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2051A - 금형내부 경도가 이중으로 된 미드솔금형 - Google Patents

금형내부 경도가 이중으로 된 미드솔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2051A
KR19980082051A KR1019980033538A KR19980033538A KR19980082051A KR 19980082051 A KR19980082051 A KR 19980082051A KR 1019980033538 A KR1019980033538 A KR 1019980033538A KR 19980033538 A KR19980033538 A KR 19980033538A KR 19980082051 A KR19980082051 A KR 19980082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late
aluminum casting
midsole
hard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조
Original Assignee
임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조 filed Critical 임성조
Priority to KR1019980033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2051A/ko
Priority to KR1019980044772A priority patent/KR19990007720A/ko
Publication of KR1998008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051A/ko

Link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발포성 E.V.A기초화합물로 구성되어 발포성형된 판상을 규격재단하여 치수에 맞는 미드솔을 제조할수 있는 알미늄 주조 금형에 있어서, 재차 성형되는 판상은 압력이 없이도 높은열에 의해 재차 성형이 되는것을 이용하여 금형내부의 일부를 경화제가 첨가 된 수지층으로 대체하여 값이 저렴하면서도 신속하게 미드솔금형이 생산될수 있도록 금형내부구조 경도를 이중으로 된 알미늄주조 금형으로 해결하였다.

