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5533A -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5533A
KR19980085533A KR1019970021636A KR19970021636A KR19980085533A KR 19980085533 A KR19980085533 A KR 19980085533A KR 1019970021636 A KR1019970021636 A KR 1019970021636A KR 19970021636 A KR19970021636 A KR 19970021636A KR 19980085533 A KR19980085533 A KR 19980085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striking
pallet
pneumatic cylinder
lock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1491B1 (ko
Inventor
이만기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2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491B1/ko
Publication of KR1998008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6Sealings with packing ring expanded or pressed into place by fluid pressure, e.g. inflatable packings
    • F16J15/48Sealings with packing ring expanded or pressed into place by fluid pressure, e.g. inflatable packings influenced by the pressure within the member to be sea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08Seal for use in rotating and reciprocating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외주에 기어부(32)가 형성된 팔레트(3)상에 안치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차축(1)의 로킹 너트(2)를 타격하여, 상기 로킹 너트(2)를 차축(1)의 홈부내로 수용되도록 변형시키는 코킹 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의 프레임(42) 측부에 설치된 포스트 프레임(43); 상기 포스트 프레임(43) 앞에 팔레트(3)가 놓이도록, 상기 팔레트(3)에 접촉되어 팔레트(3)를 일시 정지시키는 멈춤 수단(10); 상기 포스트 프레임(43)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멈춤 수단(10)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팔레트(3)를 코킹 작업 위치로 상승시키는 승강 수단(5); 상기 포스트 프레임(43)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 수단(5)이 정지되면 하강되어, 상기 차축(2)을 위에서 누르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램핑 수단(6); 상기 승강 수단(5)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팔레트(3)의 기어부(32)와 치합되는 동작으로 상기 클램핑 수단(6)으로 지지된 차축(1)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7); 상기 승강 수단(5)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수단(7)에 의해 회전되는 차축(1)의 홈부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8); 및 상기 승강 수단(5)에 장착되어, 상기 감지 수단(8)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로킹 너트(2)를 타격하여 차축(1)의 홈부내로 변형,수용시키는 타격 수단(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축(axle)용 로킹 너트(locking nut) 코킹(caulking)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엔진의 동력을 차륜으로 전달하는 차축에 체결되는 로킹 너트가 풀리지 않도록 변형시키는 코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축은 그 내주가 차동 장치의 사이드 기어에 스플라인결합되고 외주는 차륜에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을 차륜으로 전달하는 축으로서, 앞차축을 프런트 액슬, 뒤차축을 리어 액슬이라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차축은 로킹 너트로 차륜에 고정되는데, 이 로킹 너트는 차축의 단부에 체결되어, 차축에서 차륜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로킹 너트는 반영구적으로 체결된 상태로 풀리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로킹 너트를 차축에 체결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킹 작업에 의해 차축(1)의 U자형 홈(11)내로 로킹 너트(2)를 변형,수용시켜, 차축에서 차륜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코킹 작업을 수작업으로 실시하였다.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각 차축의 로킹 너트를 변형시키기 위해 가해진 압력마다 차이가 발생되어, 로킹 너트의 변형 정도가 서로 다르게 된다. 특히, 작업자의 힘이 덜 가해진 로킹 너트는 규정대로 변형되지 못하여, 주행중 풀리게 되므로써, 차륜이 차축에서 분해되어 대형 사고를 유발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정한 압력으로 모든 차축의 로킹 너트를 변형시키면서 로킹 너트의 풀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로킹 너트가 변형되어 수용되는 차축의 홈부를 나타낸 도면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 너트 코킹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좌측면도
도 2C는 도 2A의 평면도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우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승강 수단과 감지 수단 및 타격 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감지 수단과 타격 수단의 타격암의 결합 구조를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클램핑 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회전 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는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축2 - 로킹 너트
3 - 팔레트4 - 프레임 조립체
5 - 승강 수단6 - 클램핑 수단
7 - 회전 수단8 - 감지 수단
