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001B1 -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001B1
KR0135001B1 KR1019940039590A KR19940039590A KR0135001B1 KR 0135001 B1 KR0135001 B1 KR 0135001B1 KR 1019940039590 A KR1019940039590 A KR 1019940039590A KR 19940039590 A KR19940039590 A KR 19940039590A KR 0135001 B1 KR0135001 B1 KR 0135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rolled
hot
less
steel
low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199A (ko
Inventor
김봉조
최수호
김동남
황선택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101994003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001B1/ko
Publication of KR960021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3/02Rolling special iron alloys, e.g. stainless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2001/225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by ho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20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can)용 표면처리 원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강공정에서 극저탄소강을 출발소재로 하여 연질 표면처리 원판(black plate재)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CaO/Al2O3:1.0-2.5의 진공탈가스(RH) 출발 래들 슬래그(Ladle Slag)를 조성하고, wt%로 C:0.001-0.005%, Mn:0.07-0.25%, Si:0.01-0.02%, P:0.011-0.015%, S:0.008-0.015%, SOl.Al:0.043-0.06%, Ti:0.01% 이하, Nb:0.01% 이하, N:0.001-0.004%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는 Ti미첨가 극저탄소 Al 탈산강을 전산소량 15ppm 이하가 되도록 열간 압연 및 산세한 다음, 열간 마무리온도 890-940℃, 열간 권취온도 650-720℃에서 열간 압연하여 소재의 청정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원가가 절감되고 가공성과 경도특성이 향상되는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의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심가공을 실시하는 2-피스캔(2-piece can; 이하 DI 캔이라 한다)용 및 3-피스캔(이하, TI 캔이라 한다)용 주석도금강판 및 주석을 포함하지 않는 표면처리 열연코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속소둔에 의한 DI 캔과 TI 캔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캔용 표면처리 원판인 열연코일은 저탄소강을 소재로 하여 상소둔 처리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저탄소강으로 연속 소둔처리를 할 경우에는 과도한 탄소량에 의해 결정립 성장이 억제되고 세멘타이트 석출량의 증가로 석출경화 발생 및 고용탄소 증가로 인해 가공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한편, DI 캔과 TI 캔용 연질 표면처리 원판(Black Plate; BP)은 심가공에 사용하는 것으로, 경도 및 청정성 확보를 위해 일반적으로 0.04wt% C의 저탄소강을 상소둔하여 제조하고 있는바, 이는 연속소둔 방식에 의해서 생산된 소재와 비교할 때 열연 저온권취로 상소둔 중 AIN을 석출시켜 가공성에 유리한 집합조직을 발달시켜 가공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서냉을 통해 침입형 원소인 C, N을 석출시키기 때문에 시효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반면에 연속소둔으로 소재의 생산시는 생산성 및 품질의 균일성 면에서 유리하며, 조성에너지 및 제조공기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또한, 연속소둔방식으로 연질 표면처리 원판을 제조할 경우 소부경화(Bake Hardening) 특성을 얻는데 유리하기 때문에 연속소둔방식으로 DI 캔과 TI 캔용 연질 표면처리원판의 제조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 개발된 기술은 극저탄소강을 소재로 연속소둔 처리하여 캔 표면처리 원판인 열연코일을 제조하고 있으며, 이때 원판의 경도 및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탄질화물 형성원소인 Ti 또는 Nb를 별도로 0.01-0.03wt% 첨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DI 캔, TI 캔용 연질 표면처리 원판의 제조 전용 연속소둔설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 냉연강판을 생산하는 연속소둔설비에 비하여 가열온도 및 냉각조건에서 떨어지며, Nb 첨가강의 경우 Ti 첨가강에 비해 재결정온도가 높기 때문에 로 부하 및 재질확보 측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연질 표면처리 원판을 연속소둔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Ti를 별도로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Ti를 별도로 첨가하여 극저탄소강 연질 표면처리 원판을 제조할 경우 제강공정에서 Ti계 복합개재물이 형성되어 캔 플랜지(can flange)부 크랙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연주공정에서 침지노즐의 막힘을 유발하여 품질 열화를 초래한다.
제강공정에서 Ti 첨가강의 경우 청정도가 열화되는 이유는 Ti가 용강의 점도를 상승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도 1은 제강공정에서 Ti 첨가강과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극저탄소강 4-4CH의 침지노즐 막힘 지수를 나타낸 것으로 Ti 첨가강이 불리한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DI 캔과 TI 캔용 연질 표면처리 원판의 열연소재 제조에 첨가되는 Ti와 Nb를 각각 0.01% 이하로 규제하여 소재의 청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원가를 절감하고, Sol.Al을 0.03wt% 이상 첨가하여 침입형 원소의 석출을 유도하여 가공성과 경도가 향상되는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을 한다.
