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239A -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239A
KR19990000239A KR1019970023005A KR19970023005A KR19990000239A KR 19990000239 A KR19990000239 A KR 19990000239A KR 1019970023005 A KR1019970023005 A KR 1019970023005A KR 19970023005 A KR19970023005 A KR 19970023005A KR 19990000239 A KR19990000239 A KR 19990000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orbic acid
organic solvent
derivative
grou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0653B1 (ko
Inventor
홍종언
이기화
이장섭
이상린
이옥섭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19970023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653B1/ko
Priority to JP10156461A priority patent/JP2926046B2/ja
Priority to DE19824983A priority patent/DE19824983C2/de
Priority to CN98101499A priority patent/CN1069904C/zh
Priority to FR9807041A priority patent/FR2764891B1/fr
Priority to US09/090,226 priority patent/US5916915A/en
Publication of KR1999000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5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xygen atoms, with or without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515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xygen atoms, with or without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the oxygen atom being part of a five-membered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 (I)로 표시되는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3-아미노-1-프로판올과 옥시염화인을 1 : 1~1.3의 당량비로 유기염기 존재하에 유기용매하에서 반응시켜서 생성된 2-클로로테트라히드로-2H-1,3,2-옥사자포스포린 P-옥시드와 5,6-수산기가 보호된 L-아스코르빈산을 유기염기 존재하에 유기용매에서 반응시킨 후, 가수분해하고 극성 유기용매로 결정화함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1]
(Ⅰ)

Description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3-아미노프로판인산과 L-아스코르빈산이 인산 디에스테르 형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생체내의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3-아미노프로판인산과 L-아스코르빈산의 생리활성도 나타낼 수 있는 L-아스코르빈산의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2]
(I)
L-아스코르빈산은 강한 항산화 작용을 가진 생체 활성물질로서 괴혈병 치료에 사용되며, 기미나 주근깨 등의 원인인 멜라닌 색소의 축적을 억제하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및 약리 효과 때문에 의약품, 화장품, 식품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L-아스코르빈산은 수상에서 쉽게 산화되어 분해되기 때문에 의약품, 화장품, 식품등에 응용시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나 제조 공정에서 역가의 감소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색상을 변색시키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L-아스코르빈산의 수상에서의 불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많은 유도체들이 개발되어 왔고, 그 예로는 L-아스코르빈산의 2-포스페이트 마그네슘염, 폴리포스페이트 무기염, 2-설페이트 무기염, 2-글루코스등이 있다. 특히, 상기한 유도체들 중에서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화가 뛰어난 L-아스코르빈산-2-포스페이트 마그네슘염의 경우에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화장료의 제조가 공지(일본공개특허공보 평 1-28320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 3-227907호)되어 있으나, 이 유도체 또한 수상 제품에 적용하는 경우 변색현상과 자체적으로 불용성 결정이 생성되어 침전현상이 생기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따라서, 착색 방지를 위한 고순도 화합물을 얻기 위한 정제방법과 침전현상을 개선하는 방법들도 공지되어 있으나(일본공개특허공소 소 62-30791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4-275206호),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의 유도체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하였다. 그 결과,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콜라겐 합성에 관한 효과와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여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이 공지된 3-아미노프로판인산을 L-아스코르빈산의 2-위치에 인산디에스테르 형태로 연결시키는 경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의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3]
(Ⅰ)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L-아스코르빈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2-클로로테트라히드로-2H-1,3,2-옥사자포스포린 P-옥시드와 5,6-수산기가 보호된 L-아스코르빈산을 반응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은, 우선, 3-아미노-1-프로판올과 옥시염화인을 1 : 1~1.3의 당량비로 유기염기 존재하에 유기용매하에서 0∼5℃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2-클로로테트라히드로-2H-1,3,2-옥사자포스포린 P-옥시드를 제조한 후, 이를 유기용매 존재하에 5,6-수산기가 보호된 L-아스코르빈산과 반응시키고, 가수분해한 후, 극성 유기용매로 결정화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은,