9 - 타격 수단10 - 멈춤 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주에 기어부가 형성된 팔레트상에 안치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차축의 로킹 너트를 타격하여, 상기 로킹 너트를 차축의 홈부내로 수용되도록 변형시키는 코킹 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의 프레임 측부에 설치된 포스트 프레임; 상기 포스트 프레임 앞에 팔레트가 놓이도록, 상기 팔레트에 접촉되어 컨베이어를 일시 정지시키는 멈춤 수단;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멈춤 수단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팔레트를 코킹 작업 위치로 상승시키는 승강 수단;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 수단이 정지되면 하강되어, 상기 차축을 위에서 누르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램핑 수단; 상기 승강 수단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팔레트의 기어부와 치합되는 동작으로 상기 클램핑 수단으로 지지된 차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 상기 승강 수단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차축의 홈부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 및 상기 승강 수단에 장착되어, 상기 감지 수단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로킹 너트를 타격하여 차축의 홈부내로 변형,수용시키는 타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멈춤 수단은 컨베이어 프레임중 하나에 설치된 스토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 수단은 포스트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멈춤 수단의 신호로 구동되는 승강용 공압 실린더; 상기 승강용 공압 실린더에 연결되고, 포스트 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가 설치된 로드; 상기 로드의 가이드에 접촉되어 승강용 공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상하부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로드에 횡으로 연결되어 상기 팔레트 하부에 배치되고, 중공부가 상하로 관통,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핑 수단은 포스트 프레임 상부에 횡으로 장착된 클램프 프레임;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 수단의 정지 신호로 작동되는 클램핑용 공압 실린더; 상기 클램핑용 공압 실린더에 장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끼워져 베어링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밑면에 차축이 끼워지는 클램프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수단은 승강 수단에 장착되어, 클램프용 공압 실린더의 정지 신호로 작동되는 진입용 공압 실린더; 상기 진입용 공압 실린더에 장착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축에 장착되고, 슬라이더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팔레트의 기어부와 치합되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 수단은 일측이 차축의 홈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고, 중간은 승강 수단에 힌지연결된 감지 레버; 상기 감지 레버의 타측에 상단이 피봇연결된 감지 링크; 상기 감지 링크의 하단에 상단이 피봇연결되고, 이 피봇점 하부가 승강 수단에 힌지연결된 접촉편; 및 상기 접촉편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타격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근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 수단은 승강 수단의 일측부에 로드가 하향되도록 장착된 타격용 공압 실린더; 상기 공압 실린더의 로드에 일측이 피봇연결되고, 중간은 승강 수단의 하부에 힌지연결된 타격 링크; 상기 타격 링크의 타단에 의해 하단이 타격되어, 상기 승강 수단내를 통해 상승되는 타격축; 상기 타격축의 상단에 일측이 피봇연결되고, 중간은 승강 수단에 힌지연결되어, 타격축의 직선운동력을 회전운동력으로 전환시키는 전환 로드; 및 상기 전환 로드의 타측에 하단이 피봇연결되고, 중간은 승강 수단에 힌지연결되며, 상단에는 상기 로킹 너트를 타격하는 타격못이 형성된 타격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차축이 안치된 팔레트가 멈춤 수단에 의해 정지되고, 승강 수단에 의해 코킹 작업 높이로 상승된 후, 클램핑 수단에 의해 위에서 눌리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어서 회전 수단에 의해 회전되다가 차축의 홈부를 감지 수단이 감지하게 되면, 그 위치에서 팔레트가 멈춘 상태에서 타격 수단에 의해 로킹 너트가 타격되어, 로킹 너트가 차축의 홈부내로 변형,수용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 너트 코킹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좌측면도, 도 2C는 도 2A의 평면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우측면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승강 수단과 감지 수단 및 타격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감지 수단과 타격 수단의 타격암의 결합 구조를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클램핑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회전 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는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우측면도이다.
먼저,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 2의 A 내지 C에서, 도면 부호 1은 차축이고, 2는 차축(1)에 체결된 로킹 너트이며, 3은 차축(1)이 안치된 팔레트이고, 4는 프레임 조립체이며, 5는 프레임 조립체(4)에 장착되어 팔레트(3)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이고, 6은 팔레트(3)를 위에서 누르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램핑 수단이며, 7은 팔레트(3)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이고, 9은 로킹 너트(2)를 U자형 홈부내로 수용되도록 타격하여 변형시키는 타격 수단이고, 10은 팔레트(3)를 정지시키는 멈춤 수단이다. 다만, 차축(1)의 U자형 홈부를 감지하는 수단은 도면 부호 8인데, 도 2의 A 내지 C에서는 생략되었고, 도 4의 A 및 B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각 수단들의 구성 및 유기적 결합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 조립체(4)의 구성을 도 3의 A 및 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41)의 일측상에 컨베이어 프레임(42)이 설치되고, 타측상에는 포스트 프레임(43)이 직립하게 설치된다. 포스트 프레임(43)의 상부에는 클램핑 수단이 장착되는 클램프 프레임(44)이 횡으로 장착된다. 또한, 포스트 프레임(43)의 중간부에는 승강 수단의 구동원이 장착되는 브래킷(45)이 설치되고, 또한 승강 수단의 구동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하부 리미트 스위치(51,52)가 포스트 프레임(43)의 하부에 상하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부착된다. 한편, 컨베이어 프레임(42)과 소정 간격을 두고 멈춤 수단인 스토퍼(10)가 설치되는 스토퍼 프레임(46)이 베이스 프레임(41)상에 설치된다. 이 스토퍼(10)는 컨베이어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승강 수단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발하는 기능을 갖는다.
