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397A - 승강기구 - Google Patents

승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397A
KR19980086397A KR1019970053074A KR19970053074A KR19980086397A KR 19980086397 A KR19980086397 A KR 19980086397A KR 1019970053074 A KR1019970053074 A KR 1019970053074A KR 19970053074 A KR19970053074 A KR 19970053074A KR 19980086397 A KR19980086397 A KR 19980086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ase
arms
arm
driv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카즈 다바야시
Original Assignee
스가하라 데루미
오사카 타이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하라 데루미, 오사카 타이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가하라 데루미
Publication of KR1998008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39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with wheels for moving around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33Mechanical arrangements not covered by the following sub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41Single levers, e.g. parallel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14)에 취부된 하부 브래킷(18)과, 한쪽 단이 상기 하부 브래킷에 추축된 하부 지지아암(20)과 한쪽 단이 상기 하부 브래킷에 추축된 하부 구동아암(21), 상기 하부 브래킷상의 상기 아암들의 추축위치들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떨어진 각 위치들에서 상기 아암들이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두 아암들의 자유단들을 추축하는 중간 브래킷(32), 상기 중간 브래킷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와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이동가능 부재(43)를 구비한 승강제어수단(42), 상기 승강 제어수단에 대해서 상기 하부 지지아암 및 구동아암의 추축위치들과 대칭인 각 위치들에서 한쪽 단이 상기 중간 브래킷에 추축된 상부 지지아암(22) 및 상부 구동아암(23), 상기 상부 지지아암과 상기 상부 구동아암의 다른쪽 단을 추축하는 상부 브래킷(40) 및 한쪽 단이 상기 승강제어수단의 이동가능 부재의 외측 선단에 취부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하부 구동아암 및 상기 상부 구동아암의 상기 중간 브래킷과의 추축 단부에 형성된 취부부에 각각 연결된 한쌍의 견인 부재(30,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승강기구
본 발명은 테이블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에 관한 것이다.
출원인은 이전에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테이블을 승강시키는 테이블 승강장치를 제안하였다(일본국 실용공개 제83-6875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안된 장치(9)에는 베이스(92)의 상면과 테이블의 하면 사이에 중앙에서 추축(樞軸)된 한쌍의 교차아암(93,94)이 장치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아암(93,94)은 기단이 각각 테이블(91)과 베이스(92)에 추측되어 있고, 각 아암의 다른쪽 단에는 롤러(95)가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롤러(95,95)는 베이스(92)의 상면 및 테이블(91)의 하면에 형성된 레일(96,96)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92)에 추축된 아암(93,93)은 링크(88)와 연결 로드(89)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 로드(89)의 중앙에는 유압 실린더 유니트(97)의 피스톤 로드(98)가 연결되어 있다. 이 유압 실린더 우니트(97)는 베이스(92)에 고정된 실린더(99)를 가지고 있다.
유압 실린더 유니트(97)에 작동유를 공급하면 피스톤 로드(98)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 로드(89)를 밀어올린다. 연결 로드(89)가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링크(88)를 매개로 연결 로드(89)에 연결된 교차아암(93,94)은 기단측 방향으로 로울러(95,95)가 레일(96,96)상을 로울링함에 따라 테이블(91)을 베이스(92)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시킨다.
상승한 테이블(91)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유압 실린더 유니트(97)로부터 작동유를 배출한다. 이에 따라 유압 실린더 유니트(97)에 의한 교차아암(93,94)의 가압이 해제되어, 테이블(91)의 자중 또는 피스톤 로드(98)의 하방으로의 스트로크에 의한 인장 작용에 의해서 교차아암(93,94)이 하강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테이블(91)이 베이스(92)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한다.
상기한 구성의 테이블 승강장치(9)에 있어서 테이블(91)의 상승 높이는 교차아암(93,94)의 아암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아암(93,94)을 테이블(91) 밑에 수용하여 아암(93,94)이 테이블(9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테이블(91)의 최고 상승위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수 쌍의 교차아암(93,94)을 상방으로 팬타그러피 방식(pantographic manner)으로 하나 위에 다른 하나를 연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 유니트(97)에 작동유를 공급한 때에 피스톤 로드(98)의 1회 돌출 스트로크에 의해 교차아암(93,94)은 거의 일정한 각도씩 상승하게 된다.
테이블(91)의 상승 동안에는 테이블(91)을 지탱하는 로울러(91)가 원호 형상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므로, 교차아암(93,94)은 베이스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부터 베이스에 수직한 상태에 도달함에 따라 교차아암의 상승률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실린더 유니트(97)의 피스톤 로드(98)의 돌출량은 테이블(91)의 상승량과 비례하지 않고, 이에 따라 테이블 상승량을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의 상승높이를 보다 높게 설정함과 더불어 테이블의 승강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승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에 취부된 하부 브래킷과, 한쪽 단이 상기 하부 브래킷에 추축된 하부 지지아암과 한쪽 단이 상기 하부 브래킷에 추축된 하부 구동아암, 상기 하부 브래킷상의 상기 아암들의 추축위치들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떨어진 각 위치들에서 상기아암들이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두 아암들의 자유단들을 추축하는 중간 브래킷, 상기 중간 브래킷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와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이동가능 부재를 구비한 승강제어수단, 상기 승강제어수단에 대해서 상기 하부 지지아암 및 구동아암의 추축위치들과 대칭인 각 위치들에서 한쪽 단이 상기 중간 브래킷에 추축된 상부 지지아암 및 상부 구동아암, 상기 상부 지지아암과 상기상부 구동아암의 다른쪽 단을 추축하는 상부 브래킷 및 한쪽 단이 상기 승강제어수단의 이동가능 부재의 외측 선단에 취부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하부 구동아암 및 상기 상부 구동아암의 상기 중간 브래킷과의 추축 단부에 형성된 취부부에 각각 연결된 한쌍의 견인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브래킷상에 테이블을 취부하고 상기 베이스에 상기 하부 브래킷을 취부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구는 테이블 승강용 장치가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구성을 갖는 한쌍의 승강기구를 베이스상에 탑재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승강기구의 상부 브래킷들의 상부에 테이블을 추축하면, 베이스에 평행하게 테이블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테이블을 틸트시킬 수 있는 장치를 얻을 수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구의 하강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구의 상승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구동아암의 자유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페달기구를 통상모드로 설정한 때의 펌프기구의 단면도,
