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441A - 포화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화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441A
KR19980702441A KR1019970705840A KR19970705840A KR19980702441A KR 19980702441 A KR19980702441 A KR 19980702441A KR 1019970705840 A KR1019970705840 A KR 1019970705840A KR 19970705840 A KR19970705840 A KR 19970705840A KR 19980702441 A KR19980702441 A KR 19980702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composition
alkyl
weigh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제임스 리치
Original Assignee
에스 제이 에드워즈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제이 에드워즈, 유니레버 엔.브이 filed Critical 에스 제이 에드워즈
Publication of KR1998070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44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5Mixtures of non-ionic with cat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표면을 세정하고 상기 표면 위에 후속해서 침착되는 오염물의 박리를 돕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그 위에 침착시킨다고 믿어지는 개선된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이들은 a) 총 계면활성제를 기준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65 중량% 이상, b) 총 계면활성제를 기준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 중량% 미만, 및 c) 총 계면활성제를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에틸렌성 포화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35 중량%으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화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목재, 유약을 칠한 타일, 페이트칠한 금속 등과 같은 경질 표면의 전통적인 세정에서, 표면을 밀폐 보호하고 오염물의 재침착 속도를 줄이기 위한 별도의 작업으로서 래커, 왁스 또는 광택제를 도포하면서 계면활성제 또는 용매 기재 조성물을 사용하여 오염물 제거를 수행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2 단계 세정 및 밀폐 작업은 시간 소모적이고 복잡하다.
1 단계 세정 작업에서 보호층을 제공하는 성분을 표면 위에 침착시킬 목적으로 그러한 성분을 계면활성제 기재 조성물 중으로 혼입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영국 특허 제1528592호 (1978)는 pH 8.5 이상의 수용액 중에 용해될 수 있는 100,000 내지 2,500,000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유기 폴리카르복실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알칼리성 바닥 세정제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이들 중합체는 대량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영국 특허 제1534722호 (1978)에는 계면활성제 및 오염물 제거 증진 혼합물로서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피롤리돈 및 바이오폴리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과립형 경질 표면 세정제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이들 중합체는 약 5000 내지 약 360,000 범위의 분자량을 가지며 공업적으로 유용한 양을 이용할 수 있다. 조성물은 알칼리성 용액을 형성한다.
유럽 출원 공개 제0467472 A2호(콜게이트 팜올리브(Colgate Palmolive))에 기재된 대로, 미국 출원 제07/297807호는 경질 표면의 세정을 위해서 15 내지 20 %의 양이온성 중합체 폴리[베타(메틸 디에틸-암모늄)에틸-메타크릴레이트] 수용액 2.3 %를 혼합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계로 배합한 결과, 이미 오염되고 세정된 세라믹 타일을 후속해서 쉽게 재세정하는 것을 크게 향상시킨다고 기재하고 있다.
유럽 출원 공개 제0467472 A2호에는 오염물 박리 촉진 중합체,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양이온성 폴리[베타(메틸 디에틸-암모늄)에틸-메타크릴레이트]는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배합함으로써 또한 효과적이라고 기재되어있다. 공개된 출원에서, '흡착된 중합체가 표면 위에 오염물 박리 촉진 중합체의 잔류하는 오염 방지 친수성 층을 형성함으로써, 후속적으로 표면 위에 침착되는 오염물의 제거가 상기 잔류층의 부재시보다 적은 작업을 요구한다'고 언급하였다. 5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의 사용은 용해성 요인으로 인해 방해가 되기도 하지만, 중합체의 분자량 범위는 4,000 내지 100,000 정도가 된다.
유럽 특허 제0379256호에는 임의의 4급화, 대전방지성의, 2,000 내지 500,000 범위 분자량 중합체를 2 중량% 미만으로 가지며, pH 2 내지 4의 산성 및 2 내지 4 중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언급한 문서와 유사한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특정 실시예는 pH가 2.5이고 혼합 비이온성계 2.2 중량% 및 특정 양이온성 중합체 0.07 %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개질 중합체가 또한 오염물 박리제로서 작용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이에 부가적으로 미국 특허 제4706842호로부터, 분무하고 닦아내는 타입의 유리 세정제 조성물에 빌더로서 저분자량 폴리아크릴 수지의 사용이 공지되어있다. 미국 특허 제4690779호에서 베커 (Baker) 등은 경질 표면 세정제 조성물 중에 특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5000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아크릴산 중합체의 배합물 사용을 기재하고있다. 이들 계에서 중합체의 일차 작용은 빌더로서의 작용이다.
