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647A - 역주조를 위한 용기 바닥의 관통 요소 - Google Patents

역주조를 위한 용기 바닥의 관통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647A
KR19980702647A KR1019970706053A KR19970706053A KR19980702647A KR 19980702647 A KR19980702647 A KR 19980702647A KR 1019970706053 A KR1019970706053 A KR 1019970706053A KR 19970706053 A KR19970706053 A KR 19970706053A KR 19980702647 A KR19980702647 A KR 19980702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melt
container
metal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4947B1 (ko
Inventor
감말 타렉 엘
페터 하마허
미하엘 폰더방크
프리쯔-페터 플레쉬우취니히
하겐 잉고 폰
Original Assignee
프레드 퀴글러, 폴크마르 쿠르쯔
만네스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드 퀴글러, 폴크마르 쿠르쯔, 만네스만 아게 filed Critical 프레드 퀴글러, 폴크마르 쿠르쯔
Publication of KR1998070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8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clad ingots, i.e. the molten metal being cast against a continuous strip forming part of the cast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강철로 만들어진 얇은 금속 빌릿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금속 스트립은 용융체로 채워진 용기의 바닥으로 빨려 들어가 용융체가 결정화된 후에 유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스트립은 접촉을 줄이는 방식으로 가늘고 긴 틈새형의 도관으로 흡입된다. 상기 금속 용융체는 두 가지 상이 공존하는 부위에서 50∼90%의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온도로 도관의 주둥이 영역에서 냉각되고, 상기 금속 스트립은 도관의 주둥이 영역에서 냉각된 용융체와 접촉한다. 본 발명은 또한 얇은 금속 빌릿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주조를 위한 용기 바닥의 관통 요소
상기의 방법은 특히 철사 제조의 방법으로 공지되었지만, 스트립 주조 방법으로도 공지된 바 있다. 예를 들면 스트립 주조에 대한 특허 US 3,264,692는 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바닥 석재를 이용하여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주조 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바닥 석재의 가늘고 긴 틈새형 개구부는 관통하는 스트립의 규격을 위해서 매우 좁은 공차를 갖는다.
공지된 상기 바닥으로 유입되는 것의 단점은 허용된 스트립의 규격에서 약간 만이라도 벗어날 때, 스트립이 꽉 죄여 움직이지 않거나 스트립의 원활하지 않은 이송으로 인하여 마찰이 증가될 우려가 크다는 점이다.
US 4,479,530에는 철사를 용융체의 위에서 아래쪽으로 삽입하여 용융체 용기의 바닥 출구로 유출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구리 철사 제조를 위해 고안된 상기 방법에서는 상기 바닥 출구가 원추형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철사와 용융체가 함께 이송된다.
철사 제조를 위한 장치와 이와 유사한 장치가 금속 잡지(1996년 10월호, 연속 주조 방법, 774-780쪽)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서는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지며 냉각수로 냉각될 수 있는 바닥 통로가 설명된다.
앞에서 언급한 두 문헌은 구리로 된 철사의 제조에 관한 것이므로, 강철로 만들어진 스트립 제조를 위한 방법과 장치에 전용할 수는 없다. 특히 철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결정화된 피복층이 울퉁불퉁해서 철사의 지름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실용적인 사용을 위해서 재 가공된다. 또한 모 철사의 굵은 두께(여기에서는 통상 6㎜ 이상의 두께)로 인해 결정화율이 적고 접합 상태가 불량하다.
본 발명은 특히 강철로 만들어진 얇은 금속 빌릿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금속 스트립은 용융체로 채워진 용기의 바닥으로 빨려 들어가 용융체가 결정화된 후 용기 위에 장착되어 움직이는 롤러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스트립 주조 방법은 일반적인 연속 주조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다르게 응결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역주조라고 칭한다.
도 1은 주조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고,
도 2는 냉각로의 배열의 도면이고,
도 3은 바닥 유입 개구부의 단면도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립이 용융체 용기 안으로 유입될 때 스트립의 금속 손상을 방지하고, 매우 강한 마찰 때문에 제안되지 않은 항장응력률(파괴 위험)을 방지하며, 용융체가 용기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고안해 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방법과 청구의 범위 제 5 항의 장치에 나타난 특징들을 통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융해조는 용기 안으로의 유입의 시작인 가늘고 긴 틈새형 개구부의 주둥이 영역이 집중적으로 냉각되므로, 응고점 보다는 약간 높은 융해/결정화의 두 가지 상(相)이 공존하는 부위의 온도가 낮아진다.