도 6은 페달기구를 고속모드로 설정한 때의 펌프기구의 단면도,
도 7은 승강기구를 다수개 조합하여 구성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테이블 승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테이블이 하강위치에 있을 때의 테이블 틸트- 승강장치의 정면도,
도 10은 테이블이 상승위치에 있을 때의 테이블 틸트- 승강장치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X I -X I 선이 따른 단면도,
도 12는 테이블이 최대 틸트된 상태에서 테이블 틸트-승강장치의 정면도,
도 13은 하부 구동아암과 체인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테이블 틸트-승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테이블에 하중이 부하되지 않은 상태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테이블에 하중이 부하된 상태의 측면도,
도 17은 테이블에 하중이 부하되지 않은 때의 캠면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테이블에 하중이 부하된 때의 캠면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장치 3 : 승강기구
5 : 손수레 10 : 테이블
12 : 휠 14 : 베이스
16 : 핸들 18 : 하부 브래킷
20 : 하부 지지아암
20a, 20b, 21a, 21b, 23a, 23b : 추축
21 : 하부 구동아암 21c, 231c : 캠면
22 : 상부 지지아암 23 : 상부 구동아암
24,25 : 취부부 30 : 견인부재(체인)
32 : 중간 브래킷 36 : 연결단
40 : 상부 브래킷 42 : 유압 실린더 유니트
43 : 피스톤 로드 44 : 취부판
45 : 실린더 46 : 작동유 통로
50 : 펌프기구 52 : 플런저
53 : 펌프 54 : 스프링
56 : 브래킷 57 : 스토퍼
60 : 페달기구 62 : 푸셔
63 : 토션 스프링 65 : 베이스 부재
66 : 페달 69 : 후크
74 : 스냅 액션 스프링 75 : 접촉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구조]
손수레(5)에 탑재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승강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승강장치(1)는 본 발명의 승강기구(3)와 이 승강기구에 부착된 테이블(10)로 구성된다. 손수레(5)는 4개 모서리 각각에 휠(12)이 회전자재로 취부된 베이스(14)와, 이 베이스(14)의 후단에 취부된 핸들(16)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테이블 하강시의 장치(1)의 단면도이고, 도 2는 테이블 상승시의 장치(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후술하는 설명에 있어서, 전(front)란 도 1에서 화살표 F로나타낸 손수레(5)의 전진방향을 의미하고, 후(rear)란 도 1에서 화살표 R로 나타낸 손수레(5)의 후퇴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승강기구(3)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하부 브래킷(18,18)이 각각 베이스(14)상의 핸들(16)쪽 양 측부에 전후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직립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브래킷(18,18)의 내측에는 각각 하부 구동아암(21)과 하부 지지아암(20)이 추축(21a,20a)에 의해 이동자재로 취부되어 있다. 양 추축(21a,20a)을 통과하는 가상선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4)와 45°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하부 지지아암(20)과 하부 구동아암(21)은 각각 하부 브래킷(18)상에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상부 지지아암(22)과 상부 구동아암(23)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구동아암(2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견인부재(30)가 당접하는 캠면(21c)이 형성된 자유단을 가지고 있다. 견인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체인이 사용된다.
도 4는 하부 구동아암(21)의 자유단상에 형성된 캠면(21c)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하부 구동아암(21)의 자유단의 선단에는 체인과 같은 견인부재(30)용 취부부(24)가 돌설되어 있고, 하부 구동아암(21)의 기립방향에는 취부부(24)로부터 체인이 당접가능한 캠면(21c)이 연장되어 있다. 캠면(21c)은 거의 원호 형상이고, 캠면은 취부부(24)로부터 연장됨에 따라 중간 브래킷(32)상에서 아암(21)을 지지하는 추축(21b)으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부풀려져 있으며, 그 원호면은 구동아암(21)이 베이스에 평행한 때 체인(30)이 베이스(14)에 평행이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부 구동아암(2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캠면(23c)이 형성되어 있고, 견인부재(30)을 취부하기 위한 취부부(25)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지지아암(20)과 하부 구동아암(21)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들 각각의 자유단은 중간 브래킷(32)의 하부에 공통으로 추축되어 있다.
각 아암(20,21)에 대한 하부 브래킷(18)상에 설치된 추축(20a,21a)사이의 거리는 중간 브래킷(32)상의 추축(20b,21b)사이의 거리와 같다.
중간 브래킷(32)은 하부 구동아암(21)과 지지아암(20)의 자유단들을 각각 외측으로부터 추축하는 거의 육각형인 좌측 및 우측의 2개 대향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2개 판은 연결판(36)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중간브래킷(32)은 상부 및 하부가 베이스(14)에 평행한 가상 중심선(B)에 대해 대칭되도록 형상되어 있다. 하부 지지아암(20)과 구동아암(21)은 가상 중심선(B) 아래에서 브래킷(32)의 하부에 추축되어 있다.
상부 지지아암(22)과 상부 구동아암(23)은 그 기단들이 가상 중심선(B) 위에서 중간 브래킷(32)에 추축되어 있다.
상부 지지아암(22)의 추축(22b) 및 상부 구동아암(23)의 추축(23b)은 브래킷(32)의 중심선(B)을 따라 하부 지지아암(20)의 추축(20b) 및 하부 구동아암(21)의 추축(21b)과 대칭적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상부 지지아암(22)은 하부 지지아암(20)과 동일한 형상이고, 상부 구동아암(23)은 하부 구동아암(21)과 동일한 형상이다.
상부 구동아암(23)의 캠면(23c)은 하부 구동아암(21)의 캠면(21c)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부 지지아암(22)과 상부 구동아암(23)은 이들 아암(22,23)이 평행하게 위치 설정하도록 각각 추축(22a,23a)에 의해 상부 브래킷(40)에 추축된 자유단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상부 브래킷(40)의 상부에는 베이스(14)에 평행하도록 테이블(10)이 설치되어 있다.