상기로부터, 조성물이 표면 위에 처음 사용될 경우의 일차적 세정 효과 또는 오염물 침착을 방해하거나 다르게는 반복되는 세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표면 개질에 의한 이차적 세정 효과를 얻도록, 통상적인 알칼리성 경질 표면 세정제 조성물 중에 특정 중합체를 함유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음을 볼 수 있다.
특정 양이온성 세제를 포함하여 다른 표면 처리제에 다소 관심이 집중되어왔다. 국제 특허 공개 제WO91/09930호 (퀘스 공업(Ques Industries))에는 알루미늄,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볼 수 있는 것들과 같은 금속 표면 위에 '에토쿼트 (ETHOQUAT)'(TM)의 사용을 기재하고 있다.
발명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자들은 표면을 세정하고, 그 후 상기 표면 위에 침착된 오염물의 박리를 돕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층을 침착하는 것으로 믿어지는 개선된 조성물을 고안해 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총 계면활성제를 기준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65 중량% 이상,
b) 총 계면활성제를 기준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 중량% 미만, 및
c) 총 계면활성제를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에틸렌성 포화 디알킬 4급 암모늄 화합물 0.1 내지 35 중량%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인, 수성 경질 표면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완전히 포화된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질 표면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양이온성 디알킬 4급 암모늄 화합물 계열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이들은 C=O와 같은 잔기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알킬 사슬은 실질적으로 C=C와 같은 잔기는 없는데, 즉, 그들은 일반적으로 에틸렌성으로 포화되어 있다. 더우기, 분자가 2 이상의 중간 탄소 길이의 알킬 사슬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한 반면, 화합물은 상기 알킬 사슬을 2 개 이상 가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들 알킬기 중 2 개 이상은 일반적으로 탄소 길이가 8 이상이다.
전형적으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R1R2R3N-(CH2)n-CH(OOR4)-(CH2)mOOR5]+X-
(식 중, R1, R2및 R3은 독립적으로 C1-6알킬 또는 수소이며, n 및 m은 0 내지 4, OOR4및 OOR5는 8 내지 26의 탄소 원자수를 포함하는 지방산 잔기이고, X는 1가 음이온 등가물임). 좀더 전형적으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m=1 및 n=1인 상기 주어진 화학식의 양이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R1=R2=R3=CH3인 상기 주어진 화학식의 양이온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R4및 R5가 독립적으로 C12내지 C20인 상기 주어진 화학식의 양이온을 포함한다.
다른 완전히 포화된 디알킬 4급 암모늄 화합물로는
X-[CH3(CH2)nCO.NH(CH2)m]2.N+R1R2
(식 중, R1및 R2는 수소, C1내지 C4알킬, C1내지 C4히드록시 알킬 및 알킬렌 글리콜 잔기 또는 그의 중합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n은 8 내지 26이고, m은 1 내지 4이고, X는 1가 음이온 등가물임)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R1은 메틸, R2는 -(CH2CH2O)XH 또는 메틸이다.
또다른 완전히 포화된 디알킬 4급 암모늄 화합물로는
X-[CH3(CH2)nCOO(CH2)m]2.N+R1R2
(식 중, R1및 R2는 수소, C1내지 C4알킬, C1내지 C4히드록시 알킬 및 알킬렌 글리콜 잔기 또는 그의 중합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n은 8 내지 26이고, m은 1 내지 4이고, X는 1가 음이온 등가물임)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R1은 메틸이고, R2는 -(CH2CH2O)XH (식 중, x는 평균 1 내지 2임) 또는 메틸이며, m은 2이다.
