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1758A - 부유활주로 - Google Patents

부유활주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1758A
KR19980701758A KR1019970705154A KR19970705154A KR19980701758A KR 19980701758 A KR19980701758 A KR 19980701758A KR 1019970705154 A KR1019970705154 A KR 1019970705154A KR 19970705154 A KR19970705154 A KR 19970705154A KR 19980701758 A KR19980701758 A KR 19980701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way
parts
floating
le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393B1 (ko
Inventor
퍼 하버트 크리스텐센
라르스 마틴 소르하우그
Original Assignee
카레 리그 요한센
크배르너 마리타임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레 리그 요한센, 크배르너 마리타임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카레 리그 요한센
Publication of KR19980701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63B35/53Floating run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면을 갖춘 바다에서의 부유 활주로(floating runway)에 관한 것으로, 이 위에서 항공기는 이착륙중에 활주할 수 있다. 다수의 부유하는 상호연결된 부분(1,2)들을 포함하고, 이 부유 부분은 서로 결합이 해제될 수 있고 활주로의 종방향으로 연속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 활주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면을 갖춘 바다에서의 부유 활주로(floating runway)에 관한 것으로, 항공기는 이착륙중에 이 위에서 활주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항공기용으로 바다에서의 활주로를 포함하는 항공모함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활주로는 아주 작아서 항공기가 이착륙할 때 항공기의 가속 및 감속을 위해 보조장치가 사용될지라도 단지 비교적 작은 항공기가 이착륙할 수 있다.
육상의 큰 비행장 빌딩에 대한 반대가 증대되므로, 기타이유중 이들은 예컨데 인구등의 중심부에 인접시킬 목적에 적합한 지역을 찾는 어려움을 포함하기때문에, 비행장은 또한 평평하게 깎은 섬에 건설됐으며, 돌 등을 채움으로써 아마도 섬둘레의 지면이 상승된다. 그러나 이는 비행장이 필요한 지역에 적당한 섬 또는 얕은 물이 존재하느냐에 달려있다.
이와달리 항공모함은 아주 용이하게 위치되고 바른방향에 놓일 수 있다. 현재 대단히 큰 선박이 건조될 수 있을지라도, 그러나 예컨데 큰 수송비행기가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큰 활주로를 갖춘 항공모함의 운영이 문제가 될 수도 있음이 나타날 것이다.
그와같은 선박용으로 수용가능한 길이 및 가격을 얻기위해 별도의 이륙 및 착륙 보조장치가 아마 사용되야하고, 이는 화물의 형식에 대해 제한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동물운송 및 기타 깨지기 쉬운 화물의 간단한 운송이 곤란할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그와같은 선박 및 보조장치의 통상적인 사용이 큰 승객용 비행기에 대해 수용될 수 있는지 의심스럽다.
그러므로, 예컨데 1500m-3000m 길이를 갖춘 바다에서의 활주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다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길이가 아주 커서 큰 수송용 비행기 및 승객용 비행기에 대해 어려움없이 사용될 수 있는 항공기 활주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의 특징은 청구범위의 특징에 표시됐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을 참고로 더욱 상술될 것이다.
도 1은 활주로부분이 절단된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절단부분을 갖는 도 1에 도시된 활주로의 확대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활주로는 활주로의 종방향으로 교대로 설치된 지지부분(1)과 다리부분(bridge section)을 포함한다.
지지부분(1)과 다리부분(2) 하측부에 부유부분이 각각 있고, 이 부유부분은 중공이며 이 부분들의 홀수(draft)가 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밸러스트(ballast)될 수 있다. 홀수선(Waterline)은 도면부호 10으로 도 2에 표시됐다.
지지부분의 그리고 다리부분의 부유부분(3,4) 각각으로부터 항공기 이륙 또는 착륙중에 항공기가 활주할 수 있는 상면에 각각 갑판을 댈 수 있는 다수의 버팀대(brace) 또는 지주(strut)(5,6)가 각각 연장된다. 지주(5,6)들은 또한 부유체 형태가 바람직하다.