중간 브랫킷(32)에는 승강제어수단으로 기능하는 유압 실린더 유니트(42)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 유니트(42)는 브래킷(32)의 중심선(B : 도1 참조)과 일직선이 되게 브래킷(32)의 전측에서 연결판(36)의 후방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있다. 실린더 유니트는 피스톤 로드(43)를 갖고 있고, 이 피스톤 로드(43)의 외측선단에는 측면 취부판(44)이 설치되어 있다. 측면 취부판(44)에는 견인부재로서 기능하는 체인(30,30)의 한쪽 단부들이 각각 취부되어 있다.
구동아암(21,23)의 취부부(24,25)에는 체인(30,30)의 다른쪽 단부들이 각각 취부되어 있다.
실린더 유니트(42)로의 작동유 공급은 작동유 통로(46)를 통해서 실린더 유니트(42)와 연결된 펌프기구(50)에 의해 이루어진다. 펌프기구(50)는 손수레(5)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펌프(53)에 수용된 작동유는 펌프(53)를 가압하는 플런저(52)에 의해 작동유 통로(46)를 통해서 실린더 유니트(42)의 실린더(45)에 공급된다. 플런저(52)는 후술되는 페달기구(60)에 의해 동작된다. 플런저(52)는 스프링(54)에 의해 후방으로 향하게 가압되어 있고, 그 후단은 항상 페달기구(60)의 푸셔(pusher : 62)에 당접되어 있다.
작동유 통로(46)에는 작동유를 펌프(53)로부터 실린더 유니트(42)로만 유통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유니트(42)로부터의 작동유의 배출은 실린더 유니트(42)와 펌프(53)를 연결시키는 배출통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 배출통로에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가 배설되어 있고, 이 밸브에는 밸브 레버(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이 레버를 돌림으로써 밸브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페달기구(6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에 설명된다,
페달기구(6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수레(5)의 후방에 펌프기구(50)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페달기구(60)의 단면도이다.
페달기구(60)는 손수레(5)의 베이스(14)상에서 브래킷(56,56)사이에 배치되어 이 브래킷(56,5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추축되고 토션 스프링(63,63)에 의해 후방 상부로 가압되어 있는 한 쌍의 좌우측 판(64,64)과, 이 판(64,64)사이에 배치되어 이 판(64,6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추축된 베이스 부재(65)를 갖춘 페달(66) 및 브래킷(56)들에 추축된 상기한 푸셔(62)로 구성된다.
브래킷(56,56)은 폭방향 중앙부에서 손수레(5)의 베이스(14)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56,56)의 상단들은 판(64)들의 상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7)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판(64)들은 브래킷(56,56)사이에서 추축(67)에 의해 지지되고, 이 추축(67)들의 둘레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63)들에 의해 브래킷(56)들의 스토퍼(57)와 당접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각 판(64)의 자유단에는 페달베이스 부재(65)상의 T자형 핀과 계합가능한 후크(69)가 형성되어 있다.
판(64)들을 가압하는 토션 스프링(63)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판(64)들이 페달 베이스 부재(65)와 계합되어 있으므로 페달(66)을 밟으면 판(64)들의 회동을 허용한다.
그러나, 스프링(63)들은 베이스 부재(65)가 판(64)들과 계합 해제되어 추축위치를 중심으로 회동할 때 페달(66)을 밟더라도 판(64)들이 거의 움직이지 않을 정도의 스프링 정수를 갖고 있다.
페달 베이스 부재(65)는 하방으로 향해서 개구된 도랑 형상이고, 도면부호 71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이 판(64)들에 추축되고 그 후단에서는 페달(66)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65)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도면부호 72로 나타낸 바와같이 T자형 핀(68)의 기단이 추축되어 있고, 핀(68)의 자유단 양측에는 베이스 부재(65)의 하향 개구연이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핀(68)에 취부된 스냅 액션(snap action) 스프링(74)은 핀(68)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회동하고 베이스 부재(65)의 개구연과 접촉해서 위치 설정되도록 핀(68)을 가압한다.
핀(68)의 자유단측 양측부들은 판(64)들의 자유단들에서 후크(69)들과 계합 및 계합해제 가능하게 되어있다. 페달 베이스 부재(65)의 기단에는 푸셔(62)에 당접하는 접촉부(75)가 형성되어 있다.
푸셔(62)는 판(64)들과 동일 추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어 페달 베이스부재(65)와 플런저(52)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65)은 그 기단이 7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판(64)들에 추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접촉부(75)가 푸셔(62)와 당접하면서 페달(66)의 자중에 의해 추축(7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동자재로 설치된 푸셔(62)는 접촉부(75)에 의해 가압되어 플런저(52)의 외측 선단과 항상 접촉하고 있다.
또한 플런저(52)를 가압하는 스프링(54)은 플런저(52)가 페달(66)의 자중에 의해 가해지는 압입력만을 받을 때 거의 이동될 수 없을 정도의 스프링 정수를 갖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64)들이 베이스 부재(65)와 계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통상모드)에서 페달(66)을 밟으면, 페달(66)은 판(64)들상에서 베이스 부재(65)를 지지하는 추축(71) 주위를 회동하여 접촉부(75)에 의해 푸셔(62)를 가압한다(도의 일점쇄선 참조).
이어서 푸셔(62)는 플런저(52)를 전방으로 밀어 펌프(53)가 작동유를 실린더 유니트(42)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 로드(43)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페달(66)의 밟는 힘을 해제하면 플런저(52) 둘레에 설치된 스프링(54)의 힘에 의해 플런저(52)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푸셔(62)와 베이스 부재(65)가 밀려서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한다.
도 5의 상태에서 판(64)들만을 하방으로 눌러서 핀(68)을 하방으로 회전시켜 도랑형 베이스 부재(65)의 개구연에 접촉하도록 하고 판(64)들을 회전시킴으로써, T자형 핀(68)이 판(64)들의 후크(69)들에 의해 계합되어(고속모드, 도 6의 일점쇄선 참조), 페달 베이스 부재(65)가 판(64)들에 의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페달(66)을 밟으면 페달(66)은 브래킷(56)들 상에서 판(64)들을 지지하는 추축(67) 주위를 회동한다. 이 경우에 베이스 부재(65)의 접촉부(75)에서 페달의 회동중심까지의 거리는 판(64)들이 베이스 부재(65)와 계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길게된다.