Description

금형내부 경도가 이중으로 된 미드솔금형
본 발명은 발포성 E.V.A기초화합물로 구성되어 발포성형된 판상의 발포층을 미드솔로 재차입축 성형되게 할수 있는 알미늄 주조금형에 관한 것으로써 통상 사용되고 있는 알미늄 주조금형은 다른 재질의 금형에 비해 가벼우면서도 높은 압력에도 견딜수 있는 단단한 경도로 제작이 가능할 뿐만아니라 열전도성도 우수하면서 별도의 표면처리를 하지 않아도 쉽게 녹이 슬거나 파손되지 않는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금형주조 과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운 관계로 금형비 자체가 과다하게 책정되는 것이 단점이라 하겠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발포성 E.V.A 기초 화합물로 구성되어 발포성형된 판상을 치수에 맞게 재단하여 알미늄주조 금형내부에 투입되어 미드솔 형상되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판상자체에 높은 압력을 가하지 않고도 금형자체에 머물고 있는 고열에의해 또 다시 팽창되어 금형내부의 섬세한 조각면과 판상의 표면이 서로 긴밀히 접촉되어 머물고 있는 상태에서 냉각과정을 거치면 판상의 형상이 금형내부의 공간과 똑같은 크기의 형상과 같이 미드솔이 성형되는것을 이용하여 금형내부구조경도를 이중으로 하여 금형제조공정도 단순화 하면서 불필요한 재료 낭비를 없애고 금형제조 시간을 단축시켜 값이 저렴하면서도 통상사용하고 있는 알미늄주조금형과 똑같은 기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래 사용하고 있는 알미늄주조금형의 제조 과정은 우선 얻고자 하는 치수와 조각무늬로 실물과 똑같은 형상을 목형으로 만들어 목형을 고정시킬수 있는 형틀에 넣고 그 주위 표면과 저면으로 실리콘 고무 액상을 경화제를 적당비율로 배합하여 도포한후, 적정시간이 지나면 목형표면에 경화된 실리콘 고무를 분리하면 실리콘 고무 내부면은 목형의 형상이 그대로 복제가된다. 이상태에서 목형을 제거하고 그 제거된 공간에 석회가루를 물과 적당비율로 배합하여 주입을 하면 석고 자체가 굳어지면서 목형의 모양과 똑같은 모양과 형상으로 석고가 응고되어 복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실리콘 고무를 제거 분리한후 석고만을 형틀에 위치시키고 알미늄주물을 주입하여 석고의 표면과 똑같은 모양과 형상으로 반대쪽의 알미늄 주조 금형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런 복제 과정을 거쳐서 완성된 상판, 중판, 하판을 조립하여 완성된 알미늄 주조 금형 내부에 발포성 E.V.A기초 화합물로 구성되어 발포성형된 판상을 삽입을 하게 되는데 이때 판상의 크기가 금형의 면적보다는 훨씬크게 하여 금형내부로 강제로 밀어 넣고 그 표면과 판상가장자리와 금형이 접촉되는 부위는 비누물을 묻혀 성형이 향상되도록하고 상부금형을 덮고, 상하판이 있는 프레스 판 사이에 밀어넣고 압력을 가하면 금형내부의 면적보다 더 큰 판상이 압축이되면서 금형내부에 강제로 충진되어 고열을 전달받은 판상은, 금형내부 공간에 긴밀히 접촉된 상태에서 금형전체를 급냉각시키면 가열되어 변형된 판상은 냉각이 되면서 형상이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굳어진 판상을 금형에서 제거된것이 발포성 E.V.A기초화합물로 구성되어진 발포성형된 미드솔이 완성 되는것이다. 이렇게 완성된 미드솔은 타 물질에 비해 재료비도 저렴하고 가벼우면서도, 햇볕에 노출되어도 변색이 되지않고, 충격흡수력이 우수한 반면에 제조공정도 까다롭고 금형비도 비교적 비싸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것이 단점이라 하겠다.
그래서 본발명인은 발포성형된 판상자체를 금형내부에 삽입을할때 판상 자체가 금형의 면적보다는 크지않게 약속된 규격되로 재단을 하여 금형내부에 삽입하되 판상자체가 금형내부에서 재차팽창되어 충진되면서 금형내부 조각면 경도가 판상의 표면경도 보다는 높을 때 성형되는 과정에서 조각면이 이글어지거나 파손되는 폐단이 없이 고열에 의해 판상이 재차 성형될 수 있는 것을 이용하여 알미늄 주조금형내부의 조각면 구조경도를 이중으로하여 종전의 까다롭고 복잡한 알미늄주조 금형 제조공정을 대폭단축시켜 금형비를 대폭 절감이 되게 하고 미드솔의 표면의 조각면은 알미늄주조 금형에서 압축되어 성형된것과 똑같은 품질로 성형이 될수있도록 금형내부구조를 이중경도로 제조하여 값이 저렴한 미드솔을 널리 보급되게하는 발명의 과제라 할수 있다.
상기의 식별자가 없습니다.
제 1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
제 2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나타낸 평면도