(A) 3-아미노-1-프로판올과 옥시염화인을 1 : 1~1.3의 당량비로 유기염기 존재하에 유기용매하에서 0∼5℃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반응시켜 2-클로로테트라히드로-2H-1,3,2-옥사자포스포린 P-옥시드를 생성시키는 단계 ;
(B) L-아스코르빈산의 5,6-수산기를 보호기(protective group)와 반응시켜 5,6-수산기가 보호된 L-아스코르빈산을 생성시키는 단계 ;
(C) 상기 (A)단계에서 생성된 2-클로로테트라히드로-2H-1,3,2-옥사자포스포린 P-옥시드와 상기 (B)단계에서 생성된 5,6-수산기가 보호된 L-아스코르빈산을 유기염기 존재하에 유기용매에서 반응시키는 단계;
(D) 반응액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얻어진 잔사에 정제수를 부가하여 5∼100℃의 온도에서 약 3시간 동안 반응하여 가수분해시키는 단계; 및
(E) 극성 유기용매로 결정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다음의 반응식 1로 도식화될 수 있다 :
[반응식1]
(A)
(II)
(B)
+ 보호기 ------
(III)
(C)
-------
(III) (II)(IV)
(D)
--------
(IV) (I)
본 발명에 따른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상기한 반응식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유기염기 존재하에 유기용매에서 3-아미노-1-프로판올과 옥시염화인을 0∼5℃의 온도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여 상기 구조식 (II)로 표시되는 phosphorin P-oxide)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한 단계에서 3-아미노-1-프로판올과 옥시염화인은 1:1∼1.3의 당량비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량비가 1:1 미만이면 목적하는 생성물을 얻을 수 없고, 1: 1.3이상이면 목적하는 생성물 이외에 과량의 부산물이 생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방법으로 2-클로로테트라히드로-2H-1,3,2-옥사자포스포린 P-옥시드를 제조하는 경우, 3-아미노-1-프로판올과 옥시염화인이 1:1로 결합한 중간체가 95% 이상 생성되고, 3-아미노-1-프로판올과 옥시염화인이 2:1로 결합한 부산물이 1∼2% 이하로 생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부산물은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하거나, 알코올용매에 대한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옥시염화인 분자내의 3개의 염소원자중 두개의 염소원자가 3-아미노-1-프로판올의 두 관능기, 즉 수산기와 아민기에 의해 치환되어 고리화된 2-클로로테트라히드로-2H-1,3,2-옥사자포스포린 P-옥시드가 생성되며, 나머지 하나의 염소원자는 5℃이하의 저온에서는 반응성이 감소되어 치환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이는 2-클로로테트라히드로-2H-1,3,2-옥사자포스포린 P-옥시드의 염소원자가 저온의 무수 비활성 용매중에서 안정하여 3-아미노-1-프로판올과 쉽게 치환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3-아미노-1-프로판올과 옥시염화인을 1:1.0∼1.3의 당량비로하여 0∼5℃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키므로, 3-아미노-1-프로판올과 옥시염화인이 2:1 이상으로 반응한 부산물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옥시염화인 중 하나의 염소원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스테르기나, 아미드기를 도입하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반응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중 (A) 단계에서 유기염기로는 피리딘, 트리에틸아민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중 (A) 단계에서 유기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히드로퓨란, 초산에틸,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등과 같은 비활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응온도는 5℃이상에서는 2당량 이상의 3-아미노-1-프로판올이 옥시염화인에 치환되어 부산물의 생성이 증가되고, 0℃미만의 온도에서는 반응물의 용해도가 감소되어 반응의 진행이 어려우며, 미반응물의 함량이 증가되어 반응 수율이 낮아지므로 0∼5℃ 범위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B) L-아스코르빈산의 5,6-수산기를 보호기(protective group)와 반응시켜 5,6-수산기가 보호된 L-아스코르빈산을 생성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제조방법중 5,6-수산기가 보호된 L-아스코르빈산을 생성시키는 단계에서 보호기로는 벤질리덴기, 페닐에틸리덴기, 이소프로필리덴기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소프로필리덴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2-클로로테트라히드로-2H-1,3,2-옥사자포스포린 P-옥시드와 5,6-수산기가 보호된 L-아스코르빈산을 유기 염기존재하에 유기용매에서 반응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제조방법중 (C)단계에서 유기염기로는 상기 공정(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리딘, 트리에틸아민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중 (C)단계에서 유기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히드로퓨란, 초산에틸,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등과 같은 비활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클로로포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 반응액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얻어진 잔사에 정제수를 부가하여 약 5∼100℃의 온도에서 약 3시간 동안 반응시켜 가수분해시키는 단계 ;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반응액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은 잔사의 가수분해는 일반적인 가수분해 조건인 강 양이온 교환수지(Amberlyst 15), 염산 또는 황산 등의 산촉매를 사용하여 가수분해할 수 있으나, 상기 구조식 (IV)의 화합물의 수용액이 강한 산성(1% 수용액 pH=2)을 나타내므로, 