스토퍼(10)의 신호로 구동되어 팔레트(3)를 코킹 작업 높이로 상승시키는 승강 수단(5)의 구성은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즉, 그 구동원인 승강용 공압 실린더(53)가 포스트 프레임의 브래킷(45)에 로드(54)가 하향되도록 장착된다. 로드(54)에는 포스트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55)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55)가 상하부 리미트 스위치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승강용 공압 실린더(53)의 구동이 제어된다.
로드(54)에는 팔레트(3)의 하부에 배치된 하우징(57)이 수 개의 수평보(56)들로 연결된다. 하우징(57)은 중공부가 상하로 관통,형성된 원통체 형상으로서, 이 하우징(57)에 감지 수단(8)과 타격 수단(9) 및 회전 수단(7)이 설치된다.
감지 수단(8)의 구성은 도 4B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축의 홈부에 감지하는 감지 레버(81)는 그 중간부가 승강 수단의 하우징(57)에 힌지핀(81c)으로 연결되고, 차축의 홈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일측 상부에는 감지 돌기부(81a)가 형성되며, 일측 하부에는 타격 수단에 의해 밀려서 감지 돌기부(81a)를 홈부에서 빠지도록 하는 밀림 돌기부(81b)가 형성된다. 감지 레버(81)의 타측에 감지 링크(81)의 상단이 피봇핀(81d)으로 연결되고, 감지 링크(81)의 하단에 접촉편(83)의 상단이 피봇핀(84a)으로 연결된다. 특히, 감지 링크(81)는 리턴 스프링(84)으로 탄력지지되어서, 항시 상승되는 방향으로 지지를 받게 되어, 감지 레버(81)의 감지 돌기부(81a)가 차축의 홈부내로 진입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힘을 받게 된다.
접촉편(83)의 중간부는 하우징(57)에 힌지핀(84b)으로 연결되고, 그 하단은 하우징(57)에 설치되어 타격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근접 스위치(85)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한편, 접촉편(83)의 하단은 근접 스위치(85)와 일정 간극으로 항시 유지되도록, 하우징(57)에 횡으로 체결된 어저스트 볼트(86)로 지지된다.
근접 스위치(85)에 의해 구동되는 타격 수단(9)의 구성은 다시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7)의 외측부, 즉 포스트 프레임의 반대편에 설치된 브래킷(58)에 구동원인 타격용 공압 실린더(91)가 로드(92)가 하향되도록 장착된다. 로드(92)의 하단에는 타격 링크(93)의 일측이 피봇핀(93a)으로 연결되고, 그 중간은 하우징(57)의 하부에 설치된 브래킷(59)에 힌지핀(93b)으로 연결되며, 타측 상부에는 타격침(93c)이 형성된다. 타격침(93c)의 타격에 의해 하부가 타격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타격축(95)이 하우징(57)의 중공부에 끼워진 부시(57a)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타격축(95)의 상부에는 전환 로드(96)의 일단이 피봇핀(96a)으로 연결되고, 그 중간부는 하우징(57)에 힌지핀(96b)으로 연결되며, 타측에는 구 형상의 피봇돌기부(96c)가 형성된다. 전환 로드(96)는 타격축(95)의 직선운동력을 회전운동력으로 전환하는 것으로서, 그 양측은 중간 힌지핀(96b)을 중심으로 소정의 예각을 이룬 형상이다.
