食性に優れる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5235452B2 (ja) 耐食性と耐磨耗性に優れる織機部材用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とその鋼帯の製造方法
KR100188906B1 (ko) 프레스성형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KR20150074697A (ko) 저 니켈 함유 스테인리스강
JP2022064692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KR101844573B1 (ko)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0141049B1 (ko) 저탈탄성 스프링용강
JP3420371B2 (ja) 成形加工性と耐候性に優れるクロム鋼板
KR20180018908A (ko) 니켈 저감형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8260106A (ja) 成形加工性に優れるクロム鋼板
JP3063379B2 (ja) 熱間加工性に優れた超快削鋼
JPH0717988B2 (ja) 靱性および耐食性がとも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02463015B1 (ko)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JP3288514B2 (ja) 深絞り加工用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959717A (ja) プレス成形性、耐リジング性および表面性状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方法
US20230287549A1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deep drawing
JP3364040B2 (ja) 深絞り性と張出し性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3422591B2 (ja) 深絞り性と張出し性と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353381B2 (ko)
JP3398258B2 (ja) 研磨性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3309396B2 (ja) 耐2次加工脆性に優れた時効硬化性を有する深絞り用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98260B2 (ja) 深絞り性および張出し性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