또한, 완전히 포화된 디알킬 4급 암모늄 화합물로는
X-[CH3(CH2)n]2.N+R1R2
(식 중, R1및 R2는 수소, C1내지 C4알킬, C1내지 C4히드록시 알킬 및 알킬렌 글리콜 잔기 또는 그의 중합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n은 8 내지 26이고, X는 1가 음이온 등가물임)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R1은 메틸이고, R2는 -(CH2CH2O)XH, (식 중, x는 평균 1 내지 2임) 또는 메틸이다. 바람직하게는, n은 보다 긴 알킬 사슬이 탤로우 (tallow)의 알킬 사슬과 유사한 사슬 길이 분포를 가지는 그러한 것이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pH는 산성, 알칼리성 또는 중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조성물은 에스테르기가 사용되는 경우 7.5 미만의 pH를 갖는다. 에스테르기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내에 결합으로서 존재하지 않을 경우, pH는 7.5 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기와 같다:
[(CH3)3N-CH2-CH(OOR4)-CH2OOR5]+X-
(식 중, R4및 R5는 독립적으로 C12내지 C20알킬이며, 조성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필수적으로 함유하지 않음). 이러한 화학식 계열 내에 해당하는 물질들은 훽스트 (Hoechst) 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4및 R5는 탤로우의 사슬 길이 분포에 상당하는 잔기를 갖는 지방산 잔기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기와 같다:
X-[CH3(CH2)nCO.NH(CH2)2]2N+R1R2
(식 중, n은 11 내지 19이고, R1은 메틸이며, R2는 -(CH2CH2O)X(식 중, x는 평균 1 내지 2임) 또는 메틸임). 이러한 일반적인 식의 범위 내에 드는 물질들은 시판용으로 스테판사(Stepan)의 아코소프트 (ACCOSOFT) 440/759(TM)로서 구입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제제에서 에톡실화 수 x는 1.7에 가까운, 즉, 1.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이 도포되는 표면의 표면 에너지를 변화시켜 개질된 표면 위에 후속해서 침착되는 오염물의 접촉각을 증가시킨다고 믿어진다. 바람직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표면에 도포되는 시험액의 접촉각에 대해 뚜렷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처리되지 않은 유리 현미경 슬라이드에 있어서, 10 마이크로리터 도데칸 소적의 접촉각은 10도 미만이다. 추가로 하기 상세하게 서술된 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즉, 5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1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으로 처리될 경우, 도데칸 소적의 접촉각은 전형적으로 20도 이상까지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로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순 음전하를 띤 경질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에까지 확장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존재가 본 발명 조성물의 세정 효과에 상당히 기여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적당한 비이온성 세제 활성 화합물은 성질상 지방족 또는 알킬 방향족일 수 있는 유기 소수성 화합물과 성질상 친수성인 알킬렌 옥시드기와의 축합에 의해서 생성되는 화합물로써 넓게 설명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소수성기와 축합되는 친수성 또는 폴리옥시알킬렌 라디칼의 길이는 친수성 및 소수성 요소간에 바람직한 밸런스 정도를 갖는 수용성 화합물을 생성하도록 쉽게 조절될 수 있다.
특정예로는 직쇄 또는 분지쇄 구조의 6 내지 22의 탄소원자수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과 에틸렌 옥시드와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코코넛 알코올 몰 당 2 내지 15 몰의 에틸렌 옥시드를 갖는 코코넛 오일 에틸렌 옥시드 축합물; 알킬기가 6 내지 12의 탄소원자수를 포함하는 알킬페놀과 알킬 페놀 몰 당 5 내지 25 몰의 에틸렌 옥시드와의 축합물; 에틸렌디아민과 프로필렌 옥시드와의 반응 생성물과 에틸렌 옥시드와의 축합물 (40 내지 80 중량%의 폴리옥시에틸렌 라디칼을 포함하고 분자량 5,000 내지 11,000을 가지는 축합물); R3NO 구조의 3급 아민 옥시드 (식 중, 하나의 R기는 탄소원자수 8 내지 18의 알킬기이고, 그 나머지는 각각 메틸, 에틸 또는 히드록시-에틸기로 예를 들어, 디메틸도데실아민 옥시드임); R3PO구조의 3급 포스핀 옥시드 (식 중, 하나의 R기는 탄소원자수 10 내지 18의 알킬기이고, 그 나머지는 각각 알킬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3의 히드록시알킬기로 예를 들어, 디메틸도데실포스핀 옥시드임); 및 R2SO 구조의 디알킬 술폭시드 (식 중, R기는 탄소원자수 10 내지 18의 알킬기이고, 그 나머지는 각각 메틸, 에틸로 예를 들어, 메틸테트라데실 술폭시드임);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지방산 알킬올아미드와 알킬 메르캅탄과의 알킬렌 옥시드 축합물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6 내지 14를 갖고 2 내지 9 몰의 에톡실기를 갖는 에톡실화 알코올이다. 적당한 물질로는 평균 5 몰의 에톡실기를 갖는 C10의 비이온성인 임벤틴 91/35 오에프에이 (IMBENTIN 91/35 OFA)(TM)가 있다.