전환 로드(96)의 피봇 돌기부(96c)가 타격암(97)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타격암(97)의 상단에는 실제로 로킹 너트(2)를 타격하는 타격침(97a)이 형성된다. 타격암(97)의 중간은 하우징(57)에 힌지핀(97b)으로 연결되고, 특히 타격침(97a)의 하부에는 도 4B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시 감지 레버(81)의 밀림 돌기부(81b)를 밀게 되는 누름 돌기부(97c)가 형성된다.
여기서, 타격암(97)이 어느 정도의 압력으로 로킹 너트(2)를 타격하였는지를 감지하여 각 차축(1)의 로킹 너트(2)가 설정된 대로 변형되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타격 압력을 측정하는 수단이 타격축(95)에 구비된다. 즉, 타격축(95)의 하단에 타격 링크(93)의 타격침(93c)으로 타격되는 로드 셀(94)이 설치되고, 이 로드 셀(94)에서 감지된 압력을 기록지 등에 기록하는 프린터(94a)가 로드 셀(94)에 접속된다. 프린터(94a)는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차축(1)을 위에서 누르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램핑 수단(6)이 도 2B 및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인 클램핑용 공압 실린더(61)가 클램프 프레임(44)에 로드(62)가 하향되도록 장착되고, 로드(62)에는 하부로부터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63)이 설치된다. 하우징(63)의 중공부에 차축이 끼워지는 클램프 헤드(64)가 끼워져 2개의 베어링(65)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특히, 클램프 헤드(62)의 하단에는 차축이 진입되기 용이하도록 접시 형상의 가이드부(64a)가 형성되고, 가이드부(64)의 중앙 상부면에는 차축이 끼워지는 홈부(64b)가 형성된다.
클램핑 수단(6)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차축의 홈부가 감지 수단(8)에 의해 감지되도록 회전시키는 수단(7)이 도 6의 A 및 B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팔레트(3)의 중앙부에는 회전원판(31)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회전원판(31)의 외주에 기어부(32)가 형성되어서, 이 기어부(32)에 회전 수단(7)이 치합되므로써, 차축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수단의 하우징(57)에 진입용 공압 실린더(71)가 장착된다. 이 진입용 공압 실린더(71)는 로드가 없는 로드레스(rodless)식 실린더로서, 실린더 자체가 공압에 의해 전후진된다. 진입용 공압 실린더(71)의 상부에 슬라이더(72)가 설치되고, 슬라이더(72)의 상부에 모터(73)가 장착된다. 모터(73)의 축은 슬라이더(72)내로 진입되고, 이 축에 서로 치합된 3개의 기어(74,75,76)중 하나(74)가 고정된다. 맨 외곽의 기어(76)는 슬라이더(72)에서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되어, 이 부분이 회전원판(31)의 기어부(32)와 선택적으로 치합되어지게 된다. 특히, 슬라이더(72)는 포스트 프레임과 회전원판(31)의 중심을 잇는 선에서 소정의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진입되도록 배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차축(1)이 안치된 팔레트(3)가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다가, 스토퍼 프레임(46)에 도착되면서 스토퍼(10)와 접촉하게 된다. 스토퍼(10)의 접촉 신호로 컨베이어는 멈추게 되고, 이어서 승강용 공압 실린더(53)가 구동된다.
하부 리미트 스위치(52) 위치에 있던 로드(54)가 상승되고, 따라서 하우징(57)이 팔레트(3)를 받친 상태로 전체가 코킹 작업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로드(54)와 같이 상승되는 가이드(55)가 상부 리미트 스위치(51)에 접촉되면 승강용 공압 실린더(53)가 정지되고, 이어서 클램프용 공압 실린더(61)가 구동된다.
로드(62)의 하강에 의해 하우징(63)과 클램프 헤드(64)가 하강되어, 클램프 헤드(64)의 가이드부(64a)내로 차축(1)이 진입되어 그 상단이 홈부(64b)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감지 레버(81)의 감지 돌기부(81a)가 차축(1) 하면에 의해 눌려지게 되므로, 그 반대측은 반대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감지 링크(82)가 리턴 스프링(84)을 신장시키면서 상승되고, 접촉편(83)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하단이 근접 스위치(85)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감지 돌기부(81a)가 차축(1)의 홈부내로 진입되도록 회전 수단(7)이 작동되어 회전원판(31)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진입용 공압 실린더(71)가 구동되어, 슬라이더(72)를 회전원판(31) 방향으로 진입시키게 되어, 맨 마지막 기어(76)가 회전원판(31)의 기어부(32)에 치합된다. 모터(73)의 구동으로 각 기어(74,75,76)가 치합,회전됨에 의해, 회전원판(31)과 차축(1)이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차축(1)이 회전되다가 홈부의 하부에 감지 돌기부(81a)가 위치하게 되면, 신장되었던 리턴 스프링(84)이 원래대로 압축되면서 감지 링크(82)를 당기게 되어, 감지 레버(81)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감지 돌기부(81a)가 홈부내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감지 링크(82)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접촉편(83)의 상단을 누르게 되어, 접촉편(8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따라서 접촉편(83)의 하단이 근접 스위치(85)에 근접하게 배치되므로써, 근접 스위치(85)의 신호에 의해 타격 수단(9)이 작동된다.