따라서, 페달(66)을 1회 밟으면 접촉부(75)의 이동량이 더 크게 되어 푸셔(62)와 플런저(52)의 이동량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펌프(53)에서 실린더 유니트(42)로 공급되는 작동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테이블(10)의 상승량도 더 커지게된다.
페달(66)의 밟는 힘을 해제하면 플런저(52)에 설치된 스프링(54)의 힘에 의해 플런저(52)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푸셔(62)가 원상태로 복귀한다. 베이스부재(65)와 계합된 판(64)들은 판(64)들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토션 스프링(63)들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한다.
판(64)들과 베이스 부재(65)가 계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판(64)들만을 스프링(63)들에 대항하여 누를 때, 핀(68)을 후방으로 당기면 핀(68)과 후크(69)들의 계합을 해제할 수 있다.
[테이블의 상승동작]
페달기구(60)의 페달(66)을 밟으면, 페달 베이스 부재(65)은 추축(71) 주위를 회동하여 접촉부(75)에 의해 푸셔(62) 및 플런저(52)를 밀고, 이에 따라 플런저(52)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작동유가 펌프(53)로부터 체크 밸브(53)을 매개로 실린더 유니트(42)에 공급된다.
실린더 유니트(42)에 공급된 작동유는 피스톤 로드(43)를 후방으로 밀어내고,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43)의 외측 선단과 상부 및 하부 구동아암(21,23)사이에 설치된 체인(30,30)은 이들 아암(21,23)을 이들 아암의 상승 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지지아암(20,22)이 각각 대응하는 구동아암(21,23)에 항상 평행하게 추축이동하기 때문에, 구동아암(21,23)의 상승에 의해 지지아암(20,22)도 상승하게 된다. 하부 구동아암(21) 및 지지아암(20)은 상승시 중간 브래킷(32)을 하부 브래킷(18)들에 평행하게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이동시킨다. 또한 아암(20∼23)이 상승함에 따라 상부 브래킷(40)이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이블(10)을 상승시키게된다.
구동아암(21,23)의 각 체인(30,30)과 접촉하는 부분들에는 거의 원호 형상인 캠면(21c,23c)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저 위치에서 최고 상승위치로 테이블(10)의 상승동안 피스톤 로드(43)에 의한 체인(30)들의 인장량은 테이블(10)의 상승량에 비례한다. 따라서 1회의 페달 조작에 의해 실린더 유니트(42)로의 작동유의 공급률이 일정하면 테이블(10)의 상승률도 일정하게 된다.
[테이블의 하강동작]
테이블(10)의 하강은 밸브 레버를 돌려 밸브를 개방해서 실린더 유니트(42)에서 펌프(53)로 작동유를 배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작동유가 배출되면 피스톤로드(43)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체인(30)들을 느슨해지도록 해서 아암들이 테이블(10)등의 자중에 의해 상승방향과는 역인 하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캠면(21c,23c)은 각각 체인(30,30)과 점진적으로 당접하게 된다. 아암(20∼23)이 더 낮게 하강함에 따라 중간 브래킷(32), 상부 브래킷(40) 및 테이블(10)도 하강하게 된다.
페달(66) 조작에 의해 펌프(53)로부터 작동유의 공급률이 일정하면, 구동아암(21,23)의 캠면(21c,23c)의 외주형상이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블(10)의 상승률도 일정하게 된다. 캠면(21c,23c)은 예를 들면 타원형 또는 원호형과 타원형의 조합형태로 형성하여도 된다. 1회의 페달(66) 조작에 의해 테이블(10)이 가변비율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경우에는 캠면(21c,23c)은 예를 들면 각추축(21b,23b)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 또는 직선면 등으로 할 수 있다.
하부 브래킷(18)의 추축(20a,21a)을 통과하는 가상선(A)이 베이스(14)와 45°의 각도를 이루면, 테이블(10)이 하강할 때에 아암(20,21,22,23)이 베이스(14)와 평행하게 되어 테이블(10)을 보다 낮은 레벨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보관시의 높이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 각도는 45°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구(3)를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하부 승강기구(3)의 상부 브래킷(40)과 상부 승강기구(3)의 하부 브래킷(18)을 보조 브래킷(33)으로 구성하여, 하부 승강기구(3)의 상부 아암(22,23)과 상부 승강기구(3)의 하부 아암(20.21)이 보조 브래킷(33)에 추축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블(10)은 상부 승강기구의 상부 브래킷(40)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 유니트(42)로의 작동유 공급 및 배출은 상기한 구성의 페달기구(60)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견인 부재(30)는 체인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 로프, 케이블 또는 그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테이블 승강장치(1)의 아암들이 테이블(10) 하부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 이면 테이블(10)은 테이블(10) 길이의 대략 2배에 대응하는 상승량까지 상승될 수 있다.
구동아암(21,23)의 캠면(21c,23c)을 상기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함에 따라, 유압 실린더 유니트(42)에 대한 1회 작동유 공급조작에 의해 테이블(10)은 최저 하강위치 근방에서 최고 상승위치 근방까지 거의 일정비율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 유니트(42)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펌프기구(50)용으로 상기한 페달기구(60)를 사용하면, 페달의 1회 조작에 의해 테이블(10)의 상승량을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승강기구를 베이스상에 설치하여 테이블 틸트-승강장치(101)를 제공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는 테이블(110)이 최저 레벨로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테이블(110)이 최고 레벨로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테이블(110)이 최대로 틸트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간략화만을 위해 본 실시예의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전(front)란 도 9, 도 10 및 도 12의 좌측을 의미하고, 후(rear)란 도 9, 도 10 및 도 12의 우측을 의미한다.