지지부분(1)은 그자체가 반잠수가능한 플랫폼(platform)으로 알려진 것과 동일방식으로 설계되고, 다리부분(2)은 어느정도의 유연성을 갖춘 트러스작업 구조물(trusswork structure)이다.
다리부분의 부유부분은 활주로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리부분의 각 측면에 설치되는 두 개의 부유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활주로가 실질적으로 직선 및 수평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밸러스트될 수 있다.
활주로의 종방향을 고려한 각 단부에서 지지부재의 부유부분(3)은 하부교대(橋臺)장치(12,13)를 갖고, 이들 교대장치는 함께 작동하도록 설치되며, 다리부분 부유부분(4)의 대응하는 하부 교대장치를 지지한다.
비슷하게 활주로의 종방향을 고려한 각 단부에서 지지부분의 갑판(7)은 상부 교대장치(16,17)를 가질 수 있고, 이들 교대장치는 함께 작동하도록 설치되며 다리부분 갑판(8)의 대응하는 상부 교대장치(18,19)를 지지한다.
하부 교대장치(12,13,14,15)등은 하부 연결장치(20,21)를 포함하고, 이에의해 지지부분(1)과 다리부분(2)은 서로 견고히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의해 인접 다리부분과 지지부분등은 수직평면 및 수평평면의 운동에 견디게 고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더욱이 상부 교대장치(16,17,18,19)들은 상부 연결장치(22,23)를 포함하고, 이에의해 지지부분과 다리부분(2)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분(1)과 다리부분(2)의 상부연결장치(22,23)들은 이들 부분사이에 굽힘모멘트 또는 비틀림모멘트가 전달되지 않고 상호연결이 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이들 부분사이의 피칭운동(pitching movement)(활주로 길이방향운동)을 보상하는 겹침 슬라이딩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와달리 상부연결장치(22,23)들은 또한 이들부분(1,2) 사이에 강성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다리부분(2)은 각 다리부분(2)이 초기에 두 인접 지지부분(1) 사이에서 부유될 수 있을 정도로 다리부분(2)에 대해 지지부분(2)을 밸러스트되게 하고 잠기게함으로써 지지부분(1)들에 연결될 수 있다. 그다음 지지부분의 밸러스트는 감소되고, 따라서 지지부분의 홀수를 감소시키며 다리부분(2)의 대응하는 하부교대장치(14,15)와 아마 상부교대장치(22,23)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경우 지지부분의 하부교대장치(12,13)와 또한 아마 상부교대장치(16,17)를 감소시킨다.
아와달리, 지지부분의 홀수는 변화되지 않는다. 이 경우 지지부분들과 다리부분들을 함께 연결시키기 위해 지지부분의 홀수는 초기에 그들의 밸러스트 감소에 의해 감소되고 그 때문에 지지부분들은 인접 다리부분들 사이에 부유된다. 그다음 다리부분들의 밸러스트와 홀수가 증가되고, 따라서 다리부분들과 지지부분들의 교대장치들이 서로 접촉되며 이 장치들은 서로 연결된다.
다리부분(2)들이 지지부분(1)들과 접촉되게하는 힘이 너무 커서 다리부분들과 지지부분들 사이의 연결은 항상 보장된다. 이와같은 연결에서 홀수선구역 및 다리부분(2)들의 배수량(displacement)은 격렬한 바다 및 이 부분들에 대한 기타 변형에 따라서 예컨데 부력변화 때문에 다양한 하중이 힘을 감소시키지 않을 정도로 크기가 만들어지고, 이에의해 다리부분은 이들부분사이의 연결이 약화되고 수용불가능한 기계적 응력이 작용될 정도로 지지부분에 접촉된다.
다리부분(2)들은 탄성이고, 따라서, 인접 지지부분(1)들이 활주로의 종축둘레로, 또한 아마 활주로의 횡축 및/또는 높이 축둘레로 서로 회전되는 경우, 또는 지지부분들이 서로 수직으로 변화되는 경우 어느정도 구부러진다.