잔사에 정제수를 부가한 후 5∼100℃온도로 승온하여 교반하는 경우 탈보호 및 P-N결합이 가수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반응액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농축한 후 얻은 잔사에 정제수를 부가하여 약 5∼100℃온도, 바람직하게는 50℃ 온도에서 약 3시간동안 반응시켜서 가수분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E) 극성 유기용매를 서서히 적가하여 L-아스코르빈산의 유도체인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를 결정화하는 단계 ;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석출 용매인 극성 유기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옥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L-아스코르빈산의 유도체는 이를 중화하여 염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류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토금속류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 또는 암모니아에 의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hosphorin P-oxide)
옥시염화인 34.1㎖(0.36mol)을 디클로로메탄 400㎖에 녹인 다음 얼음물 중탕에서 용액을 0∼5℃로 냉각시켰다. 다른 용기에 3-아미노-1-프로판올 30㎖(0.39mol)와 트리에틸아민 102㎖(0.73mol)용액을 디클로로메탄 200㎖로 희석한 후, 앞에서 제조한 반응용액을 2시간 동안 적가하였다. 적가가 끝난 후 생성된 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를 제거하였다. 여액은 100㎖ 정제수를 사용하여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여과하고, 감압하여 농축하였다. 농축한 후, 얻어진 잔사에 톨루엔을 가하여 결정을 얻었다. 얻어진 결정은 진공건조하여 반응생성물인 2-클로로테트라히드로-2H-1,3,2-옥사자포스포린 P-옥시드를 53g의 백색고체로서 얻었다.
녹는점 : 79∼82℃
IR(CHCl3, ㎝-1) : 3254, 1477, 1274, 1092, 1036, 996
1H-NMR(CDCl3) : δ(ppm) = 1.7(m, 1H), 1.1(m, 1H), 3.3(m, 2H), 4.4(m, 2H), 4.9(br, 1H)
13C-NMR(CDCl3) : δ(ppm) = 25.78, 25.85, 42.05, 42.11, 71.69, 71.81
[실시예 1]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이소프로필리덴기를 사용하여 L-아스코르빈산의 5,6-수산기를 보호한 5,6-이소프로필리덴아스코르빈산 10g(0.046mol)을 클로로포름 100㎖에 녹인 다음, 5℃의 얼음물 중탕에서 트리에틸아민 12.9㎖(0.093mol)을 적가하였다. 등온도에서 클로로포름 20㎖에 녹인 2-클로로테트라히드로-2H-1,3,2-옥사자포스포린 P-옥시드 8.6g(0.055mol)을 적가하였다. 적가가 끝난 후 하룻밤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후, 인산 수용액으로 유기층을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과 활성탄을 가하여 건조, 탈색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고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얻어진 잔사를 정제수 30㎖에 녹이고, 50℃ 항온조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반응액에 이소프로판올 150㎖를 가하여 결정을 얻고, 얻어진 결정을 진공건조하여 생성물인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를 6g의 백색고체로서 얻었다.
녹는점 : 176∼180℃
IR(KBr, ㎝-1) : 3407, 3322, 3101, 2914, 1747, 1673, 1664, 1533, 1364, 1218, 1072
1H-NMR(D2O) : δ(ppm) = 1.9(m, 2H), 3.05(t, 2H), 3.62(m, 2H), 3.98(m, 3H), 4.90(s, 1H)
13C-NMR(D2O) : δ(ppm) = 26.76, 22.86, 32.35, 57.30, 59.77, 59.84, 64.15, 71.55, 71.72, 109.79, 109.88, 156.58, 156.63, 167.32, 167.38
[실시예 2]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나트륨염
실시예 1에서 얻은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1g을 정제수 30㎖에 녹인 후, 여기에 5%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부가하여 pH 7로 만들었다. 상기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나트륨염을 백색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3]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칼륨염
실시예 1에서 얻은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1g을 정제수 30㎖에 녹인 후, 여기에 5% 탄산칼륨 수용액을 부가하여 pH 7로 만들었다. 상기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칼륨염을 백색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4]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칼슘염
실시예 1에서 얻은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1g을 정제수 30㎖에 녹인 후, 여기에 수산화칼륨을 부가하여 pH 7로 만들었다. 상기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칼슘염을 백색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5]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마그네슘염
실시예 1에서 얻은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1g을 정제수 30㎖에 녹인 후, 여기에 산화마그네슘을 부가하여 pH 7로 만들었다. 상기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마그네슘염을 백색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6]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트리에탄올아민염
실시예 1에서 얻은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1g을 정제수 30㎖에 녹인 후, 여기에 5% 트리에탄올아민 수용액을 부가하여 pH 7로 만들었다. 상기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트리에탄올아민염을 백색고체로서 얻었다.