제 3도 본 발명을 실시하여 금형과 성형물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제 4도 본 발명을 실시하여 금형 내부로 재료가 투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5도 본 발명을 실시하여 미드솔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6도 본 발명을 실시하여 또 다른 구조의 상태로 금형과 성형물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제 7도 본 발명을 실시하여 금형내부에서 성형물이 성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8도 본 발명의 금형을 이용하여 완성된 미드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부호설명>
1 목형 2, 3 스팀 및 냉각수출입구멍
4 상부가압프레스판 5 하부 가압프레스판
10 하부금형 11 중간금형
12, 13, 14, 15, 16 조립핀 구멍
20 상부금형 21,22 돌출 봉
23 액상주입구 24,25 고정핀
26 상부금형 27,28 돌출 봉
30 수지층 31 수지층
50 1차 발포성형된 판상 51 보호층
52 1차 발포성형된 판상 53 완성된 미드솔
사용하고 있는 미드솔 알미늄주조 금형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금형(10)중앙에 경화제가 첨가된 실리콘액상(30)을 붓고, 그 상면에 목형(1)을 포개어 놓으면 목형(1)의 저면과 주위로 실리콘(30)액상이 감싸면서 목형(1)의 섬세한 조각면 표면에 경화제가 첨가된 수지액상이 긴밀히 접촉되면서 경화가 시작이 된다.
액상이 요구하는 경화시간이 지난후 하부금형(10)내부에 경화된 실리콘(30)고무가 내장된 채로 목형(1)만을 제거하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20)을 조립하는데 이때 발포성 E.V.A기초화합물로 구성되어 발포성형된 판상을 규격재단을 하여 금형내부로 삽입을 하되, 상부금형(20)저면으로 돌출된 돌출핀(24)(25)에 파묻히게 고정하여 제4도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내부공간에 1차발포 성형된 판상(50)이 내장된 채로 사출 방식으로 주입구(23)를 통하여 미드솔재료를 주입하게 되는데 이때 재료자체가 발포성 E.V.A기초화합물로 구성되어있는 가열된 재료 자체가 사출기시린다에서 거의 가교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금형 내부로 재료가 주입되면서 발포성형이 되기 때문에 주입구(23)로 주입되는 압력도 저압으로 하되 저속도로 주입되게 하면 금형내부로 투입된 재료는 같은 재질의 1차발포성형된 판상(50)을 감싸면서 접착이 이루어지고 금형 내부공간에 긴밀히 충진되어 냉각이 되는 것이다. 이때 금형 내부의 실리콘고무(30) 표면의 섬세한 조각면은 전혀 파손되거나 찌그러들지 않으면서 종전의 여러과정을 거쳐 제작된 알미늄주조금형과 별차이 없이 1차 발포된 발포성형된 판상(50)을 재차 성형과정을 거치게 하는 금형내부구조로는 아무런 하자없다 하겠다. 다만 주의할 점은 금형내부의 실리콘고무(30)경도가 70∼80도 이상이 되도록 실리콘액상 물성이 되게 재질 선택을 하여야하고 이때 실리콘 액상이 아니더라도 에폭시 수지를 선택하거나 또는 액상자체에 열전도가 용이한 알미늄분말을 적당비율로 섞어서 사용하여도 제품생산에는 아무런 하자가 없다하겠다.
제6도에 도시된 금형구조는 상부금형(26)과 하부금형(10)사이에 중간금형(11)을 위치시키고, 중간금형(11)내부벽쪽에만 실리콘 고무(30)로 조각층이 되게하여 사용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는 1차발포성형된 판상(52)자체의 두께가 금형내부깊이 보다는 훨씬 두꺼우며 사방둘레의 폭은 금형의 면적과 거의 같게하여 금형내부에 삽입한후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가압프레스판(4)하부가압프레스판(5)사이에 금형전체를 고정시켜 압력을 가하면서 스팀출입구멍(2)(3)으로 열을 가하면 금형전체가 뜨거워지면 금형내부의 판상(52)은 열에 의해 가장자리로 팽창 확장되면서, 실리콘고무(31)표면과 긴밀히 접촉되면서 성형이 되어 적정시간이 지난후 열을 차단하고 냉각수 출입구멍(2)(3)을 통하여 냉각수를 전달하면 금형 전체가 냉각된후 금형전체를 가압프레스판(4)(5)사이에서 끄집어낸후 금형을 분리하여 성형된 판상(52)을 끄집어내면 제8도에 도시된바와같이 미드솔이 완성이되는 것이다.
가압프레스기계를 사용하여 미드솔을 제조하는 알미늄주조금형구조는 측면만 실리콘고무(31)벽면으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즉, 다시 설명을 하면 금형내부 공간높이보다는 두꺼운 판상을 금형내부에 삽입하여 금형전체가 높은 압력을 받어 내부의 판상이 압축 되면서 높은열에 의해 성형이 되기 때문에 열전달과 냉각과정이 신속히 이루어져야하기때문에 상부금형(26)과 하부금형(29)은 알미늄주조로하고 미드솔측면 부위만 실리콘고무(31)로 대치하여도 종전의 알미늄주조금형 제작방법에 비해 신속하게 똑같은 치수의 금형을 저렴한 가격으로 미드솔금형을 제작할수 있는것이 큰 장점이라 하겠다. 금형내부의 발포성 액상의 재료이거나 열에 의해 팽창되는 판상의 압력만으로는 금형내부의 실리콘 고무(30)(31)표면이 쉽게 망가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것을 이용하여 종전의 복잡하고 까다롭게 생산되던 알미늄 주조 금형을 신속하면서도 저렴한 가격으로 개선된 미드솔 금형을 개발한 것이 목적이라 하겠다.
상기의 식별자가 없습니다.