연결장치(20-23)들은 용이하게 해제가능하고, 따라서 예컨데 날씨상태가 그와같은 징후를 보이는 경우 이들 부분(1,2)들을 신속히 연결 또는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종류의 해제후 활주로는 신속히 이동될 수 있다.

Claims (8)

  1. 항공기의 이착륙중에 항공기가 활주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면을 갖춘 바다에서의 부유 활주로에 있어서,
    이 활주로가 다수의 부유하는 연결부분(1,2)들을 포함하고, 이들부분은 서로 해제가능하며 활주로의 종방향으로 연속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활주로.
  2. 제 1항에 있어서, 자체 부분들이 교대로 설치된 지지부분(1)들과 다리부분(2)들을 포함하고, 활주로의 종방향을 고려할 때 자체단부의 다리부분(2)은 지지부분(1)들의 각 교대장치(12,13,16,17) 단부에 기대도록 배치된 교대장치(14,15,18, 19)들을 가지며 지지부분(1)들은 인접 다리부분(2)들의 중량부분을 지지하도록 교대장치(12,13,16,17)를 경유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활주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지지부분(1)들 및/또는 다리부분(2)들이 밸러스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활주로.
  4. 상기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이들 부분단부의 하부구역들은 이들 부분(1,2)들의 해제가능한 강성연결을 위해 하부연결장치(20,21)를 포함하는 하부교대장치(12,13,14,1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활주로.
  5. 상기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이들부분(1,2)들 단부의 상부구역들은 이들부분(1,2)들의 해제 가능한 연결을 위해 상부연결장치(22,23)를 포함하는 상부교대장치(16-1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활주로.
  6. 제 5항에 있어서, 상부연결장치(22,23)는 이들 부분(1,2)의 강성연결을 위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활주로.
  7. 제 5항에 있어서, 상부연결장치(22,23)는 이들 부분(1,2)의 모멘트가 없는 상호연결을 위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활주로.
  8. 상기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리부분(2)들은 이에 연결된 지지부분(1)들이 활주로의 종축, 횡축 및 높이축 둘레로 회전되고 높이축을 따라 지지부분(1)들의 상대적인 이동중에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활주로.
KR1019970705154A 1995-01-30 1996-01-29 부유활주로 KR100434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950350A NO302938B1 (no) 1995-01-30 1995-01-30 Flytbar rullebane
NO950350 1995-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758A true KR19980701758A (ko) 1998-06-25
KR100434393B1 KR100434393B1 (ko) 2004-09-13

Family

ID=1989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154A KR100434393B1 (ko) 1995-01-30 1996-01-29 부유활주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06171A (ko)
EP (1) EP0807053B1 (ko)
JP (1) JPH10513132A (ko)
KR (1) KR100434393B1 (ko)
AU (1) AU4635596A (ko)
DE (1) DE69602825T2 (ko)
NO (1) NO302938B1 (ko)
WO (1) WO19960236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371A1 (ko) * 2014-09-17 2016-03-2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식 해상공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22693B2 (en) * 1996-10-01 2000-08-10 Lee Pee Hong Operation of airports
US6230643B1 (en) * 1999-11-12 2001-05-15 Guining Li Cell-combined large size sea surface vehicle and airplane takeoff/landing platform
US6341573B1 (en) * 2001-03-09 2002-01-29 Jon Buck Ship to platform transformer
US6651578B1 (en) 2002-03-27 2003-11-25 Patrick Henry Gorman Floating structures
US7469859B1 (en) * 2003-10-20 2008-12-30 Leon Edward Campbell Transport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7481176B2 (en) * 2006-06-05 2009-01-27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Transportable flotation system
FR2912159B1 (fr) * 2007-02-05 2010-11-26 Larivaud Xavier Tripier Aire de pose pour engins ou vehicules aeriens comprenant des elements de reception pouvant etre deployes.
