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5436A - 데이터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5436A
KR19980085436A KR1019970021530A KR19970021530A KR19980085436A KR 19980085436 A KR19980085436 A KR 19980085436A KR 1019970021530 A KR1019970021530 A KR 1019970021530A KR 19970021530 A KR19970021530 A KR 19970021530A KR 19980085436 A KR19980085436 A KR 19980085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transition
output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1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5436A/ko
Publication of KR19980085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436A/ko

Link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샘플링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시간 지연기; 현재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와 이전 데이터의 천이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 및 현재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 검출 신호와 이전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시간 지연기로부터 지연될 시간을 선택하는 선택기를 부가하므로써 인접신호간 간섭을 일으키는 비선형 천이 이동을 제거하기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형 등화기의 성능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비선형 천이 이동을 종래의 여러 복잡한 구조를 갖는 비선형 등화기와는 달리, 종래의 재생 장치에 시간 지연기, 선택기 및 검출기를 부가하거나, 오차 확률을 보다 더 줄이기 위해 여현 등화기, 시간 지연기, 선택기 및 검출기를 부가하여 재생신호의 샘플링 시간을 조절하므로써 비선형 천이 이동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재생 장치
본 발명은 데이터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밀도 기록시 발생하는 비선형 천이 이동을 제거하므로써 재생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데이터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저장기기에서 기록밀도를 증가시키면 인접신호간 간섭이 발생하며, 인접신호간 간섭에는 선형 인접신호간 간섭과 비선형 인접신호간 간섭이 있다. 선형 인접신호간 간섭은 선형 등화기로 제거하고, 비선형 인접신호간 간섭은 선형 등화기로는 제거할 수 없는 비선형 요소이므로 비선형 등화기로 제거해야 한다. 저밀도 기록에서는 선형 인접신호간 간섭이 강하여 선형 등화기를 사용하나, 고밀도 기록에서는 비선형 인접신호간 간섭이 강해져 선형 등화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기록밀도를 증가시키는데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고밀도 기록에서는 비선형 등화기를 사용해야하지만 비선형 등화기는 매우 복잡하고 비경제적이므로 대부분의 데이터 저장기기에는 선형 등화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비선형 인접신호간 간섭은 인접신호들의 곱에 의한 신호 왜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선형 등화기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므로 선형 등화기로는 제거될 수 없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자기기록 채널에서 비선형 인접신호간 간섭은 기록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선형 천이 이동(Non-Linear Transition Shift, 이하 NLTS라 한다), 부분 지워짐(Partial Erasure), 천이 확대(Transition Broadening), 오버라이트(Overwrite)등과 자기저항 헤드(Magnetoresistive Head) 재생과정에서 발생하는 포화, 첨두 비대칭(Peak Asymmetry)등이 있다. 이중 가장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NLTS로, 이전에 기록한 천이에서 발생한 감자장(Demagnetization Field)에 의해 현재 기록하는 천이의 위치가 이동되는 현상이다. 도 1은 상기 NLTS 발생에 대해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 Hh는 헤드의 자기 세기이고, Hc는 기록 매체를 자화시킬 수 있는 한계 자기 세기이다.
