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945A - 무선 수신기 - Google Patents

무선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945A
KR19980086945A KR1019980016856A KR19980016856A KR19980086945A KR 19980086945 A KR19980086945 A KR 19980086945A KR 1019980016856 A KR1019980016856 A KR 1019980016856A KR 19980016856 A KR19980016856 A KR 19980016856A KR 19980086945 A KR19980086945 A KR 19980086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data
receiving end
receiver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뵐켈
Original Assignee
요트. 게.아. 롤페즈
코닌 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292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08694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요트. 게.아. 롤페즈, 코닌 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filed Critical 요트. 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19980086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94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5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 H03J1/0066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with means for analy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16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3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radio data system/radio broadcast data system [RDS/RB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6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in that the receiver comprises more than one tu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무선 수신기, 특히, 수신단, 평가단, 메모리단, 동작단,표시단과 제어장치로 구성된 VHF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수신표준을 만족시키는 스테이션들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메모리단에 있는 제어장치에 의해 저장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과정은 다른 조건들을 만족시켜야하며, 단지 한 개의 수신단을 요구한다. 다른 기준에 따라서 결정된 시퀀스대로, 동작소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원하는 스테이션을 호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테이션들은 무선신호들을 재생하기 위해서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수신기
본 발명은 무선 수신기, 특히 VHF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신기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수신단과, 소정의 수신기준에 따라서 수신된 무선신호들의 품질을 평가하는 평가단과, 무선신호들이 상기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시키고 있는 스테이션들의 최소한 전송기 주파수들과/또는 전송기들의 이름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단과, 원하는 스테이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단을 설정하는 동작소저와, 정보소자가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최소한 원하는 스테이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소자와, 동작소자들의 동작에 따라 최소한 저장단과 표시소자, 수신단을 제어하며, 평가단에 의해 평가된 수신품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EP-A-95564호는 이동 무선 수신기, 특히, 직접 프로그램 선택권을 가지고 있는 자동차 라디오에 관한 것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자동차 라디오는 동작패널상에 있는 프로그램 표시표면들과 표시된 프로그램들을 선택하는 선택 키들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 수신기의 서로 다른 위치들에서 수신가능한 다수의 무선 프로그램들을 표시하며, 작고, 잘짜여진 동작패널을 얻기 위해서는, 교환가능한 프로그램 표시들이 프로그램 표시표면들에서 재생될 수 있다.
상기 표면들은 현재의 수신 위치에서의 수신 품질이 소정의 수신기준, 예를 들면, 소정의 수신된 필드 세기를 만족시키는 스테이션들에 의해 전달된 프로그램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선택된 것들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무선 수신기는 많은 메모리 위치들을 가지고 있는 랜덤 억세스 결합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각 메모리 위치는 관련된 선택된 키들에 의해 프로그램 표시표면들 중의 한 표면에 할당되어 있다.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하며, 수신기 위치에서 수신된 스테이션들의 스테이션을 한정하는 양들이 이러한 결합 메모리에 할당된다. 이러한 할당은 계속적으로 갱신된다. 수신기의 위치변화에 응답하여, 메모리 내용들을 연속적으로 갱신하는 상기 작업은 기존의 무선 스테이션내에서 항 회로를 요구하고 있다. 상기 회로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은 수신이되어지는 스테이션들을 검색하는 자동 스테이션 파인더(finder)를 가지고 있는 제2 수신기, 발견된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스테이션 식별장치와 발견된 스테이션의 수신품질을 검사하는 수신품질 제어장치와 같은 것들이다. 기존의 무선 스테이션은 원하는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재생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신기와 상기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GB-A-2 213 336호는 명시된 무선 스테이션의 대체 주파수를 표시할 수 있는 RDS 무선 수신기를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수신기는 최소한 두 개의 주파수 밴드들상에서 동작가능한 동조단(tuning stag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동조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은 수신된 무선신호와 함께 전달된 데이터 신호들을 디코딩하는 데이터 디코딩 수단이다. 수신된 무선신호는 제1 주파수 밴드, 예를 들면, 중간파 밴드내에서 방송된다.
