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877A -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877A
KR19990000877A KR1019970023998A KR19970023998A KR19990000877A KR 19990000877 A KR19990000877 A KR 19990000877A KR 1019970023998 A KR1019970023998 A KR 1019970023998A KR 19970023998 A KR19970023998 A KR 19970023998A KR 19990000877 A KR19990000877 A KR 19990000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washing
door
dehydr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2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0877A/ko
Publication of KR19990000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87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모터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사용자가 세탁기의 고장사실을 알려면 급수를 한후 세탁과정을 실제로 진행해보아야만 했고 이러한 경우에 세탁기의 고장부분 수리후 다시 세탁을 해야 했음으로 인해 쓸데없이 물, 세제 및 시간 등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세탁기의 전원키(1)가 온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선택된 기능키(2), 스타트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세탁기의 도어스위치(4)로부터 소정의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세탁기 도어가 닫혀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세탁기 도어가 오픈되어져 있으면 도어오픈경고 LED(10)를 점등시키는 단계와, 도어가 닫혀져 있으면 동기 모터(12) 및 세탁 모터(13)를 작동시켜 테스트 탈수를 진행시키는 단계와, 테스트 탈수의 시작시점으로부터 임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임의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세탁 모터(13)에 의한 관성펄스의 출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관성펄스 출력이 있으면 급수→세탁→배수→헹굼→탈수 등의 정상세탁을 수행하는 단계와, 관성펄스의 출력이 없으면 고장표시 LED(11)를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
본 발명은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세탁시 급수전에 세탁기용 마이콤으로 하여금 테스트 탈수를 수행하는 고장진단프로그램을 실행하게 해 세탁기 모터의 고장을 미리 진단해 봄으로써 세탁기가 고장난 것을 모르고 세탁하여 쓸데없이 물, 세제 및 시간 등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신체의 분비물이나 먼지같은 것이 묻어있는 천으로부터 이것을 제거하는 기구이다. 즉, 세탁기는 기계적으로 빨래와 비눗물(세제액)의 상대운동을 강제로 시켜서 때의 분산과 유화작용을 촉진시킨다.
세탁기를 구조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2조식 세탁기와 전자동세탁기로 나눌 수 있는데 현재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먼저 2조식 세탁기는 세탁을 진행하는 펄세이터가 있는 세탁통부와 탈수하는 원심탈수통부로 되어있는데 세탁통은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충격성, 내열성이 두드러진 매우 안전한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되어 있고 하부에 위치한 펄세이터도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많이 쓰인다.
또한, 세탁모터는 통상 4극의 콘덴서, 모터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세탁시의 수류는 펄세이터의 회전시간과 회전방향을 바꾸어 가면서 변화를 주고 있다. 즉, 강에서 10초간 회전과 1∼2초간 정지의 반복을 하고, 약에서 3∼4초간 회전과 1∼2초간 정지의 반복을 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은 세탁기로서 필요한 최소의 부분이며 사용의 편리함을 위해 타임스위치, 수류전환스위치, 배수변, 탈수기구 등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전자동세탁기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만들어진 저수조와 수지제의 세탁조로 이루어진 2중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세탁조의 중앙부에는 펄세이터가 내장되어 있어서 자동반전의 세탁수류가 이루어진다.
또한, 탈수는 세탁용과 2중축으로 구분되어 있어서, 각각이 따로따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즉 세탁이나 헹굼 때에는 세탁조는 고정되어 있고, 펄세이터만이 회전하기 때문에 2조식 세탁기와 마찬가지로 세탁이나 헹굼을 하게 되며, 탈수 때에는 세탁조가 고속으로 회전하여 세탁조안에 있는 빨래를 탈수한다.
또한, 전자동세탁기의 제어는 마이콤 또는 전기시계식 타이머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보통 상기 마이콤 또는 타이머에 의해 수도의 개폐를 하는 급수밸브나 물을 배수하는 배수밸브, 펄세이터, 세탁 탈수의 회전을 제어하기 때문에 급수→세탁→배수→헹굼→탈수 등의 과정을 모두 자동적으로 진행한다.