상기와 같은 비선형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비선형 등화기로는, 신경망 등화기(Neural Network Equalizer), 볼테라 등화기(Volterra Equalizer), 비선형 소거기(Nonlinear Canceller) 및 종래의 선형 등화기, 결정 귀환 등화기(Decision -feedback Equalizer)에 비선형 처리를 위한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램-디에프이(RAM-DFE)가 있다. 그러나 상기 신경망 등화기, 볼테라 등화기 및 비선형 소거기는 많은 신호처리 요구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램-디에프이 방법은 메모리의 양이 많기때문에 적응 등화기의 구현이 어렵다.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과정에서 가장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상기 NLTS를 보상하고 재생시 간단한 선형 등화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록 전처리 과정이 있다. 기록 전처리 과정으로는 자기기록(magnetic recording)시 이동될 천이 위치를 미리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기록하는 방법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데이터 재생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재생신호가 들어오면 샘플링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샘플러(200), 상기 샘플러의 출력을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0),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변환된 신호의 열화된 주파수 특성 등을 보상하는 선형 등화기(220), 상기 등화기의 출력으로부터 기준 레벨에 따라 데이터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기(230), 상기 등화기의 출력과 상기 검출기 출력 사이의 오차를 구하는 오차 검출기(240), 상기 오차 검출기의 오차의 주파수 및 위상에 동기하도록 내부 전압제어 발진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위상동기루프(Digital Phase Locked Loop, 250, 이하 DPLL이라 한다), 상기 DPLL의 출력을 입력 제어 전압으로하여 상기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260, 이하 VCO라 한다)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기록 전처리 과정만으로는 정확한 보상값을 얻기가 힘들며, 잔류 NLTS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비선형 등화기 및 기록 전처리기와는 달리, 종래의 재생 장치에 간단한 샘플링 시간 조정 장치를 추가하여, 고밀도기록시 발생하는 NLTS를 제거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비선형 천이 이동 발생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데이터 재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재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비선형 천이 이동에 대한 채널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비선형 천이 이동에 따른 재생신호의 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여현 등화기를 이용한 데이터 재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재생 장치는 재생 신호를 샘플링 신호에 따라 샘플링하는 샘플러; 재생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현재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1 검출기; 상기 샘플러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열화된 주파수 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등화기;상기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기준 레벨에 따라 재생 데이터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기;상기 등화기가 갖고있는 한 비트 및 두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검출기; 상기 데이터 검출기의 출력과 상기 등화기 사이의 오차를 검출하는 오차 검출기; 상기 오차 검출기의 오차의 위상과 주파수에 동기하도록 내부 전압제어 발진기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상기 디지털 위상동기루프의 출력을 입력 제어 전압으로하여 조정된 펄스열을 출력하는 전압제어 발진기;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 신호를 지연선택신호에 따라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기; 및 상기 현재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 검출 신호와 상기 이전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지연선택신호 및 상기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간 지연기는 상기 선택기의 상기 지연선택신호에 따라서, 천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시간 지연없이 출력하는 제1 지연기; 현재 재생 데이터와 한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에 천이가 존재하면,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2 지연기; 현재 재생 데이터와 두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에 천이가 존재하면,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3 지연기; 및 현재 재생 데이터와 한 비트와 두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에 각각 천이가 존재하면,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4 지연기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재생 장치에서 등화기의 데이터 저장 기능을 이용하여 검출기에서 이전의 천이의 존재 유무를 판정하고 천이 이동량을 추정하여, 샘플링 시간을 조정해서 NLTS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선형 등화기는 탭 지연선(Tapped Delay Line)과 탭 계수로 구성되며, 상기 등화기의 탭 지연선에는 현재 재생하려는 데이터 이전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검출기를 통하여 상기 저장된 이전 데이터의 천이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생신호의 샘플링 순간에 천이의 이동 추정치만큼 이동하여 샘플링한다면, 상기 NLTS를 보상할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방법을 적용한 데이터 재생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재생 신호를 샘플링하는 샘플러(300), 상기 샘플러의 출력을 디지탈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10),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출력 신호의 열화된 주파수 특성 등을 보상하는 선형 등화기(320), 상기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기준 레벨에 따라 데이터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기(330), 상기 데이터 검출기(330)와 상기 등화기(320)의 출력사이의 오차를 구하는 오차 검출기(340), 상기 오차 신호에 동기하도록 내부 전압제어 발진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위상동기루프(Digital Phase Locked Loop, 350, 이하 DPLL이라 한다), 상기 DPLL(350)의 출력을 입력 제어 전압으로하여 상기 샘플러(300)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360, 이하 VCO라 한다), 상기 VCO(360)의 기준 샘플링 시간을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기(370), 상기 시간 지연기(370)를 통해 현재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의 천이 유무에 따라 소정의 지연시간을 선택하는 선택기(380), 현재 들어온 데이터와 등화기가 갖고 있는 이전 데이터에서 천이 존재의 유무를 검출하여 상기 선택기(380)로 출력하는 제1 검출기(390), 제2 검출기(395)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간 지연기(370)는 상기 선택기의 상기 지연선택신호에 따라, 현재 데이터의 천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시간 지연없이 출력하는 제1 지연기(D0), 현재 재생 데이터와 한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에 천이가 존재하면,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2 지연기(D1), 현재 재생 데이터와 두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에 천이가 존재하면,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3 지연기(D2) 및 현재 재생 데이터와 한 비트와 두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에 각각 천이가 존재하면,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4 지연기(D3)를 포함한다.