데이터 신호들은 제1 주파수 밴드내에 있는 무선신호들과 관련된 데이터와, 다른 주파수 밴드들, 예를 들면, 기다란 파밴드(waveband)내에 있는 무선신호들과 관련된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디코딩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은 다른 주파수 밴드들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이다. 선택된 무서누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는 접촉-반응(touch-sensitive) 표시장치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특히, RDS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동일한 무선 프로그램을 위해, RDS 시스템이 동작하는 주파수에서 전달되며, 상기 주파수들과 관련된 RDS 데이터는 수신기에 의해 저장된다. 이와 같이, 무선 프로그램과 관련된 주파수들의 최소한 함 부분 또는 모든 것을 선택하는 일은 표시장치상에 표시되며, 원하는 무산 프로그램과 관련된 원하는 주파수는 선택이 된다.
한편으로는, 최첨단 기술에 따르는 무선 수신기들은 비교적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다른 한편으로는, 제한된 응용범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수신기와 같은 대량으로 제조되는 일상 상품들의 경우에서는, 두 개의 동작되고 있는 완전한 수신기 요소들은(동조기) 매우 비싸고, 비경제적인 비용을 유발시킨다. 무선 수신기의 서비스 수명의 주요부분 동안에, 단지 한 개 만이 필요하다. 한편, 상술한 표시장치들은 매우 비싸며, 특히, 이러한 무선 수신기의 모든 동작 소자들이 일반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무선 수신기들의 앞면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특히, 자동차에 사용되는 무선 수신기들의 경우에서는, 하우징의 표준화된 수치들은 무선 수신기들의 앞면들의 크기가 좁은 범위에 있도록하다. 그리고, 각 광범위한 동작소자들은 커다란 구조적인 문제들을 일으킨다.
게다가, 청자(listener)에 의한 동작과정은 동작소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복잡하게 된다. 한편,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무선 수신기들의 경우에서는, 동작소자들에 의해 차지된 공간과, 다른 요소들에 의해 차지된 공간과의 비율은 구성성분들의 최소화로 인해 증가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무선 수신기들의 전력특성들이 증가함에 따라 동작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고 동작하는 동작소자들이 간절히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스테이션들이 간단하고, 공간이 절약되고, 억세스 가능하며, 적은 제조비용이 들도록 제공되어 있는 환경내에 존재하며, 서두에 언급한 형태의 무선 수신기를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무선 수신기내에서 달성된다. 그 달성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신단을 원하는 스테이션으로 동조시키기 위해서, 무선신호들이 소정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스테이션의 데이터가 상기동작소자를 동작시키면, 선택가능한 특성에 따라 제어장치에 의해 결정된 시퀀스대로, 메모리 단으로부터 판독된다. 그리고, 무선신호들이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시키는 스테이션들의 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자유롭게 선택가능한 조건들 중에 있는 어느 조건하에서, 메모리 단에 저장된 데이터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갱신된다. 상기 동작소자는 상기 시퀀스에 따라 원하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이전 또는 이후의 스테이션으로 스위칭시키는 한 개의 선택멤버(member)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원하는 스테이션의 무선신호의 수신품질이 현재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거나 또는 더 이상 만족시키지 못할 때에, 메모리 단에 있는 관련 데이터는 삭제되며, 수신단은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동조된다.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은 동일한 프로그램을 원하는 프로그램으로 방송하며,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데이터는 메모리 단내에 있는 원하는 스테이션의 삭제된 데이터를 대체시킨다.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은 수신단을 자동 주사(autoscanning)함으로써 발견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원하는 스테이션이 동작소자를 동작시킴으로써,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으로 대체된다면,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무선신호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지가 검사된다. 만약 그렇다면, 제어장치의 메모리 단내에 있는 데이터는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데이터로 대체된다.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전송 주파수는 수신단의 자동주사에 의해 발견된다.
무선 수신기의 최소한 수신단의 동작이 중지되기 전에,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하는 무선신호들을 가지고 있는 스테이션의 데이터는, 수신단이 동조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와 같은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 자동주사 동작과 제어장치에 의해 메모리 단내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스테이션의 데이터는 수신된 무선 신호들의 전송 주파수들을 결정하는 단계와/또는 무선신호들로서 수신된 RDS 데이터 흐름으로부터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스테이션이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즉, 특정 위치에 있는 전송 스테이션을 통해 무선 스테이션에 의해 방송되며, 전송 주파수 또는 반송 주파수에서 변조된 무선신호들, 특히, 음성 신호들과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고 있는 신호를 의미한다. 프로그램 이라는 용어는 특정한 정보 내용을 담고 있는 무선신호를 의미한다. 독일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인 NDRI, WDRI, SFB와 같은 것은 서로 다른 위치들에 있는 다수의 전송 스테이션들을 통해 방송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다른 전송 주파수들(반송 주파수들)상에서 변조된다.