즉, 타격용 공압 실린더(91)의 구동으로 로드(92)가 하강되어 타격 링크(93)의 일측을 누르게 되고, 따라서 타격 링크(93)의 타측에 형성된 타격침(93c)이 타격축(95)의 하부에 설치된 로드 셀(94)을 타격하게 된다. 로드 셀(94)이 그 압력을 감지하게 되어, 프린터(94a)가 현재 차축(1)의 로킹 너트(2)에 가해지는 타격압력을 기록하게 된다.
한편, 타격축(95)은 부시(57a)를 통해서 상승하게 되어, 전환 로드(9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타격암(97)의 하단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에 의해, 타격암(97)의 타격침(97a)이 차축(1)의 홈부에 위치해 있는 로킹 너트(2)를 타격하면, 로킹 너트(2)가 홈부내로 수용되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로킹 너트(2)의 변형 전에, 홈부내에 삽입되어 있던 감지 레버(81)의 감지 돌기부(81a)는 차축(1)의 홈부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즉, 타격침(97a)이 로킹 너트(2)를 타격하기 전에, 누름 돌기부(97c)가 밀림 돌기부(81b)를 밀게 되므로써, 감지 레버(8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감지 돌기부(81a)가 홈부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타격 압력에 의해 감지 돌기부(81a)의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차축(1)의 로킹 너트(2)를 설정된 압력으로 타격하여 변형시킬 수가 있게 되므로써, 차축(1)에서 로킹 너트(2)의 풀어짐을 반영구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로킹 너트(2)가 풀어져 차륜이 차축(1)에서 분해되어 대형사고가 유발되는 사태를 사전에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외주에 기어부가 형성된 팔레트상에 안치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차축의 로킹 너트를 타격하여, 상기 로킹 너트를 차축의 홈부내로 수용되도록 변형시키는 코킹 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의 프레임 측부에 설치된 포스트 프레임; 상기 포스트 프레임 앞에 팔레트가 놓이도록, 상기 팔레트에 접촉되어 컨베이어를 일시 정지시키는 멈춤 수단;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멈춤 수단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팔레트를 코킹 작업 위치로 상승시키는 승강 수단;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 수단이 정지되면 하강되어, 상기 차축을 위에서 누르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램핑 수단; 상기 승강 수단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팔레트의 기어부와 치합되는 동작으로 상기 클램핑 수단으로 지지된 차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 상기 승강 수단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차축의 홈부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 및 상기 승강 수단에 장착되어, 상기 감지 수단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로킹 너트를 타격하여 차축의 홈부내로 변형,수용시키는 타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포스트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멈춤 수단의 신호로 구동되는 승강용 공압 실린더; 상기 승강용 공압 실린더에 연결되고, 포스트 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가 설치된 로드; 상기 로드의 가이드에 접촉되어 승강용 공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상하부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로드에 횡으로 연결되어 상기 팔레트 하부에 배치되고, 중공부가 상하로 관통,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포스트 프레임 상부에 횡으로 장착된 클램프 프레임;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 수단의 정지 신호로 작동되는 클램핑용 공압 실린더; 상기 클램핑용 공압 실린더에 장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끼워져 베어링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밑면에 차축이 끼워지는 클램프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승강 수단에 장착되어, 클램프용 공압 실린더의 정지 신호로 작동되는 진입용 공압 실린더; 상기 진입용 공압 실린더에 장착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축에 장착되고, 슬라이더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팔레트의 기어부와 치합되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로킹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일측이 차축의 홈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고, 중간은 승강 수단에 힌지연결된 감지 레버; 상기 감지 레버의 타측에 상단이 피봇연결된 감지 링크; 상기 감지 링크의 하단에 상단이 피봇연결되고, 이 피봇점 하부가 승강 수단에 힌지연결된 접촉편; 및 상기 