도 1은 제강공정에서 기존의 Ti 첨가강과 본 발명에 채용한 극저탄소강 4-4CH의 침지노즐 막힘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강공정에서 극저탄소강을 출발소재로 하여 연질 표면 처리 원판(Black Plate)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CaO/Al2O3:1.0-2.5의 진공탈가스(RH) 출발 래들 슬래그(Ladle Slag)를 조성하고, wt%로 C:0.001-0.005%, Mn:0.07-0.25%, Si:0.01-0.02%, P:0.011-0.015%, S:0.008-0.015%, SOl.Al:0.043-0.06%, Ti:0.01% 이하, Nb:0.01% 이하, N:0.001-0.004%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는 극저탄소강 Al 탈산강을 전산소량 15ppm 이하가 되도록 열간 압연 및 산세한 다음, 열간 마무리온도 890-940℃, 열간 권취온도 650-720℃에서 열간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캔용 연질 표면처리 원판을 연속소둔으로 처리하기 이해서는 극저탄소강 소재의 사용이 필수적인데, 연질 표면처리 원판용 극저탄소강 제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15ppm 이하의 전산소량으로 슬라브(Slab)를 제조하는 것이며, 슬라브의 전산소량이 15ppm 이상일 경우 비금속 개재물에 의해 캔 플랜지(can flange)부 크랙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산소량 15ppm 이하의 슬라브를 제조하기 위해서 생석회, 래들 슬래그 조제재 등을 투입하여 진공탈가스(RH) 출발 슬래그중 CaO/Al2O3비가 1.0-2.5로 되도록 필수적으로 작업하여야 하며, 슬래그 탈산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강중 탄소가 0.005% 이상 초과하게 되면, 탄소량의 증가와 함께 결정립 성장이 억제되고 세멘타이트의 석출량 증가로 석출 경화발생 및 고용탄소 증가로 인해 캔용 연질 표면처리 원판의 목표 경도를 확보하기 어렵고, 또, 질소성분이 0.004% 초과할 경우 침입형 고용원소의 증가로 가공성에 유리한 집합조직을 얻을 수 없게 된다.
한편, Ti를 0.01% 이상 첨가할 경우에는 재결정온도 상승 및 소부경화 특성 효과가 저하하게 되며, Nb를 0.01% 이상 첨가할 경우에는 Ti이 첨가된 경우보다 재결정온도가 더욱 상승되어 노 부하 및 재질확보 측면에서 불리하며, 강도가 증가되어 가공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Ti와 Nb를 각각 0.01%까지 허용하는 것은 제강공정에서 용강을 정련할 때 래들 지금 등에 의해 자연 발생적으로 0.01%까지 잔류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Ti이나 Nb를 첨가하지 않는다는 것은 상기와 같이 자연발생적으로 잔류되는 양을 하고 별도의 양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Si 성분은 가공성에 유해한 성분으로서 최대한 정련공정에서 제거하여야 하며, 공정의 효율성을 고려할 때 0.02%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ol.Al은 강중의 질소를 AlN 석출물로 석출시키기 위해 첨가하게 되는데, 0.043% 이하에서는 첨가효과가 없고, 0.06% 이상에서는 Al이 고용상태로 존재함으로써 Sol.Al은 0.043-0.06%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 P와 S는 가공성 및 표면특성을 해치는 성분으로서 가능한 한 억제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Mn은 인장강도의 향상 및 강중의 S를 Mn화하여 취성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0.07-0.25%가 적당하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슬라브는 열간 압연 및 산세하게 되는데 열간 압연 및 산세는 통상의 극저탄소강 제조조건과 유사하게 개재물 흡수능이 우수한 톱 슬래그(Top Slage)하에서 처리되는데, 열간 압연 조건은 열간 압연 마무리 온도 890-940℃, 권취온도 650-720℃이다.
이상의 제강공정과 열연공정에서 생산된 코일을 일반적인 냉간 압연 조건에서 압연할 경우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을 제조할 수있으며, 본 발명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냉간 압하율 85-90%, 소둔온도 700-74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표 1과 같이 화학성분을 갖도록 강의 성분조성을 하였다.