검색 동조(search tuning)는 제어장치의 도움으로 수신단을 (자동)동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검색동조는 무선신호 또는 스테이션이 수신될 때까지 계속된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 수신기 또는 최소한 그의 수신단이 스위치 오프된다면(switched off), 전체 무선 수신기 또는 단지 수신단만이 동작을 안하게 되며, 그리고, 예를 들면, 음성재생장치들, 특히, 무선 수신기내에 포함된 확성기들은 다른 음성 소스들로부터 재생신호들을 재생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오디오 카세트 또는 CD들로부터 음성신호들을 재생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두 경우에서는, 무선 수신기 또는 수신단이 스위치 오프된 후에, 상기 무선 수신기의 수신단은 프로그램 또는 스테이션의 음성신호들을 재생하는데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단순하고, 공간이 절약되며, 억세스 가능한 동작요소들로 구성된 무선 수신기가 제공되어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른 장점은 최소한 평가단과 제어장치가 마이키크로 프로세서내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프로그램하면, 메모리 단내에 있으며,매우 강력하고, 융통성 있는 데이터 구조가 얻어진다.
선택 멤버는 주사동조 키(scan-tuning key)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스테이션 동조 노브(station-tuning knob) 형태를 띠게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스럽다.
이것은 인간공학적으로 유리한 조건들에 의해 원하는 스테이션이 선택되도록 만들어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동작요소는 선택 멤버에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시퀀스대로, 현재 스테이션과 인접한 스테이션으로 스위치시키는 증가수단(incrementing means)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션 동조 노브의 특정한 회전각도는 원칙적으로 한 스테이션에서 다음 또는 이전의 스테이션으로 스위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소정의 회전각도는 또한 전송 주파수들의 범위내에서 특정한 주파수 거리에 대응한다. 증가 수단을 적절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증가 수단에 의해 공급된 신호들에 대한 처리 단계들을 정의함으로써, 상기 가능성들 중에서 선택하는 것은 쉬운 작업이 된다. 또한, 이러한 선택은 동작요소의 인간공학적인 측면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데이터가 메모리단으로부터 판독되는 시퀀스를 결정하기 위해서, 발견된 스테이션들의 다른 특성들로부터 선택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전송 주파수가 선택될 수 있으므로, 동작요소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메모리 단에 저장된 스테이션들은 전송 주파수들의 시퀀스에 따라 설정된다. 동일하게 단순한 다른 가능성들이 스테이션의 이름에 따라 알파벳 순서대로 결정된 스테이션들의 시퀀스내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청취자는 검색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스테이션을 더욱 쉽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약 청취자가 특정한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원한다면, 그는 곧 스테이션들의 이름들이 주파수 범위에 어떻게 할당되는지를 알지 못하고, 주파수 범위를 검색 또는 주사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작요소를 통해 (프로그램의 이름으로 불려질 수 있는) 스테이션의 이름을 설정할 수 있다.
도1은 무선 수신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2는 수신품질의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시키는 스테이션들의 목록을 아주 단순화된 보기로서 도시한 도면.
도3은 동작소자에 대해 할당되어 있는 스테이션들의 이름들을 알파벳순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안테나 2: 수신단
4 : 증폭기 7 : 제어장치
14 : 동작소자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수신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들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복조되는 수신단(2)에 도달한다. 최종 저주파 음성신호들은 라인(3)을 통해 그들이 증폭되는 음성신호 증폭기(4)로 공급되며, 재생을 위해 확성기 라인(5)을 통해 확성기(6)로 공급된다. 무선 수신기의 이러한 성분들은, 즉 안테나(1)에서 확성기(6)까지의 성분들은 보통 방법으로 구성된다.