냉각된 모 스트립과도 접촉하는 상기 두 상이 공존하는 부위는 높은 점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두 상이 공존하는 부위는 스스로 복원되는 밀봉 장치의 기능을 하여 용융체가 틈새와 바닥 통로로 파고드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 장치로 작용하는 용융체가 많이 팽창하기 때문에, 관통하는 스트립을 위한 바닥 유입의 가늘고 긴 도관의 내벽 사이의 빈 공간의 크기는 관통한 스트립이 가늘고 긴 틈새형 도관에 닿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메니스커스에 닿지 않고서 관통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스트립과 도관의 금속적인 접촉이 거의 없기 때문에 구리가 재료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구리는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층 처리될 수 있다. 피복층으로는 금속(크롬, 니켈) 또는 산화물(지르콘 산화물) 또는 세라믹(예 : 질화 붕소)이 적당하다.
추가되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냉각 요소는 내열 재료로 이루어진 피복층 처리된 용기 쪽에 위치한 벽 위에 놓인다. 이런 식으로 해서 상기 냉각 요소가 비교적 잘 보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조치를 통해 용출되는 용융체에 비해 차가운, 냉각 요소에 인접한 용융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늘고 긴 틈새형 도관은 정비할 필요가 없으면서도 비용면에서 저렴하게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부분은 설명한 바와 같이 구리로 이루어지고, 용융체로부터 떨어진 부분은 내열 재료 즉, 내열 석재로 이루어진다.
메니스커스에 영향을 확실히 주기 위해서는 냉각 요소가 용기 내부로 열려 있는 윤곽선을 갖추는 것이 적당하다.
냉각 매체로는 액체와 기체가 적당하다. 배제될 수 없는 냉각 요소의 손상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물을 냉각 매체로 사용하는 경우 물은 흡입되면서 이송된다.
특별한 실시 형태로서 구불구불한 냉각관들이 사용된다. 사용되는 구불구불한 도관은 냉각제가 우선 틈새 가까이에서 도관을 따라 흐르도록 형성된다. 도관의 주둥이 영역의 상기 금속 용융체로부터의 열 운반은 융해조 온도에 따라 조절된다. 상기 용융체를 심하게 냉각시킬 때, 상기 용융체는 예를 들어 플라스마 로(爐)에 의해 원하는 온도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어지는 도면에 나타나 있다.
도 1은 용기 바닥(11)과 용기 측벽(12)으로 구성된 용융체 용기를 나타낸다. 상기 용기 측벽은 금속 용기 외장제(13) 및 내열 내장제(14)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은 도관(20)을 포함하는데, 상기 도관의 용융체(S) 쪽을 향하는 주둥이는 도 1에서는 냉각함(25)으로 형성된 금속 도관부(22)를 갖는다.
상기 냉각함(25)은 매체 공급 장치(31)에 의해서 탱크(34)와 연결되고, 매체 배출장치(32)에 의해서 펌프(33)와 연결된다.
상기 도관(20)을 통하여 상기 스트립(B)이 유도 롤러(41)에 의해 유도되어 용기 안의 용융체(S)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가서, 상기 스트립(B)위에 피복층(K)이 결정화되며, 상기 피복층(K)은 용기의 위쪽에서 다듬질 롤러(42)에 의해서 이송되고, 최종 규격에 가깝게 평평해진다.
열 에너지를 측정하고 조절하기 위한 장치(51)가 상기 매체 배출 장치(32)에 연결된다.
도 2는 금속 도관부(22)를 수평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금속 도관부는 도 2에서 공급 장치(31)와 배출 장치(32)에 연결된 냉각관(26)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불구불하게 뻗어있는 냉각관(26)들의 중앙에서 상기 스트립(B)이 가늘고 긴 틈새(도관)(20)를 관통한다.
도 2의 상부(a))에서는 스트립의 양쪽으로 각각 두 개의 관이 배열되어 있다. 화살표는 냉각 매체 흐름의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냉각 매체는 배출 장치가 있는 스트립의 영역에서 구불구불한 냉각관에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공급되기 위해서 우선 스트립의 주위를 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의 하부(b))에서는 총 세 개의 관이 옆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다. 본 요약도에서는 스트립 가까이에 있는 냉각관이 비스듬하게 잘려져 있다. 더 자세히 말해서, 가늘고 긴 틈새(도관)(20)는 원추형으로 용기의 내부 쪽으로 벌어져 있다.
상기 요약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원형 종단면과 사각형 종단면을 갖는 도관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금속 용기 외장제(13)와 내열 내장제(14)를 포함하는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더 자세히 말해서, 오른쪽은 탬핑 클레이(tamping clay)로, 왼쪽은 석재로 만들어진 용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관(20)은 금속 용기 외장제(13)쪽으로 기울어져 내열 도관부(21) 위에 형성된 언덕을 포함한다. 더 자세히 말해서, 상기 언덕은 도면을 반쪽으로 나누어 보아 왼쪽에는 내열 석재(23)로, 오른쪽은 탬핑 클레이(24)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왼쪽은 냉각관(26), 오른쪽은 냉각함(25)으로 만들어진 금속 도관부(22)는 용융체 쪽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도관부(22)는 용기의 내부 쪽으로 내열 피복층(15)으로 덮인다.