[시험예 1]
실시예 2의 화합물인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나트륨염과 L-아스코르빈산 2-포스페이트 마그네슘염 각각 3g을 정제수 100㎖에 녹인다음, 50℃ 항온조에서 30일 동안 보관한 후 침전생성과 착색 유무등의 경시변화를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1]
침전 생성
1 3 5 7 9 11 13 15 30
실시예 2
L-아스코르빈산 2-포스페이트마그네슘염 ++ ++ ++ +++ +++ +++
평가기준
-: 침전물이 없슴 +: 침전물 생성이 소
++: 침전물 생성이 중+++: 침전물 생성이 대
[표2]
착색
1 3 5 7 9 11 13 15 30
실시예 2
L-아스코르빈산 2-포스페이트마그네슘염 +
평가기준
-: 무색 또는 미황색+: 착색 소
++: 착색 중+++: 착색 대
상기 표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상에서 매우 안정하고 고순도이기 때문에 변색이 일어나지 않고, 침전이 생성되지 않는다.
[시험예 2]
실시예 1의 화합물인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와 L-아스코르빈산을 각각 50μM의 농도로 hydrion pH 7 완충 용액에 녹인 다음, 50℃ 항온조에서 보관한 후 일정 시간마다, 실시예의 시료는 259㎚에서, L-아스코르빈산은 266㎚에서 UV 흡수도를 측정하였다. 시료 용액중의 시료 잔존율(%)을 표 3에 나타내었다.
[표3]
0.5시간 1시간 3시간 6시간 24시간 6일 10일
실시예 1 100 100 100 100 99.1 95.5 93.5
L-아스코르빈산 17.2 1.0 0 0 0 0 0
일반적으로 희석농도에서 시료의 안정성은 크게 저하된다. 그러나,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화합물은 중성의 수용액에서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나 L-아스코르빈산 수용액은 1시간 이내에 거의 분해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공된 L-아스코르빈산의 유도체인 L-아스코르빈산, 3-아미노프로판올 인산 디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은 수상에서 안정하고 고순도이기 때문에 수상제품에 응용이 용이하고, 또한, 생체내의 효소(포스파타아제 등)작용에 의해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가진 L-아스코르빈산과, 인체섬유아세포를 증식시키며, 교원질섬유(콜라젠)의 합성을 촉진하고, 더구나 인체 피부 안정성이 우수한 3-아미노프로판인산으로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미백 및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의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3-아미노-1-프로판올과 옥시염화인을 1 : 1~1.3의 당량비로 유기염기 존재하에 유기용매하에서 0∼5℃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반응시켜 2-클로로테트라히드로-2H-1,3,2-옥사자포스포린 P-옥시드를 생성시키는 단계 ;
    (B) L-아스코르빈산의 5,6-수산기를 보호기와 반응시켜 5,6-수산기가 보호된 L-아스코르빈산을 생성시키는 단계 ;
    (C) 상기 (A)단계에서 생성된 2-클로로테트라히드로-2H-1,3,2-옥사자포스포린 P-옥시드와 상기 (B)단계에서 생성된 5,6-수산기가 보호된 L-아스코르빈산을 유기염기 존재하에 유기용매하에서 반응시키는 단계;
    (D) 반응액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얻어진 잔사에 정제수를 부가하여 5∼100℃온도에서 약 3시간 동안 반응하여 가수분해시키는 단계; 및
    (E) 극성 유기용매로 결정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반응식 2로 도식화되는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
    [반응식2]
    (A)
    (II)
    (B)
    + 보호기 ------
    (III)
    (C)
    -------
    (III) (II)(IV)
    (D)
    --------
    (IV) (I)
  2. 제 1항에 있어서, (A) 또는 (C)단계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히드로퓨란, 초산에틸,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에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A) 또는 (C)단계에서 사용되는 유기염기는 피리딘, 트리에틸아민임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B)단계에서 사용되는 보호기는 벤질리덴기, 페닐에틸리덴기 또는 이소프로필리덴기임을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E)단계에서 사용되는 극성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테르라히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옥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하기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L-아스코르빈산의 유도체 및 그의 염.