도1에 도시된 무선 수신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기 위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신호 또는 제어라인(8,9)들을 통해 각각 수신단(2) 또는 증폭기(4)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장치(7)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어장치(7)에 연결되어 있는 것은 데이터 라인(11)을 통해 메모리 단(10)이, 라인(13)을 통해 표시소자(12)가, 그리고 제어라인(15)을 통해 동작소자(14)가 연결되어 있다. 지금의 보기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 제어장치(7)는 수신된 필드 세기와 같은 소정의 수신기준에 따라, 안테나(1)를 통해 수신단(2)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들의 수신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평가단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본 발명에 따라 제어동작들을 위해 제어장치와, 평가단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도시된 무선 수신기의 다른 성분들 사이와, 그 안에 있는 데이터와 신호흐름을 제어한다. 현재의 무선 수신기들은 검색 동조와 음성재생 변수들(확성기들 간의 균형, 톤 칼라, 볼륨, 다른 음성신호 소스들간의 스위칭)을 설정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므로, 이러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는 제조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수신기를 제조하는데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장점들은 즉, 표시와 동작소자들의 단순화가 특별히 강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단(2)이 제어장치(7)에 의해 동조되는 주사동조 동작은 수신단(2)에 의해 관리되는 주파수 범위(파장 범위)내에서, 수신되어질, 특히 원하는 스테이션의 무선신호들을 발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평가단은 즉, 제어장치(7)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발견된 스테이션의 무선신호들이 소저의 수신기준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한다. 수신된 필드 세기가 소저의 한계 값에 못미치는지가 검사된다. 그러나, 다른 수신기준, 즉, 스테레오 식별신호와 같은 무선신호내의 식별신호들 또는 특정한 데이터 신호들의 진폭 또는 왜곡인자가 검사될 수 있다. 만약 수신된 무선신호가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한다면, 이러한 무선신호에서 추출된 모든 데이터는 메모리(10)내에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하거나 또는 갱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특히, 수신단(2)이 현재 동조되어 있는 스테이션의 검출된 전송 주파수는 메모리 단(10)내에 저장된다.
무선신호는 현재 동조되어 있는 스테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RDS 데이터 신호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는 메모리 단(1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주파수 범위에서 주사동조에 의해 모아진 저장된 데이터는 곧 수신될 수 있으며, 수신품질이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시키는 스테이션의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한다. 게다가, RDS 데이터의 평가를 통해, 다른 스테이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수신기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스테이션들이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시키는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제어장치(7)의 수신단(2)은 또한 추가 스테이션들에 동조되어진다.
메모리 단(10)내에 저장되어 있으며, 수신될 수 있는 우수한 수신품질을 가진 스테이션들의 데이터베이스는 동작소자(14)를 통해 선택할 수 있도록 무선 수신기(무선 청취자)의 사용자가 자유롭게 처리할 수 있다. 매우 간단한 보기를 들어보면, 도2는 5 개의 다른 목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목록은 메모리 단(10)내에서 수신된 스테이션들의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주사동조 동안에 발견되고, 저장되는 것처럼, 최초에 순서대로 되어 있지 않은 스테이션들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메모리 단(10)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장치(7)가 필요로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능에 의해, 최초에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은 데이터베이스가 서로 다른 선택가능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수신기준을 만족시키는 스테이션(우수한 수신품질을 가진 스테이션)을 동작소자를 동작시키는 청취자가 알파벳 순서대로 간단한 방법에 의해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작소자(14)를 동작시킴으로써, 도3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테이션들은 특정한 시퀀스대로 선택이 된다. 스테이션-동조 노브 형태가 되도록 구성이 된 동작소자(14)의 선택멤버를 회전시킬 때에, 이름의 알파벳 순서에 따라 다른 스테이션들로 변경되는 과정(changeover)이 발생하며, 선택된 이름 즉, 제어장치(7)에 의해 라인(13)을 통해 제어되는 원하는 스테이션은 표시소자(12)에 의해 표시된다. 도1에 도시된 보기에서는, 이것은 스테이션 바이에른 3이며, 도3에 도시된 보기에서는, 이것이 HR3이 된다.
종래의 스테이션-동조 주파수 스케일로 유추해보면, 우수한 수신품질을 가진 스테이션들의 전송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메모리 단(10)내의 데이터베이스가 분류되고, 억세스가 가능하게 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다른 분류 가능성이 얻어질 수 있다.