데이터 재생장치에 관한 다른 발명은 도 6에 블록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신호의 부호간 간섭을 줄이는 여현 등화기(600), 상기 여현 등화기의 출력으로부터 현재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 검출하는 검출기(720), 상기 검출기의 출력을 한 주기 지연시킨 후, 한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지연기(710), 상기 제1 지연기의 출력을 다시 한 주기 지연시킨 후, 두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지연기(700)를 도 3의 제1, 제2 검출기(390, 395)를 대신하여 추가하므로써 이루어지며, 다른 블록, 즉, 샘플러(61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20), 등화기(630), 데이터 검출기(640), 오차 검출기(650), DPLL(660), VCO(670), 시간 지연기(680) 및 선택기(690)는 각각 도 3의 샘플러(30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10), 등화기(320), 데이터 검출기(330), 오차 검출기(340), DPLL(350), VCO (360), 시간 지연기(370) 및 선택기(380)와 같다.
본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재생 신호 r(t)는 상기 샘플러(300)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10)를 거쳐 디지털 신호 rk로 변환된다. 재생 데이터 rk는 상기 선형 등화기(320)에서 재생 신호에 포함된 선형 인접 신호간 간섭이 제거되어, 상기 데이터 검출기(330)에서 기록 데이터 bk로 재생된다. 상기 등화기(320)의 출력과 상기 검출기(330)의 출력은 상기 가산기(340)를 통하여 가산되어 오차가 구해지며, 상기 DPLL(350)을 통해 상기 오차의 실효값(Root-Mean-Square Value)이 최소가 되도록 하기위하여 상기 VCO(360)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VCO(360)의 출력신호는 상기 DPLL(3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샘플러(300)의 샘플링 신호로 공급된다. 상기 시간 지연기(370)를 통해 현재 재생 데이터에 천이가 있고, 이전 천이가 없으면 제1 지연기인 D0, 한 비트 이전에 천이가 있으면 제2 지연기인 D1, 두 비트 이전에 천이가 있으면 제3 지연기인 D2, 한 비트와 두 비트 이전에 천이가 있으면 제4 지연기인 D3가 선택되어 각각 필요로하는 지연시간만큼 샘플링 신호를 지연한다. 세 비트 이전에 일어난 천이는 영향을 받지않는다. 상기 제2 검출기(395)를 통해 상기 선형 등화기(320)에 저장된 이전 데이터의 천이 정보가 검출되어 상기 선택기(380)에 공급되며, 상기 제1 검출기(390)를 통해 현재 데이터의 천이 존재 유무가 검출된다. 상기 제1, 제2 검출기(390, 395)의 정보에 따라 상기 시간 지연기(370)의 샘플링 시간 지연기중 한 가지가 상기 선택기(380)를 통해 선택되어서 상기 샘플러(300)에 샘플링 신호로 공급된다.
도 4는 NLTS가 있는 채널 모델을 도시한 것으로, 현재 기록하는 데이터 bk의 천이 위치는 이전 기록 데이터(bk-1, bk-2)의 천이 유무에 따라, 한 비트 이전에 천이가 존재하면, ε1, 두 비트 이전에 천이가 존재하면, ε2의 이동이 발생한다. ak가 +/-1 둘중의 한 값일 경우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의해 천이 유무와 극성이 결정된다.
[수학식 1]
상기 bk와 이전 데이터 bk-1, bk-2에 따라 다음과 같이 시간축이 이동되어 기록된다.
[수학식 2]
재생될 신호에는 다음과 같이 잡음이 추가된다.
[수학식 3]
r(t) = s(t)+n(t)
재생신호는 수신 필터를 통과한 후 재생 장치로 입력된다. 도 5는 한 비트 및 두 비트 이전 데이터의 천이 존재에 따라 재생 신호에서 천이가 이동됨을 보인 것이다. 한 비트 이전 데이터에만 천이가 존재하고 기록 천이와 극성이 반대방향인 경우(500) ε1만큼 이전 천이쪽으로 이동되고, 두 비트 이전 데이터에만 천이가 존재하고 기록 천이와 극성이 반대 방향인 경우(510) ε2만큼 이전 천이쪽으로 이동된다. 한 비트 이전과 두비트 이전 데이터 모두에 천이가 존재하며, 한 비트 이전 데이터와는 극성이 반대이고, 두비트 이전 데이터와는 극성이 같은 경우(520), 천이 이동은 ε1만큼 이전 천이 쪽에 가까워지고, ε2만큼 멀어진다. 다음 표 1은 상술한 NLTS를 보인다.