    [화학식4]
    (I)
  7. 제 5항에 있어서,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염은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류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토금속류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 또는 암모니아에 의한 염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의 유도체.
KR1019970023005A 1997-06-04 1997-06-04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30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005A KR100230653B1 (ko) 1997-06-04 1997-06-04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10156461A JP2926046B2 (ja) 1997-06-04 1998-06-04 水安定型l−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組成物
DE19824983A DE19824983C2 (de) 1997-06-04 1998-06-04 2-(3-Aminopropylphosphorsäure)-L-ascorba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dieses enthaltende kosmetische Zubereitung zur Aufhellung der Haut
CN98101499A CN1069904C (zh) 1997-06-04 1998-06-04 水稳定的l-抗坏血酸衍生物及其制法和含它的增白美容组合物
FR9807041A FR2764891B1 (fr) 1997-06-04 1998-06-04 Derive de l'acide l-ascorbique stable dans l'eau, procede pour sa preparation et composition cosmetique de blanchiment de la peau le contenant
US09/090,226 US5916915A (en) 1997-06-04 1998-06-04 Water-in-stable L-ascorbic acid derivative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a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005A KR100230653B1 (ko) 1997-06-04 1997-06-04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239A true KR19990000239A (ko) 1999-01-15
KR100230653B1 KR100230653B1 (ko) 1999-11-15

Family

ID=1950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005A KR100230653B1 (ko) 1997-06-04 1997-06-04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777B1 (ko) * 2004-03-25 2007-05-18 도요 뷰티 가부시키가이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및 미백 화장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777B1 (ko) * 2004-03-25 2007-05-18 도요 뷰티 가부시키가이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및 미백 화장료
US7282597B2 (en) 2004-03-25 2007-10-16 Toyo Beauty Co., Ltd. Ascorbic acid derivatives and skin-whitening cosmetics
US7569211B2 (en) 2004-03-25 2009-08-04 Toyo Beauty Co., Ltd. Ascorbic acid derivatives and skin-whitening cosme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0653B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6915A (en) Water-in-stable L-ascorbic acid derivative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a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0875514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n ascorbic acid derivative
EP0228612B1 (en) A derivative of alpha, alpha-trehalose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FI84061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terapeutiskt aktiva gentamycinsalter av fosforsyraestrar av 6-hydroxiflavanoner.
EP0401800A2 (en) Acylated derivatives of etoposide
KR100230653B1 (ko) 수안정형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930011283B1 (ko) 3'-아지도-3'-디옥시디미딘 및 그 유사화합물의 합성방법
US5420302A (en) Preparation of calcium L-ascorbate 2-phosphate
KR100320037B1 (ko) 수안정형 코지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2646428A (en) Rutin derivatives and production thereof
CA2280381C (en) Improv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n-acyl derivative of o,s-dialkyl phosphoroamidothioate
KR910008733B1 (ko) L-아스코르빈산-2-인산에스테르 마그네슘염의 제조방법
KR100411205B1 (ko) 멘톨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6388098B1 (en) Process for preparing ascorbic acid-2-monophosphate salt
KR850000612B1 (ko) 알파-아미노 벤질 페니실린의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JP4418995B2 (ja) アスコルビン酸2−モノホスフェート塩の製造方法
KR100187900B1 (ko) 3-아미노프로판 인산의 제조방법
KR900006030B1 (ko) L-아스코르빌-2-폴리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FI107260B (fi) Menetelmä alkyylifosfokoliinien valmistamiseksi sekä menetelmä niiden puhdistamiseksi
KR100532573B1 (ko) 엘-아스코빌-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염의 제조방법
JP3096277B2 (ja) 5,6−o−イソプロピリデン−l−アスコルビン酸の製造法
JP3813996B2 (ja) アスコルビン酸−アルブチン結合体またはその塩、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EP0675132B1 (en) Production of crystals of di-ester phosphate monopotassium salt
KR890001403B1 (ko) 디아미노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30005987B1 (ko) 글루코스 유도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