좀더 많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숙련된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으며, 문헌[M.J.Schick, 'Nonionic Surfactants', Marcel Deckker(1967)]에 발표되고 이어 동일한 연구가 책으로 발행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사용되는 비이온성 세제 활성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일 것이다.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비율은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총 계면활성제의 75 %가 비이온성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적으로는 단지 낮은 함량의 음이온성 세제 활성물을 포함하거나 이들 활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필수적이다. 음이온성 세제의 존재는 양이온성 및 음이온성 세제간에 착체를 형성하여 조성물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전체 계면활성제 양은 일반적으로 1 내지 30 %가 될 것이다.
소수성 오일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임의 성분이다. 적당한 오일은 트리글리세리드에 빨리 용해되는 오일이다. 오일이 존재할 경우, 바람직한 오일로는 리모넨, 파라-시멘, 디부틸 에테르 및 부틸 부티레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들의 세정 수행능을 돕는 다른 조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세제 빌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빌더로는 예를 들어, 카르보네이트 및 비카르보네이트,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시트레이트, 디카르복실산, 수용성 포스페이트 특히, 폴리포스페이트, 오르토- 및 피로포스페이트의 혼합물, 제올라이트 및 그의 혼합물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연마 입자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당한 빌더 (특히, 포스페이트 및 카르보네이트)가 물 중에서 그들의 용해도를 초과하는 양으로 존재할 경우, 연마 입자로서 추가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통상, 빌더는 조성물의 0.1 내지 25 중량%를 구성할 것이다.
금속 이온 봉쇄제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아미노-폴리포스포네이트 (디퀘스트(DEQUESTR)) 및 포스페이트 및 여러가지 다른 다관능성 유기산 및 염이 또한 임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위한 추가적 임의 성분은 거품 조절 물질로서, 사용 중에 과도한 거품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에 사용될 수 있다. 거품 조절 물질의 예로는 유기 용매, 소수성 실리카 및 실리콘 오일 또는 탄화수소가 있다.
용매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임의 성분이다. 용매가 존재할 경우, 바람직한 용매는 R1-O-(E0)m-(PO)n-R2의 형태이며, 식 중, R1및 R2는 독립적으로 C2-6알킬 또는 H이지만 둘 다 모두 수소는 아니며,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내지 5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매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n-부틸 에테르, 모노-에틸렌 글리콜 모노 n-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부탄올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용매로는 예를 들어, N-메틸 피롤리디논과 같은 피롤리돈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이미 언급한 조성 성분 이외에, 다양한 다른 임의 조성 성분, 예를 들어 pH 조절제, 착색제, 임의의 증백제, 오염물 침전 방지제, 세제 효소, 상용성 표백제, 겔-조절제, 동결-해동 안정제, 살균제, 보존제, 세제 히드로트로프, 향료 및 불투명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을리거나 가교결합된 오염물을 세정하는 실시태양에서, 조성물은 알칸올아민 1 내지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별히, 적당한 알칸올아민은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모노-에탄올아민 및 디에탄올아민이다.
본 발명자들은 조성물이 비교적 미세한 미스트로써 분무될 경우, 예외적인 미세 소적의 형성량을 줄이기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적당한 중합체로는 폴리비닐 피롤리돈이 있으며, 시판용으로 중합체 PVP K-90로써 이용할 수 있다.