[표 1]
비선형 천이 이동 발생
한 비트 이전 데이터에 천이가 있고 현재 데이터에도 천이가 있을 때, ε1만큼 이동하고, 두 비트 이전 데이터에 천이가 있고 현재 데이터에도 천이가 있을 때, ε2만큼 천이가 이동한다. 한 비트와 두 비트 이전 데이터 모두에 천이가 있고 현재 데이터에도 천이가 있을 때는 ε12만큼 이동한다.
재생신호를 종래의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샘플링하면 NLTS에 의해 이동된 위치에서 샘플링하기 때문에 데이터에 종속된 비선형 인접 신호간 간섭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이전 데이터의 천이 유무를 판정하여 샘플링하는 위치를 이동시켜야 한다. 등화기가 갖고 있는 이전 데이터 rk, rk-1은 상기 제2 검출기 (395)에서 판별되어 bk-1, bk-2로 되고, 상기 데이터는 이전 데이터 천이의 유무에 대한 정보가 된다. 만일, 제1 검출기(390)에서 검출한 데이터 bk에 천이가 없다면, 상기 선택기(380)를 통해 상기 시간 지연기(370)에서 제1 지연 시간 D0가 기준 샘플링 클럭으로 선택된다. 상기 제1 검출기(390)에서 bk의 천이가 검출된다면, 상기 선택기(380)를 통해 다음 표 2와 같이 이전 데이터의 NLTS에 따라 각 지연 시간 D1, D2 및 D3가 선택된다.
[표 2]
비선형 천이 이동 보상
상기와 지연시간 선택에 따라 상기 샘플러(300) 출력에는 NLTS가 보상된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 제1, 제2 검출기(390, 395)의 오차 발생확률은 선형 등화기의 오차 발생확률보다 높기때문에 오차 확률을 보다 더 줄이기 위해서, 도 6과 같이 부호간 간섭이 적은 여현 등화기(600)를 부가한다. 상기 여현 등화기(600)의 출력으로부터 검출기(720)를 통해 현재 데이터의 천이 유무가 검출되고, 상기 검출기(720)의 출력신호가 제1 지연기(710)를 통해 한 주기 지연되어 한 비트 이전 데이터의 천이 유무가 검출되며, 상기 제1 지연기(710)에서 지연된 신호는 다시 제2 지연기(700)를 통해 한 주기 지연되므로써 두 비트 이전 데이터의 천이 유무가 검출된다. 상기 검출기(720)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지연기(710)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2 지연기(7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기(690)를 통해 지연 시간이 선택된다. 다른 각 블록의 동작은 도 3의 각 블록의 동작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형 등화기의 성능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비선형 천이 이동을 종래의 여러 복잡한 구조를 갖는 비선형 등화기와는 달리, 종래의 재생 장치에 간단한 시간 지연기, 선택기 및 검출기를 부가하거나, 오차 확률을 보다 더 줄이기 위해 여현 등화기, 시간 지연기, 선택기, 지연기를 부가하여 샘플링 시간을 제어하므로써 데이터 저장기기에 기록 및 재생시 가장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비선형 천이 이동을 제거할 수 있다.