테이블 틸트-승강장치(101)는 베이스(114)상의 전후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한 쌍의 승강기구(103,203)로 구성된다. 이들 승강기구(103,203)의 상단에는 테이블(110)이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114)의 전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 설정된 하부브래킷(118,118)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114)의 후단에는 하부 브래킷(218,218)이 전후방향의 수직면내에서 각각 회동자재로 취부되어 있다. 승강기구(103,203)는 각 하부 브래킷 쌍(118,118 : 218,21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 승강기구(103,203)는 하부 지지 및 구동아암[120,121(220,221)]과 상부지지 및 구동아암[122,123(222,223)]이 중간 브래킷[132(232)]에 의해 추축연결되어 있다. 이들 아암들은 중간 브래킷[132(232)]상의 유압 실린더 유니트[142(242)]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된다. 이들 승강기구는 제 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20a, 120b, 121a, 121b, 122a, 122b, 123a, 123b, 220a, 220b, 221a, 221b, 222a, 222b, 223a, 223b는 추축을 나타낸 것이다.
전측 승강기구(103)의 실린더 유니트(142)는 전방으로 방향설정된 피스톤 로드(143)를 가지고 있고, 후측 승강기구(203)의 실린더 유니트(242)는 후방으로 방향설정된 피스톤 로드(243)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피스톤 로드들은 베이스(114)상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부 지지아암[122(122)]과 상부 구동아암[123(123)]은 상부 브래킷[140(240)]에 추축된 자유단들을 가지고 있다. 상부 브래킷(140,240)의 상단들은 테이블(110)에 추축되어 있다.
실린더 유니트(142)는 전측의 중간 브래킷(132)에 설치되어 있고, 브래킷(132)의 중앙에 형성된 실린더(145)를 가지고 있으며, 이 실린더(145)로부터 피스톤 로드(143)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실린더 유니트(242)는 우측의 중간 브래킷(232)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피스톤 로드(243)가 실린더(245)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143,243)의 외측 선단에서는 각각 전방 및 후방 헤드(144,244)를 가지고 있다. 각 헤드의 한쪽 단에는 견인 부재로서 기능하는 두 개의 체인(130,23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체인(130,130)의 다른쪽 단은 구동아암(121,123)의 취부부(124,125)에 취부되어 있다(도 13 참조). 마찬가지로 체인(230,230)의 다른쪽 단도 취부부들에 취부되어 있다.
헤드(144)의 좌우 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안전 커버(148)들이 취부되어있고, 이 안전 커버(148)들은 피스톤 로드(143)와 함께 전후 이동자재로 되어 있다.
승강기구(103,203)의 실린더 유니트(142,242)에는 서로 독립적인 자동 펌프기구(150,250)에 의해 각각 작동유가 공급된다. 펌프기구(150,250)는 테이블(110)의 상승 및 하강을 방해하지 않도록 베이스(114)상에 위치 설정되고 있고, 공통 리모트 콘트롤러(180)에도 연결되어 있다.
리모트 콘트롤러(180)는 전방의 승강기구(103)와 후방의 승강기구(203)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두 개의 수동 레버(182,282)를 가지고 있다. 각 레버를 UP 또는 DOWN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대응하는 실린더 유니트로 작동유가 공급 또는 배출된다. 두 개의 수동레버(182,282)는 동시에 조작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테이블 틸트-승강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테이블 틸트동작]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110)의 최저 레벨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테이블의 전측을 틸트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리모트 콘트롤러(180)의 전측 펌프기구(150)용 레버(182)를 UP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펌프기구(150)는 승강기구(103)의 실린더 유니트(142)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피스톤 로드(143)를 전방으로 돌출시킨다. 피스톤 로드(143)가 돌출되면 피스톤 로드(143)의 전단을 각각 하부 및 상부 구동아암(121,123)에 연결하는 체인(130,130)이 이들 아암(121,123)을 상승방향으로 잡아당긴다.
하부 및 상부 지지아암(120,122)은 각각 대응하는 구동아암(121,123)과 항상 평행하게 추축이동하므로, 구동아암(121,123)이 상승하면 지지아암(120,122)도 상승하게 된다. 하부 구동아암(121)과 하부 지지아암(120)이 상승함에 따라 중간 브래킷(132)도 동일 자세를 유지하면서 원호 궤적을 따라 상승한다. 이들 아암(120∼123)이 상승함에 따라 상부 브래킷(140)도 수직 상승하여 테이블(110)의 전측을 상승시킨다.
체인(130,130)이 각각 당접하는 구동아암(121,123)의 부분들은 거의 원호 형상의 캠면(121c,123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면(121c,123c)은 중간 브래킷(132)상의 구동아암들의 각 추축(121b,123b)에서 서서히 멀어지도록 거의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143)에 의한 체인(130)의 인장량은 테이블의 최저 위치에서 최고 상승 위치까지의 전체 범위에 걸쳐 테이블(110)의 상승량에 비례한다. 실린더 유니트(142)로의 단위 시간당 작동유의 공급율이 일정하면, 테이블(110)도 일정 비율로 상승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전측 승강기구(103)가 상승방향으로 동작할 때의 후측 승강기구(203)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설명한다.
전측 승강기구(103)가 상승방향으로 작동하기 시작하면, 후측 승강기구(203)가 전측 및 후측 승강기구(103,203)의 상단 사이의 거리 변화를 허용하도록 실린더 유니트측이 낮아지게 전체적으로 틸트되어, 후측 승강기구(203)는 베이스(114)상의 스토퍼 판(115)과 접촉하게 된다.
전측 승강기구(103)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방향으로 더 작동하게되면, 후측 승강기구(203)의 상부 지지아암(222) 및 상부 구동아암(223)상의 상부 브래킷(240)이 약간 당겨져 상승한다. 여기서, 전측 상부 브래킷(140)이 P에서 테이블(110)에 추축되고, 후측 상부 브래킷(240)이 Q에서 테이블(110)에 추축되며, 후측 상부 구동아암(223)이 U(223b)에서 중간 브래킷(232)에 추축되고, 후측 하부 구동아암(221)이 V(221b)에서 중간 브래킷(232)에 추축되며, 후측 하부 지지아암(220)이 W에서 하부 브래킷(218)에 추축되고, 추축(V,W)을 통과하는 라인(L1)이 추축(Q,U)를 통과하는 라인(L2)와 포인트(Z)에서 교차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테이블(110)상의 전측 상부 브래킷(140)의 추축(P)에 대해서는 접선방향 힘(F)이 작용하므로 각도 QZW가 최소로 되어 밸런스를 유지한다.