동작소자(14)에 의해, 각 표들은 그 후에 선택이 된다. 즉, 원하는 스테이션이 종래의 주파수 스케일(종래의 무선 수신기의 스테이션 스케일)과 같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수신기가 이동성 분야에 응용될 때에는, 각 스테이션들의 수신품질과 로컬 수신조건들이 자주 실제적인 변화를 겪게 되므로, 메모리 단(10)내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수신기에서는, RDS 데이터 신호의 평가에 의해 재생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또는 수신단(2)이 당장 재생되어지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데 계속적으로 필요하지 않을 때까지, 데이터베이스가 제어장치(7)에 의해 갱신된다.
그러므로, 제어장치(7)에서는,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평가단은 연속적으로 재생된 원하는 스테이션의 수신품질을 모니터한다. 만약 이러한 스테이션이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거나 또는 더 이상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즉, 만약, 원하는 스테이션의 수신이 종지 않다면, 메모리 단(10)내의 관련 데이터는 삭제되며, 수신단은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조정이 된다. 상기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은 원하는 스테이션과 동일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데이터는 메모리 단(10)내의 원하는 스테이션의 삭제 데이터를 대체한다.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데이터는 수신단(2)의 주사동조 동작에 의해 검출되거나 또는 RDS 데이터 신호들의 평가결과로서, 메모리 단(10)은 이미 동일한 프로그램을 가진 서로 다른 스테이션들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과, 이러한 데이터는 제어장치(7)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호출되고, 수신품질을 위해서 검사된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만약 그들이 수신기준을 만족시킨다면, 발견된 스테이션은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으로 설정되며, 그 프로그램은 재생된다.
메모리 단(10)내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다른 가능성은 청취자가 동작소자(14)를 통해 스테이션을 변경할 때에, 얻어진다. 상기 변경은 동일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다른 스테이션으로의 변경과 다른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스테이션으로의 변겨을 포함하고 있다.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수신기준 검사과정을 통해 자동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수신기가 수신단(2)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단(2)에 제공되어 있을 뿐만아니라, 다른 음성신호 소스들도 제공되어 있다면,
(간략화를 위해 도1에는 도시 안됨.) 음성신호가 이러한 다른 음성신호 소스(카세트 레코더, CD, ...)에 의해 재생될 때에, 제어장치(7)는 항상 메모리 단(10)내의 데이터베이스를 최대한 갱신하게 될 것이다. 이 동작에서는, 주사동조와 RDS 데이터 신호들의 평가가 사용된다. 청취자가 무선 수신기를 껐을 때에, 동일한 과정이 또한 수행된다. 이 경우에서는, 청취자가 알아채지 못하도록, 제어장치(7)가 수신가능한 주파수 범위내에서, 메모리 단(10)내의 데이터베이스를 완전히 갱신한다. 미것은 무선 수신기가 동작중일 때에, 갱신된 데이터제이스를 최대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스테이션 동조 노브형태로 만들기 위해서, 동작소자(14)의 선택 멤버를구현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수신기의 인간공학적으로 편리한 동작이 억어진다. 선택 멤버가 노브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므로, 데이터베이스내에 있는 스테이션에 관한 전체목록을 다루는 커다란 동조단계에 의해 원하는 스테이션을 선택하여, 동조하고, 게다가, 한 스테이션에서 인접한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조 움직임에서, 서로 인접해 있는 스테이션들로부터 발생되는 문제들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1에 도시된 보기는 본 발명에서 필요 없으나, 본 발며에 따르는 무선 수신기내에서는 사용될 수 있으며, 점선으로 표시된 보조 수신단(16)을 포함하고 있다. 만약 메모리 단(10)내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과정이 제어장치(7)에 의해서 제어되는 이러한 보조 수신단(16)을 통해 발생한다면, 제어장치(7)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능단계들의 단순화가 얻어진다. 그러나, 더 높아진 제조비용은 수용되어야만 한다.