PVP 중합체의 적당한 함량은 50 ppm 이상 범위이다. 300 내지 2000 ppm의 함량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칼리성, 산성 또는 중성일 수 있지만, 부엌 오물에 있어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pH가 6인 알칼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pH가 10이며,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 내지 15 % (바람직하게는, C9 내지 C12 EO 5 내지 8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용매 2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n-부틸 에테르)
c) 알칸올아민 2 내지 6 % (바람직하게는,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d)완충제/알칼리 0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카르보네이트)
e) 중합체 0 내지 2000 ppm (바람직하게는, PVP), 및
f) 하기 식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2 %,
X-[CH3(CH2)nCO.NH3(CH2)m]2.N+R1R2
(식 중, R1및 R2는 수소, C1내지 C4알킬, C1내지 C4히드록시 알킬 및 알킬렌 글리콜 잔기 또는 그의 중합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n은 8 내지 26이고, m은 1 내지 4이고, X는 1가 음이온 등가물임)의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성물은 30 내지 300 마이크론 범위의 평균 물방울 크기를 갖는 분무 작동 당 0.1 내지 1.5 ㎖의 분무를 내도록 개조된 용기 내에 포장된다.
본 발명을 좀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실시예를 들어 이후에 설명할 것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교적 낮은 함량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들을 하기의 물질을 사용하여 하기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모든 조성물은 중량%의 단위임).
NONI : 임벤틴 91/35 오에프에이 (TM)
CTAB :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HEQ : [(CH3)3N-CH.COOR4-CH2COOR5]+Cl-(식 중, OOR4및 OOR5는 탤로우에 상당하는 지방산 사슬 길이를 갖는 지방산 잔기이고 (훽스트사 제조),
ACCO : 아코소프트 (ACCOSOFT) 440/75, 스테판사.
조성물을 HEQ 및 ACCO의 사용을 제외하고, 실온에서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고, 이들 후자의 물질은 70 ℃의 프로필렌 글리콜 3 부 중에 용해시키고 또한 70 ℃에서 물을 가한 후에 교반하였다.
'Eth' 및 'Eph' 결과를 하기에 설명하였다. NONI 5 % 수용액 중의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1 % 용액으로 처리된 유리 (현미경) 슬라이드 위에 놓인 도데칸 소적의 접촉각에 대해 상당히 낮은 효과를 갖는 전형적인 모노-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CTAB을 대조군으로서 선택하였다.
CTAB 처리된 유리 (현미경 슬라이드) 표면의 표면 에너지 감마S/mN.m-1은 25 /mN.m-1정도인 것으로 믿어진다 {그리팔코, 굳, 포우크스 앤 영 (Grifalco, Good, Fowkes and Young)의 방법에 의해 측정, 문헌 [Physical chemistry of Surfaces, A. A. Adamson, Wiley, New York (1990)] 참고}.
실시예:
조성물 1 2 3 4 5
NONI 5 % 5 % 5 % 5 % 5 %
CTAB - 1% - - -
HEQ - - 0.01 % 0.1 % 1/0 %
Eth * * * 2140 2119
Eph 2634 1697 - 896 776
감마S 25 25 - - 23.1
* 는 타일이 2 분 미만 내에 세정되지 않았음을 가리키며, 즉, 세정에 드는 힘이 1000 Ns정도인 것으로 믿어졌다.
실시예
조성물: 6 7 8 9
NONI 10 % 10 % 10 % 10 %
AMP 4 % 4 % 4 % 4 %
K2CO3 1.2 % 1.2 % 1.2 % 1.2 %
Digol 8 % 8 % 8 % 8 %
Prop G - - 0.6 % 3.0 %
CTAB - 1 % - -
ACCO - - 0.2 % 1.0 %
Eth 930 469 189 137
탈수 피마자유 (유니케마사) 100 그람을 칭량하여 유리병에 담았다. 이에 횃 레드(TM) 염료 (시그마사) 0.2 그람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하이돌프 (Heidolph) 교반기를 사용하여 6 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 (2000 RPM) 하였다. 교반된 혼합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냉장 보관하였다.
투명 에나멜 타일 (380x300㎜)은 JIF LAC (TM), 시판용 손 주방용 세제 및 방해석 분말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프레쉬 댐프 (fresh damp) J-CLOTH (TM)를 사용하여 세정하였다. 건조 후, 잔류 방해석은 종이 타올로 버핑 (buffing)함으로써 제거하였다.