Claims (2)

  1. 발포성 E.V.A기초 화합물로 구성되어 발포성형된 판상을 재단하여 미드솔로 재성형 가공할 수 있는 알미늄 주조금형에 있어서 상부금형(20)일측에 액상의 재료가 출입할수있는 주입구(23)가 있고 상부금형(20)저면으로 돌출핀(24)(25)이 여러개, 형성되어 있고, 그 돌출핀이 발포성형된 판상(50)을 고정시키고 하부금형(10)내부표면이 경도가 70∼80도 정도 되는 경화제가 첨가 된 수지층(30)으로 되어 있는 알미늄 주조금형
  2. 상부금형(26)하부금형(29)사이에 중간금형(11)이 있고 중간금형(11)내부 표면이 경화제가 첨가된 수지층(31)으로된 알미늄 주조금형
KR1019980033538A 1998-08-12 1998-08-12 금형내부 경도가 이중으로 된 미드솔금형 KR19980082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538A KR19980082051A (ko) 1998-08-12 1998-08-12 금형내부 경도가 이중으로 된 미드솔금형
KR1019980044772A KR19990007720A (ko) 1998-08-12 1998-10-23 신발 밑창 제조용 금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538A KR19980082051A (ko) 1998-08-12 1998-08-12 금형내부 경도가 이중으로 된 미드솔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051A true KR19980082051A (ko) 1998-11-25

Family

ID=658948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538A KR19980082051A (ko) 1998-08-12 1998-08-12 금형내부 경도가 이중으로 된 미드솔금형
KR1019980044772A KR19990007720A (ko) 1998-08-12 1998-10-23 신발 밑창 제조용 금형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772A KR19990007720A (ko) 1998-08-12 1998-10-23 신발 밑창 제조용 금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820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202A (ko) * 2001-12-11 2003-01-09 임성조 미드솔과 아웃솔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신발창 제조용금형장치
KR101876312B1 (ko) * 2016-11-01 2018-07-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재 발포성형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977A (ko) * 2000-10-04 2002-04-13 김효중 운동화중창용 몰드장치
KR100540138B1 (ko) * 2005-09-22 2006-01-10 김인규 신발 밑창용 금형의 제조방법
KR101402955B1 (ko) * 2013-01-24 2014-06-02 이우원 입체무늬 성형용 금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202A (ko) * 2001-12-11 2003-01-09 임성조 미드솔과 아웃솔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신발창 제조용금형장치
KR101876312B1 (ko) * 2016-11-01 2018-07-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재 발포성형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720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89486T3 (es) Metodo para el relleno y refuerzo de paneles sandwich de nido de abeja.
US659945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imulated architectural forms
US5002817A (en) Form liner and method for forming concrete panels with artistic relief patterns
US4650625A (en)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i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KR19980082051A (ko) 금형내부 경도가 이중으로 된 미드솔금형
US3773879A (en) Method of making a contour mold
US20060147697A1 (en) Method for producing rear-injected plastic moulded parts
US3880970A (en) Process for producing microcellular shaped pieces of dimensional accuracy, particularly shoe soles
US2017010087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ower tray trough from a composite panel
JP3244651B2 (ja) 発泡成形装置
KR100320515B1 (ko) 실리콘 고무를 이용한 금형 제조 방법
JPS55118837A (en) Manufacture of polystyrene beed foam molded article having outer layer
JPS562140A (en) Foaming molding method
KR19980025338A (ko) 발포성 e.v.a 기초화합물로 구성된 발포 성형된 성형물과 미발포된 재료를 한 금형속에 넣어 미드솔을 제조하는 방법
JP2004262131A (ja) 発泡成形用モールド及び発泡成形方法
JPH04308735A (ja) 発泡層を有した圧縮成形品の製造方法
KR19980081992A (ko) 이중물성으로 된 미드솔 제조 방법
RU1805056C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вторичных форм
JPS562139A (en) Manufcture of foaming polystyrene molding integrally having bark layer
JPH08336852A (ja) 未発泡部を有する合成樹脂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SU1140993A1 (ru) Пресс-форм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полимерных изделий
CA2324258C (en) Flow channel block and method of making
KR19990035724A (ko) 금형 내부에서 별도의 밀패공간을 형성시켜 발포성신발창을 제조하는 방법
JPH0733038B2 (ja) 射出成形型およびその製法
JPS63390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