또한, 제 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리나라의 공개특허공보 제 1769호(공개번호 제96-7894)의 발명은 세탁기에서 초기전원 입력시 마이콤에 각각의 입력부와 출력부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의 소정 알고리즘으로 고장 진단하여 세탁기의 고장부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발명은 초기전원을 인가하고, 진단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진단신호 입력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입력부와 출력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소정의 신호감지와 고장을 진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진단결과에 따라 고장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모드가 완료될 때 반복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진단모드가 완료되었으면 세탁초기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고장진단방법은 별도의 진단모드 신호의 입력이 필요했고 또한 사용자가 세탁기의 고장사실을 알려면 급수를 한후 세탁과정을 실제로 진행해보아야 했으며 이러한 경우에 세탁기의 고장부분 수리후 다시 세탁을 해야 했기 때문에 쓸데없이 물, 세제 및 시간 등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세탁시 급수전에 세탁기용 마이콤으로 하여금 테스트 탈수를 수행하는 고장진단프로그램을 실행하게 해 세탁기 모터의 고장을 미리 진단해 봄으로써 세탁기가 고장난 것을 모르고 세탁하여 쓸데없이 물, 세제 및 시간 등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도록 한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예의 목적을 구현할수 있도록 세탁기용 마이콤에 의해 수행되는 고장진단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세탁기의 전원키가 온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각종 기능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세탁기의 스타트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도어스위치로부터 소정의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세탁기 도어가 닫혀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세탁기 도어가 오픈되어져 있으면 도어오픈경고 LED를 점등시키는 단계와, 도어가 닫혀져 있으면 동기모터 및 세탁모터를 작동시켜 테스트 탈수를 진행시키는 단계와, 테스트 탈수의 시작시점으로부터 임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임의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세탁모터의 관성펄스 출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관성펄스의 출력이 있으면 급수→세탁→배수→헹굼→탈수 등의 정상세탁을 수행하는 단계와, 관성펄스의 출력이 없으면 고장표시 LED를 점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 더 상세히 설명하므로써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 고장진단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 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는 본 발명의 고장진단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원키 2: 기능키
3: 스타트 키 4: 도어스위치
5: 마이콤 6: 도어오픈경고 LED구동부
7: 고장표시 LED구동부 8: 동기모터 구동부
9: 세탁모터 구동부 10: 도어오픈경고 LED
11: 고장표시 LED 12: 동기모터
13: 세탁모터 20: 고장진단프로그램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의 작동 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 및 마이콤에 의해 수행되는 고장진단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세탁시 세탁 모터(13)의 고장을 미리 진단하여 세탁기가 고장난 것을 모르고 세탁하여 쓸데없이 물, 세제 및 시간 등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세탁기용 마이콤(5)은 급수전에 테스트 탈수를 수행하는 고장진단프로그램(20)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장진단프로그램(20)은 초기에 세탁기의 전원키(1)가 온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선택된 기능키(2)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세탁기의 스타트 키(3)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곧이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도어스위치(4)로부터 소정의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세탁기 도어가 닫혀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세탁기 도어가 오픈되어져 있으면 도어오픈경고 LED(10)를 점등시키는 단계와, 도어가 닫혀져 있으면 동기모터(12) 및 세탁 모터(13)를 작동시켜 테스트 탈수를 진행시키는 단계와, 테스트 탈수의 시작시점으로부터 임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임의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세탁모터(13)의 관성펄스 출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관성펄스의 출력이 있으면 급수→세탁→배수→헹굼→탈수 등의 정상세탁을 수행하는 단계와, 관성펄스의 출력이 없으면 고장표시 LED(11)를 점등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세탁기를 이용하여 빨래감을 세탁하려고 세탁기의 전원키(1)를 온 시킨 상태에서 원하는 기능키(2)를 선택한 후 스타트 키(3)를 누르면 세탁기용 마이콤(5)은 탑재되어있는 고장진단프로그램(20)을 실행하여 세탁을 위한 급수전에 미리 세탁 모터(13)의 고장을 진단하게 되는데 우선, 초기에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온 되었는가, 기능키(2)의 입력이 있었는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한 후 스타트 키(3)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상기 스타트 키(3)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사용자에 의해 스타트키(3)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스타트 키(3)가 입력되면 순차적으로 도어스위치(4)로부터 소정의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세탁키 도어가 오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세탁기 도어가 오픈되어 있으면 콘트롤판넬측의 도어오픈경고 LED(10)가 점등되도록 도어오픈경고 LED 구동부(6)에 제어신호를 보내고, 세탁기 도어가 닫혀져 있으면 바로 테스트 탈수를 하도록 동기모터 구동부(8) 및 세탁모터 구동부(9)에 액티브 제어신호를 보내 동기 모터(12) 및 세탁 모터(13)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동기 모터(12)는 세탁→탈수로 바뀔 때 세탁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구동축의 동력을 절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테스트 탈수시 구동축의 동력을 펄세이터 샤프트에서 스피너 샤프트측으로 바꾸어 전달시켜주게 되고 이에 따라 펄세이터는 정지되고 세탁조가 고속회전된다.