표 1에 나타낸 조성물 1 ㎖를 프레쉬 댐프 J-CLOTH를 사용하여 깨끗한 타일 위에 도포하였다. 타일을 수돗물로 15 초간 린스하여 과량의 조성물을 제거하여 유출시켰다. 타일을 25 psi의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데빌비스 (DeVilbiss)(TM) 중력 공급 분무건 (모델 MPS-514/515)을 사용하여 27 ㎝ 떨어져 35 초 동안 분무시킴으로써 215x150 ㎜ 면적을 오염시켰다. 오염된 타일을 85 ℃의 오븐 내에 수직으로 놓고 2 시간 동안 열숙성시키고나서 밤새 저장하거나, 광화학적으로 3 내지 6 일간 빛에 노출시킴으로써 숙성시켰다. 타일을 댐프 J-cloths 및 표 1에 언급한 실시예에 대해서, 하기 표 3에 주어진 제제를 포함하는 대조 조성물 1 내지 2 ㎖를 사용하여 손으로 세척하였다.
대조 제제
5 % NONI
3.4 % AMP
0.2 M K2CO3
5 % N-메틸 피롤리돈
타일을 세정하는 데 요구되는 힘은 열숙성시킨 타일에 대한 표 1에서의 'Eth' 및 광화학적으로 묵힌 타일에 대한 'Eph'로써 측정하였다.
표 2에 나타낸 조성물 2 ㎖를 프레쉬 댐프 J-CLOTH를 사용하여 깨끗한 타일 위에 도포하였다. 타일을 상기 설명대로 오염시키고 묵힌 후, 대조 제제보다 오히려 전처리에서 사용된 동일한 제제로 세정하였다.
표 1 및 2에서 나타낸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포화 디알킬 양이온성이 아닌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사한 조성물과 비교하여 세정하는 데 요구되는 힘에 있어서 뚜렷한 감소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Claims (10)

  1. a) 총 계면활성제를 기준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65 중량% 이상,
    b) 총 계면활성제를 기준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 중량% 미만, 및
    c) 총 계면활성제를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에틸렌성 포화된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35 중량%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경질 표면용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총 계면활성제를 1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포화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X-[CH3(CH2)nCO.NH(CH2)m]2.N+R1R2
    (식 중, R1및 R2는 수소, C1내지 C4알킬, C1내지 C4히드록시 알킬 및 알킬렌 글리콜 잔기 또는 그의 중합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n은 8 내지 26이고, m은 1 내지 4이고, X는 1가 음이온 등가물임)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pH가 6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포화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X-[R1R2R3N-(CH2)n-CH(OOR4)-(CH2)mOOR5]+
    (식 중, R1, R2및 R3은 독립적으로 C1-6알킬 또는 수소이며, n 및 m은 0 내지 4이고, OOR4및 OOR5는 8 내지 26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잔기이고, X는 1가 음이온 등가물임)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포화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X-[CH3(CH2)nCOO(CH2)m]2.N+R1R2
    (식 중, R1및 R2는 수소, C1내지 C4알킬, C1내지 C4히드록시 알킬 및 알킬렌 글리콜 잔기 또는 그의 중합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n은 8 내지 26이고, m은 1 내지 4이고, X는 1가 음이온 등가물임)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알칸올아민 1 내지 10 %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카르보네이트 및 비카르보네이트,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시트레이트, 디카르복실산, 수용성 포스페이트 특히, 폴리포스페이트, 오르토- 및 피로포스페이트의 혼합물, 제올라이트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빌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순 음전하를 띤 경질 표면을 세정하는 방법.