유압 실린더 유니트(242)의 중심선(L3)은 항상 교점(Z)을 통과해서 각도 QZW을 등분하여, 즉 α=β로 되게 한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243)상의 상부 및 하부 체인(230,230)은 동일하게 인장된다. 이어서 후측 승강기구(103)가 상승할 때, 후측 승강기구(203)의 하부 아암(220,221) 및 상부 아암(222.223)은 동시에 상승을 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243)는 편하중을 받지 않게 되어 피스톤 로드(243)의 구부러짐이 방지되고 피스톤 로드(243)의 원활한 돌출이 실현되게 된다.
[테이블을 틸트조정]
전측 승강기구(103)가 상승한 상태에서 후측 승강기구(203)를 동작시키면, 테이블(110)의 후측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승한다.
테이블(110)의 틸트는 두 개 상승기구(103,203)의 상부 브래킷(140,240)사이의 레벨 차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소망하는 정도로 조정될 수 있다.
두 승강기구(103,203)를 초기부터 동시에 동작시킴으로써 테이블(110)을 수평상태로 상승시킬 수도 있다.
테이블(110)이 틸트된 상태에서 두 승강기구(103,203)를 동시에 동작시킴으로써, 테이블(110)을 틸트된 상태로 상승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테이블(110)은 소망하는 높이에서 소망하는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테이블의 하강]
테이블(110)은 리모트 콘트롤러(180)의 레버(182,282)를 DOWN방향으로 이동시켜 실린더 유니트(142,242)에서 작동유를 배출함으로써 하강시킬 수 있다. 작동유가 배출되면 피스톤 로드(143,243)가 수축하여 체인(130,230)을 느슨해지도록 해서 아암들이 테이블(110) 등의 자중에 의해 상승방향과는 역인 하강방향으로 추축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체인(130)들은 캠면(121c,123c)과 각각 점진적으로 당접하게 되고, 체인(230)들은 캠면(221c,223c)과 각각 점진적으로 당접하게 된다.
아암(120∼123,220∼223)들이 추축이동함에 따라 중간브래킷(132,232), 상부 브래킷(140,240)이 하강하여 테이블(110)을 하강시킨다.
구동아암들의 캠면들의 외주형상이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고 펌프(150,250)로부터 작동유의 공급률이 일정하면, 테이블(110)의 상승률도 일정하게 될 수 있다. 캠면(121c,123c,221c,223c)은 예를 들면 타원형 또는 원호형과 타원형의 조합형태로 형성하여도 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브래킷(118)상에서 하부 지지아암(120) 및 구동아암(121)의 추축(120a,121a)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A)이 베이스(114)와 45°의 각도를 이루면, 테이블(110)이 하강할 때에 아암(120,121,122,123)이 베이스(114)와 평행하게 된다. 그후 테이블(10)을 보다 낮은 레벨까지 하강시킴으로써 장치의 보관시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린더 유니트(142,242)로 작동유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해 페달 기구를 구비한 펌프를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측 승강기구(103)의 하부 브래킷(118,118)이 베이스(114)에 고정되어 있고, 후측 승강기구(203)의 하부 브래킷(218,218)이 베이스(114)에 추축되어 있지만, 도 14에 도시한 틸트 승강장치에서는 전측 승강기구(103)의 하부 브래킷(118,118) 및 후측 승강기구(203)의 하부 브래킷(218,218)이 모두 베이스(114)에 추축되어 있다.
이 경우 한쪽 승강기구만이 동작하여 테이블(110)이 틸트될 때에 전측 및 후측 승강기구(103,203) 상단들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허용하기 위해, 한쪽 승강기구의 상단에는 테이블의 하면에서 회동가능한 롤러(112)를 설치하거나 또는 테이블(110)의 슬롯(도시하지 않음)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핀 조인트를 사용한다.
도 14의 경우에는 전측 및 후측 승강기구(103,203)의 상부 브래킷(140,240)이 수직하게 상승 및 하강한다.
테이블의 틸트 및 승강용 기구들이 테이블의 하방에 배설되고, 이에 따라 틸트- 승강장치(101)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테이블의 레벨 및 틸트에 관계없이 테이블보다 더 높게 위치 설정되는 것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테이블에 위치되는 작업물이 어떠한 간섭없이 가공될 수 있다.
중간 브래킷상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 유니트가 틸트-승강장치의 동작을 위해 아암들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에 의하면, 테이블의 최저 레벨과 최고 레벨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켜서 테이블의 사용가능한 높이범위를 증가시키게 된다.
테이블의 승강을 위해 수직 실린더 유니트를 사용하면 유니트의 실린더 길이에 의해 테이블이 하강될 수 있는 레벨이 제한되는 반면, 본 발명은 그러한 제한을 받지 않는다. 결국 테이블의 최저 레벨이 낮아져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 그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제 3실시예]
본 발명의 승강기구용 승강제어수단으로 기능하는 상기한 유압 실린더 유니트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어셈블리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바, 이 어셈블리는 원통형 본체(185)와, 테이블의 상승방향에 직교하게 본체(185)의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며 본체(185)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된 푸시 로드(187)로 구성함으로써, 승강기구가 작업 테이블용으로 적합하게 할 수 있다.
푸시 로드(187)의 외측단에는 취부판(4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취부판(44)의 상부 및 하부에는 견인 부재로 기능하는 체인(30,30)의 한쪽 단이 각각 취부되어있다. 상부 체인(30)은 상부 구동아암(23)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부 체인(30)은 하부 구동아암(23)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구동아암(23)의 하단면은 체인(30)이 권선되는 캠면(23c)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23c)은 체인 접촉면으로부터 체인이 아암을 권선하는 방향쪽으로 연장되면서 곡률반경이 서서히 증가하는 원호면과, 원호면의 종단에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구동아암(21)의 상단에는 캠면(21c)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동작]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10)상에 하물(11)을 재치하여 하향 하중을 인가하면, 중간 브래킷(32)은 상부 아암(22,23)에 의해 밀려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부 아암(22,23) 및 하부 아암(20,21)은 중간 브래킷(32)상의 추축들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테이블(10)을 하강시킨다.