Claims (3)

  1. 재생 신호를 샘플링 신호에 따라 샘플링하는 샘플러;
    재생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현재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를 검출하는 제1 검출기;
    상기 샘플러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디지털로 변환된 신호의 열화된 주파수 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등화기;
    상기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기준 레벨에 따라 재생 데이터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기;
    상기 등화기가 갖고있는 한 비트 및 두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 검출하는 제2 검출기;
    상기 데이터 검출기의 출력과 상기 등화기 사이의 오차를 검출하는 오차 검출기;
    상기 오차 검출기의 출력 오차의 위상과 주파수에 동기하도록 내부 전압제어 발진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상기 디지털 위상동기루프의 출력을 입력 제어전압으로하여 펄스열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전압제어 발진기;
    상기 전압 제어발진기의 출력 신호를 지연선택신호에 따라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기; 및
    상기 제1 검출기 출력인 현재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 검출 신호와 상기 제2 검출기의 출력인 이전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지연선택신호 및 상기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지연기는
    상기 선택기의 상기 지연선택신호에 따라 현재 데이터의 천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시간 지연없이 출력하는 제1 지연기;
    상기 선택기의 상기 지연선택신호에 따라 현재 재생 데이터와 한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에 천이가 존재하면,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2 지연기;
    상기 선택기의 상기 지연선택신호에 따라 현재 재생 데이터와 두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에 천이가 존재하면,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3 지연기; 및
    상기 선택기의 상기 지연선택신호에 따라 현재 재생 데이터와 한 비트와 두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에 각각 천이가 존재하면,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4 지연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3. 재생 신호를 샘플링 신호에 따라 샘플링하는 샘플러;
    재생 신호의 부호간 간섭을 줄이는 여현 등화기;
    상기 여현 등화기의 출력으로부터 현재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기의 출력을 한 주기 지연시킨 후, 한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1 지연기;
    상기 제1 지연기의 출력을 다시 한 주기 지연시킨 후, 두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의 천이 유무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2 지연기;
    상기 샘플러의 출력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디지털로 변환된 신호의 열화된 주파수 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등화기;
    상기 등화기의 출력을 기준 레벨에 따라 재생 데이터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기;
    상기 데이터 검출기의 출력과 상기 등화기 사이의 오차를 검출하는 오차 검출기;
    상기 오차 검출기의 오차의 위상과 주파수에 동기하도록 내부 전압제어 발진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상기 디지털 위상동기루프의 출력을 입력 제어 전압으로하여 펄스열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전압제어 발진기;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출력 신호를 지연선택신호에 따라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기; 및
    상기 검출기의 출력인 현재 재생 데이터의 천이유무 검출신호와 상기 제1 지연기의 출력인 한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 및 상기 제2 지연기 출력인 두 비트 이전 재생 데이터의 천이유무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지연선택신호와 상기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KR1019970021530A 1997-05-29 1997-05-29 데이터 재생장치 KR19980085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530A KR19980085436A (ko) 1997-05-29 1997-05-29 데이터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530A KR19980085436A (ko) 1997-05-29 1997-05-29 데이터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436A true KR19980085436A (ko) 1998-12-05

Family

ID=6598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530A KR19980085436A (ko) 1997-05-29 1997-05-29 데이터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54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879B1 (ko) * 1998-04-20 2005-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선형 신호 수신기
KR100474821B1 (ko) * 1997-08-26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선형특성을갖는재생신호처리장치및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821B1 (ko) * 1997-08-26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선형특성을갖는재생신호처리장치및방법
KR100459879B1 (ko) * 1998-04-20 2005-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선형 신호 수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9631A (en) Timing recovery circuit for synchronous waveform sampling
US6111710A (en) Asynchronous/synchronous gain control for interpolated timing recovery in a sampled amplitude read channel
KR100497916B1 (ko) 자기기록을위한표본진폭판독채널에서의적응적등화및보간된시간복구
US6594098B1 (en) Acquistion timing loop for read channel
KR100490498B1 (ko) 디지털 기록 데이터 재생 장치
KR100469599B1 (ko) 자기기록용샘플진폭판독채널에서의이득및위상제한적응형이퀄라이저필터
EP1039463B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841602A (en) PRML regenerating apparatus
KR980011304A (ko) 샘플링된 진폭 판독 채널 및 이진 데이터 판독 방법
US6028728A (en) Sampled amplitude read/write channel employing a sub-baud rate write clock
JPH06203476A (ja) 伝送媒体からデジタル信号を入力する可変イコライザ手段を含む入力装置
US5970091A (en) Equalizer having a processing unit for selecting a coefficient out of a coefficient table
US20020181360A1 (en) Clock adjusting device for use with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fset detecting device, and data reporducing apparatus
JP2007179739A (ja) サンプリングされた振幅リードチャネル
JPH10326457A (ja) 自動等化システム
US6654413B2 (en) Phase synchronization method for extended partial response, and phase synchronization circuit and read channel circuit using this method
KR19980085436A (ko) 데이터 재생장치
US5812508A (en) Digital bit signal detection circuit for reproducing optical data
US6002730A (en) Method for detecting data and device therefor of data storing unit
JP2830776B2 (ja) 高密度記録向けクロック抽出方式
EP0700042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JPH1166756A (ja) データ検出器及びその方法
KR20000004654A (ko) 디지털 브이씨알의 등화기
JP3591295B2 (ja) 再生クロック抽出装置
JPH09214893A (ja) ディジタルpll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