특히 본 발명강 제조시 강중 Sol.Al을 0.043% 이상 유지되도록 유의하여 강의 성분을 조성하고, 하기 표 2와 같이 래들 슬래그 조성 조건으로 전산소량 15ppm 이하를 확보하였다.
하기 표 1에서 비교강 A는 Nb 첨가강(연속소둔용), B는 Ti 첨가강(연속소둔용), C는 저탄소강(상소둔용)을 나타낸 것이며, 다음에 하기 표 1, 2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된 슬라브를 하기 표 3의 열연 조건으로 압연을 실시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열연코일을 통상의 냉간 압연 조건인 냉간압하율 85-90%, 냉연소둔온도 690-730℃에서 압연한 결과 경도(HR30T) 50-55, r값(rankford 값) 1.5 이상이고, 소부경화(BH; Bake Hardening) 4 정도의 표면처리 원판을 제조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캔용 연질 표면처리 원판을 제조할 경우 경도(HR30T) 50-55, r값(rankford 값) 1.5 이상이고, 소부경화(BH; Bake Hardening) 4정도인 표면처리 원판이 제조되어 소재의 청정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원가가 절감되고, 가공성과 경도특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제강공정에서 극저탄소강을 출발소재로 하여 연질 표면처리 원판(Black Plate)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CaO/Al2O3:1.0-2.5의 진공탈가스(RH) 출발 래들 슬래그(Ladle Slag)를 조성하고, wt%로 C:0.001-0.005%, Mn:0.07-0.25%, Si:0.01-0.02%, P:0.011-0.015%, S:0.008-0.015%, SOl.Al:0.043-0.06%, Ti:0.01% 이하, Nb:0.01% 이하, N:0.001-0.004% 및 기타의 불순물로 조성되는 극저탄소강 Al 탈산강을 전산소량 15ppm 이하가 되도록 열간 압연 및 산세한 다음, 열간 마무리온도 890-940℃, 열간 권취온도 650-720℃에서 열간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의 제조방법.
KR1019940039590A 1994-12-30 1994-12-30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의 제조방법 KR0135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590A KR0135001B1 (ko) 1994-12-30 1994-12-30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590A KR0135001B1 (ko) 1994-12-30 1994-12-30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199A KR960021199A (ko) 1996-07-18
KR0135001B1 true KR0135001B1 (ko) 1998-06-15

Family

ID=1940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590A KR0135001B1 (ko) 1994-12-30 1994-12-30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8888A (ja) * 1998-11-25 2000-06-13 Okamoto Ind Inc マット
KR100584755B1 (ko) * 2001-12-24 2006-05-30 주식회사 포스코 소부경화성을 갖는 프레스성형성이 우수한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199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931B1 (ko) 극저탄소박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6702260A (zh) 一种高磁感低铁损无取向硅钢及其生产方法
EP0084569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isotropic electromagnetic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magnetic characteristics
JP2010053451A (ja) 加工性の優れた耐時効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07205B1 (ko) 새도우 마스크용 냉연강판과 그 제조방법
CN1318612C (zh) 高氮超低碳钢的制造方法
JPS6338556A (ja) 耐二次加工割れ性の優れた深絞り用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55586B2 (ko)
JPH07118797A (ja) 表面性状の良好なSnおよびNb含有極低炭素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540711B (zh) 一种高牌号无取向电工钢及其制备方法
JPWO2005100627A1 (ja) 打抜き加工性と歪取焼鈍後の磁気特性に優れた無方向性電磁銅板とその製造方法
KR0135001B1 (ko) 소부경화형 연질 표면처리 열연코일의 제조방법
CN108504947A (zh) 一种二次冷轧镀锡板及其生产方法
KR940003339B1 (ko)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박물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방법
US3335036A (en) Deep drawing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6102810B2 (ja) 二次加工性に優れた深絞り用合金化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JP2000017330A (ja) 鉄損の低い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004204252A (ja) 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Ti含有高加工性フェライト系クロム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17892B2 (ko)
JPH01275736A (ja) 加工性に優れた連続鋳造製ほうろう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法
JPH07150252A (ja) 連続焼鈍によるほうろう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100334580B1 (ko) 경도편차와귀부발생이적은고강도석도원판의제조방법
KR960007425B1 (ko) 소부경화형 연질표면처리 원판의 제조방법
JPH0353381B2 (ko)
KR100361753B1 (ko) 박슬라브 직접압연법을 이용한 열연법랑강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