Claims (5)

  1.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수신단과, 소정의 수신기준에 따라서 수신된 무선신호들의 품질을 평가하는 평가단과, 무선신호들이 상기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시키고 있는 스테이션들의 최소한 전송기 주파수들과/또는 전송기들의 이름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단과, 원하는 스테이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단을 설정하는 동작소자와, 정보소자가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최소한 원하는 스테이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소자와, 동작소자들의 동작에 따라 최소한 저장단과 표시소자, 수신단을 제어하며, 평가단에 의해 평가된 수신품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무선 수신기, 특히 VHF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단을 원하는 스테이션으로 동조시키기 위해서, 무선신호들이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시키는 스테이션의 데이터는, 동작소자를 동작시키는 과정에 의해, 선택가능한 특성에 따라 제어장치에 의해 결정된 시퀀스대로, 메모리 단으로부터 판독되며, 무선신호들이 직접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시키는 스테이션들의 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자유롭게 선택가능한 조건들 중에 있는 어느 조건하에서, 메모리 단에 저장된 데이터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갱신되며, 상기 동작소자는 상기 시퀀스에 따라 원하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이전 또는 이후의 스테이션으로 스위칭시키는 한 개의 선택멤버(memb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택가능한 조건들은, 원하는 스테이션의 무선신호의 수신품질이 현재 소정의 수신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거나 또는 더 이상 만족시키지 못할 때에, 메모리 단에 있는 관련 데이터는 삭제되며, 수신단은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동조되며,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은 원하는 스테이션과 동일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데이터는 메모리 단내에 있는 원하는 스테이션의 삭제된 데이터를 대체시키며,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은 수신단을 자동 주사(autoscanning)함으로써 발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스러운 경우와, 원하는 스테이션이 동작소자를 동작시킴으로써,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으로 대체된다면,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무선신호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지가 검사되며, 만약 그렇다면, 제어장치의 메모리 단내에 있는 데이터는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데이터로 대체되며, 원하는 새로운 스테이션의 전송 주파수는 수신단의 자동주사에 의해 발견되는 경우와, 무선 수신기의 최소한 수신단의 동작이 중지되기 전에, 소정의 수신기준을 만족하는 무선신호들을 가지고 있는 스테이션의 데이터는, 수신단이 동조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와 같은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 자동주사 동작과 제어장치에 의해 메모리 단내에 저장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으며, 스테이션의 데이터는 수신된 무선 신호들의 전송 주파수들을 결정하는 단계와/또는 무선신호들의 한 부분으로서 수신된 RDS 데이터 흐름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수신기.
  2. 제1 항에 있어서, 최소한 평가단과 제어장치가 마이크로프로세서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수신기.
  3. 제1 항에 있어서, 선택 멤버는 스테이션 동조 노브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동작소자는 선택 멤버에 연결된 증가수단(incrementing means)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증가수단의 증가기(incrementor)는 특정한 시퀀스내에서, 인접한 스테이션이 되는 스테이션으로 스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수신기.
  4. 제1 항에 있어서, 전송 주파수는 데이터가 메모리 단으로부터 판독되는 특정한 시퀀스를 정의하기 위해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수신기.
  5. 제1 항에 있어서, 알파벳으로 된 이름들이 데이터가 메모리단으로부터 판독되어지는 특정한 시퀀스를 한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수신기.