또한, 상기 마이콤(5)은 세탁 모터가 구동되어 테스트 탈수가 시작되면 테스트 탈수 시작시점으로부터 임의 시간(예컨데, 약 0.3초 정도)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이때, 만약 임의 시간이 경과되면 순차적으로 상기 세탁 모터(13)의 관성펄스가 출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만약 세탁 모터(13)의 작동시 관성펄스 출력이 있게 되면 정상적인 세탁과정인 급수→세탁→배수→헹굼→탈수 등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세탁 모터(13)의 작동시 관성펄스의 출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이것은 세탁 모터(13)가 작동되지 않는 것을 의미함으로 마이콤(5)은 곧바로 고장표시 LED 구동부(7)에 제어신호를 보내 콘트롤판넬측에 구비되는 고장표시 LED(11)를 점등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급수전에 세제나 물 낭비없이 세탁모터의 고장사실을 파악하게 된다.
위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은 세탁기 사용시 세탁기용 마이콤(5)에 의해 급수전에 테스트 탈수를 수행하는 고장진단프로그램(20)을 실행하여 미리 세탁 모터(13)의 고장을 진단해 봄으로써 세탁기가 고장난 것을 모르고 세탁하여 쓸데없이 물, 세제 및 시간 등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마이콤 등을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기가 고장난 것을 모르고 세탁하여 쓸데없이 물, 세제 및 시간 등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이콤(5)은 급수전에 테스트 탈수를 수행하는 고장진단프로그램(20)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진단프로그램(20)은 사용자에 의해 세탁기의 전원키(1)가 온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스텝21)와, 선택된 기능키(2)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스텝22)와, 스타트 키(3)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스텝23)와, 세탁기의 도어스위치(4)로부터 소정의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세탁기 도어가 닫혀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스텝24)와, 세탁기 도어가 오픈되어져 있으면 도어오픈경고 LED(10)를 점등시키는 단계(스텝25)와, 도어가 닫혀져 있으면 동기 모터(12) 및 세탁 모터(13)를 작동시켜 테스트 탈수를 진행시키는 단계(스텝26)와, 테스트 탈수의 시작시점으로부터 임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스텝27)와, 임의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세탁모터(13)에 의한 관성펄스의 출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스텝28)와, 상기 단계에서 관성펄스 출력이 있으면 급수→세탁→배수→헹굼→탈수 등의 정상세탁을 수행하는 단계(스텝29)와, 관성펄스의 출력이 없으면 고장표시 LED(11)를 점등시키는 단계(스텝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
KR1019970023998A 1997-06-11 1997-06-11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 KR19990000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998A KR19990000877A (ko) 1997-06-11 1997-06-11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998A KR19990000877A (ko) 1997-06-11 1997-06-11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877A true KR19990000877A (ko) 1999-01-15

Family

ID=6599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998A KR19990000877A (ko) 1997-06-11 1997-06-11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08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0871A (ko) 세탁기의 서비스모드 처리방법
KR890004928B1 (ko) 저수조부착세탁기에 있어서의 세정방법
KR19990000877A (ko) 세탁기의 고장진단방법
KR960012121B1 (ko) 세탁기
KR0160413B1 (ko) 세탁기의 자동도어 개폐장치의 제어방법
JP3286571B2 (ja) 洗濯機
JP3162959B2 (ja) 洗濯機
KR20000045172A (ko)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한 전기세탁기
KR0133487B1 (ko) 드라이 크리닝 세탁방법
JPH0538393A (ja) 洗濯機
KR100366690B1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JPH1085478A (ja) 洗濯機
KR0134364Y1 (ko) 세탁기의 탈수시 도어 열림감지 해제장치
JPS6033911Y2 (ja) 排水ポンプ付洗濯機
JPS60137389A (ja) 全自動洗濯機
KR100490202B1 (ko) 세탁기의 수위설정방법
KR100223240B1 (ko) 세탁기의 언발란스 해제방법
JP2693079B2 (ja) 洗濯機
KR19990025406A (ko) 세탁기의 세제용해방법
JP2778757B2 (ja) 洗濯機
KR19990011044A (ko) 세탁기의 급속코스 제어방법
KR20060010469A (ko) 세탁기
KR100274673B1 (ko)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JPH05220295A (ja) 洗濯機
KR19980068193A (ko) 세탁기의 운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