접촉편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타격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근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로킹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수단은 승강 수단의 일측부에 로드가 하향되도록 장착된 타격용 공압 실린더; 상기 공압 실린더의 로드에 일측이 피봇연결되고, 중간은 승강 수단의 하부에 힌지연결된 타격 링크; 상기 타격 링크의 타단에 의해 하단이 타격되어, 상기 승강 수단내를 통해 상승되는 타격축; 상기 타격축의 상단에 일측이 피봇연결되고, 중간은 승강 수단에 힌지연결되어, 타격축의 직선운동력을 회전운동력으로 전환시키는 전환 로드; 및 상기 전환 로드의 타측에 하단이 피봇연결되고, 중간은 승강 수단에 힌지연결되며, 상단에는 상기 로킹 너트를 타격하는 타격못이 형성된 타격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암에서 로킹 너트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측정 수단은 타격축의 하단에 설치되어, 타격 링크에 의해 타격되는 로드 셀; 및 상기 로드 셀에서 감지된 타격 압력을 기록하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
KR1019970021636A 1997-05-29 1997-05-29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 KR100201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636A KR100201491B1 (ko) 1997-05-29 1997-05-29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636A KR100201491B1 (ko) 1997-05-29 1997-05-29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533A true KR19980085533A (ko) 1998-12-05
KR100201491B1 KR100201491B1 (ko) 1999-06-15

Family

ID=1950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636A KR100201491B1 (ko) 1997-05-29 1997-05-29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4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039B1 (ko) * 2002-03-29 2004-12-23 (주)엠아이티코리아 에어를 이용한 순간 코킹장치
KR101149015B1 (ko) * 2012-03-09 2012-05-24 한일마이크로텍(주) 로터터닝장치
CN109175969A (zh) * 2018-11-12 2019-01-11 顺德职业技术学院 一种电机轴销的装配设备
CN109304596A (zh) * 2018-11-23 2019-02-05 江苏众远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跨线抓取翻转移载压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897B1 (ko) 2011-12-30 2012-07-05 김상필 허브너트 코킹장치
KR102559442B1 (ko) 2021-03-03 2023-07-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주사액 주입방향이 표시된 주사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039B1 (ko) * 2002-03-29 2004-12-23 (주)엠아이티코리아 에어를 이용한 순간 코킹장치
KR101149015B1 (ko) * 2012-03-09 2012-05-24 한일마이크로텍(주) 로터터닝장치
CN109175969A (zh) * 2018-11-12 2019-01-11 顺德职业技术学院 一种电机轴销的装配设备
CN109175969B (zh) * 2018-11-12 2023-09-05 顺德职业技术学院 一种电机轴销的装配设备
CN109304596A (zh) * 2018-11-23 2019-02-05 江苏众远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跨线抓取翻转移载压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1491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491B1 (ko) 자동차의 차축용 로킹 너트 코킹 장치
CA2032119C (en) Vehicle wheel mounting apparatus
CN112062046A (zh) 一种物流仓储上货装置
CN212514062U (zh) 一种钢化玻璃成品冲击测试装置
CN219585235U (zh) 一种翻转定位检测机构
US5704601A (en) Positioning table
JP2672825B2 (ja) サンルーフユニットの位置決め方法及びその装置
US5244331A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rotary member on a balancing machine
CN110194425B (zh) 一种四柱举升机构
JPH0753512B2 (ja) ドア位置決め搬送台車
KR102170937B1 (ko) 차량용 에어백 엠블럼 자동 조립장치
JP2958185B2 (ja) 立体駐車装置
CN219967681U (zh) 一种转向架的定位机构
CN212642277U (zh) 带有多重断、松链检测及保护的两柱式简易升降停车设备
JPH02153174A (ja) 二段式駐車装置
CN217007721U (zh) 一种材料摆放到位的边缘检测装置
CN214270106U (zh) 一种滚筒式汽车性能检验台的举升装置
CN219792215U (zh) 一种料车牵引拉车的举升装置和料车牵引拉车系统
JPH0411087Y2 (ko)
JPH0618388A (ja) 木材の等級判別装置
JPH0510989Y2 (ko)
JPH0835350A (ja) 二段式駐車装置
CN116572176A (zh) 一种转向架的定位机构
JP2658728B2 (ja) タイヤ位置決め装置
JPH065352Y2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物押さ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