KR1019980016856A 1997-05-13 1998-05-12 무선 수신기 KR199800869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19912A DE19719912A1 (de) 1997-05-13 1997-05-13 Rundfunkempfänger
DE19719912.7 1997-05-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945A true KR19980086945A (ko) 1998-12-05

Family

ID=782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856A KR19980086945A (ko) 1997-05-13 1998-05-12 무선 수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34426A (ko)
EP (1) EP0878906B1 (ko)
JP (1) JP3894656B2 (ko)
KR (1) KR19980086945A (ko)
DE (2) DE19719912A1 (ko)
ES (1) ES219864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7765B1 (en) 2000-10-12 2007-10-02 Bose Corporation Interactive sound reproducing
CA2742644C (en) * 2001-02-20 2016-04-12 Caron S. Ellis Multiple radio signal processing and s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8699995B2 (en) * 2008-04-09 2014-04-15 3D Radio Llc Alternate user interfaces for multi tuner radio device
US8706023B2 (en) * 2008-01-04 2014-04-22 3D Radio Llc Multi-tuner radio systems and methods
US8909128B2 (en) 2008-04-09 2014-12-09 3D Radio Llc Radio device with virtually infinite simultaneous inputs
US8868023B2 (en) 2008-01-04 2014-10-21 3D Radio Llc Digital radio systems and methods
DE10351286B4 (de) * 2003-10-31 2009-12-31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Infrarot-Kopfhörer/Hörhilfe
JP4470059B2 (ja) * 2004-06-02 2010-06-02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信チュ−ナ
JP4470060B2 (ja) * 2004-06-02 2010-06-02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信チュ−ナ
EP1911182A2 (en) * 2005-07-22 2008-04-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user interface to be implemented in a device for organizing broadcast stations and optionally their content
EP2037578B1 (de) 2007-08-24 2015-02-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Rundfunkempfäng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undfunkempfängers
JP2012129671A (ja) * 2010-12-14 2012-07-05 Jvc Kenwood Corp ラジオ受信機、ラジオ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0428A1 (de) * 1982-05-29 1983-12-01 Blaupunkt-Werke Gmbh, 3200 Hildesheim Ortsveraenderlicher rundfunkempfaenger, wie autoradio o.dgl.
DE3236696C2 (de) * 1982-10-04 1989-10-12 Becker Autoradiowerk Gmbh, 7516 Karlsbad HF-Empfänger mit Sendersuchlaufeinrichtung
GB2195066B (en) * 1986-09-08 1990-08-15 British Broadcasting Corp Radio receivers
GB2213336B (en) * 1987-12-04 1991-09-11 British Broadcasting Corp Improvements in radio receivers
JPH0738570B2 (ja) * 1990-09-17 1995-04-2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ラジオ受信機のオートメモリ方法
JP2989422B2 (ja) * 1992-07-01 1999-12-13 クラリオン株式会社 受信装置
DE4344173A1 (de) * 1993-12-23 1995-06-29 Philips Patentverwaltung Bedienteil für einen RDS-TMC-Rundfunkempfänger
JPH07297735A (ja) * 1994-04-27 1995-11-10 Pioneer Electron Corp 多重放送受信方法及び受信機
JP3267802B2 (ja) * 1994-06-06 2002-03-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受信局自動切換機能を備えた受信機
JPH0951251A (ja) * 1995-08-08 1997-02-18 Sony Corp 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41175A (ja) 1998-12-22
EP0878906A1 (de) 1998-11-18
US6134426A (en) 2000-10-17
EP0878906B1 (de) 2003-07-02
JP3894656B2 (ja) 2007-03-22
ES2198643T3 (es) 2004-02-01
DE59808871D1 (de) 2003-08-07
DE19719912A1 (de) 199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397B1 (ko) 다중기능의 rds 버튼을 구비한 rds 라디오
US751238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inding and using available transmission frequencies
US5475874A (en) Method for the tuning of a broadcast radio receiver using RDS information
US6618585B1 (en) Internet-enabl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5086511A (en) Mobile receiver
KR19980086945A (ko) 무선 수신기
US7577410B2 (en) Audio apparatus
US20060288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US4661994A (en) Frequency and volume display for a receiver
US7043215B2 (en) Method of performing a fast tune for a digital broadcast station in a radio receiver
JP2000040974A (ja) 位置により制御される無線受信器
GB2064905A (en) Radio receiver tuning
JPH07249964A (ja) 自動選局受信装置
JP2000138871A (ja) テレビ受信装置
JP2001237729A (ja) 複数の受信装置を備えた受信機
JP2002016509A (ja) 自動ラジオボタンミュート
US20080214131A1 (en) User Interface to be Implemented in a Device for Organazing Broadcast Stations and Optically Their Content
JP2000138566A (ja) 放送受信装置
JP3053984B2 (ja) デジタルデータ多重放送局の自動追従方法
JP2009503639A5 (ko)
JPH04220021A (ja) トラヒック・プログラム識別によるラジオデータシステム信号を伝送する方法およびそのラジオデータシステム信号用の受信装置
JP3794852B2 (ja) 受信装置
KR20010068681A (ko) 방송 채널의 선국 방법
JPH0514132A (ja) ラジオ受信機
GB2426645A (en) Method of tuning a digital audio broadcast (DAB)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