이때 체인(30)이 취부되어 있는 상부 구동아암(23)은 체인(30)이 캠면(23c)에 권선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체인(30)이 당겨져서 푸시 로드(187)가 압입되고, 이어 그 푸시 로드(187)는 원통형 본체(185)의 압축 스프링(186)에 의해 탄성 반발력을 받는다. 반발력이 체인(30)을 통해 상부 구동아암(23)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테이블(10)이 상방향 모멘트를 받게 되어 하강량을 규제받는다. 따라서, 테이블(10)에 하중이 부여된 때는 그 하중에 대응하는 모멘트가 푸시 로드(187)에 인가되고, 그에 따라 테이블(10)은 거의 일정량만큼 하강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구동아암(21)도 상부 아암(23)처럼 회동하여 대응하는 체인(30)을 잡아당긴다.
이미 인가된 하중에 의해 테이블(10)이 하강된 상태에서 하중을 더 인가하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구동아암(23)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 β2가 하중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각도 β1(도 15 참조)보다 더 커지게 된다. 테이블(10)상의 하중에 의해 상부 구동아암(23)의 추축에 인가된 모멘트(M)는 하중에 SINβ2를 승산한 값에 상부 구동아암(23)의 길이를 승산한 값이다. 따라서 인가된 하중치의 총합이 동일한 경우에는 미리 테이블(10)이 하강된 상태에서 테이블(10)에 추가 하중을 인가하는 쪽이 모멘트(M)를 더 크게 하여 테이블(10)의 하강량도 더 커지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구동아암(23,21)의 캠면(23c,21c)에 체인(30,30)이 권선되어 있으므로, 상부 구동아암(23)의 회전각이 크면 클수록 체인(30)의 인장량이 더 커지게 된다. 이에따라 푸시 로드(187)의 압입량이 더 커지게 되어 압축 스프링(186)의 탄성력을 증가시키게 되고, 결국 테이블(10)에 인가되는 상방향 모멘트가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모멘트(M)가 추가 하중에 의해 더 커지게 되더라도 푸시 로드(187)에 의한 모멘트도 증가하므로, 상부 구동아암(23)의 추축에 인가되는 전체 모멘트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테이블(10)에 하중이 인가되면 테이블의 초기 레벨에 관계없이 일정한 비율로 하강하게 된다.
테이블의 초기 레벨에 관계없이 테이블에 하중을 인가한 때 테이블이 일정한 비율로 하강하게 되는 한편, 테이블의 초기 레벨에 관계없이 테이블에서 하중을 서서히 제거한 때도 테이블은 일정한 비율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된다. 본 발명의 장치 또는 기구는 상기한 실시예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베이스에 취부된 하부 브래킷과, 한쪽 단이 상기 하부 브래킷에 추축된 하부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의 추축위치로부터 비스듬하게 하방위치에서 한쪽 단이 상기 하부 브래킷에 추축된 하부구동아암, 상기 하부 브래킷상의 상기 아암들의 추축위치들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떨어진 각 위치들에서 상기 아암들이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지지아암과 상기 구동아암의 자유단들을 추축하는 중간 브래킷, 상기 중간 브래킷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와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이동가능 부재를 구비한 승강제어수단, 상기 승강제어수단에 대해서 상기 하부 지지아암 및 구동아암의 추축위치들과 대칭인 각 위치들에서 한쪽 단이 상기 중간 브래킷에 추축된 상부 지지아암 및 상부 구동아암, 상기 중간 브래킷상의 상기 상부 아암들의 추축위치들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떨어진 각 위치들에서 상기 상부 아암들이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상부 지지아암과 상기 상부 구동아암의 다른쪽 단을 추축하는 상부 브래킷 및 한쪽 단이 상기 승강제어수단의 이동가능 부재의 외측 선단에 취부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하부 구동아암 및 상기 상부 구동아암의 상기 중간 브래킷과의 추축단부에 형성된 취부부에 각각 연결된 견인 부재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수단은 이동가능한 피스톤 로드를 갖춘 유압 실린더 유니트이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구동아암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신장 또는 수축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래킷상에서 상기 하부 지지아암의 추축위치와 하부 구동아암의 추축위치를 통과하는 가상선은 상기 베이스와 45°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동아암 및 상부 구동아암은 취부부들로부터 그 하부 구동아암 및 구동아암의 상승 방향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각 견인부재와 접촉하는 캠면을 각각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면은 거의 원호형상이며, 그 원호면은 각각 상기 취부부로부터 연장됨에 따라 중간 브래킷상의 상기 아암들의 추축위치에서 더 멀어지도록 하고 상기 하부 구동아암이 베이스에 평행한 때 상기 견인부재들이 베이스에 평행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구.
  5. 청구항 1에 규정된 승강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브래킷이 상기 베이스에 취부되며, 상기 상부 브래킷이 테이블에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승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수단은 원통형 본체와, 이 원통형 본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된 이동가능한 푸시 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아암들은 상기 테이블상에 재치된 물체의 하중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승강장치.
  7. 청구항 2에 규정된 승강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브래킷이 상기 베이스에 취부되며, 상기 상부 브래킷이 테이블에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승강장치.
  8. 베이스상에 탑재된 제 1 및 제 2승강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승강기구가 각각 청구항 2에 기재된 승강기구이며, 상기 제 1 및 제 2승강기구의 상부 브래킷들의 상부에 테이블이 추축되고, 상기 제 1승강기구의 하부 브래킷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제 2승강기구의 하부 브래킷이 수직면에서 추축이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틸트-승강장치.
  9. 베이스상에 탑재된 제 1 및 제 2승강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승강기구가 각각 청구항 2에 기재된 승강기구이며, 상기 제 1 및 제 2승강기구의 상부 브래킷들의 상부에 테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승강기구의 하부 브래킷들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제 1승강기구의 상부 브래킷이 상기 제 2승강기구의 상부 브래킷에 대해 접근 및 이탈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승강기구의 상부 브래킷이 상기 테이블의 고정위치에서 추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틸트-승강장치.