KR1019970705840A 1995-02-23 1996-02-07 포화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99807024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503594.5 1995-02-23
GBGB9503594.5A GB9503594D0 (en) 1995-02-23 1995-02-23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dialkyl cationic surfacta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441A true KR19980702441A (ko) 1998-07-15

Family

ID=1077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840A KR19980702441A (ko) 1995-02-23 1996-02-07 포화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0811049B1 (ko)
JP (1) JP3207432B2 (ko)
KR (1) KR19980702441A (ko)
CN (1) CN1175974A (ko)
AR (1) AR001004A1 (ko)
AU (1) AU719466B2 (ko)
BR (1) BR9607341A (ko)
CA (1) CA2211346C (ko)
DE (1) DE69612549T2 (ko)
ES (1) ES2158286T3 (ko)
GB (1) GB9503594D0 (ko)
HU (1) HU226238B1 (ko)
IN (2) IN187431B (ko)
TR (1) TR199700840T1 (ko)
WO (1) WO1996026257A1 (ko)
ZA (1) ZA9611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74798B (zh) * 2007-04-26 2015-03-25 株式会社资生堂 水包油型乳化组合物及其制备方法
SG11201504607QA (en) * 2012-12-14 2015-07-30 Basf Se Use of compositions comprising a surfactant and a hydrophobizer for avoiding anti pattern collapse when treating patterned materials with line-space dimensions of 50 nm or below
CN103510100B (zh) * 2013-09-26 2018-12-28 大连三星五洲化工有限公司 金属清洗剂
CN105671581A (zh) * 2016-02-24 2016-06-15 苏州龙腾万里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乳液脱脂剂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5409A (en) * 1975-08-01 1977-12-27 Corporate Brands, Inc. Hard surface detergent composition
EP0021491A1 (en) * 1979-06-18 1981-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ntaining nonionic/cationic surfactant and builder mixture
US4540505A (en) * 1981-05-22 1985-09-10 American Cyanamid Company Disinfectant spray cleanser containing glycol ethers
US4606850A (en) * 1985-02-28 1986-08-19 A. E. Staley Manufacturing Company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and cleaning method using same
US5061395A (en) * 1990-01-04 1991-10-29 Ques Industries, Inc.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DE4014859A1 (de) * 1990-05-09 1991-11-14 Henkel Kgaa Verwendung einer kombination ionischer und nichtionischer tenside
SE500534C2 (sv) * 1990-11-12 1994-07-11 Eriksson Tord Utveckling Förfarande för rengöring och avfettning
EP0659207B1 (de) * 1992-09-11 1999-03-24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Verwendung von detergensgemis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187431B (ko) 2002-04-27
ES2158286T3 (es) 2001-09-01
JPH11500478A (ja) 1999-01-12
JP3207432B2 (ja) 2001-09-10
ZA961118B (en) 1997-08-12
EP0811049A1 (en) 1997-12-10
HUP9801722A2 (hu) 1999-01-28
DE69612549D1 (de) 2001-05-23
AU4789396A (en) 1996-09-11
CN1175974A (zh) 1998-03-11
CA2211346A1 (en) 1996-08-29
CA2211346C (en) 2002-10-08
HUP9801722A3 (en) 1999-03-01
BR9607341A (pt) 1997-11-25
HU226238B1 (en) 2008-07-28
AU719466B2 (en) 2000-05-11
WO1996026257A1 (en) 1996-08-29
EP0811049B1 (en) 2001-04-18
DE69612549T2 (de) 2001-08-23
AR001004A1 (es) 1997-08-27
TR199700840T1 (xx) 1998-02-21
IN187275B (ko) 2002-03-16
GB9503594D0 (en) 1995-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1765A (en)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quaternised poly-dimethylsiloxane and nonionic surfactant
US4581161A (en) Aqueous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with dicarboxylic acids and organic solvent
US7632793B2 (en) Washing and cleaning agents containing acetals as organic solvents
JPH10503797A (ja) ガラスクリーナー組成物
US11603509B2 (en) Acidic hard surface cleaners comprising alkylpyrrolidones
US4857114A (en) Floor polish remover
PL187384B1 (pl) Kwaśna ciekłokrystaliczna kompozycja detergentowai zastosowanie kwaśnej ciekłokrystalicznej kompozycji detergentowej
KR19980702441A (ko) 포화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USH1680H (en) Secondary alkyl sulfate-containing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s
EP0946695B1 (en)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monoalkyl cationic surfactants
EP0866115A2 (en)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fluoro-surfactants
SK179099A3 (en) Abrasive cleaning composition
EP0780467A2 (en) Degreasing compositions
JPH0440399B2 (ko)
JP2002205024A (ja) 物品の洗浄方法
CN1241204A (zh) 包含单烷基阳离子表面活性剂的清洁组合物
CZ9902226A3 (cs) Čisticí prostředek
MXPA00007216A (es) Composiciones limpiadoras que no son liquidas.
MXPA00007215A (es) Composiciones de detergente solidas para lavar telas y superficies duras.
MXPA00006466A (en) Hard surface cleaner containing nonionic surfact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