상기 도관(20)은 스트립 두께(d)가 관통하는 관 내부 두께(D)를 갖는다.
용융체(S)를 관통하는 스트립(B)위로 피복층(K)이 스트립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결정화된다.
계속해서 도 3에서 용융체(S)의 등온선이 나타나 있다. 금속 도관부(22) 영역에 위치하는 가늘고 긴 틈새형 도관 안의 온도가 응고점(TSOL) 가까이로 낮아진다. 용융화/결정화의 두 가지 상이 공존하는 부위는 용융체가 가늘고 긴 틈새형 도관을 통해 용융체 용기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두 상이 공존하는 부위에서 부터 추가 등온선, 그리고 용융체 온도(TSOL)까지 나타나 있다. 가늘고 긴 틈새의 영역에서 스트립(B)과 냉각관(26)/냉각함(25) 사이에 메니스커스(M)가 형성된다. 금속 도관부(22)의 전면의 형태에 따라 메니스커스의 형태가 좌우되며, 상기 메니스커스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전면에서 가늘고 긴틈새형 도관(20) 쪽으로 깊게 돌출한다. 이때 상기 용융체(S)는 완전히 응결되지 않아 아직은 연성이지만, 용융체가 도관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될 만큼 굳은 상태에 있다.
-위치 용어-
[용기]
11 용기 바닥12 용기 측벽
13 금속 용기 외장제14 내열 내장제
15 내열 피복층20 도관
21 내열성 도관부22 금속 도관부
23 석재24 탬핑 클레이
25 냉각함26 냉각관
[냉각장치]
31 매체 공급 장치32 매체 배출 장치
33 펌프34 탱크
[스트립 이송 장치]
41 유도 롤러42 다듬질 롤러
[측정 및 조절 장치]
51 열 에너지S 용융체
B 스트립K 결정화된 피복층
d 스트립 두께D 관 내부 두께
M 메니스커스

Claims (12)

  1. 금속 스트립이 용융체로 채워진 용기의 바닥에 의해 수송되고, 용융체가 결정화된 후 용기의 위에 장착되어 움직이는 롤러에 의해 상기 금속 스트립의 표면이 다듬질되는, 특히 강철로 만들어진 얇은 금속 빌릿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금속 스트립이 가늘고 긴 틈새형 도관을 접촉하지 않고, 용기 내부로 유도되는 단계와,
    b) 상기 금속 용융체가 도관의 출구 영역의 두 가지 상이 공존하는 부위에서 50 내지 90%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온도로 냉각되는 단계와,
    c) 상기 금속 스트립이 도관의 주둥이 영역에서 냉각된 용융체와 접촉하여 메니스커스를 형성하며, 상기 메니스커스의 근처에서 융해와 결정화의 두 상이 공존하는 부위의 용융체를 고상점 이상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도관의 주둥이 영역에 메니스커스가 형성되도록 스트립 속도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 스트립 속도에 대응하여 냉각 매체에 의해 열운반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상기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열 운반이 융해조 온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방법.
  5. 내열 내장제가 구비되고, 용융체로 채워지며, 바닥에 금속 스트립을 유도하기 위한 개구부가 있는 용기를 이용하여 얇은 금속 빌릿을 제조하기 위한, 그리고 제 1 항에 의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개구부(20)가 가늘고 긴 틈새형 도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관의 내벽과 금속 스트립(B)의 표면이 0.3 내지 1.0㎜의 간격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냉각 요소(22)가 강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요소(22)가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 피복층(27) 처리된 구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매체가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요소(22)와 냉각수를 흡입하면서 움직이게 하는 이송장치(33)가 매체 공급 장치(31)와 매체 배출 장치(3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요소(22)가 원추형으로 용기 내부 쪽으로 벌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용기 내부 쪽을 가리키는 벽의 상기 냉각 요소가 내열 재료(15)로 이루어진 층으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상기 청구항들 중 한 한에 있어서, 금속 도관부(22)로부터의 열 배출 및 열 공급을 측정하고 조절하는 장치(5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70706053A 1995-03-08 1996-02-07 얇은 금속 빌릿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64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09691A DE19509691C1 (de) 1995-03-08 1995-03-08 Bodendurchführung eines Inversionsgießgefäßes
DE19509691.6 1995-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647A true KR19980702647A (ko) 1998-08-05
KR100264947B1 KR100264947B1 (ko) 2000-09-01

Family

ID=775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053A KR100264947B1 (ko) 1995-03-08 1996-02-07 얇은 금속 빌릿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92501A (ko)
EP (1) EP0814926B1 (ko)
JP (1) JP3009738B2 (ko)
KR (1) KR100264947B1 (ko)
CN (1) CN1176612A (ko)
AT (1) ATE179102T1 (ko)
AU (1) AU4782696A (ko)
DE (2) DE19509691C1 (ko)
RU (1) RU2145531C1 (ko)
WO (1) WO1996027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8906C1 (de) * 1996-09-23 1998-01-02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beschichteten Strängen aus Metall, insbesondere von Bändern aus Stahl
DE19638905C1 (de) * 1996-09-23 1998-01-02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zur Erzeugung von beschichteten Metallsträngen, insbesondere Metallbändern und Beschichtungsanlage
US6037011A (en) * 1997-11-04 2000-03-14 Inland Steel Company Hot dip coating employing a plug of chilled coating metal
DE19813528A1 (de) * 1998-03-26 1999-10-07 Siemens Sa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insbesondere Leiterplatten