NO335058B1 (no) * 2011-05-10 2014-09-01 Lund Mohr & Giæver Enger Marin As Anordning ved en flytebrokonstruksjon.
CN102923267B (zh) * 2012-11-08 2015-11-25 江苏现代造船技术有限公司 浮式海洋结构物模块连接的垂向定位装置
CN103625616B (zh) * 2013-12-06 2015-12-30 江苏科技大学 一种海上半潜式超大浮式结构物的连接器
CN113815800B (zh) * 2021-10-25 2022-10-14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一种水面可折叠急造跑道
CN114590365A (zh) * 2022-02-28 2022-06-07 武汉理工大学 一种uhpc管-杆网架结构漂浮机场模块及漂浮机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4336A (en) * 1931-02-10 1932-04-19 Clarence W King Floating landing stage
US2399611A (en) * 1942-05-14 1946-05-07 Edward R Armstrong Submersible seadrome
US2430178A (en) * 1946-03-09 1947-11-04 Selby H Kurfiss Floating airplane field
US3788254A (en) * 1971-12-28 1974-01-29 J Sheil Floating platform
US3763808A (en) * 1972-02-10 1973-10-09 R Smith Universal marine module
FR2488925A1 (fr) * 1980-08-21 1982-02-26 France Etat Dispositif d'accrochage a clin de deux elements de ponts sur intrados ou extrados et element de pont de comportant
US4487151A (en) * 1982-05-14 1984-12-11 Salvatore Deiana Floating highway
DE3630275A1 (de) * 1986-09-05 1988-03-24 George Paraskevopoulos Schwimmender flugplatz
JPH0216386A (ja) * 1988-07-04 1990-01-19 Fumiyuki Hayashi 圧縮機
GB2241925A (en) * 1990-02-06 1991-09-18 Brian Mcleod Floating flight deck
US5398635A (en) * 1993-11-18 1995-03-21 Tellington; Wentworth J. Floating airpo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371A1 (ko) * 2014-09-17 2016-03-2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식 해상공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07053A1 (en) 1997-11-19
NO950350D0 (no) 1995-01-30
NO302938B1 (no) 1998-05-11
KR100434393B1 (ko) 2004-09-13
AU4635596A (en) 1996-08-21
WO1996023691A1 (en) 1996-08-08
DE69602825D1 (de) 1999-07-15
NO950350L (no) 1996-07-31
US5906171A (en) 1999-05-25
EP0807053B1 (en) 1999-06-09
DE69602825T2 (de) 1999-10-07
JPH10513132A (ja) 1998-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1758A (ko) 부유활주로
SU1308189A3 (ru) Морское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е грузовое плавсредство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лавучестью
NO322543B1 (no) Mobil offshorebase
RU2276226C2 (ru) Способ демонтажа палубы морской платформы (варианты) и судн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1027213B (zh) 船舶
GB2147549A (en) Minimum heave offshore structure
BR0106660B1 (pt) método para transportar, instalar e remover um convés.
US4825791A (en) Ocean transport of pre-fabricated offshore structures
JP5666469B2 (ja) ロールオン/ロールオフ船舶の荷揚げおよび荷下ろしのための結合ブリッジ
GB2376442A (en) Self-elevating platform with a detachable accommodation module
NO171463B (no)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og montering av flytebro e.l.
US3446176A (en) Amphibious crossing equipments
US4565150A (en) Offshore vessel
US2761409A (en) Water-borne airplane terminal
EP0137625B1 (en) Transport of prefabricated offshore structures
JPS6253399B2 (ko)
SU1767086A1 (ru) Морска ледостойка платформа
Gros et al. Deck Mating--Installation of Heavy Packages On Offshore Structures
RU2198816C2 (ru) Разборный плавучий причал
GB2155881A (en) Temporary mooring point structure
RU2716381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лавпричала на необорудованном побережье при помощи саморазборных понтонов
JPS60166586A (ja) 海上空港
NZ227768A (en) Barge launched off-shore structure
GB2148203A (en) Semi-submersible marine platform
SU1052613A1 (ru) Прича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