KR1019970053074A 1997-05-15 1997-10-16 승강기구 KR199800863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5383A JP2952213B2 (ja) 1997-05-15 1997-05-15 テーブル傾動・昇降装置
JP97-125383 1997-05-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397A true KR19980086397A (ko) 1998-12-05

Family

ID=1490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074A KR19980086397A (ko) 1997-05-15 1997-10-16 승강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29585A (ko)
EP (1) EP0878437A1 (ko)
JP (1) JP2952213B2 (ko)
KR (1) KR199800863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74816A1 (en) * 2021-01-11 2022-09-01 Stephen J. Knight, III Lifting and suppor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3556B1 (en) * 1998-11-20 2002-02-05 John S. Lanphear Vertically adjustable table
US6874432B2 (en) 1998-11-20 2005-04-05 John S. Lanphear Vertically adjustable table
US8246059B2 (en) * 2008-02-29 2012-08-21 Sd3, Llc Mobile base for a table saw
US20090174162A1 (en) 2007-12-21 2009-07-09 Gass Stephen F Mobile base for a table saw
US6756547B2 (en) * 2001-01-31 2004-06-29 Howard Lefler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DE10128765C1 (de) * 2001-06-13 2002-10-31 Dieter Urbach Scherenantrieb
WO2004097269A2 (en) * 2003-04-29 2004-11-11 Swain Stephen C Multi-position work tables
WO2007095692A1 (en) * 2006-02-27 2007-08-30 Brian Taylor Surgical table
US20070246626A1 (en) * 2006-04-12 2007-10-25 Reynolds Charles S Extendable flag pole assembly
US8132518B2 (en) * 2007-05-11 2012-03-13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Substantially linear vertical lift system
DE202008004809U1 (de) * 2008-04-08 2008-07-03 Janssen, Rainer, Dr. Höhenverstellbarer Geräteständer
DE102011118216B4 (de) * 2011-11-11 2013-09-19 Schuler Pressen Gmbh Antriebseinrichtung für einen mehrachsigen Transport von Werkstücken durch aufeinander folgende Bearbeitungsstationen einer Bearbeitungsmaschine
JP3198070U (ja) 2012-05-24 2015-06-18 ヴァリデスク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調整自在の卓上作業台
EP3177560B1 (en) * 2014-08-06 2019-09-04 Vehicle Service Group, LLC Linear motion linkage assembly for automotive lift
US9814309B2 (en) * 2015-08-18 2017-11-14 Seung Ho Kim Lift table for computer
DE102018126098A1 (de) * 2018-10-19 2020-04-23 Kesseböhmer Produktions GmbH & Co. KG Höhenverstellbarer Tisch
CN111374782B (zh) * 2018-12-28 2023-12-05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医用台车
CN109497698B (zh) * 2019-01-15 2021-10-15 上海凡铄智能设备有限公司 升降桌的升降机构
CN110846487B (zh) * 2019-07-03 2023-10-31 浙江辛子精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热处理炉料框平移装置
US20230045657A1 (en) * 2021-08-04 2023-02-09 Levaté LLC Wheelchair Lif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4772513B (zh) * 2022-05-18 2023-05-09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多功能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6007A (en) * 1951-08-14 1956-10-09 Krilanovich Steve Camera hoist
DE1053331B (de) * 1957-01-31 1959-03-19 Bremshey & Co Hoehenverstellbarer Sitz,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FR1465365A (fr) * 1964-06-17 1967-01-13 E Quetin Ets Fauteuil opératoire, pour odonto-stomatologistes
US4073240A (en) * 1976-11-02 1978-02-14 Fly Howard G Portable animal hospital table
GB2055753B (en) * 1979-07-25 1983-10-12 Osaka Taiyu Kk Device for lifting a table
GB2088325B (en) * 1980-11-26 1984-10-10 Kishi Mitsuhiro Elevating working platforms
US4593874A (en) * 1984-09-27 1986-06-10 Dunagan Lawrence G Adjustable legs for desks and furniture
NO854267L (no) * 1985-10-24 1987-04-27 Saba Medical As Heve- og senkemaskin for arbeidsbord av enhver art.
JPH0438810Y2 (ko) * 1987-04-28 1992-09-10
DE9406480U1 (de) * 1994-04-15 1994-06-16 Laweco Maschinen Und Apparateb Scherenhubtisch
DE19505103A1 (de) * 1995-02-15 1995-08-03 Gisbert Dipl Ing Koehler Schwenkantrieb für die Arme einer Scherenhebevorrichtung
GB2302722B (en) * 1995-06-29 1999-03-31 Spirax Sarco Ltd Equipment comprising a condensate trap
DE29610999U1 (de) * 1996-06-22 1996-08-29 Hydraulik Techniek Scherenhubtis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74816A1 (en) * 2021-01-11 2022-09-01 Stephen J. Knight, III Lifting and support apparatus
US11535501B2 (en) * 2021-01-11 2022-12-27 Stephen J. Knight, III Lifting and suppor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29585A (en) 2000-02-29
EP0878437A1 (en) 1998-11-18
JP2952213B2 (ja) 1999-09-20
JPH10315080A (ja) 1998-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6397A (ko) 승강기구
KR101123480B1 (ko) 하물 상승 장치
US4662021A (en) Dockboard with a tread plate lock mechanism
EP0185891B1 (en) Lift device of the scissor-jack type
US4741512A (en) Lifting device or load-supporting apparatus
US7097595B1 (en) Fold-up mechanism for an electric treadmill
US4457492A (en) Lifting apparatus
US5193649A (en) Platform car
US4375248A (en) Lifting apparatus
JP2003146593A (ja) 自動調整パレット位置決め機
US5601014A (en) Lift and tilt table
US4762370A (en) Tipping device to control the tipping of a body mounted on a vehicle
GB2099398A (en) Elevating mechanism for platform
GB2278813A (en) A truck with hand-operatable wheels
CZ278183B6 (en) Opening element particularly for lifting gears with a pair arrangement of levers
CA2253270A1 (en) Stowed platform wheelchair lifter
US5236065A (en) Lift used for maintenance of vehicles
US5129480A (en) Articulated parallelogram boom assembly synchronization device
US5984270A (en) Jack safety device
US5613575A (en) Flat-structure lifting platform
KR100262871B1 (ko) 리프트장치의 상승기구
US20060284145A1 (en) Jack apparatus
US5364071A (en) Scissor jack
US3648856A (en) Transmission jack
AU738109B2 (en) Lift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