FR2799767A1 (fr) * 1999-10-13 2001-04-20 Lorraine Laminage Dispositif de revetement au trempe de bandes metalliques en defilement par une couche d'un metal initialement a l'etat liquide
US7695882B2 (en) * 2007-02-01 2010-04-13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formulation for controlling mass flow
CN104778374A (zh) * 2015-05-04 2015-07-15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基于图像处理识别方法的自动膳食评估装置
DE102017124144A1 (de) * 2017-10-17 2019-04-18 Mkm Mansfelder Kupfer Und Messing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upferprofils und Kupferprofi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8943A (en) * 1936-04-01 1938-09-06 American Rolling Mill Co Formation of encased structures by direct casting
US3264692A (en) * 1964-04-29 1966-08-09 Gen Electric Inlet orifice for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US3470939A (en) * 1965-11-08 1969-10-07 Texas Instruments Inc Continuous chill casting of cladding on a continuous support
US3995587A (en) * 1973-06-28 1976-12-07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including Mo-Ti-Zr alloy bushing
JPS56151163A (en) * 1980-04-22 1981-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Dip forming device
SE427090B (sv) * 1980-05-08 1983-03-07 Ekerot Sven Torbjoern Forfarande och anordning att medelst direktgjutning av en metallsmelta framstella metalliska tradprodukter
JPS5797862A (en) * 1980-12-08 1982-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Producing device for rough drawn wire
JPS62112767A (ja) * 1985-11-12 1987-05-23 Fujikura Ltd 浸漬被覆形成装置
WO1987007192A1 (en) * 1986-05-27 1987-12-03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thin metal 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6612A (zh) 1998-03-18
AU4782696A (en) 1996-09-23
US5992501A (en) 1999-11-30
JP3009738B2 (ja) 2000-02-14
EP0814926B1 (de) 1999-04-21
DE19509691C1 (de) 1996-05-09
EP0814926A1 (de) 1998-01-07
JPH10511314A (ja) 1998-11-04
RU2145531C1 (ru) 2000-02-20
WO1996027465A1 (de) 1996-09-12
ATE179102T1 (de) 1999-05-15
KR100264947B1 (ko) 2000-09-01
DE59601713D1 (de) 199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19059A (en) Method of vacuum slag refining of metal in the course of continuous casting
ZA200506448B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AU684081B2 (en) Nozzle for continuous caster
RU2007117643A (ru) Непрерывное литье хим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металл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теклянной оболочки
KR19980702647A (ko) 역주조를 위한 용기 바닥의 관통 요소
JPH09103855A (ja) 金属ストリップ鋳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双ロール鋳造機の鋳造溜めに溶融金属を送給する耐火ノズル
US50407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erature-controlled skull melting
KR100264945B1 (ko) 박판스트립의 연속제조 방법 및 장치
US20130336354A1 (en) Channel type induction furnace
EP03629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casting strip steel
FI78250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direktgjutning av smaelt metall.
EP01747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casting of crystalline strip by radiantly cooling
SE450554B (sv) Forfarande for strenggjutning av en stang av stal
KR100738857B1 (ko) 용탕 주입 홈통을 목표의 온도로 조절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행하기 위한 용탕 주입 홈통
EP017476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casting of crystalline strip in non-oxidizing atmosphere
AU2016366805B2 (en) Method of operating a top submerged lance furnace
JPS59163062A (ja) タンデイツシユ内溶鋼の加熱装置
GB2276574A (en) Installation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ncluding an orifice plate
CN1177936A (zh) 连续生产带状板材的方法和设备
RU1785804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ливки металлов
JPH0354179B2 (ko)
JPS5930453A (ja) 溶融アルミニウム含有鋼及び合金の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JP2004090090A (ja) 鋳型管体
JPS6146367A (ja) 溶融金属の配湯装置
ITMI20011559A1 (it) Dispositivo e metodo di lubrificazine per colata continu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